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 배틀 시티 편에서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하는 테마로 등장. 마그넷 워리어 α, β, γ가 등장했으며, 후술할 OCG와는 달리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으로 합체하는 능력을 가진 효과 몬스터들로 등장했지만, 빛의 가면&어둠의 가면과의 듀얼을 제외하면 보통 다른 몬스터의 소환 제물용으로 사용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미사와 다이치가 사용하는 땅 테마의 카드들로 등장. 플러스 몬스터와 마이너스 몬스터의 능력을 가진 효과 몬스터들로, '플러스는 플러스끼리, 마이너스는 마이너스끼리 전투를 무효화시킨다', '플러스와 마이너스는 강제로 전투한다'는 식으로 자석의 성질을 모티브로 한 분류되지 않은 효과가 존재했다. 이들은 이후 작품에서도 카드 일러스트나 배경으로나마 등장하지만 정작 전부 OCG화 되지는 않은 상태로, 유희왕 태그 포스 등의 게임에서도 오리지널 카드로조차 수록되지 못했다.
몬스터 자체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의 부속 카드로 마그넷 워리어 α, 마그넷 워리어 β가 먼저 등장했지만, 정식으로 테마가 된 건 그로부터 한참 후인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가 발매됐을 때다. 소속 몬스터는 전원 암석족 / 땅 속성으로 통일되어 있다.
테마 내 몬스터는 레벨 4 일반 몬스터, 레벨 4 효과 몬스터, 그리고 레벨 3 효과 몬스터 3종류로 구성된다. 레벨 4 몬스터는 마그넷 워리어, 레벨 3 몬스터는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로 구분된다.
3장의 몬스터가 합쳐져서 하나의 강한 몬스터가 되는 합체 기믹을 사용한다. 본래 필드 위에 모으기는 굉장히 힘들었으나, 특이하게 패에서도 제물로 바칠 수 있어서 게이트 가디언 같은 비슷한 종류의 카드들에 비해선 나은 편이었다. 또한 레스큐 래빗이 나온 이후로 일반 몬스터를 덱에 많이 넣기가 편해졌고, 그 덕분에 맘먹고 합체하려면 그럭저럭 할 수 있다. 소환한 마그넷 워리어를 이용해 랭크 4 엑시즈 소환이나 링크 소환 등 엑스트라 덱 소환으로 연계할 수도 있다.
듀얼리스트 팩 - 왕의 기억 편에서도 추가 서포트 카드들이 등장했다. 이외에도 심심하면 간간히 지원을 받고 있다. 다만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서치 효과가 있는 몬스터 카드들과는 다르게 서포트 서치 지원은 아직 없어 드로우에 의존해야 하는 편. 특히 마법/함정을 포함하는 서치가 없다.
원래는 '자석의 전사'라고 쓰고 '마그넷 워리어'라고 루비가 달려있는 카드였는데, 한글판은 루비 쪽을 따와서 이런 이름이 되었다. 플레이버 텍스트가 가장 짧은 카드들로도 유명하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한때 그럭저럭 강력한 모습을 보이다가 인플레에 밀려 비티어로 떨어졌었다. 그런데 듀얼링크스가 한때 파워 디플레에 시달렸을 무렵[1], 오랫동안 지원도 안 받았고[2], 전술이 크게 달라진 것도 아닌데, 마그넷 워리어 덱이 단독 1티어를 먹는 기적이 일어났다. 신규 티어덱들의 부진, 그리고 다른 티어덱 상대로 마그넷 워리어 덱이 상성이 좋다는 우연이 겹쳐진 결과였다. 이는 듀얼링크스의 당시 파워 디플레의 상징이자 정점이라고도 할 수 있었으며 당시 유저들에게는 충격적이었다. 이후 파워 디플레 현상이 빠지자 다시 티어에서 탈락했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는 스트럭처 덱 - 무토 유우기에서 새로 발매된 마그넷 워리어 서포트 카드들이다. "전자석의 전사"라 쓰고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라 읽는다.
