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01:47:35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현황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수도권 전철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인천교통공사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기타 수도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이적 전 차량번호)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여섯 자릿수)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GTX 로고.sv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파일:김포골드라인SRS 로고.svg
파일:의정부경전철 로고.svg 파일:용인경량전철 로고.svg
파일: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_logo.png 파일:남서울경전철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전동차(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서울시메트로9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1000호대
저항(현황)
-
VVVF(현황)
2000호대
저항(현황)
초퍼(상세 · 현황)
VVVF(현황)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3000호대
-
초퍼(현황)
VVVF(현황)
4000호대
-
초퍼(현황)
VVVF(상세 · 현황)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5000호대
(현황)
6000호대
(현황)
7000호대
(상세 · 현황)
8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파일:Incheonmetro2_icon.svg
9000호대
(현황)
1000호대
(현황)
2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초저항 직각형
저항 · 초퍼
광폭형
GEC 초퍼
1세대
VVVF
}}}}}}}}}
인천국제공항 연계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AREX_icon.svg 파일: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아이콘.svg 인천국제공항
셔틀트레인
1000호대
(현황)
2000호대
(현황)
에코비 미쓰비시
우진산전
}}}}}}}}}
한국철도공사 · GTX · 그 외 수도권 전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1000호대
(상세 · 현황)
31x000호대
(상세 · 사고 · 현황)
321000호대
(현황)
331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000호대
(현황)
341000호대
(상세 · 현황)
351000호대
(상세 · 현황)
361000호대
(현황)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파일:UiLine_icon.svg
371000호대
(현황)
391000호대
(현황)
D000호대
(현황)
UL000호대
(현황)
파일:SillimLine_icon.svg 파일:ULine_icon.svg 파일:EverLine_icon.svg 파일:GoldLine_icon.svg
SL000호대
(현황)
U100호대
(현황)
Y100호대
(현황)
1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초저항 3000호대
1차분
A000호대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파일:DILine_icon.svg
1000호대
(현황)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파일:WRLine_icon.svg
DL000호대 WTL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개번 전(철도청 시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2030호대
(현황)
5000호대· 6000호대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Seoul Metro 5000 Series EMU
}}}
파일:5호선_5055.jpg
555편성 (2차분)
파일:SMRTW5110.jpg
510편성 (4차분)
차량 정보
<colcolor=#996cac>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8량 1편성
생산량 840량
(총 105편성, 실제 운용 80편성)[1]
운행 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도입시기 1994년 12~1995년 11월 (1차분)
1996년 2~8월 (2차분)
2018년 5~7월 (3차분)
2021년 3~2023년 1월 (4차분)
2025~2027년 예정 (5차분)
2027~2028년 예정 (6차분)
제작사 현대정공 (1~2차분)
현대로템 (3차분)
우진산전 (4차분)
다원시스 (5~6차분)
소유기관 서울교통공사(501~576편성)
하남시(577~580편성)
운영기관 서울교통공사
차량기지 배속 고덕차량사업소[2]
방화차량사업소[3]
중정비 고덕차량사업소
폐차 방화차량사업소
편성번호 501 ~ 580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996cac>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600㎜
궤간 1,435㎜
차중 TC 30.9t
M1 37.8t
M2 33.7t
T 29t
대차 에어스프링 ND-317형 대차(1~2차분)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3차분 이후)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1~3차분)
알루미늄(4~6차분)
급전방식 직류 1,500V
운전보안장치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RF-CBTC[4]
기어비 14:99
제어방식 ABB VVVF-GTO
다원시스 VVVF-IGBT[I]
현대로템 VVVF-IGBT(IPM)[M]
도시바 VVVF-IGBT
동력장치 3상 교류 유도전동기
도시바 완전밀폐형 영구 자석 동기전동기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80㎞/h[7]
설계 100㎞/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4M 4T (Tc-M1-M2-T1-T2-M1-M2-Tc) }}}}}}}}}

1. 개요2. 편성
2.1. 1~2차분2.2. 3~6차분
3. 특징4. 분류
4.1. 1차분 (1994~1995)4.2. 2차분 (1996)4.3. 3차분 (2018)4.4. 4차분 (2021~2023)4.5. 5차분 (2025~2027 예정)4.6. 6차분 (2027~2028 예정)
5. 사건 사고6. 기타
6.1. 소음6.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6.3. 추진제어장치 교체6.4. 조성 변경

1. 개요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전동차.

현재 80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으며 이 중 79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2. 편성

2.1. 1~2차분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조성
(1~2차분)
<colcolor=#996cac> ↑ 방화 방면
51## (1) Tc(축전지)
52## (2)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SIV)
53## (3) M2(CM)
54## (4) T1(무동력객차)
55## (5) T2(무동력객차)
56## (6)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SIV)
57## (7) M2(CM)
50## (8) Tc(축전지)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2.2. 3~6차분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조성
(3~6차분)
<colcolor=#996cac> ↑ 방화 방면
51## (1) Tc(축전지, SIV, CM)
52## (2)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53## (3) M2(인버터, L/B)
54## (4) T1(무동력객차)
55## (5) T2(무동력객차)
56## (6)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57## (7) M2(인버터, L/B)
50## (8[8]/0) Tc(축전지, SIV, CM)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3. 특징

1~2차분은 한국의 다른 전동차와는 달리 M1차에 SIV, M2차에 CM(주공기압축기)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1~2차분은 현재 국내 VVVF 차량 중 유일하게 1C 8M방식 제어를 사용하는 차량이며 인버터가 모듈 형태로 되어있어 한 모듈에 U, V, W상이 모두 들어있다. 다만 구 502편성은 소자 교체와 함께 1C 4M방식 VVVF로 개조됐다.

