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5:09:01

캡콤 파이팅 콜렉션 2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블랙.png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화이트.png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본편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합본II 터보 · II 대쉬 플러스 · SFC1 · SFC2 · III 더블 임팩트 · 애니버서리 · ZeroFG · 25th · 30th · CFC1 · CFC2
외전작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 EX2 · EX3
더 무비 · 리얼 배틀 온 필름
모바일:
SF4 아레나
기타
게임
관련 시리즈 : 파이널 파이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자사 크로스오버 : VS. 시리즈(XvSF · MvSF · MvC1 · MvC2 · MvC3 · MvCI · CvS1 · CvS2 · TvsC · SFxTK) · PF · CFG · SFxMM
타사 크로스오버 : SvC MotM · SvC Chaos · SSB4 · SSBU
미디어
믹스
영상물:
실사 · 춘리의 전설 · 전설의 귀환 · 2 극장판 · TV판 · 가두쟁패전 · 거리의 무법자 · 초급학교패왕 · 스트리트 파이터(2026)
만화:
힘내라 사쿠라 · 류 파이널 · 스트리트 화이터 III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처음 등장한 시리즈 부분에 나열됨 · 그 외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조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가일 · 달심 · 블랑카 · E.혼다 · 장기에프 · 춘리 / M.바이슨 · 발로그 · 사가트 · 베가 / 디제이 · 캐미 · 페이롱 · T.호크 / 고우키 · 진 고우키 / 세뇌당한 켄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아돈 · 버디 · 가이 · 소돔 · 찰리 내쉬 · 로즈 · / · 롤렌토 · 사쿠라 / 코디 · R.미카 · 카린 · 율리 · 유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이글 · 마키 / 잉그리드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독트린 다크 · 스컬로 매니아 · 크래커 잭 · 풀룸 플루나 · 호쿠토 · 다란 마이스터 · 블레어 데임 · 앨런 스나이더 · 카이리 / 가루다 · 사이클로이드 베타/감마 · 피의 봉인을 푼 호쿠토 / 샤론 · 하야테 · 나나세 · 섀도우 가이스트 / 볼케이노 롯소 · 에어리어 · 베가 2 / 에이스
알렉스 · · · · 이부키 · 엘레나 · 더들리 · 오로 · 네크로 · / 휴고 · 유리안 / 마코토 · Q · 트웰브 · 레미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C.바이퍼 · 루퍼스 · 엘 포르테 · 아벨 · 세스 · 고우켄 / 하칸 · 한주리 / 광기의 오니 / 포이즌 · 디카프리
네칼리 · 라시드 · 라라 · F.A.N.G / 콜린 · 에드 · 아비게일 · 메나트 · 제쿠 / 팔케 · G / 카게나루모노 · 루시아 / 아키라 · 루크 · 일레븐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제이미 · 마농 · 킴벌리 · 마리사 · 릴리 · JP / A.K.I. / 테리 (콜라보) · 마이 (콜라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관련 문서기술 · 성우 · 월드 투어 · 풍림화산류 (고우테츠 · 살의의 파동) · 사이코 파워 · 무신류 · 샤돌루 · 매드 기어 · 딤프스 · 아리카 · e스포츠(CPT · SFL)
고유 시스템슈퍼콤보 2~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4 · 울트라콤보 4 · V 시스템 5 · 드라이브 시스템 6 · 모던 컨트롤 6
기술표2 시리즈 · 제로 (제로 2 · 제로 3) · 3 시리즈 · 4 시리즈 · 5 시리즈 · 6 시리즈 }}}}}}}}}

VS.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엑스맨 VS 스트리트 파이터
(1996)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1997)
마블 VS 캡콤
(1998)
마블 VS 캡콤 2
(2000)
CAPCOM VS SNK
(2000)
CAPCOM VS SNK PRO
(2001)
CAPCOM VS SNK 2
(2001)
타츠노코 VS 캡콤
(2008)
타츠노코 VS 캡콤
얼티밋 올스타즈

