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19:32:53

헨리 소사

헨리 소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숀헤어 파일:미국 국기.svg 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1) 파일:미국 국기.svg
배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첼(3) 파일:미국 국기.svg
말레브(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조(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토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젠슨(3)(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3)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스(3)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파일:미국 국기.svg
뉴선(2) 파일:미국 국기.svg
펨버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뇽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2)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크(3)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서브넥(2)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3)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비(3) 파일:미국 국기.svg
에터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게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리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3)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구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드리게스(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트(3)(2) 파일:미국 국기.svg
콜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트레비스 파일:호주 국기.svg
알렉스(1)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2) 파일:미국 국기.svg
빌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어센시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홀튼(2)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험버(2)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3) 파일:미국 국기.svg
스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지크 파일:미국 국기.svg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해즐베이커(2)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3)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파일:미국 국기.svg
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뇽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하시(3) 파일:브라질 국기.svg
멩덴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로니(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놀린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앤더슨(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메디나(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레드(4) 파일:미국 국기.svg
라우어(3) 파일:미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우트(4)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올러 파일:미국 국기.svg
위즈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스코비(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쓰(3) 파일:일본 국기.svg
브룸바 파일:미국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브룸바 파일:미국 국기.svg
클락(2) 파일:미국 국기.svg
니코스키(3) 파일:미국 국기.svg
번사이드 파일:호주 국기.svg
나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리지 파일:미국 국기.svg
나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밴헤켄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나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밴헤켄 파일:미국 국기.svg
밴헤켄 파일:미국 국기.svg
나이트(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티노 파일:미국 국기.svg
밴헤켄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밴드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밴드(2) 파일:미국 국기.svg
밴헤켄(3)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돈 파일:미국 국기.svg
코엘로(2) 파일:미국 국기.svg
맥그레거(3) 파일:미국 국기.svg
오설리반(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검(3) 파일:미국 국기.svg
밴헤켄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돈(2) 파일:미국 국기.svg
초이스(3)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로저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커(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검 파일:미국 국기.svg
초이스(2) 파일:미국 국기.svg
샌즈(3) 파일:미국 국기.svg
요키시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검 파일:미국 국기.svg
샌즈 파일:미국 국기.svg
요키시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검 파일:미국 국기.svg
모터(2) 파일:미국 국기.svg
러셀(3) 파일:미국 국기.svg
요키시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검(3)(2)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이타스(2) 파일:미국 국기.svg
크레익(3) 파일:미국 국기.svg
애플러 파일:미국 국기.svg
요키시 파일:미국 국기.svg
푸이그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요키시(2) 파일:미국 국기.svg
맥키니(3) 파일:미국 국기.svg
러셀(2) 파일:미국 국기.svg
도슨(3) 파일:미국 국기.svg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헤이수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도슨 파일:미국 국기.svg
푸이그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카디네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젠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3)(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3)(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3)(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치리노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1982 1983 1984 1985 1986
방수원 주동식 이상윤 김용남 강만식
<rowcolor=#000> 1987 1988~1992 1993 1994 1995
김정수 선동열 김정수 이강철 조계현
<rowcolor=#000>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김정수 이강철 이대진 곽채진 최상덕
<rowcolor=#fff> 2003~2005 2006 2007 2008 2009
리오스 김진우 윤석민 리마 윤석민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로페즈 윤석민 서재응 소사 홀튼
<rowcolor=#fff> 2015~2016 2017~2018 2019~2020 2021 2022
양현종 헥터 양현종 브룩스 양현종
<rowcolor=#fff> 2023 2024
앤더슨 크로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00> 1982 1983~1984 1985 1986 1987
이길환 하기룡 정삼흠 오영일 김건우
<rowcolor=#ffff00> 1988 1989 1990 1991 1992
김용수 김기범 최일언 김용수 김기덕
<rowcolor=#fff> 1993~1994 1995~1996 1997~1998 1999 2000~2001
김태원 이상훈 김용수 손혁 해리거
<rowcolor=#fff> 2002 2003~2004 2005 2006 2007
만자니오 이승호 장문석 최상덕 박명환
<rowcolor=#fff> 2008 2009 2010 2011 2012
브라운 봉중근 곤잘레스 리즈 주키치
<rowcolor=#fff> 2013 2014 2015~2017 2018~2019 2020
리즈 김선우 소사 윌슨 차우찬
<rowcolor=#fff> 2021 2022 2023 2024 2025
켈리 플럿코 켈리 엔스
}}}}}}}}} ||