이름 때문에 헷갈릴 수 있지만, 일렉 카드군에 속하지 않는다. 일렉은 가타카나로 エレキ으로 쓰지만, 이 카드군은 エレク이기 때문이다. 일렉 카드군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한글판에선 일렉이 아닌 엘렉으로 바뀌었다.
DD/DDD, 사이버/사이버네틱과 같이 '마그넷 워리어'의 하위 카드군으로 볼수도 있지만,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를 카드 텍스트에서 지정하는 카드는 없기 때문에 정식 카드군은 아니다.
손쉬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효과와 단순하지만 강한 필드마법, 에이스 몬스터를 바탕으로 굴려보면 나쁘지 않은 화력을 보이는 덱. 당시에 같이나온 ABC(유희왕) 테마가 너무 강해서 비교적 묻힌 감이 있지만, 이쪽도 덱 구축에 따라 쓸만하게 운용할 수 있다. 몬스터 각각의 능력치는 일반적인 레벨 3 하급 몬스터 수준이지만, 서치와 전개에 특화돼서 덱 압축이 빠르다. 물론 한계가 명확하고 덱 운영 패턴이 몇 없어서 간파당하기 쉽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의 모든 효과는 덱 압축과 서치를 동반하는데다 대놓고 벨세리온 소환을 위한 효과다. 즉, 벨세리온만 막히면 덱의 파워가 급감하므로 엑스트라 덱에 여러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몬스터들을 충분히 넣어두자.
대부분 3레벨 몬스터이고 전개도 쉬운 만큼 3축 엑시즈도 채용해볼만 하다. 물론 따로 제약이 없으니 싱크로나 링크도 적극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링크 소환은 궁합이 정말 좋다. 테마 내 에이스 몬스터인 벨세리온은 패/필드/묘지에서 소재들을 제외하고 소환할 수 있다. 그래서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들은 링크 소환 소재로 쓰고, 마지막에 묘지에서 벨세리온 소재를 제외하고 소환하면 알뜰하게 필드를 늘릴 수 있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들의 진정한 무대는 바로 유희왕 듀얼링크스로 대상 지정 견제가 많은 듀링에서 유효한 프리체인 회피, 액세스코드 토커급 돌파력을 가진 벨세리온, 스킬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덱 구성, 퍼미션 몬스터 고르고닉 가디언 이용 가능 등 온갖 장점을 가지고 있다. 1티어는 오랫동안 하지 못했지만, 2022년 초에는 기어코 1티어를 차지했다.
레벨 3 / 암석족 / 땅 속성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공유한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 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① 효과는 각 몬스터당 서치, 전개 등의 효과가 있다. 어드밴티지를 얻는 강력한 효과가 많으므로 턴 제약이 있다.
② 효과는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효과. 레벨 3이 아닌 레벨 4만 소환 가능하므로 원조 마그넷 워리어만 소환할 수 있다.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강력한 효과로 기본적으로 덱 압축이 되지만, 배틀 페이즈에선 '리플레이 룰'이 발생하므로 큰 의미는 없다. 기껏해야 공격 표시인 약소 몬스터들이 수비벽으로 바뀌는 정도. 대놓고 벨세리온과의 연계를 상정한 효과다. 릴리스돼 묘지로 간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을 제외하고 소환한 후, 4레벨 마그넷 워리어를 벨세리온 효과의 탄환으로 쓸 수 있다.
