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15:11:24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현황]]{{{#!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동남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열차번호코레일 제외 노선 · 열차번호코레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부산교통공사 심볼.svg 파일: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 로고.svg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동해선)
}}}}}}}}} ||
파일:Busan1.svg 파일:Busan2.svg 파일:Busan3.svg 파일:Busan4.svg
1000호대
1세대(상세)
2~3세대
2000호대 3000호대 4000호대
파일:BGL_logo.svg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1000호대 381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도입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san5.svg파일:Yangsan_Line_Logo.svg
5000호대차번 미정}}}}}}}}}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3000 Series EMU
}}}
파일:BTC302.png
302편성 (1차분)
파일:HUMETRO_3000_interior_1.jpg
내부 (내부안내기 미개조 차량)
차량 정보
<colcolor=#bb8c00>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4량 1편성[1]
생산량 80량 (총 20편성)
운행 노선 파일:Busan3.sv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도입시기 2004 ~ 2005년 (1차분)
2032 ~ 2033년 예정 (2차분)
제작사 주식회사 로템[2] (1차분)
미정 (2차분)
소유기관 부산교통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대저차량사업소
호포차량사업소(중정비)
편성번호체계 301 ~ 320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bb8c00> 전장 17,500㎜
전폭 2,750㎜
전고 3,600㎜
궤간 1,435㎜
대차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
급전방식 직류 1,500V
운전보안장치 Kyosan Signal ATP/ATO
ADtranz[3] CITYFLO 350 ATP/ATO[4]
제어방식 현대로템 VVVF-IGBT(IPM)[5]
동력장치 3상 농형 교류 유도 전동기
편성 출력 1,680㎾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80 ㎞/h
설계 100 ㎞/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2M 2T (Tc-M'-M'-Tc)[6] }}}}}}}}}

1. 개요2. 편성3. 상세4. 분류
4.1. 1차분 (2004~2005)4.2. 2차분 (2032~2033 예정)
5. 둘러보기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행되고 있는 전동차. 현재 운행 차량은 20개 편성. 3호선 개통에 맞추어 2005년 1월 17일 첫 도입되었다.

4량 1편성으로 구성되고, 설계상 6/8량 증결이 가능하지만 승강장의 8량 정차구간은 스크린도어 기계실로 사용되어 8량 증결은 어려워졌다. 만약 증량해도 6량이 최대 한계가 될 듯하다.

2. 편성

파일:Busan_metro_line3_joseong.gif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조성
<colcolor=#bb8c00> ↑ 대저 방면
30## (1) Tc(ATP/ATO신호장치, 주간제어기, 열차정보장치, 열차무선장치, 방송장치,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CM), 축전지)
31## (2)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34## (3)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35## (4) Tc(ATP/ATO신호장치, 주간제어기, 열차정보장치, 열차무선장치, 방송장치,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CM), 축전지)
수영 방면

3. 상세

4.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2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color=#ffffff><colbgcolor=#BB8C00> 1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04~2005년 (20편성)
2차분 미정 미정 (20편성)
도입 예정

4.1. 1차분 (2004~2005)

<rowcolor=#ffffff> 편성번호 제작년도 운행개시일 퇴역일
<colcolor=#bb8c00> 301 2004년 2005년 11월 28일 -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2005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4.2. 2차분 (2032~2033 예정)


부산교통공사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노후 차량 대체를 위해 80량(20개 편성 규모)을 발주 예정인 차량이다. 2025년~2029년 철도차량 중장기 발주 계획에 현행 차량들의 대차분 도입 계획이 포함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대구 2호선 차량, 대전 1호선 1차분, 약간 먼저 도입된 광주 1호선 1차분, 심지어 5~6년이나 먼저 도입된 인천 1호선 1차분도 대차 계획이 나오지 않았는데도 말이다. 이로써 1차분은 도입 당시부터 현대로템 IGBT를 장착한 차량 최초로 퇴역하게 될 전망이다.
<rowcolor=#ffffff> 편성번호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color=#bb8c00> 301 2032년~2033년 예정 도입 예정 미정 미정 미정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5.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형 표준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표준
모델
도입형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표준
모델
개수형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1~3차분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3차분
}}}}}}}}} ||