헨리 소사의 보유 기록 /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보유 기록
외국인 선수 한 경기 최다 탈삼진 14K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승률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0.857
이길환
MBC 청룡 / 0.682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 0.833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환
OB 베어스 / 0.833
최일언
OB 베어스 / 0.826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윤석환
OB 베어스 / 0.813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786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26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오봉옥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철
빙그레 이글스 / 0.813
김홍집
태평양 돌핀스 / 0.800
이상훈
LG 트윈스 / 0.800
구대성
한화 이글스 / 0.857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0.909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0.750
김용수
LG 트윈스 / 0.750
문동환
롯데 자이언츠 / 0.810
송진우
한화 이글스 / 0.867
갈베스
삼성 라이온즈 / 0.714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0.714
신윤호
LG 트윈스 / 0.714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현욱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0.895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0.895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0.909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 0.778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0.815
채병용
SK 와이번스 / 0.815
김광현
SK 와이번스 / 0.857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민
KIA 타이거즈 / 0.773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탈보트
삼성 라이온즈 / 0.824
류제국
LG 트윈스 / 0.857
소사
넥센 히어로즈 / 0.833
해커
NC 다이노스 / 0.792
니퍼트
두산 베어스 / 0.880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헥터
KIA 타이거즈 / 0.800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0.857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0.870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0.909
수아레즈
LG 트윈스 / 0.833
<rowcolor=#fff> 2022 2023 2024
엄상백
kt wiz / 0.846
쿠에바스
kt wiz / 1.000
박영현
kt wiz / 0.833
}}}}}}}}} ||

{{{#d2c295 [[휴스턴 애스트로스|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65번}}}
트로이 패튼
(2007)
헨리 소사
(2011)
미키 스토리
(2012)
{{{#fff [[KIA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등번호 98번}}}
이두환
(2012)
소사
(2012.5.25.~2012)
황수현
(2013~2014)
{{{#fff [[KIA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등번호 58번}}}
정상교
(2011~2012)
소사
(2013)
홀튼
(2014~2014.7.23.)
{{{#fff [[넥센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92번}}}
최유건
(2013)
소사
(2014)
김정인
(2015)
{{{#fff [[LG 트윈스|LG 트윈스]] 등번호 50번}}}
황선일
(2010~2014)
소사
(2015~2018)
조셉
(2019~2019.7.9.)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61번}}}
다익손
(2019~2019.6.2.)
소사
(2019.6.7.~2019)
신동민
(2020)
}}} ||
}}} ||
파일:푸방소사.jpg
<colbgcolor=#5b1089><colcolor=#ffffff> 콘스피라도레스 데 케레타로 No.00
헨리 소사
Henry Sosa
본명 헨리 소사 에스테르
Henry Sosa Esther
출생 1985년 7월 28일 ([age(1985-07-28)]세)
도미니카 공화국 엘 세이보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95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SF)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1)
KIA 타이거즈 (2012~2013)
넥센 히어로즈 (2014)
LG 트윈스 (2015~2018)
푸방 가디언스 (2019)
SK 와이번스 (2019)
푸방 가디언스 (2020~2021)
라쿠텐 몽키스 (2022)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2022~2023)
피라타스 데 캄페체 (2023)
스파이어 시티 고스트하운즈 (2023)
콘스피라도레스 데 케레타로 (2024~)
에스트레야스 오리엔탈레스 (2007/08~2011/12, 2018/19, 2021/22)
브라보스 데 마르가리타 (2013/14)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여담5. 연도별 주요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Crees que estás listo? ¡No! ¡Yo estoy listo!
당신은 준비가 되어있나? 아닌 것 같군! 난 준비가 되어있다![1]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KBO 리그에서는 KIA 타이거즈,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SK 와이번스에서 활약했던 투수다. 외국인 선수 신분으로 4개 팀에서 뛰어 본 것은 소사가 유일하다.[2] 또한 더스틴 니퍼트(2011~2018)와 함께 8년간(2012~2019)[3] 한국 리그에서 활약한 최장수 용병이다.

우완 정통파 투수로, 신장 186cm, 몸무게 95kg이며[4] 최고 구속 160km/h에 이르는 강속구를 지녔다.

