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하이데거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마리옹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레닌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마리아테기 · 일리옌코프 · 벤사이드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대안 마르크스주의: 비데 · 뒤메닐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자율주의: 트론티 · 네그리 · 베라르디 /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엘스터 · 코헨 · 판파레이스 / 마르크스주의 매체비평: 바흐친 · 가라타니 · 이글턴 · 피셔 / 기타: 바디우 · 헬러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키르히하이머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피아제 · 야콥슨 · 라캉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낭시 · 크리스테바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한병철 · 아즈마 · 지바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모턴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네가레스타니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후스 · 굿맨 · 로티 · 웨스트 | ||||||||
류블랴나 정신분석학파 | 지젝 · 주판치치 | ||||||||
수학철학 |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쿠투라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 라이트 | ||||||||
화이트헤드 · 러셀 · 무어 · 비트겐슈타인 · 램지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파이글 · 에이어 | |||||||||
언어철학 | 마이농 ·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카벨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버지 · 파인 /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스마트 · 플레이스 · 암스트롱 · 퍼트넘 · 설 · 드레츠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블록 · 처칠랜드 · 잭슨 · 클라크 · 차머스 · 카스트럽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브리지먼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툴민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 장하석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카프 · 위너 · 엘륄 · 일리치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후이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키틀러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보비오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르포르 · 슈타이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프랑스 신철학파 | 글뤽스만 · 레비 | ||||||||
아나키즘 | 골드만 · 베유 · 울프 · 저잔 · 콘킨 · 옹프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윙어 / 반동주의: 체임벌린 ·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아롱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
윤리학 | 덕 윤리학: 앤스콤 · 머독 · 풋 / 의무론: 로스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오닐 · 스크러턴 / 공리주의: 헤어 · 파핏 · 싱어 · 맥어스킬 / 메타윤리학: 스티븐슨 · 맥키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기타: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드그라지아 · 베나타 · 하먼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모랭 · 게티어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코디 · 골드만 · 소사 · 아우디 · 프리커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카우프만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오토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반틸 · 하츠혼 · 로너간 · 무니에 · 엘리아데 · 쉐퍼 · 와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스윈번 · 손봉호 · 워드 · 하우어워스 · 윌버 · 크레이그 · 코츠코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음벰베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로드 · 길리건 · 식수 · 그리어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해스랭어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코벨 · 시바 · 포스터 · 회슬레 · 사이토 | ||||||||
역사철학 | 트뢸치 ·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진 · 코젤렉 · 블룸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000><colcolor=#fff> C. A. J. 코디 C. A. J. Coady FAHA FASSA | |
본명 | 세실 안소니 존 코디 Cecil Anthony John Coady |
출생 | 1936년 4월 18일 ([age(1936-04-18)]세) |
호주 자치령 시드니 | |
국적 |
|
소속 | 멜버른 대학교 명예교수 호주 가톨릭 대학교 명예펠로우 |
학력 | 시드니 대학교 학사 멜버른 대학교 석사 (우등) 옥스퍼드 대학교 B.Phil. 케임브리지 대학교 문학석사 |
주요 분야 | 인식론, 정치철학, 응용윤리학 |
주요 관심사 | 증언, 정당전쟁, 테러리즘, 정치적 폭력 |
주요 저작 | 《Testimony: A Philosophical Study》(1992) 《Morality and Political Violence》(2007) 《Messy Morality》(2008) 《The Meaning of Terrorism》(2021) |
수상 경력 | 호주 인문학 아카데미 정회원 (1994) 연방 기념 메달 (2001) T. G. 터커 메달 (멜버른 대학교) (2015) |
1. 개요
Cecil Anthony John Coady, 약칭 C. A. J. Coady 또는 Tony Coady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철학자이다. 그는 증언의 인식론적 지위에 대한 선구적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정치적 폭력과 테러리즘에 대한 윤리적 고찰에서도 중요한 저작을 남겼다. 멜버른 대학교의 명예교수이자 공공철학 및 응용윤리 분야에서 대중 지식인으로 활동해 왔다.2. 생애
1936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출생하였다. 시드니 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친 후 멜버른 대학교에서 석사(우등) 학위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B.Phil.,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문학석사를 취득하였다.그는 1965~66년 옥스퍼드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에서 강사로 재직한 후 멜버른 대학교 철학과에 합류하여 1977년 리더(Reader), 1990년부터 1998년까지 Boyce Gibson 석좌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명예교수로 활동했으며, 호주 가톨릭 대학교 명예 펠로우로도 임명되었다.
3. 주요 업적
- 증언 인식론의 확립: 그의 대표 저서인 《Testimony: A Philosophical Study》는 전통 인식론이 간과해온 '증언(testimony)'이라는 지식의 근원을 정당화 가능한 인식론적 요소로 분석하여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정치적 폭력 윤리: 《Morality and Political Violence》, 《Messy Morality》, 《The Meaning of Terrorism》 등의 저서를 통해 테러, 정당전쟁, 폭력의 도덕적 기준을 분석했다.
- 공공윤리 실천: 멜버른대 CPPI와 CAPPE 등의 철학연구기관을 통해 철학의 대중적 확산과 공공 참여를 촉진했다.
4. 저서
- Testimony: A Philosophical Study (1992, OUP)
- Morality and Political Violence (2007, CUP)
- Messy Morality: The Challenge of Politics (2008, OUP)
- The Meaning of Terrorism (2021, 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