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21:42:54

강동대교

파일:하천 심볼.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하류(서해)▲
일산대교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김포대교
[[교량#s-3.7.1|
사장교
]]
행주대교
[[교량#s-3.4|
아치트러스교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7호선.svg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30호선.svg
방화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AREX_icon.svg
마곡대교
가양대교[[교량#s-3.7.1|
사장교
]]
월드컵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성산대교
[[교량#s-3.5|
아치교
]]
양화대교
파일:Seoulmetro2_icon.svg
당산철교
[[교량#s-3.5|
아치교
]]
서강대교
마포대교원효대교[[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Seoulmetro1_icon.svg
한강철교
[[교량#s-3.5|
아치교
]]
한강대교
[[교량#s-3.5|
아치교
]]
파일:Seoulmetro4_icon.svg
동작대교
[[반포대교|{{{#000,#FFF 반포대교
·
잠수교}}}]]
한남대교[[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Seoulmetro3_icon.svg
동호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성수대교
영동대교[[교량|
복층교
]]
파일:Seoulmetro7_icon.svg
청담대교
잠실대교파일:Seoulmetro2_icon.svg
잠실철교
[[교량#s-3.7.1|
사장교
]]
올림픽대교
천호대교광진교[[교량#s-3.5|
아치교
]]
구리암사대교
[[교량#s-3.7.1|
사장교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9호선.svg
고덕토평대교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강동대교
착공 예정

수석대교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60호선.svg
미사대교
팔당대교
건설 중

제2팔당대교
▲상류(북한강,남한강)▲
팔당댐관리교와 강변도로의 교량은 제외}}}}}}}}}

강동대교
江東大橋 | Gangdongdaegyo(Bridge)
하류 방면
고덕토평대교
한강의 교량 상류 방면
미사대교
판교 방면
강일IC
파일:Expressway_kor_100.svg 구리 방면
토평IC
토평IC (북단)
가양 방면
남구리IC
← - km
파일:Cityroad_kor_1.svg
강변북로
수석IC 방면
수석IC
- km →
강일IC (남단)
개화 방면
강동고덕IC
← - km
파일:Cityroad_kor_88m.svg
파일:Expressway_kor_60.svg 춘천 방면
선동IC
1km →
다른 문자 표기
간체자 江东大桥
가타카나 カンドン大橋
위치
북단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남단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
총연장 차로
1,126m 16.6m X 2 편도4차로
왕복8차로
구조형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형교(FCM 공법)
(PSC box girder Bridge (FCM)))
개통
1991. 11. 29.
시공
대림산업
관리
한국도로공사

파일:attachment/50449158a0772.jpg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 2동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교량이다.

1991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개통 당시에는 왕복 4차로 규모로 완공되었으나, 이후 교통량 증가로 인해, 하남시 방향으로 편도 4차로 규모의 교량을 새로 만들어 현재는 왕복 8차로 규모의 교량이 되었다. 2018년 11월에는 구리시 방면의 교량의 차로를 증설해 구리시 방면은 편도 5차로, 하남시 방면은 편도 4차로로 도합 왕복 9차로를 운영하고 있다.

접속하는 나들목과 요금소는 강일IC토평IC (요금소 포함)등이 있다.

강동대교 남단에는 올림픽대로미사대로,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접속하고, 북단에는 강변북로와 접속한다.

하류 쪽의 또 다른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교량인 김포대교와는 달리 반드시 요금을 내야만 건널 수가 있다. 토평IC 진입 시 반드시 요금을 내야 하며, 토평IC에서 나가지 않으면 바로 위에 구리남양주TG가 있다. 반면에 김포대교김포IC - 일산IC만 이용하면 요금을 내지 않고 한강을 건널 수가 있다.

2. 사건 사고

2.1. 강동대교 실종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동대교 실종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산림청 헬기 추락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산림청 헬기 추락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