2. 선수 경력

헨리 소사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헨리 소사/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 파일:MILB 심볼(2008~2021).svg
미국 시절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파일:CPBL 로고.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파일:LMB 로고.svg
2022년
}}}}}}}}} ||

3. 피칭 스타일

파일:소사 투구.gif

평균 구속이 시속 140km 후반대에 최고 160km/h에 이르는 패스트볼, 변화구로는 슬라이더, 커브, 포크볼, 싱커을 구사한다. 7~8회에도 150km/h 중반대의 구속을 찍을 만큼 내구성, 체력도 뛰어난데 KBO에 데뷔한 2012시즌부터 2017시즌까지 통산 이닝 1위를 기록했다.[5] 투심도 간간히 던졌으나 2016시즌 피안타가 급격히 늘자 강상수 코치의 조언대로 봉인했고, 이는 대성공. 나이가 들며 속구의 구속이 조금씩 떨어져서 2015~6년경 이후로는 최고구속 150km/h 중반대, 평속 140후반을 기록하나 여전히 KBO 레벨에서는 상위권에 드는 강속구를 자랑했다.

MLB의 스카웃팅 리포트를 보면 한결같이 패스트볼에는 좋은 점수를 매겼으나 변화구는 좋지 못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피처가 아닌 쓰로워(thrower)라는 평. 그래서 그런지 KBO 리그 평균을 월등히 상회하는 패스트볼의 구속과 구위에 비해 삼진을 많이 잡지는 못한다. KBO 리그 통산 K/9이 7개가 안되는 게 그 증거. 우타자에게는 강하지만 좌타자에게 약한 것도 지적됐다.자세한 것은 스카우팅 리포트를 참조. 물론 MLB 레벨에서의 이야기이고, 한국 레벨에서는 변화구가 좋은 편에 속한다.

꽤 지능적인 피칭을 하는 투수로, KIA시절에는 슬라이더, 커브, 포크볼, 투심, 체인지업, 커터, 싱커등 다양한 구종들을 구사했고 특히 최고 구속 150km/h씩 나오는 싱커를 주 변화구로 사용하는 땅볼 피처에 속했지만, 나이가 들며 속구의 구속이 떨어지자 슬라이더, 커브 등 변화구의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리며 뜬공 위주의 피네스 피처라고 봐도 될 정도의 플레이스타일로 변신하였고, 뜬공 투수에게 유리한 잠실구장으로 이적함에 따라 진정한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물론 구속이 떨어졌다고는 하나 떨어진 구속조차 최고구속이 시속 150km를 거뜬히 상회한지라 여전히 패스트볼이 강력한 무기 중 하나였다. 변한 환경이나 조건에 맞게 자신을 바꿀 줄 아는 투수라는 것은 큰 장점이었다.

강속구 투수답게 제구력이 좋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차라리 안타를 맞더라도 볼넷은 안 주겠다는 마인드로 가운데로 던지는 타입인지라 볼넷은 적어 통산 BB/9이 2.31개밖에 안된다. 이것이 투구수 절약에 큰 역할을 했으며 소사가 이닝 이터일 수 있는 이유이자, 피안타가 많아 털리는 날은 왕창 털리게 만드는 주된 이유이기도 했다.

소사의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이닝 이팅 능력. 털리는 날도 은근히 많은데 그런 날도 꾸역꾸역 어떻게든 6~7이닝은 꼭꼭 먹고 내려가며, 어지간해선 로테이션도 거르지 않는다. 위에 쓰여있듯 국내무대 데뷔 이후 통산 이닝 1위. 넥센시절 승률 1위를 제외하면 평균자책점이나 다승왕이나 탈삼진 어느 하나 타이틀 홀더가 된 적은 없지만 매년 180이닝 이상을 꼬박꼬박 꾸준히 로테이션을 거르지 않고 소화해주는, 1년을 운영함에 있어서 계산이 서는 솔리드한 투수라는 점이 소사의 가장 큰 매력이다. 1선발로서는 모자랄지 몰라도 2선발로서는 단연 최고인 투수.