1~2차분은 까다로운 인버터 구조와 부품 수급문제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강제냉각 방식을 사용하지만 먼지가 끼기 쉬운 구조라서 문제가 많다.

롤지 방식의 행선지 안내기를 채용했던 기존 전동차와는 달리 도입될 당시부터 LED 방식 행선 안내기가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한국 도시철도 차량 중에선 최초이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1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안내용 LED 전광판을 천장에 달아 놨던 것과는 달리 출입문 위에 넣은 것도 특이한 점이다. 이 LED 전광판은 2010년부터 LCD 모니터로 교체되기 시작해 현재는 전 편성에 적용되어 있다.

1~2차분은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로 전 편성의 내장재가 불연재로 개조됐는데, 구 서울메트로 전동차처럼 딱딱한 스테인리스 시트를 적용했다가 2010년에 전 편성의 안장 부분에 난연재 모켓 천을 덧씌우는 작업을 완료했다. 다만 등받이 부분은 여전히 스테인리스 재질이다.

1~3차분은 2020년 5월경부터 LED 행선기에서 "회송"을 표출하지 않는다. 1~2차분은 회송이 아닌 도착지를 표출하며, 마천 - 둔촌동 간 회송 열차는 "방화행"을 표출한다. 3차분은 출발지를 띄우지만, 상일동 - 강동 회송 열차로 운행할 시 "강동행"을 표출한다.

1~2차분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7~8호선 1차분에 비해 차내 스피커 음질이 좋은 편이다.[9]

4. 분류

도입 목적 및 시기에 따라 6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996CAC><colcolor=white> 1차분 VVVF
GTO
ABB
1994~1995년 (45편성)
21개 편성 운용
VVVF
IGBT
다원시스
1995년 (1편성)
전량 퇴역
2차분 VVVF
GTO
ABB
1996년 (30편성)
3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18년 (4편성)
4차분 VVVF
IGBT
도시바
2021~2023년 (25편성)
24개 편성 운용[10]
5차분 VVVF
IGBT
다원시스[H]
2025~2027년 (26편성)
도입 예정
6차분 2027~2028년 (25편성)
도입 예정

4.1. 1차분 (1994~1995)

파일:attachment/SMRT5000.jpg 파일:SMRT5016.jpg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538편성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516편성
파일:1579706994008.jpg 파일:5호선_5005.jpg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501편성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505편성
파일:sel-hr03.jpg 파일:5호선 1차분 내부.jpg
내장재 교체 이전 내부 내장재 교체 이후 내부

(구)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최초로 도입한 열차이며 강동 구간(왕십리 ↔ 상일동), 거여 구간(마천지선), 강서 구간(방화 ↔ 까치산)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1994년 12월 23일(501편성) 첫 도입을 시작으로 1995년 11월 29일(546편성)까지 반입됐다. 당시 일본으로부터 들여온 OECF(現 JICA) 차관자금으로 구입했다.[13] 현업에서는 2차분과 같이 ABB라고 부른다.

초기 27개 편성의 경우 당시 5호선 전구간의 노반이 완공되지 않은 상태여서 전동차 반입과정이 다소 까다로웠는데 당시에는 금정역 - 4호선 - 충무로역 연결선을 거쳐서 3호선 수서역에서 향후 연장을 대비해 탄천까지 건설된 터널구간까지 열차를 끌고온 후 크레인으로 수직공으로 들어올려 끄집어냈다.

이후 지상 임시선로로 이동해서 가락시장역 임시터널 입구로 진입하고 미리 건설되어 있던 8호선(가락시장역)-5호선(방이역) 연결선로를 통해서 고덕차량사업소까지 이동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건설지에 따르면 가락시장역 연결선로 외에도 도농역까지 갑종회송으로 끌고 온 후 트레일러를 이용해 강동대교를 거쳐서 고덕차량기지로 반입하는 방안과 수서차량기지에서 트레일러를 끌고 고덕차량기지로 반입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도로 장애물 접촉 및 전동차 손상, 안전사고 발생 우려로 취소됐다. 현재는 탄천 쪽 수직구와 가락시장역 임시터널은 철거상태이다. 임시터널 연결 선로의 흔적은 8호선 가락시장역 회차선을 지나서 또 다른 빈 공간이 나오는데 그 쪽이 바로 임시터널 출구 연결 선로의 흔적이다. 현재는 철거로 인해 매몰되어서 막혀있다. 초기 반입 당시 5호선 강동 구간은 노반만 완공하고 그 외에는 한참 공사 중이었기에 반입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았고 공사업체에 민원도 생기기 일쑤였기 때문에 반입기간이 1년 가까이 길 수밖에 없었다.

이후의 편성들은 경부선 등 간선철도 →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2호선까치산역 진입 직전의 연결선로를 통해서 5호선으로 들어왔다.

