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9:50:02

제리 포더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철학적 인간학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하이데거
실존주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21세기 실재론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웨스트
수학철학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퍼트넘 ·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 장하석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카프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이니스 · 매클루언 · · 플루서 · 비릴리오
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보수주의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윤리학 규범윤리학: 앤스콤 ·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인식론 카시러 · 피아제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소사 · 아우디
법철학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종교철학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반틸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 지라르 · 닐슨 ·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탈식민주의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 소머스 · 크렌쇼
환경철학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역사철학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제리 앨런 포더
Jerry Alan Fodo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Jerry_Fodor_in_2007.jpg
출생 1935년 4월 22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
사망 2017년 11월 29일 (향년 82세)
미국 뉴욕주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모교 컬럼비아 대학교 (1956년 학사)
프린스턴 대학교 (철학 / 1960년 박사)
경력 럿거스 대학교 (철학과 / 명예교수)[1]
뉴욕 시립대학교 (철학과 / 교수)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철학과 / 교수)
직업 철학자
지도교수 힐러리 퍼트넘

1. 개요2. 생애3. 사상4. 저서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분석철학자, 인지과학자.

존 설, 대니얼 데닛, 데이비드 차머스와 함께 현대 인지과학과 심리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이지만 국내에서는 다른 세 명의 철학자들에 비해 인지도가 낮다. 앞에서 언급된 세 철학자들 중에 신무신론과 진화론 때문인지 데닛이 제일 유명하고 설과 차머스는 각각 중국어 방 논증과 철학적 좀비 논증으로 알려져 있다.

2. 생애

1935년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1956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최우수생 (summa cum laude)으로 졸업했다. 이후 1960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현대 분석철학의 대가인 힐러리 퍼트넘의 지도 아래 철학박사학위를 받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뉴욕 시립대학교를 거쳐 2016년 은퇴할 때까지 럿거스 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파킨슨병 투병 중 뇌출혈 합병증으로 2017년 맨해튼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3. 사상

사고언어가설(language of thought hypothesis)과 계산주의 마음이론(computational theory of mind)을 주창했다. 사고언어가설이란 인간의 마음언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졌다는 이론이다. 인간의 자연 언어는 의미론적 성질과 통사적 성질을 갖는 언어들로 이루어져있으며 이 두 성질을 동시에 갖는 것들은 기호라고 불린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인간의 인지는 자연언어가 의미론적 성질과 통사적 성질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조를 가졌다. 계산주의 마음이론은 이런 사고언어가설을 토대로 하고 있다. 즉 마음(인지)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은 언어적 구조를 가졌는데 이 구조는 기호 논리학에서의 추론 과정의 형식을 지녔으며 단일한 명제들의 결합을 통해 부분에서 전체로 인지적 구조가 형성된다. 계산주의 마음이론은 컴퓨터나 인간이나 이런 식의 정보처리시스템을 가졌다고 보는 철학적 입장이다.

흥미로운 점은 포더는 초창기 본인이 주장하던 계산주의 마음이론을 비판했다는 것이다. 포더에 따르면 마음은 계산주의 마음이론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단순하지 않으며 (대중에서의 인공지능에 대한 의견과 다르게) 현대 인지과학은 마음의 본질을 밝히려면 한참 멀었다고 한다.

그렇다고 계산주의 마음 이론을 완전히 부정한 것은 아니다. 포더의 요지는 말단 인지는 계산주의로 설명할 수 있지만, 중앙 인지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중앙 인지가 계산주의로 설명될 수 있는지의 문제는 진화심리학과도 관련이 있다. 계산주의는 인지가 모듈적이라는 주장과 연관이 있는데, 포더는 말단 인지는 모듈적이지만 중앙 인지는 모듈적이지 않다고 주장하고 진화심리학자들은 말단 인지뿐만 아니라 중앙 인지까지 모듈적이라고 주장한다.[2] 이와 관련해 포더가 내놓은 책이 '마음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는다'인데, 제목은 진화심리학자인 스티븐 핑커의 책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겨냥한 것이다. 유의할 점은 포더 본인의 자연선택설에 대한 비판적 입장과는 별개로, 진화심리학 비판이 곧 진화론 비판은 아니라는 것이다. 진화심리학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진화심리학은 기존 진화생물학계에서도 아직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는, (적어도 아직까지는)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학문이다.

다윈의 진화론, 정확히 말하면 자연선택설을 비판한 학자로도 유명하다. 진화론을 깠다는 사실만으로 지적설계자인 뎀스키한테 긍정적으로 평가받았고, 그의 진화론에 대한 비판구절이 창조과학자들의 글에도 인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참고할 것은 그의 진화론 비판은 종교 또는 종교적 신념과는 전적으로 무관하다는 점이다. 어쨌든 자연선택설을 비판한 책은 진화생물학자들은 물론 동료 철학자들에게도 까였다.

심리철학적 입장으로는 기능주의자로 분류된다.

4. 저서

국내에 번역 출간된 책은 아래와 같다.

5. 관련 문서


[1] 인지과학과 명예교수[2] 진화심리학자들의 이런 주장을 '대량 모듈성 논제'라고 부른다[3] 참고로 계산주의 마음이론은 고전적 인공지능 이론으로도 불린다.[4] 괜히 인터넷 서점 서평란에 '너무 어려워서 이해를 못 하겠다'는 내용으로 도배가 되어있는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