약점은 역시 나이와 과부하. 이닝을 많이 먹었다는 것은 그만큼 어깨를 많이 사용했다는 뜻이며 1985년생으로 2018년 만 33세가 되었다. 노쇠화가 시작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다. 실제로 KBO 리그무대 데뷔 적보다 구속은 약 5킬로 가까이 줄어들었고 데뷔적에는 KIA의 1선발 롤을 수행했었던 것을 생각하면 지금의 솔리드한 2선발 취급은 이미 혹사여파로 공이 많이 무뎌졌다는 것을 보여주며 좋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매년 재계약에서 설왕설래가 오가게 하는 주된 이유이기도 하다. 국내선수라면 그냥저냥 쓰겠지만 슬롯이 제한된 외인이다 보니 크게 다가오는 문제점.

ERA에 비해 FIP가 낮은 편이라 불운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8시즌이라는 충분한 표본이 쌓인 시점에서도 FIP와 ERA가 상당히 차이나는 것을 보면 이미 운의 영역은 벗어났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투수들 중에는 세트 포지션 문제나 다른 문제 등으로 인해 주자가 나갔을 때 성적이 나빠지는 유형이 있는데, 소사가 바로 이런 유형.

뜬공 투수이다 보니 잠실에서는 극강이지만 원정에서는 5점대의 방어율을 보인다. 특히 타자친화적인 문학구장에서의 성적이 나쁘고, 이상하리만큼 수원구장에서 심각한 수준으로 배팅볼러가 된다. 롱런을 위해 극복해야할 부분. 또한 기복이 심한 편이라, 어느 날은 7~8이닝 무실점으로 완벽투를 펼치다가도 다음 등판에서 갑자기 5~6실점씩 내줘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또한 단점.

2018년 4월까지만 최고 포수로 각광 받았던 유강남과는 이상하리만치 궁합이 안 맞는듯. 나올때마다 유강남은 자동 결장을 한다. 유강남의 증언에 따르면 소사는 자존심이 굉장히 강해 투구 리드를 자신이 직접 하는 편이라고 하는데, 비슷한 성향의 스캇 코프랜드를 신랄하게 까고 정 반대의 성향의 허프를 칭찬한 걸로 보아 유강남이 이러한 성향의 선수와 궁합이 잘 맞지 않는 듯하다.[6]즉 평소 사이가 나쁜 건 절대 아니며 그냥 서로 추구하는 플레이 스타일이 안 맞아서 그런 것이다.

2018년 브레이크를 맞아 성적이 급등하여 명실상부 1선발이라고 불러도 될 만한 스탯을 찍었는데, 2018년의 선전은 새로운 변화구의 장착이 크다. 기존까지는 슬라이더는 괜찮았지만 스플리터류 변화구의 완성도가 낮아 스플리터의 피치밸류가 마이너스를 기록하였고, 결국 카운트를 잡는 용의 커브를 제외하면 결정적인 순간에는 포심 패스트볼 - 슬라이더로 이지선다를 걸 수밖에 없었다. 물론 KBO에서 강력한 포심과 슬라이더의 투피치는 잘 먹히는 레퍼토리이지만 패턴이 단순한 것이 장점이 될 수는 없으며 상기했듯 소사의 포심은 그 위력이 점점 떨어졌다. 이것과 부족한 제구력이 소사의 뛰어나지만 1선발로는 어딘가 부족한 꾸역투의 원인이었는데, 2018년 들어 그간 꾸준히 연마해온 포크가 원숙해져 스플리터의 피치밸류도 플러스를 기록하게 되어, 소사를 오랫동안 상대해 잘 알고 있던 타자들도 포심 패스트볼 - 슬라이더 사이에 섞이는 스플리터(포크볼)라는 새로운 결정구에 당할 수밖에 없게 되었고 완전체 선발투수로 거듭나게 되었다. 꾸준한 자기계발의 중요성을 몸소 보여주는 피처.

2020년 삼성에 비슷한 느낌의 투수가 등장했다. 구속은 이쪽이 훨씬 느리다.

4. 여담

파일:external/lh6.googleusercontent.com/sosa_children_1.gif 파일:external/lh6.googleusercontent.com/20140628_1.gif
왼쪽부터 김영민(87), 한현희(93), 조상우(94), 김대우(88) 하영민(95)과 대화하는 모습.