나름대로 최초 타이틀을 몇개 보유하고 있다. 전국 최초로 한손형 원핸들 주간제어기를 달았으며, 전동차 최초로 LED행선기나 열번표시기, 전국 최초로 차체의 모든 부분이 스테인리스로 되어있으며, 수도권 전철 중 최초로 자동운전장치를 설치하였으며, 또한 전국 최초로 무인운전 기능을 탑재하였다. 또한 전국 최초로 일체형 슈트락 커버를 장착하였다.

529편성은 2018년 6월에 방화기지 내에서 발생한 화재로 5029호가 사용 불능 상태가 되어[14], 5018호와 조성변경하여 정상운행 중이다. 현재 운행 중인 열차 중에선 유일하게 무광으로 된 객차이다.

501~521편성의 경우 차체의 옆 부분이 무광으로 되어 반입됐고, 522편성(도입 순서대로는 523편성)부터 2차분, 그리고 6~8호선 스테인리스 차량까지는 모두 차체 옆부분이 유광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내용대로 529편성의 5029호(유광)와 518편성의 5018호(무광)의 객차를 변경하여 사용했다. 그래서 529편성 5029호의 측면차호 스티커는 타 편성과 약간 다르게 보라색이 조금 더 진하고 글씨체가 다르며, 편성 각인블록 역시 5029의 '29' 부분이 땜질한 흔적이 있다. 구 5029호의 측면차호 스티커는 그대로이며, 각인블록의 29 부분은 뜯겨나갔다.

501편성은 서울 5~8호선의 구형 전동차 중 유일하게 측면 차량번호 각인이 보라색으로 되어있었다. 그외 503편성에도 보라색 각인이 있었으나 도입 직전에 교체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반개폐식 창문이 적용됐지만 이후에 통유리로 변경됐다. 그래서 501~521편성을 제외하고 외형상으로는 2차분과 구별하기가 어려워졌다.

1차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5101호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된 501편성과 추진제어장치를 교체한 502편성, 그리고 자전거 거치대가 있는 536~538편성이 여기에 해당된다. 단, 506, 509, 513편성의 일부 출입문은 2차분 550편성의 것이며, 545편성 5045호의 운전실 출입문은 2차분 557편성 5157호의 것이다.

2022년 3월, 501~502, 504~505편성을 시작으로 일부 편성의 폐차가 진행되었다. 단 차량번호 순서가 아닌, 가장 상태가 좋지 못한 순서로 진행된다.[15] 운행중지나 폐차반출은 다음과 같다.
고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방화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fff> 편성 날짜 비고
<colcolor=#996cac> 518 2017년 1월 14일 대차 결함(휴차)[16]
501 2022년 1월 29일[17] 운행중지
518 2022년 2월 14일 매각반출[18]
502 2022년 2월 10일[19] 운행중지[20]
504
505
2022년 2월 11일 운행중지
501
502
504
505
2022년 3월 2일 폐차 및 매각반출[21]
503 2022년 4월 21일 운행중지[22]
503
506
2022년 5월 10일 폐차
509 2022년 6월 운행중지[23]
507
509
511
2022년 8월 4일 폐차 및 매각반출[24]
508
512
2022년 10월 17일 폐차
510
523
2023년 2월 22일 폐차 및 3월 중 매각반출
521 2023년 3월 13일 운행중지
522 2023년 4월 11일 폐차
516 2023년 6월 29일 폐차
521
516
2023년 7월 매각반출
515 2023년 7월 31일 폐차
517 2023년 9월 1일
513 2023년 8월 30일
514 2023년 8월 31일[25]
515
517
513
514
2023년 9월~10월 매각반출[26]
520 2023년 11월 29일 폐차[27]
519 2023년 11월 30일[28]
525 2024년 3월 15일 운행중지 및 폐차
2024년 4월 매각반출
524 2024년 6월 21일[29] 운행중지 및 폐차
2024년 9월 매각반출

538편성은 객실 내부 CCTV를 시범으로 설치한 차량이다. 이후 545, 546편성은 CCTV가 설치되었다.[30]

내장재 개조 이전 내부 이미지
파일:SMRT5004.jpg 파일:5호선_5101_1.jpg
504편성 (5004호) 501편성 (5101호)
일부 차량은 열번안내기나 행선안내기 둘 중 하나가 더 밝은 경우가 있다. 이는 LED 패널이 다른 것이라서 발생하는 것이다.

아래의 서술은 2025년 6월 기준이다. (퇴역한 차량은 매각반출 직전이 기준)
524편성은 1995년 5호선 강동구간 개통식 때, 542편성은 1996년 강서구간 개통식 때 사용되었으며, 506편성은 마천지선 개통식 때 사용되었다.

518편성은 2015년에 그래피티 테러를 당한 차량이었다.

545편성은 2016년에 일자리 테마 랩핑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으며, 544편성 또한 5544호가 2019년 치매예방 랩핑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530편성도 2002년에 복돼지문화 랩핑열차 뿐만 아니라 함께타는열차, 봉축열차, 정정당당Korea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또한 532편성도 2000년 새천년 기념 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503편성은 2020년 상반기까지 차내 안내방송이 은영선 성우로 송출된 최후의 차량이었다.

