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괴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앤스콤 · 풋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아우디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역사철학 | 크로체 · 오르테가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존 설 John Searle | |
본명 | 존 로저스 설 John Rogers Searle |
출생 | 1932년 7월 31일 ([age(1932-07-31)]세) |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 |
직업 | 철학자 |
분야 | 분석철학 |
학력 | 위스콘신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
서명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분석철학자.언어철학, 심리철학, 사회철학에 크게 기여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심리철학으로 유명하다. 설은 중국어 방이란 사고실험을 제시함으로써 당시 팽배했던 기능주의와 고전적 인공지능에 강력한 도전을 주었다. 이러한 그의 중국어 방 논증은 심리철학뿐만 아니라 인지과학, 인공지능 연구에서도 자주 인용될 뿐 아니라 이에 대한 극복을 하기 위한 다양한 논증들이 제시되었고 이로 인해 이 분야들의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존 설은 심리철학과 인지과학에 기여한 학자에게 주는 Jean Nicod Prize(2000)를 수상했다.[1] 그밖에도 인문학에 크게 기여한 학자에게 주는 National Humanities Medal, 인지과학 분야에서 업적을 세운 학자에게 주는 Mind & Brain Prize를 각각 2004, 2006년에 수상했다.
2. 생애
아버지는 전기공학자였고 어머니는 의사였다. 위스콘신 대학교 메디슨 캠퍼스를 다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로즈 장학생으로 학부,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졸업 이후에는 이곳에서 그의 첫 교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 뒤 1959년 UC 버클리로 교직을 옮기고 이 곳의 교수로 지냈다.2017년 3월, 자신의 밑에서 일하던 제자를 성추행하고 폭행한 혐의로 고소당했다. Alameda County 고등법원에 따르면, 제자를 성추행했을 뿐 아니라 부당하게 해고했다고 한다. 링크 이 사건이 공론화된 뒤로 그 전에 있었던 성추행 혐의 역시 드러나게 됐다. 즉 상습범이였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측에서는 그가 일부 수업을 맡지 않기로 결정하긴 했지만 여전히 명예 교수로 재직하는 등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그가 학교의 간판스타라는 점에서 학교 측에서 그를 두둔했던 것으로 보인다. (링크) John Searle Center for Social Ontology의 책임자 제니퍼 후딘은 존 설이 그동안 학문적, 금전적 혹은 기타 이익을 빌미로 학생들과 성관계를 맺었다고 진술하기도 했다. (링크)
결국 2019년 7월, 학교 측은 설이 '성추행 및 부당 보복에 관한 학교 규정'(university policies regarding sexual harassment and retaliation)을 위반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명예교수직을 박탈했다. (기사링크) 현재 UC 버클리 철학과 웹사이트(링크)를 봐도 명예교수 명단에 설의 이름은 없다. 교수 페이지(링크)에서는 여전히 검색되지만 성명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해서는 철저히 삭제되었기에 사실상 없는 사람 취급. 실제로 미국 직장에서 사람을 자를 때 맨 먼저 하는 일이 직장 이메일 계정의 말소인데, 존 설은 성범죄로 잘렸으니 두말할 것도 없다.
테드에서 의식에 대해 강연한 적이 있는데, 철학자라면 다소 진지하고 딱딱할 것이란 예상과 다르게 상당히 재치있고 유쾌한 강연가였다.(해당 강연) 이러한 명강연 때문에 대중강연을 자주 하고 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3. 사상
3.1. 심리철학
20세기 중후반에는 튜링 테스트를 위시한 심리학과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인간의 마음의 본성을 밝히기 위해서 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을 모방하고자 하는 계산주의 마음이론이 유행이였다. 그러나 존 설에 따르면, 이러한 정보처리과정은 실제 인간의 마음을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사고실험이 바로 중국어 방 사고실험이다. 중국어 방에 따르면, 중국어를 할 줄 모르는 방에 있는 사람은 방 밖에서 누군가 중국어로 된 질문을 써서 방 안으로 넣으면 방 안에 질문에 준비된 대응표에 따라 답변을 쓰고 밖에 사람에게 이를 준다. 방 밖에 있는 사람은 이런 답안지를 보고 방 안의 사람이 중국어를 할 줄 안다고 믿을 것이지만 실제로 방 안에 있는 사람은 중국어를 모른다. 이는 입출력에 따라 작동하는 정보처리과정은 인간의 마음에 있어서 '이해'라는 심적 사건을 구현하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존 설에 따르면 인간의 마음은 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과 같지 않다.설은 기능주의를 비판하고 대신에 생물학적 자연주의라는 심리철학적 입장을 취한다. 이 입장은 창발론의 유형으로, 그는 의식이란 소화나 광합성같은 생물학적 속성이라 설명한다. 소화나 광합성 등은 생물학적 미시적 과정에 의해 창발되는 현상인데, 후자는 전자로 환원되지 않지만 전자에 의해 발생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물리적이다. 존 설은 의식을 이와 같이 물리적 근본 과정에 의해 창발된 현상이란 점에서 비환원적이지만 물리적이라고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