파일:현대로템 CI.svg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차 (EMU/DMU/PP)
🚄 고속열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KTX[라](34개 편성 한정) KTX-산천
SRT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KTX-이음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EMU-250 KTX-청룡
SRT EMU-32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용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HSR-350X운행 불가 HEMU-430X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연구·개발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MU-370
}}}}}}}}} ||
[[대한민국의 일반철도| 🚅 {{{#000000 간선형·준고속형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MU-18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TX-청춘 GTX-A A000호대수도권 전철
GTX-B수도권 전철 GTX-C수도권 전철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EMU-15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TX-새마을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EMU-150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4차분수도권 전철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HRCS2
}}}}}}}}} ||
🚆 디젤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DEC[퇴역][대우] NDC[퇴역]-[대우]-
DHC-PP[퇴역][대우][현대][한진] 경복호[대우]
CDC[퇴역][대우] RDC[퇴역][대우](CDC 제작 한정)
수출차량 보기
}}}}}}}}} ||
🚇 통근형·근교형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한국철도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EC(수도권 통합환승x)[퇴역][대우] 1000호대 저항제어 2~8차분(상세)[퇴역][대우][한진][현공]
1세대[대우][한진][현공] 일산선 전용 1세대(상세)[퇴역][현공]
2세대 3세대 4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서울교통공사(세대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0호대 저항제어[대우][현공]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1~8차분
[퇴역][대우][한진][현공]
2000·3000·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1~5차분[퇴역][대우][한진]
1000·4000호대
VVVF 1세대
(상세)[대우][현공]
5000호대
VVVF 1세대
[현공]
7000·8000호대
VVVF 1세대
[대우]
6000호대 VVVF 2세대[현공] 7000·8000호대 VVVF 2세대[한진] 2000·3000호대 VVVF 2세대
9000호대 VVVF 3세대 3~4차분 5000호대 VVVF 3세대 2000·4000호대 VVVF 3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수도권 전철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항철도 1000호대(수도권 통합환승x)
공항철도 2000호대 1~3차분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2차분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대우], 2차분 네오트랜스 D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0호대 1세대(1~7차분)(상세)[한진][현공] 1000호대 2세대(8~10차분)
2000호대 1차분[한진], 2차분 3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광역시 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한진]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제작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 표준형 전동차 AUT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출용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SEPTA Silverliner V 싱가포르 J151형 타이완 EMU600
타이완 EMU900 홍콩 정관오선·뚱충선
미쓰비시 합작 EMU
홍콩 동철선 EMU
그 외 수출 차량보기
}}}}}}}}} ||
🚊경전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제차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김포골드라인 1000호대
동북선 DL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자기부상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코비 (UTM-0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가선 저상 트램 수소전기 트램 보기 수출차량 보기
}}}}}}}}} ||
🚂 기관차 견인 (Locomotive/Passenger Cars/Generator Cars)
⚙️ 기관차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디젤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교통공사 7000/#000호대 디젤기관차[대우][현공]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기관차[라][퇴역][현공]
한국철도공사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
국가철도공단 7500호대 디젤기관차
[라][현공]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라]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기관차[라] BR(방글라데시 철도청) 디젤기관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전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기관차[라][대우](4량 한정)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기관차[라][대우]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기관차[라](73량 한정)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기관차
TCDD(터키 철도청) 전기기관차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전기기관차
}}}}}}}}} ||
💺 객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국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대우][현대] 무궁화호 격하 특실[퇴역][대우]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한진][현공]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대우][한진]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개조 새마을호 객차
(리미트 객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해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LA 메트로링크 2층 운전객차 그 외 수출차량 보기
}}}}}}}}} ||
⚡️ 발전차 (문서 이동)
[라]: 라이센스 제작
[퇴역]: 전량 퇴역
[현공]: 현대정공 제작
[대우]: 대우중공업 제작
[한진]: 한진중공업 제작
}}}}}}}}} ||
[1] 향후 6량, 8량 증결 가능하나 7, 8량 정차위치에 스크린도어 장비로 인하여 6량 증결만 가능.[2]현대로템[3]Bombardier[4]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경유 호포차량사업소 입출고시 사용.[5] 미쓰비시 소자 기반[6] 향후 6량 증결시 3M 3T[7] 폰트는 HY헤드라인, HY울릉도체이다. 윈도우 XP 운영체제를 사용한다.[8] 부산 3호선은 역별 승하차량이 많지는 않지만, 환승 수요가 어마어마하다. 그리고 3호선 특성상 체감혼잡도는 1호선보다 높게 느껴진다.[9] 게다가 시종착역인 수영역대저역이 환승역이다 보니 출발부터 입석이 발생하는게 일상일 정도다.[10] 사실 승강장 자체는 8량 전동차가 수용 가능한 길이지만 미남역 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역의 승강장 양 끝에 스크린도어 기계실을 설치하여 가벽으로 막아버려 사실상 6량까지만 수용 가능하다.[11] 같은 2-3호선 환승역인 덕천역은 구배와 곡선반경이 심해서 연결 선로를 놓지 못했다.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연결선로를 설치한 수영역까지 멀리 가서 2호선 본선으로 진입한다.[12] 301편성은 양옆에 전조등이 있으며 302편성과 함께 종착역에서 '내리실 때 소지품 확인. 오늘도 도시철도를 이용해 주셔서 대단히 고맙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가 뜨지만 303편성은 '오늘도 도시철도를 이용해주셔서 대단히 고맙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만 뜬다. 2024년에 LED 행선안내기가 모두 교체되었다.[13] 다만 부산교통공사가 LCD를 워낙 활용못하는 회사이기도 하다. 1호선 구형차도 LCD+LED 행선안내기를 잘 활용하지 못해 2013년 이후로 LCD 기기를 빼고 남은 자리를 흰색 판으로 막고 신형 LED 행선기로 교체될때까지 사용했다.[14] 0:57를 0.25배로 하면 알 것이다.[15]현대로템[16] 미쓰비시 소자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