510, 523편성은 2023년 2월까지 차내 환승음악이 얼씨구야로 송출된 최후의 차량이었다.
파일:SMRT5115.jpg
515편성
515편성 5115호는 선로검측기를 부착했다. 517편성 5117호는 검측장치가 막혀있는데, 이는 예비용으로 검측장치를 작동하기 때문이다. 2019년 5월경에 515편성의 4년검사가 시행되었을 때 잠시 검측장치를 열고 운행했으며, 2023년 8월 이후 515편성이 폐차됨에 따라 517편성 5117호가 다시 검측장치를 열고 운행했었다.

539편성, 545편성은 차호 스티커가 낮게 부착되어 있다.

502, 504, 508, 512~513, 526, 532~533편성은 차내 일부 출입문의 경고 스티커가 반대로 부착되었다.
파일:sel-hr03.jpg 파일:E$$00003.jpg
내장재 교체 전 내부1 (도입 초기) 내장재 교체 전 내부2 (좌석만 임시 교체)
파일:SMRT5007.jpg 파일:SMRT5013.jpg
507편성 (5007호) 513편성 (5013호)
2019년 12월, 하남선 연장 대비로 서울 지하철 5호선 1~2차분 전 차량의 전장품을 개량하였는데, 이중 501~510편성의 통신장치는 부산 1호선 신조차량과 같은 모델로 개조되었다. 하지만 2023년 2월자로 510편성이 폐차되면서 서울에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511편성부터 2차분 576편성까지는 우측의 통신장치(2호선의 4차분 전동차, 4호선의 3차분 전동차와 같은 모델)로 교체되었다.

4.2. 2차분 (1996)

파일:5호선_5055.jpg
555편성
파일:kaigainikki9-5.jpg 파일:5호선 2차분 내부.jpg
내장재 교체 이전 571편성 내부 내장재 교체 이후 내부

개조 이전 내부 이미지

까치산 ↔ 여의도, 도심 구간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1996년 2월 16일(547편성)부터 1996년 8월 14일(575~576편성)까지 도입됐다. 원래는 서울시 예산으로 약 120량을 반입할 예정이었으나 1차분 입찰 당시 예상보다 낮은 가격에 입찰된 탓에 OECF 차관자금이 남게됨에 따라 일본 정부와 협의해서 차관을 다시 활용하여 구매했으며, 5호선의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120량에서 240량으로 구매량이 120량 정도 늘어났다.[31]

전 구간 노반이 완성된 상태라 528편성 이전의 1차분에 비해서 차량 반입 과정이 약간 간결해졌으며, 전동차 반입은 국철 선로 - 1호선 - 신설동역 연결선 - 2호선 - 까치산역 연결선을 통하여 유치했다. 모두 방화차량사업소 소속이다.

2차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하지만 550편성은 506, 509, 513편성에서 떼온 1차분 출입문이 있고 557편성은 5157호는 545편성 5045호에서 떼온 운전실 출입문이 있고 573~574편성의 5073, 5374호는 1차분 출입문과 같은 것으로 신조하여 장착된 출입문이 있다. 560~561편성은 자전거거치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567편성의 5067호의 전면 행선기에는 측면 행선기와 같이 영문 표기가 있었지만 2018년 10월 현재 기존 행선안내기와 같은 것으로 개정됐다.

또한 과거에는 574편성의 5074호, 575편성의 5075호의 전조등이 중검수 중 작업자의 실수가 발생하여 거꾸로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했었으나 현재는 다시 정상 상태로 개정됐다.[32]
파일:1508koreaseoul.jpg
내장재 개조 이전 패찰
2005~2006년 내장재 불연재 교체 당시 5호선 전체 76편성 모두 현대정공 패찰을 떼어내고 로템 패찰을 붙였는데 전부 1995년산으로 나와있다. 교체 전에는 은색 바탕에 한자로 현대정공이라고 쓰인 패찰이 달려있었다.

566편성은 2017년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폭발사고를 일으킨 적이 있어서 고덕기지에 휴차됐다가 다시 운행 중이다.

550, 552, 554, 556~557, 563, 567~568, 572, 574편성은 차호 스티커가 낮게 부착되어 있다.

547편성은 2000년에 산타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568편성은 2021년 3월 26일, 마지막 하남풍산행을 운행하였다.

2025년 기준으로 2차분 전 편성의 객실 내부에 CCTV가 설치됐다.

4.3. 3차분 (2018)[하남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형 표준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표준
모델
도입형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표준
모델
개수형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1~3차분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3차분
}}}}}}}}} ||
파일:5호선_5077.jpg 파일:5호선 3차분 내부.jpg
577편성 내부

2020년 8월 개통한 하남선 연장 대비 증차분이며 하남시에서 발주하였다. 1996년 2차분 도입 후 22년 만에 도입된 전동차이며 서울교통공사가 소유하는 다른 5호선 차량과 달리 하남시가 소유권을 가진 차량이지만 관리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수탁관리 하고 있다. 총 4개 편성으로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와 거의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됐으며 디자인 또한 전조등이 하부에 있는 것과 운전실 전용 에어컨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매우 유사하다.[35]

1~2차분(1차분 539, 545편성, 2차분 550, 552, 554, 556~557, 563, 567~568, 572, 574편성 제외)에 비해 차호 스티커가 모두 낮게 붙여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든 차량이 고덕차량기지 소속이다. 대신 고덕기지에서 537~538편성 2개 편성이 방화기지 소속으로 넘어갔다.

