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 피어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에디 피어슨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ab93d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44번}}} | |||||||||||||||||||||||||||||||||||||||||||||||||||||||||||||||||||||||||||||||||||||||||||||||||||||||||||||||||||||||||||||||||||||||||||||||||||||||||||||||||||||||||||||||||||||||||||||||||||||
강영수 (1995~1997. 6. 7.) | → | 피어슨 (1999) | → | 윤인섭 (2000) |
}}} ||
에디 피어슨 Eddie Pearson | |
본명 | 에디 라본 피어슨 Eddie Lavorn Pearson |
출생 | 1974년 1월 31일 ([age(1974-01-31)]세) |
앨라배마 모빌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비숍 스테이트 커뮤니티 대학 |
신체 | 190cm, 102kg |
포지션 | 1루수 |
투타 | 우투양타 |
프로 입단 | 1992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24번, CHW) |
소속팀 | 현대 유니콘스 (1999) 해태 타이거즈 (2000) 티그레스 카피탈리노스 (2000) 올메카스 데 타바스코 (2001~2002) 랑고스테로스 데 칸쿤 (2002) 캔자스시티 T-bones[1] (2003~2004) 토로스 데 티후아나 (2005) 캔자스시티 T-bones (2005~2006) |
[clearfix]
1. 개요
KBO리그에서 뛰었던 미국의 야구선수 였다.2. 선수 경력
2.1. KBO 리그
1999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를 통해서 당시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였다. 당시 피어슨은 육중한 몸을 앞세운 전형적 파워 히터 이미지였고 현대가 홈으로 썼던 숭의야구장도 프로야구 1군 경기장 중 그라운드 크기가 가장 작았기에[2] 팀의 장타력을 극대화해줄 것으로 기대했다.그러나 성과는 애매했다. 일단 타격에서는 타율 .289 31홈런 108타점을 기록하며 3할-30홈런-100타점에 타율만 1푼 모자란 준수한 성적을 냈다. 그러나 전임자인 스캇 쿨바가 워낙 좋은 성과를 남기고 떠난 터라[3] 쿨바에 비해서는 아쉽다는 평가를 남겼고, 하술하겠지만 1999시즌이 극도의 타고투저 시즌이었던 탓에 생각보다 영양가도 부족했다. 심지어 덩치가 워낙 커서 발이 매우 느렸고 수비는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라서 매번 지명타자로 출전해야만 하는 등 수비와 주루에서 전혀 팀에 힘을 보태지 못했다. 이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한 현대도 일찌감치 피어슨과의 재계약은 포기해버렸다.
심지어 세이버매트릭스를 비롯한 2차 스탯이 발전하면서 피어슨의 스탯은 더 안 좋은 쪽으로 재평가를 받게 됐다. 일단 출루율이 .351에 그쳐 타율보다 고작 6푼 높았는데, 이는 배트를 워낙 적극적으로 내는 타격 스타일 때문이었다. 그런 것 치고 삼진이 85개에 그쳤으니 나름대로 공에 배트를 맞추는 재주는 있었지만, 볼넷은 47개에 불과해 출루율 저하로 이어졌다. 게다가 홈런만 31개를 쳤다 뿐이지 2루타가 고작 12개에 불과해서 30홈런을 치고도 장타율이 .498에 그쳐 5할을 못 넘겼다. 30홈런 타자의 장타율이 5할을 밑돈 것은 당시 기준 KBO 리그 최초였으며, 2024년까지 범위를 넓혀도 피어슨 외에는 2020년 김재환과 2024년 양석환까지 단 3명만이 남긴 기록이다. 이러니 OPS는 .849에 그쳐 3할-30홈런-100타점에 근접했던 선수 치고는 아쉬운 편이다.
게다가 앞서 살짝 언급된대로 1999시즌은 극도의 타고투저 시즌이라 더더욱 가치가 떨어졌다. 이해 KBO 리그에는 OPS 1을 넘긴 선수가 6명에 0.9를 넘긴 선수가 18명이나 나올 정도로 불균형이 심했는데, 그런 와중에 피어슨이 기록한 .289의 타율은 리그 29위에 그치는 평이한 수준이었으며 장타율도 21위, OPS도 25위에 불과했다. 그나마 많았던 홈런도 다른 시즌이었다면 다섯손가락 안을 노려봄직 했으나 공동 10위에 그쳤다. 덕분에 스탯티즈 기준 wRC+는 108.7로 리그 평균을 살짝 넘기는 수준인데, 문제는 이런 선수가 주루 능력도 최악이고 수비도 못해서 고정 지명타자로 나서야 했으니...
아무튼 현대를 나온 피어슨은 이후 해태 타이거즈와 계약했으나 시즌 전 방출되면서 짧은 한국 생활을 끝냈다.
3. 여담
- 덩치가 너무 커서 유니폼을 만드는데 애를 먹었다고 한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4]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999 | 현대 | 129 | .289 | 145 | 12 | 0 | 31 | 108 | 67 | 0 | 47 | 5 | 85 | .351 | .498 | .849 |
KBO 통산 (1시즌) | 129 | .289 | 145 | 12 | 0 | 31 | 108 | 67 | 0 | 47 | 5 | 85 | .351 | .498 | .8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