(2010)
마블 VS 캡콤 3
얼티밋 마블 VS 캡콤 3
(2011)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
(2017)
관련 작품:
(이 중 마블 코믹스 관련 게임과 같은
유니버스 Earth-30847로 분류되는 작품)
더 퍼니셔(1993)
엑스맨: 칠드런 오브 디 아톰(1994)
엑스맨 뮤턴트 아포칼립스(1995)
마블 슈퍼 히어로즈(1995)
마블 슈퍼 히어로즈 워 오브 더 젬스(1996)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2012)
합본형 이식작:
마블 VS 캡콤 파이팅 콜렉션: 아케이드 클래식스
캡콤 파이팅 콜렉션 2
}}}}}}}}} ||
<colbgcolor=#0054ff,#000><colcolor=#ffe400,#ddd> 캡콤 파이팅 콜렉션 2
カプコン ファイティング コレクション 2
Capcom Fighting Collection 2
파일:cfc2_visual_main.webp
개발 / 유통 캡콤
플랫폼 Nintendo Switch | PlayStation 4 | Xbox One | Microsoft Windows
ESD 닌텐도 e숍 |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Steam
장르 대전 격투 게임
출시 2025년 5월 16일
한국어 지원 인터페이스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1]
관련 사이트 #한국어 #일본어
상점 페이지 #Steam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양3. 수록 게임4. 변경점5. 평가6. 기타7. 참고 문서

[clearfix]

1. 개요

캡콤이 2025년 5월 16일 발매 예정인 대전 격투 게임 8종 합본팩 시리즈. 한국어를 포함한 14개 언어를 지원.

==# 트레일러 #==


2. 시스템 요구 사양

<colbgcolor=#0054ff,#000><colcolor=#FFFF00,#ddd>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FFFF00,#ddd> 구분 최소 사양 추가사항
운영체제 Windows10 (64-BIT Required)
Windows11 (64-BIT Required)
프로세서 IntelⓇ Core™ i5-4460
AMD FX-8300
Intel® IntelⓇ Core™ i5-4460
AMD FX-8300(또는 그 이상)
메모리 4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760 (VRAM 2GB)
AMD Radeon™ R9 290x (VRAM 4GB)
NVIDIA®: GeForce® GTX 970 (VRAM 4GB)
AMD: Radeon™ RX480 (VRAM 4GB)
DirectX DirectX 11
저장 공간 4 GB 사용 가능 공간
사운드카드 다이렉트 사운드(DirectX® 9.0c 이상)
추가사항 Xinput 호환 컨트롤러 권장

3. 수록 게임


이번 합본에 수록된 타이틀들은 캡콤의 CPS1, CPS2, CPS3 기판이 아닌, 모두 NAOMI(혹은 DC)와 SYSTEM 246(혹은 PS2) 기반 게임이 주류인 것이 특징. 8개 타이틀 중 스타 글라디에이터 2만 제외한 타이틀은 모두 아케이드 버전 기준으로 이식된다.

8종 수록작들은 《CAPCOM VS SNK 2》 같은 명작부터 《캡콤 파이팅 잼》 같은 망작으로 인정받는 게임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있다. DC 혹은 PS2로 이식된 이후로 20년 넘게 이식되지 않은 게임들이 많고, 일부는 DC 독점일 정도로 접근성이 매우 낮은 게임들이라 이 게임들을 한데 묶어 이식하고, 온라인 대전까지 지원하는 점에서 큰 호평을 받고 있다. Maximilian Dood, Justin Wong 같은 북미의 유명 유튜버들은 본 합본팩 중에서도 특히 CvS PRO와 CvS2의 이식에 비중을 두는 편.#1 #2 반면 캡콤 파이팅 잼은 원본부터 매우 낮은 완성도를 보여주어서 유저들이 끼워팔기로 취급하고 있다.#1 #2

4. 변경점

각 게임의 변경점은 홈페이지에 공시되어 있다.#CvS Pro #CvS2 #CFJ #SFZ3U #PS1 #PS2 #JUSTICE #SG2

5.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XX-XX-XX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XX-XX-XX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평론가 평점
XX / 100
평론가 추천도
XX%
유저 평점
XX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XX-XX-XX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400430/#app_reviews_hash| XX적 (X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400430/#app_reviews_hash| XX적 (X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6. 기타

7. 참고 문서


[1] 분류번호: GC-CC-NP-220318-006[2] 이블 류, 폭주 이오리, 신 고우키, 갓 루갈.[3] 사가트의 원거리 강P 및 앉아 강P의 슈퍼 콤보 캔슬 불가능, 던지기 공격 후 오리지널 콤보로 추가타 불가능, 몇몇 약캐릭터들의 공격력 조정 등.[4] 노멀 연출은 리사리사를 패러디한 모습인데, 히든 연출이 그냥 엔야 할멈을 그대로 빼다박아놓은 수준. 미래를 위한 유산쓰려다가 무산된 데이터가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었다. 이 당시에는 캡콤이 죠죠 게임들의 판권을 갖고 있어서 문제가 없었으나 그 이후로는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가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