굳이 일반 몬스터를 소환할 필요는 없으므로 ② 효과론 4레벨 효과 몬스터인 마그넷 워리어 델타와 마그넷 워리어 엡실론을 소환하는 게 좋다. 두 몬스터 모두 마그넷 워리어를 덱에서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덱 압축이 빠르고, 자기 자신은 서치할 수 없는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베타를 묘지에 보낼 수 있는 건 큰 장점이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 일어판명칭=<ruby>電磁石の戦士α<rp>(</rp><rt>エレクトロ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アルファ</rt><rp>)</rp></ruby>, 영어판명칭=Alpha The Electromagnet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700, 수비력=1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8 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고유 효과로 마그넷 발키리온 또는 마그넷 벨세리온을 서치할 수 있다. 초전도전기 인페리온 매그넘은 패 융합이 가능하므로 이 카드로 빠른 턴 내에 띄울 수 있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중에서는 타점이 제일 높다. 하지만 발키리온과 벨세리온은 말림패에 해당하기 때문에 보통은 1장만 채용하는게 일반적이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일어판명칭=<ruby>電磁石の戦士β<rp>(</rp><rt>エレクトロ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ベータ</rt><rp>)</rp></ruby>, 영어판명칭=Beta The Electromagnet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중요한 서치 요원. 마그넷 워리어 테마 내에서 유일하게 몬스터를 패로 가져올 수 있다. 자신은 서치가 불가능해서 후반부에 다른 2종은 묘지나 필드에 2~3장씩 있는데, 정작 이 카드가 없어서 벨세리온 소환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동포의 연 같은 추가 서치 카드를 사용하거나 델타, 엡실론으로 열심히 묻어두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 일어판명칭=<ruby>電磁石の戦士γ<rp>(</rp><rt>エレクトロ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ガンマ</rt><rp>)</rp></ruby>, 영어판명칭=Gamma The Electromagnet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8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엘렉트로 마그넷의 전개 요원.
자신이 소환되면 다른 마그넷 워리어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졌다. 이를 통해 필드를 늘리면서 다른 마그넷 워리어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특수 소환한 파트너를 이용해 랭크 3 엑시즈 또는 링크 소환을 할 수도 있다.
다만 마그넷 워리어는 이 카드를 통해 패 특수 소환으로 전개하는 경우가 많기에, 어드밴티지 소모가 격해지는 게 단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δ,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δ<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デルタ</rt><rp>)</rp></ruby>, 영어판명칭=Delta the Magnet Warrior,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6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마그넷 워리어 δ"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3장을 자신의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V점프 10월호 동봉카드로 출시된 카드. 기존 마그넷 워리어가 레벨 4의 일반 몬스터였던 전례를 깨고 효과 몬스터로 나왔다.
① 효과는 평범하면서도 강력한 덤핑 효과. 소환만 되면 덱에서 마그넷 워리어 한 장을 묘지로 덤핑할 수 있다. 발키리온이나 벨세리온 소재 중 필요한 파츠를 덤핑하는데 쓰면 무난하다. 엡실론의 출시 이후, 덱 구성에 따라 소환권에 여유가 된다면 엡실론으로 소환하기 위한 몬스터를 덤핑하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다른 카드와 연계할 때 더욱 빛을 발하는 효과.
② 효과가 핵심인데,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지기만 하면 묘지에 있던 마그넷 워리어 3장을 제외하고 발키리온을 패, 덱에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번 효과로 덤핑한 몬스터를 제외해 발키리온을 소환해도 된다. 1번과 2번 효과가 연계를 상정하고 만들어진 효과로 보인다. 묘지로 보내지기만 하면 발동 조건을 만족하므로 링크 소재로 쓰거나 엑시즈 소재로 써도 효과 처리를 할 수 있다. 제외하는 마그넷 워리어는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를 지정하기 때문에 마그넷 워리어 일반 몬스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같은 이름의 카드를 제외해도 된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의 효과로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 연계가 가능하고, 2번 효과 덕에 원조 마그넷 워리어를 덱에 넣지 않고도 발키리온을 소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원조 마그넷 워리어와의 궁합은 좀 애매하다. 델타의 효과로 소환한 발키리온이 묘지로 보내져도 뒷처리가 곤란하다. ② 효과로 소환된 발키리온은 정규 소환을 하지 않아서 소생 제한 룰에 걸리기 때문이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ε,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ε<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イプシロン</rt><rp>)</rp></ruby>, 영어판명칭=Epsilon the Magnet Warrior,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3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덱에서 "마그넷 워리어 ε"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엔드 페이즈까지\, 묘지로 보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카드로 취급한다. 그 후\, 같은 이름의 카드가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자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배틀 오브 카오스로 아주 오랜만에 나온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엑스트라 팩과의 연동 지원으로 보인다.