차량기지 용량이 부족해 갑종회송이 지연되다가 2018년 5월 1일 577편성이 처음으로 도입됐으며 고덕차량사업소로 배속됐다. 7월 9일 마지막 편성인 580편성의 갑종회송을 마지막으로 모든 차량이 수도권 내로 반입됐다.

추진제어장치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4차분 전동차와 동일한 IGBT를 탑재하였다.

2018년 9월 20일 이후로 577편성이 본선에서 시운전을 시작하여 2020년 8월 8일 하남선 1단계 개통 이후 2일만인 2020년 8월 10일 오전에 운행을 시작했으나 중간에 568편성으로 기교체됐으며 2020년 9월 1일에도 한차례 운행했다. 그 이후로는 시운전을 계속 돌렸는데 이 차량이 기존 전동차에 비해 운전실 시야가 좁은 편이라 일부 역사에서 HMI와 CCTV가 간섭 받는 곳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식 운행에 투입됐음에도 하남선 2단계 개통 전까지 한동안 시운전을 했다.[36]

2021년 3월 27일 하남선 2단계 개통 이후 3일만인 2021년 3월 30일에 운행을 재개했다. 하남선 구간과 일부 역 안내방송을 제외하고 기존 은영선 성우로 안내방송이 나왔다가 4월에 안내방송 업데이트를 실시하면서 안내방송이 강희선 성우로 개정되었다.

현대로템이 개발한 통합 신호 장치가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통합 신호 장치는 ATC/ATORF-CBTC를 모두 지원하여 5호선에 CBTC를 도입할 때 신호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진다. 6~8호선에서도 운행에 큰 지장없이 정상적으로 가능하다.[37]

3차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4호차와 5호차에 통로문이 설치되어 있지만 평소에는 작동 스위치를 수동에 두고 개방한 상태로 운행한다.

다른 차량들과는 달리 방송장치 오류가 잦다.

관리는 서울교통공사에서 하지만 실소유주가 달라서 계약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역 안내방송 이후 광고 방송이 전혀 나오지 않고 서대문(강북삼성병원),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을 제외하고는 부역명이(발산역, 여의도역, 여의나루역, 강동역 등) 반영되지 않으며 고덕역과 마곡역에서는 은영선 성우 안내방송이 송출되는 경우도 있다.

해당 차량은 5호선에서 마지막으로 도입된 유도전동기 장착 차량으로 4차분부터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만 도입된다.
고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방화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 편성 번호 갑종회송 일자 운행개시 일자 출발역 경유역 도착역 서울역행 회송일
<colcolor=#996cac> 577 2018년 5월 1일 2020년 8월 10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578 2018년 6월 25일 2021년 4월 2일 경의선 문산차량사업소[39] 2019년 3월 19일
579 2018년 7월 5일 2021년 3월 31일 2019년 4월 1일
580 2018년 7월 9일 2021년 3월 30일 2019년 4월 5일

4.4. 4차분 (2021~2023)

파일:SMRTW5110.jpg
510편성
파일:5호선 4차분 내부.jpg 파일:5호선4차분내부.jpg
내부(선두칸) 내부(중간차)
1차분 501~525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된 차량으로 오랜만에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소유 차량들이다. 총 25편성이 도입됐으며, 우진산전에서 제작했다. 현재 운행중인 7호선 5차분(701~717편성)과 함께 제작되어 기술적 사양도 거의 차이가 없다.

해당 전동차에는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 9차분에 사용되는 도시바PMSM이 들어갔다.[40]

이 차량의 초기 조감도도 존재했으나 해당 차량의 디자인은 최종적으로 여의도역에서 투표를 받아서 외부 및 내부 모두 2안으로 결정됐다.[41][42]

4차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서울교통공사 7호선 5차분 차량과 마찬가지로 서울교통공사 차량 최초의 VVVF 대차분이다.

2020년에 한국디자인진흥원으로부터 굿디자인상을 수상했다.

서울 지하철 최초로 도시바제 PMSM을 수입 및 채용함에 따라 도시바 공식 홈페이지에 이와 관련한 공문이 업로드됐다.[43]

발주 당시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최초로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적용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더블암 팬터그래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44]

4호차와 5호차에 통로문이 설치되어 있지만 평소에는 문을 개방한 상태로 운행한다.

3차분까지는 5~8호선 특유의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진 운전석 위치를 유지했지만 4차분 차량부터는 운전실 정 중앙에 운전석이 위치한다.

515편성 5115호와 525편성 5125호는 선로검측장비가 탑재되었다.

LED 행선기의 행선지 표출 방식은 한글->영문->열차번호 순이다. 예를 들어 왕십리행 5209 열차라면 "왕십리->Wangsimni->5209" 형식이다. 단, 회송 행선지는 영문이 나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5902 회송열차라면 "회송->5902" 형식이다. 7호선 5차분이랑 8호선 3차분도 방식이 동일하다.