* 반면 넥센에서 같이 뛰었던 앤디 밴 헤켄과는 그리 친하지 않았다고 한다.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25EB%2582%2598%25EB%25B0%2594%25EB%25A1%259C.jpg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25ED%2594%25BC%25EC%2597%2590.jpg

5.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1 HOU 10 53⅓ 3 5 0 0 0.375 5.23 54 7 23 3 38 31 31 1.44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2 KIA 23 147⅓ 9 8 0 0 0.529 3.54 137 9 39 8 104 62 58 1.20
2013 29 164⅔ 9 9 0 1 0.500 5.47 196
(1위)
11 68 9 143 111
(1위)
100
(2위)
1.60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4 넥센 20 125 10 2 0 0 0.833
(1위)
4.61 140 18 45 3 98 66 64 1.4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5 LG 32 194⅓
(4위)
10 12
(2위)
0 1 0.455 4.03 199
(3위)
16 36 5 177
(4위)
102
(4위)
87 1.21
(5위)
2016 33 199
(4위)
10 9 0 0 0.526 5.16 258
(1위)
12 38 9 107 121
(1위)
114
(1위)
1.49
2017 30 185⅓ 11 11
(5위)
1 0 0.500 3.88 189 11 38 3 153 86 80 1.23
(4위)
2018 27 181⅓
(3위)
9 9 0 0 0.500 3.52
(3위)
192 16 28 4 181
(2위)
83 71 1.21
(5위)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9 푸방 12 86⅔ 8 2 0 0 0.800 1.56 60 5 10 0 85 17 17 1.56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9 SK 16 94⅓ 9 3 0 0 0.750 3.82 85 15 23 2 96 42 40 1.15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20 푸방 29 194⅓ 15 5 0 0 0.750 3.38 230 12 37 4 172 90 73 1.37
2021 2 10 1 0 0 0 1.000 1.80 13 0 1 0 10 4 2 1.40
MLB 통산
(1시즌)
10 53⅓ 3 5 0 0 0.375 5.23 54 7 23 3 38 31 31 1.44
KBO 통산
(8시즌)
210 1291⅓ 77 63 1 2 0.550 4.28 1396 108 315 43 1059 673 614 1.33
CPBL 통산
(3시즌)
43 291 24 7 0 0 0.869 2.78 303 17 48 4 267 111 90 1.21
완투, 완봉 기록
KBO
연도 완투 완봉
2012 4완투
(1위)
1완봉
(4위)
2015 2완투
(4위)
1완봉
(2위)
2017 2완투
(1위)
1완봉
(2위)
2018 1완투
(4위)
1완봉
(1위)
통산 9완투 4완봉
CPBL
연도 완투 완봉
2019 2완투
(1위)
1완봉
(2위)
2020 4완투
(1위)
1완봉
(1위)
2021
통산 6완투 2완봉

6. 관련 문서


[1] XTM에서 각 외국인 선수들의 각오를 찍을 때 사용되었던 소사의 문구.[2] 그 다음으로 많은 3개의 팀을 거친 선수로는 SK 와이번스,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에서 뛴 틸슨 브리또LG 트윈스, 롯데 자이언츠, kt wiz에서 뛴 크리스 옥스프링,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에서 뛴 크리스 니코스키가 있다.[3] 니퍼트가 1년 먼저 KBO 리그에 들어왔다.[4] 메이저리그는 선발 투수 평균 신장이 191cm이다 보니 소사는 메이저리그 기준으로는 좀 왜소한 체격에 속한다. 이걸 감안하면 소사의 구속과 내구성, 스태미너는 정말 경이로운 수준이라 볼 수 있다. 쉽게 말해 잭 그레인키의 체구와 비슷한 수준.[5] 심지어 2012시즌은 5월 26일에 대체 외국인 선수로 들어와서 출전을 그만큼 덜했다.[6] 다만 스캇 코프랜드는 책임감이 없고 핑계가 많아 싫다고 했다. 소사는 딱히 핑계를 대지 않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편이라고. 그래서인지 유강남이 소사가 경기 후반을 책임질 때 가끔 교체로 나온다.[7] 레전드 이종범의 은퇴식 경기이기도 하다.[8] 당시 33번 선수는 2012년이면 장지환, 2013년이면 김주형이고, 배터리 코치는 아마도 정회열인 듯.[9] 이정후가 아마추어 시절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어 프로에 입단할 수 있게 되고, 소사도 한국에서 적응을 성공해 오래 뛰는 선수가 되어 가능한 일이다. 여담으로 이정후의 소속팀은 키움 히어로즈로, 소사가 2014년에 뛰었던 팀이기도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