소환하면 덱의 다른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코스트로 엔드 페이즈까지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이름을 복사한 후 묘지의 자신 필드에 같은 이름의 카드가 없는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덱의 몬스터를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기 때문에 델타보다 한층 더욱 강력하다.
여기에 더해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이름을 복사하고 필드에 같은 이름의 몬스터가 없는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나 자석의 전사를 소생시킬 수 있다. 자석의 전사는 그 정규 소환 조건을 거쳐야해서 델타랑은 상성이 별로 좋지 않지만 자석의 전사 몬스터의 정규 소환을 보조하는게 가능하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전자석의 전사 마그넷 벨세리온, 일어판명칭=<ruby>電磁石<rp>(</rp><rt>でんじしゃく</rt><rp>)</rp></ruby>の<ruby>戦士<rp>(</rp><rt>せんし</rt><rp>)</rp></ruby>マグネット・ベルセリオン, 영어판명칭=Berserkion the Electromagna Warrior, 레벨=8,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3000, 수비력=28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에서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를 1장씩 제외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를 1장씩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의 합체형.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처럼 재료가 되는 마그넷 워리어들을 제외시켜야 하지만, 이쪽은 소환 조건에 묘지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소환에 훨씬 편하다. 발키리온에 비해 스탯이 낮은 건 아쉽지만, 이 카드도 발키리온과 마찬가지로 1번 정규 소환을 끝냈다면 다른 소생 카드들로 부활 가능하다.
별다른 효과가 없던 발키리온에 비해 강력한 효과가 붙었는데, 묘지의 마그넷 워리어를 제외해 상대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1턴에 1번 제약이 없고 카드 종류나 표시 형식도 안 가리므로 묘지에 카드만 많다면 상대 필드를 전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카드들 역시 마그넷 워리어에 포함되므로 코스트로 쓸 수 있다. 그러나 효과로 제외하는 카드가 어드밴티지를 못 만들고 카드군 내에서 제외된 마그넷 워리어를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기에[3], 묘지 자원을 다 썼다면 후속이 난감해진다.
또한 이 효과를 많이 쓰려면 덱에 마그넷 워리어가 많이 들어가야 하는데, 델타, 엡셀론을 제외한 나머지 알파, 베타, 감마가 일반 몬스터이므로 패가 말릴 가능성도 커진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를 제외하는 경우, 벨세리온이 파츠를 불러오는 효과를 쓸 때 무효화를 당하면 다음 벨세리온을 세우기 어려워진다는 단점도 있다. 소환이 쉬운 우수한 에이스 카드는 맞지만 운영에 주의를 요하는 카드.
일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로 분리되는게 가능하지만 마그넷 발키리온처럼 자체 분리는 불가능하고 오직 파괴되었을 때 분리된다. 분리 효과 역시 제외 존에서 불러오므로 벨세리온을 평범하게 소환했다면 파츠 소환이 가능하다.
분리 효과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됐다면 어디든 대응해서, 소환 도중 무효파괴를 당하거나 패에서 파괴된다고 해도 발동 가능하다. 하지만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알파, 베타, 감마가 전부 있어야 쓸 수 있어서 제외 존에 몬스터가 없거나 파츠가 모자랄 때 벨세리온을 묘지 / 제외 존에서 소생시키거나 요격당하면 효과를 못 쓰니 주의.