신 501편성이 오송종합시험선에서 시운전하다가 2021년 3월 22일 서울로 갑종회송됐으며 동시에 신 502편성이 철도종합시험선으로 반입됐다가 4월 12일 서울로 갑종회송됐고 이후 신 525편성까지 반입이 완료됐다.
510편성 김포공항 - 여의도 구동음

운행 초반에는 출입문이 열릴 때도 경고음이 나온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송출되지 않는다. 501편성과 507편성의 경우에는 교통약자석(노약자석)이 노란색으로 도장됐고 나머지 편성은 하늘색으로 도장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전 편성이 노란색으로 바뀌었다.

2022년 7월 1일 낮 1시쯤, 하남풍산역에서 방화행으로 운행중이던 505편성이 하부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화재 원인은 SIV의 과부하라고 한다. 이로 인해서 해당 전동차 전량이 다시 시운전에 들어갔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영업운행에 투입되었다.[45]

517편성은 서울 지하철 5호선 무인 질주 사건을 겪은 차량이다.

524편성은 기존 전동차와 번호가 겹치므로 또타지하철 앱에서는 583편성으로 표기되고 있었으나 이후 584편성으로 표기되었다.

이외에도 이전에는 503, 507, 510, 514, 519편성이 583편성으로, 506, 508, 513, 517, 525편성이 584편성으로 520편성이 589편성으로 표기되었다.

2024년 1월 26일에 501~525편성, 즉 전 편성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2025년 5월 31일 오전 8시 40분경, 513편성은 5535열차로 마천방면으로 가던 도중 여의나루 - 마포 구간에서 방화로 인한 화재로 임시 휴차되었다. 사건에 대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 참조.

2025년 7월에 바니랜드에서 501편성의 5101호 선두칸 객차를 모형화하여 온라인쇼핑몰에 판매를 시작하였다. 실차와 달리 'S' 모양 디자인이 객차 연결부 쪽에 잘려있지 않고 다소 앞쪽에 있다. 구동음도 똑같이 넣었는데 4차분 우진산전이 아닌 1~2차분의 구동음이 나온다. 이는 다른 모형인 4호선, 7호선도 마찬가지.
고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방화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bgcolor=#ffdbff,#330032><colcolor=#996cac> 501 2021년 3월 22일 2022년 2월 9일 충북선 오송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502 2021년 4월 12일 2022년 2월 16일
503 2021년 5월 25일 2022년 4월 13일
504 2021년 6월 8일 2022년 2월 15일
505 2021년 7월 21일 2022년 2월 14일
506 2021년 8월 4일 2022년 4월 27일
507 2021년 8월 13일 2022년 6월 14일
508 2021년 9월 6일 2022년 9월 2일 충북선 도안역
509 2021년 12월 7일 2022년 10월 4일
510 2021년 12월 9일 2022년 8월 9일 충북선 오송역
511 2022년 1월 3일 2022년 10월 17일 충북선 도안역
512 2022년 2월 14일 2023년 1월 18일
513[46] 2022년 3월 14일 2023년 2월 15일
514 2022년 4월 4일 2023년 7월 10일
515 2022년 5월 30일 2023년 8월 3일
516 2022년 5월 23일 2023년 7월 24일
517 2022년 6월 20일 2023년 9월 1일
518 2022년 7월 25일 2023년 8월 28일
519 2022년 8월 8일 2023년 9월 4일
520 2022년 11월 15일 2023년 9월 15일 충북선 오송역
521 2022년 11월 23일 2023년 9월 13일
522 2022년 12월 5일 2023년 11월 28일
523 2022년 12월 12일 2023년 12월 1일 충북선 도안역
524 2022년 12월 27일 2023년 12월 11일
525 2023년 3월 4일[47] 2024년 1월 26일 충북선 오송역

4.5. 5차분 (2025~2027 예정)

파일:D526갑종.jpg 파일:5호선 5차 도입분 내부 선정작.jpg
<rowcolor=white> 526편성 내부 최다투표작

526~551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될 차량으로, 서울교통공사 8호선 8000호대 전동차 4차분(801~815편성)과 동시에 구입하도록 계획이 수립됐다. 2021년 8호선 90량과 동시에 발주하여 12월에 입찰을 진행했고 입찰 결과 다원시스가 낙찰됐다.[49]

2022년 9월 16일부터 22일까지 디자인 투표가 이루어졌다. 외내부 모두 3안으로 확정됐다.[50][51]

다원시스에서 제작하지만 8호선 4차분과 마찬가지로, 도시바제 PMSM이 들어간다고 한다. 우진산전 차량과 부품이 호환되도록 하여 정비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하지만 우진산전과는 달리 다원시스는 PMSM용 자체 추진제어장치를 개발하였고 # 또한 도시바제 뿐만 아니라 다른 PMSM 개발사와의 견인전동기도 호환이 가능해진걸로 보인다. # 이를 토대로 이 차량이 최초의 PMSM용 국산 인버터 상용화 차량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3월 21일, 이 차량의 목업 차량이 공개되었다.[52]

여담으로 2기 지하철 최초로 호차와 차량번호가 동시에 붙인 차량이 되었다. 1기 지하철 최초는 2호선 VVVF 2차분이다.