마그넷 워리어 엡실론을 동원하면 충격적인 콤보도 사용할 수 있다.
벨세리온이 전투나 효과로 파괴된다.
벨세리온의 효과로 엘렉트럼 알파, 베타, 감마가 특수 소환된다.
베타의 효과로 덱에서 엡실론을 서치한다.
감마의 효과로 패의 엡실론을 특수 소환한다. 혹은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의 2번 효과로 덱에서 엡실론을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마그넷 필드,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フィールド, 영어판명칭=Magnetic Field, 효과외1="마그넷 필드"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4 이하의 암석족 / 땅 속성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의 암석족 / 땅 속성 몬스터와의 전투로 상대 몬스터가 파괴되지 않은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스트럭쳐 덱 유희 편에서 추가된 마그넷 워리어의 전용 필드.
①의 효과는 마그넷 워리어 소생 효과이며, 발동 조건이 암석족, 땅속성 몬스터 한정이라 매우 쉬운편. 일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를 소생시켜 서치 효과를 쓸 수도 있고 일반 마그넷 워리어들을 소환하여 마그넷 발키리온의 소환 소재로 쓸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암석족 땅속성 몬스터를 임시로 우주두더지처럼 만들 수 있는 효과. 일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의 효과로 불러오는 일반 마그넷 워리어들은 대개 수비표시로 소환되기 마련인데 이 카드와 함께한다면 공격해 온 몬스터를 동귀어진하여 바운스 시킬 수 있다.
효과 자체는 무난하지만 좋은 카드라고 말하기엔 결함이 많은 카드다. 우선 서치가 불가능하고, 여러장이 잡히면 말림패가 되기 때문에 이 카드를 넣을 바에는 죽은 자의 소생을 넣는게 훨씬 이득이다.
일러스트는 알파, 베타, 감마가 마그넷 발키리온으로 합체하고 있는 모습. 여담이지만 일러스트에는 마그넷 발키리온의 머리 파츠가 보이는데, 실제 합체 과정에서는 반분된 베타의 머리와 감마의 머리끼리 합쳐지며 머리 파츠가 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마그넷 인덕션,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インダクション, 영어판명칭=Magnet Induc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원래의 레벨이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같은 이름의 카드가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 필드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및 "자석의 전사" 몬스터는\, 전투 및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자신 필드에 원래 레벨이 4 이하인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가 있으면 덱의 필드에 같은 이름의 몬스터가 없는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전용 긴급텔레포트인 샘으로 덱에서 전개하는 카드가 따로 없던 마그넷 워리어의 단점이 해결되어 전개력이 한층 더 올라가게 되었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랑 자석의 전사 몬스터에게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부가 효과도 붙어있다. 하지만 일반 마법이라 그다지 좋은 효과는 아니다. 게다가 벨세리온을 전투로 자괴해 유언 효과를 쓰는 방법이 막히기 때문에 파괴 내성이 도움이 되는 상황은 거의 없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마그넷 컨버전,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コンバーション, 영어판명칭=Magnet Conversion, 효과1=① :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를 3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 이 턴에 묘지로 보내지지 않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자신의 제외 상태인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같이 발매되는 카이바 스트럭쳐의 스크램블 유니온과 매우 유사한 효과를 갖고 있다. 그쪽에 비하면, 1번 효과는 묘지에서 패로 넣는 효과로 바뀌어 있고, 2번 효과는 특수 소환으로 상향된 편.
일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은 상대 턴에 덱에서 일반 마그넷 워리어들을 소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는데 이렇게 소환된 하급 마그넷 워리어들은 상대에게 쉽게 터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상대에 의해 파괴된 일반 마그넷 워리어들을 1번 효과로 패로 다시 불러오면 마그넷 발키리온을 쉽게 부를 수 있으며 일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을 건져올 시 서치 효과로 필요한 마그넷 워리어들을 추가로 서치할 수도 있다.