최종편성 납기기한이 2025년 6월에 만료되는데도[53] 초도편성조차 납품받지 못하는 심각한 납기지연 사태로 5차분 중 2편성을 감차하는 계약을 변경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로 인해서 최종편성 납기기한이 2027년 8월로 연장되었다. #

2025년 5월 25일 김천공장에서 제작중인 모습이 포착되었다. # (유튜브)

2025년 8월 11일 초도편성인 526편성이 오송기지로 갑종회송되었다. #
고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방화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color=#996cac> 526 2025년~2027년 예정 차량 제작완료 충북선 오송역 미정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527 도입 예정 경북선 옥산역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4.6. 6차분 (2027~2028 예정)


552~576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될 차량이다. 2023년 11월에 7호선 6호선 임시차량 대차분 16량과 통합발주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다원시스가 낙찰되었다. #

5차분에 이어 연속으로 다원시스가 낙찰되었기 때문에 형식승인 면제를 받고 디자인과 사양이 5차분과 같을 것이라는 여론이 많았으며, 결국 5차분과 같은 차량으로 연속 제작하게 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이로써 6차분까지 전부 반입되면 5호선의 주력 차종이 된다.#

7호선 반입분과 차이점이 있다면 5호선 차량은 그대로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달지만, 7호선 차량은 부천/인천 지역이 일정지분을 가지기 때문에 인천교통공사 로고를 달게 된다. 추가로 전부 도입되면 고덕기지 배속은 3개 디자인이 소속되지만 방화기지 배속은 1개 디자인으로 통일된다. 여담으로 2018년 이전까지는 고덕기지 배속은 1개 디자인, 방화기지 배속은 2개 디자인이였다.

2024년 10월 23일에 해당 차량의 목업품평회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11월 8일 목업차량이 공개되었다. #

상기 5차분 문단에 나와있듯 6차분도 2편성을 감차 계약변경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5차분 납품기한이 2027년 8월까지로 연장되면서 6차분에서 4개편성을 감차하거나 아예 무산될수도 있다.#

5차분과 차종은 동일하나 차이점이 있다면 전면 LED 행선기의 글꼴 및 색상 표기다.
고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방화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bgcolor=#fff5a0,#5f5500><colcolor=#996cac> 552 2027년~2028년 예정 도입 예정 호남선 노령역 미정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 사건 사고

6. 기타

6.1. 소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5호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전철 5호선#s-15.2|15.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전철 5호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차분 차량의 출발 시 나는 특유의 우렁찬 구동음[62]으로 5호선을 소음선으로 만들고 있는 전동차이기도 하다. 전 구간이 소음 흡수가 잘되지 않는 콘크리트 도상으로 설계되어 있고, 노선상에 곡선 구간이 많으며 5호선의 노반은 다른 노선들보다 선로 전환기의 수가 더욱 많고 터널 역시 매우 좁기에 소리가 더 울린다.[63]ABB가 지상철용 인버터를 납품해서 소음이 더 커졌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인버터 자체에는 지상철/지하철용이 따로 없다. 정확히는 지상철에서 주로 사용하는 강제냉각방식을 채택해서 그런 것이다. 이 방식은 GTO 전동차들이 주로 사용하는데, 인버터 함 내 송풍기를 따로 두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식이다.[64] 주로 IGBT 전동차들이 사용하는, 냉각팬이 아예 없는 자연냉각방식에 비해 소음이 더 클 수밖에 없다.[65]

이 밖에도 인버터의 냉각방식 문제에 더해, 콘크리트 도상의 부족한 소음 흡수력과 노후화가 5호선 소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6.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1~2차분의 내장재가 불연재로 교체되었다.
* 흥일기업: 501~530, 539, 543, 547~562편성 - 2005년 개조
* SLS 중공업: 531~538, 540~542, 544~546, 563~576편성 - 2006년 개조

6.3. 추진제어장치 교체

현재는 폐차된 구 502편성[66]의 추진제어장치(C/I)가 2012년 1월 13일에 VVVF-IGBT로 교체됐다. 인피니언 기반 다원시스제 2레벨 IGBT를 채용했다. 하지만 이후 확대 적용되지는 않았다.[67]

6.4. 조성 변경

<rowcolor=#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529 5018 5029
기존 운행 중인 차량 조성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T)
6호차
(M')
7호차
(M)
8호차
(Tc)
비고
529 5129 5229 5329 5429 5529 5629 5729 5018 [68]