2번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제외되어 있는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를 특수소환하는 효과. 특수소환 시 효과를 발동하는 일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과 쓰는 편이 궁합이 좋은 편. 또는 마그넷 벨세리온의 효과 코스트로 제외된 일반 마그넷 워리어들을 다시 불러오는 것도 가능.
일러스트는 마그넷 워리어 베타와 일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베타가 서로의 파츠를 교환하고 있는 모습이다.
함정 1장으로 패가 3장이나 보충되는 효과와 궁합이 좋은 카드가 있다. 바로 오시리스의 천공룡. 마그넷 덱에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넣을 경우 함정 1방에 공격력이 3천까지 상승하는 기적을 만들거나 반대로 릴리스 소재를 마련할 수 있는 그야말로 신의 위엄을 보여줄 수 있는 콤보.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超電導戦士<rp>(</rp><rt>ちょうでんどうせんし</rt><rp>)</rp></ruby> リニア・マグナム<ruby>±<rp>(</rp><rt>プラスマイナ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Conduction Warrior Linear Magnum ±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7,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700, 수비력=13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는 1턴에 1번\, 자신의 패 / 덱 / 필드(앞면 표시)에서 원래 레벨이 4 이하인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2장을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의 다른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력의 절반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일어판 명칭=<ruby>超電導戦士<rp>(</rp><rt>ちょうでんどうせんし</rt><rp>)</rp></ruby> リニア・マグナム<ruby>±<rp>(</rp><rt>プラスマイナ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Conduction Warrior Linear Magnum ±, 레벨=7,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700, 수비력=1300, 효과1=자신의 패 및 필드의 "마그넷 워리어 Σ+"와 "마그넷 워리어 Ω-"를 묘지로 보내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필드 위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몬스터의 공격력의 절반을 이 카드의 공격력에 더한다.)]
소환 방식은 마그넷 발키리온과 닮았지만, OCG화되며 모든 마그넷 워리어를 코스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덱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소환할 수도 있다. 다만 기존 몬스터 중 묘지 이점을 살릴 수 있는 몬스터가 적은게 아쉬운 점. 일단 아무런 준비 없이 쉽게 튀어나오는 개체수라는 점과, 마그넷 워리어가 묘지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테마라는 점에 의의를 두어야할 듯 하다.
①의 효과는 다른 땅 속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의 절반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기동 효과. 전투 우위를 취할 수 있는 효과지만, 현 메타에 고 타점의 땅 속성 몬스터가 결과물로 나와있는 경우가 드문 것이 흠.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발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같은 덱에서 사용될 자석의 전사나 어영지사 같은 몬스터가 있으므로 1000 이상의 공격력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원작은 다른 플러스 몬스터와 마이너스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계의 절반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지속 효과였다. 하지만 플러스 마이너스 기믹은 OCG에 존재하지 않고, 전용 마그넷 워리어가 없으면 함정 카드로 효과 범위에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하는 등 복잡한 기믹인 만큼, 마침 상대였던 아마조네스와 비트론의 속성에 맞춰 땅 속성으로 범용성을 챙겼다. 대신 폭발력이 크게 줄어들었고, 기동 효과기 때문에 상대 턴에는 취약하다. 그래도 공격력을 참조한 몬스터가 필드에 벗어나거나 공격력이 반화해도 발동한 턴에는 공격력이 유지되니 일장일단은 있다.
②의 효과는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지면 자신을 패로 회수하는 강제발동형 유발 효과로 인페리온 매그넘의 원본 리쿠르트 효과와 비슷하다. 원작에는 없던 효과로 일단 같은 듀얼에 사용한 마그넷 컨덕터 + 가 플러스 몬스터를 회수하는 효과가 있긴 하다. 자체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이므로 소환한 턴에 회수하여 바로 소환하는 것은 불가능.