[1] 현재 구501~구525편성 폐차 및 513편성 휴차로 632량 운행 중[2] 501~536, 577~580편성[3] 537~576편성[4] 3~6차분 한정이며 현재 RF-CBTC는 사용하지 않는다.[I] 인피니언 소자 기반이다.[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7] 유일하게 하저터널 구간의 최고속도가 90㎞/h였으나 현재는 노후화와 안전상의 문제로 80㎞/h로 제한되어 있다.[8] 3~4차분[9] 7~8호선 1차분은 먹먹한 느낌이 있지만 해당 차량 1~2차분은 그런 느낌이 거의 없다.[10] 차량 화재로 인한 1편성 임시 휴차[H] 우진산전제 4차분과 달리 인버터는 자체제작한다고 하며, 히타치제 소자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I] [13] 출처: 서울지하철건설 삼십년사[14] 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15] 결함으로 인하여 폐차한 518편성을 제외해도 실제로 501~502, 504~505편성 이후 다음 폐차 대상으로 2022년 5월에 503, 506편성, 7월에 507, 509, 511편성 → 10월에는 508, 512편성이 진행됐다. 이는 7호선 측도 마찬가지이다.[16] 22년도 채우지 못하고 휴차된 채 방치되다 폐차반출되었다.[17] #5574 마천발 방화행, 운행 당시 방화행 앞칸이 5101호[18] 2020년 5월 24일고덕차량사업소에서 정밀안전진단을 받고 방화차량사업소로 가던 중 발산역에서 발산역 전동열차 탈선 사고를 냈다. 이후 구 5029호와 같이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19] #5557 방화발 마천행, 운행 당시 마천행 앞칸이 5002호[20] 1995년 2월 24일 도입, 27년을 몇 주 앞두고 운행이 중지되었다.[21] 서울 2기 지하철 최초 전동차인 501편성은 총 27년 1개월을 운행하고 퇴역한 것이다.[22] 올림픽공원역 출입문 고장사고로 운행이 중지되었다.[23]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고장사고로 운행이 중지되었다.[24] 2022년 7월 기준 매각 공고가 올라왔고 2022년 9월에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됐다. 이 차량들부터는 새로 신설한 방화기지 정식 폐차선을 통해서 반출했다. 501~506, 518편성의 경우에는 임시적으로 운용된 폐차선을 통해 반출했다.[25] #5721 방화발 마천행, 운행 당시 마천행 앞칸이 5014호[26] 2023년 8월에 폐차 매각 공고가 나옴에 따라 완전히 폐차매각되어 방화기지에서 반출됨으로써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이후 대체분인 4차분의 운행 개시 이후로는 W515, W525편성에 이관되었다.[27] 2023년 10월, 519~520편성의 매각공고가 나왔으며, 이를 끝으로 무광으로 되어있는 순수 1차분은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28] #5571 방화발 마천행, 운행 당시 마천행 앞칸이 5119호[29] #5153 방화발 하남검단산행, 운행 당시 하남검단산행 앞칸이 5124호[30] 즉 1~2차분 중 CCTV가 있는 열차는 전량 방화소속이다.[31] 「「저소음 전동차」5호선 첫투입」, 경향신문, 1996-03-16[32] 관련 게시글[하남시] 하남시 소유, 서울교통공사 수탁 관리[M] [35] 이 때문에 일부 철도 동호인들은 9호선의 아들이라 부르기도 한다.[36] 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37] 「현대로템, 열차 통합신호시스템 2020년 5호선 하남선 적용」, 뉴스1, 2019-11-20[38] 그런데 차내 노선도 부착 방식이 출입문 위에 LCD가 달려 있는 차량들의 노선도 레이아웃과 같아 어딘가 비어있는 느낌이 난다.[39] 고덕차량기지 확장 공사가 덜 끝난 관계로 몇 달 동안 문산에 주박했다.[40] 「서울 5·7호선 신조전동차 336량 제작…문제없나」, 국토매일, 2019-11-08[41] 관련 게시글[42] 관련 게시글[43] 韓国ソウル地下鉄新型車両向け主回路電気品の納入完了について ― ソウル地下鉄初の永久磁石同期電動機(PMSM) ― (일본어), 2021년 12월 17일[44] 관련 게시물[45] 「지하철 5호선 하남풍산역서 열차 고장…일부 구간 운행 중단」, 연합뉴스, 2022-07-01[46]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으로 인해 휴차[47] 출발은 3일에 했으나 회송 중 도착 날짜는 4일이 되었다.[H] [49] 관련 게시글[50] 서울교통공사 5, 8호선 신조전동차 298칸 디자인 선호도 조사, 서울특별시, 2022년[51] 이중 1안은 인천 1호선 검단연장선 전동차의 디자인으로 기존 다원시스제 서울 3, 4호선 디자인 투표에서 탈락했던 디자인들과 다시 후보로 나와 투표를 진행하였고 1위를 차지하며 최종 선정되었다.[52] 관련 게시글[53] 이 차량들이 도입되는 건 4호선 직교류 차량 대차분이 모두 납품되는 시기이다. 실제로 469편성까지 납품된 후 526편성이 납품되었다.[H] [55] 「5호선 自動제어전동차 도입」, 경향신문, 1990-05-21[56] 관련 영상[57] 관련 영상[58] 이는 7~8호선 1차분도 마찬가지였다. 관련 영상[59] 관련 게시글[60] 관련 게시글[61] 생김새는 무궁화호 대차에 쓰이는 KT-23대차와 비슷하게 생겼다.[62] 일부는 공룡이 울부짖는 소리 같다고도 말한다.[63] 6~8호선도 소음이 심한건 마찬가지지만 5호선에 비하면 조용한편이며, 터널도 5호선보다 넓다. 특히 가장 마지막에 개통한 6호선 터널은 2기 지하철중 가장 넓다.[64] 참고로 호주에 있는 일부 ABB GTO 소자 적용 차량들이 이 방식을 쓴다.[65] 관련 게시글[66] 같은 인버터로 개조된 구 451편성도 현재 폐차되었다.[67] 상술했듯 인버터 구조가 워낙 까다롭기 때문에 전 차량의 추진제어를 교체하는 것보다 신차를 도입하는 것이 더 효율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68] 8호차: 518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