효과 자체는 무난하나 현재 마그넷 워리어에선 쓰기 힘들다는게 주된 평. 일단 레벨 8의 자석의 전사가 아니라 서치가 불가능하며, 어영지사에게 의존한다는 점과 2장 덤핑을 하는 건 좋지만 그것만으로는 마그넷 워리어 δ의 효과를 격발시키는 것 이외엔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단 점, 마그넷 워리어 테마 내에서 ②의 효과를 만족 시킬 수 있는 건 벨세리온 정도지만, 보통 상대 카드를 파괴하는 것이 우선된다는 점 등이 꼽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미사와 다이치가 사용. 작중에서는 세븐 스타즈 편 36화에서 타니야와의 듀얼 중 첫 등장했다. 플러스 마이너스 카드들과의 콤보로 타점을 올리며 나름 선전하나 결국 패배하게 된다. 이 카드의 소환에 필요했던 Σ+와 Ω-도 OCG화될지는 미지수.
이후 빛의 결사 편 82화에서 만죠메 화이트 썬더와의 듀얼에서도 등장했으나 미사와가 일부러 패배를 택하면서 지게 된다. 여담으로 만죠메의 카부 톱 터보에 마그넷 포스 플러스를 장착했음에도 어째서인지 공격력 추가 효과가 적용되지 않았다. 만약 적용되었다면 1050의 데미지가 늘어난 상태였으므로 플라즈마 전사 에이톰의 직접 공격으로 미사와가 승리했을 것이다. OCG화되며 기동 효과가 되었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원작 재현이 가능해졌다.
플러스 몬스터, 마이너스 몬스터라는 새로운 분류를 효과 대상으로 지정한다. 자석의 N/S극마냥 같은 극끼리는 공격할 수 없지만 다른 극끼리는 반드시 공격을 해야만 한다. 공격명은 전부 '리니어 세이버'인 듯 하지만, Ω-의 경우 타니야의 미인계에 걸려든 미사와의 정신 상태의 영향인지 '사랑의 리니어 세이버'가 되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10만 가우스!, 일어판명칭=10<ruby>万<rp>(</rp><rt>まん</rt><rp>)</rp></ruby>ガウス!, 영어판명칭=One Hundred Thousand Gauss, 효과1=자신의 필드에 플러스 몬스터와 마이너스 몬스터가 있을 때에 발동 가능.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공격 표시로 하고 그 공격력을 800 포인트 내린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마그넷 포스 마이너스,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フォース・マイナス, 영어판명칭=Magnet Force Minus, 효과1=발동 후\,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한 장착 카드가 된다.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는 【마이너스 몬스터】가 된다. 마이너스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그 배틀을 무효로 하고 종료한다. 플러스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에 있을 때\, 공격 표시가 되고\, 플러스 몬스터와 전투해야 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마그넷 포스 플러스,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フォース・プラス, 영어판명칭=Magnet Force Plus, 효과1=발동 후\,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한 장착 카드가 된다.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는 【플러스 몬스터】가 된다. 플러스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그 배틀을 무효로 하고 종료한다. 마이너스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에 있을 때\, 공격 표시가 되고\, 플러스 몬스터와 전투해야 한다.)]
[1] 기존 티어덱은 금제로 몰락하고, 신규 카드나 테마, 지원은 전부 예전 티어덱보다 수준이 떨어지던 시기였다.[2] 정확히는 고르고닉 가디언이라는 암석족 3축 전용 퍼미션 엑시즈 몬스터를 받긴 했고, 엑스트라 범용 몬스터의 추가도 생각한다면 지원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 덕에 덱파워가 올라가긴 했으나, 문제는 당시 기준으로 최근의 일까지는 아니었다.[3]마그넷 컨버전으로 제외된 마그넷 워리어 1장을 특수 소환할 순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이차원에서의 매장 등으로 되돌린 후 사출하는 연계를 쓰곤 한다.[4] 단, 이건 사이오의 공작으로 미사와 자신이 스스로 패하도록 상황을 조성해서 그런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