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0:17:39

페드로 발데스

페드로 발데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3)(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3)(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3)(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페드로 발데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G 트윈스 등번호 57번
강창주
(2004~2006)
발데스
(2007)
김유선
(2008)
}}} ||
}}} ||
파일:attachment/LGPEDROVALDEZ.jpg
페드로 발데스
Pedro Valdés
본명 페드로 호세 발데스 만조
Pedro José Valdés Manzo
출생 1973년 6월 29일 ([age(1973-06-29)]세)
푸에르토리코 파야르도
국적
[[푸에르토리코|]][[틀:국기|]][[틀:국기|]]
학력 카를로스 에스코바 로페즈 고등학교
신체 185cm, 92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0년 드래프트 12라운드 (전체 340번, CHC)
소속팀 시카고 컵스 (1996~1998)
텍사스 레인저스 (2000)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1~2004)
LG 트윈스 (2007)
응원가 동요 - 건너가는 길 전주 부분 [1][2]

1. 개요2. 선수 경력
2.1.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시절2.2. 일본 프로야구 시절2.3. LG 트윈스
3. 그 이후4. 연도별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푸에르토리코의 前 프로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시절

3시즌 동안 메이저리그 통산 53경기 타율 0.247로 큰 활약은 하지 못했다.

2.2. 일본 프로야구 시절

파일:다이에발데스.jpg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에서 2001년부터 2004년까지 활약하며 팀의 2003년 일본시리즈 우승에 큰 공헌을 하였다. 홈런을 노리는 슬러거 타입이라기보다는 중장거리 타자로서 활약하였으며, 홈런도 크게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문샷보다는 쭉 뻗어나가는 라이너성 홈런이 많았던 타자. 그러한 교타자스러운 타격 스타일로, 2001년에는 일본리그의 외국인 타자로서는 드물게 2번타자로 주로 출장하기도 했다.

4시즌 동안 타율 0.302 86홈런 335타점을 기록하며 팀 우승에도 공헌하였으나, 주루와 송구 부분에서 아쉬운 플레이를 보였으며, 특히 평범한 땅볼성 타구를 친 후 내야안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전력질주를 하지 않는 플레이나 심판 판정에 불복해 퇴장을 당하는 등, 약간의 불량(?)한 모습도 보여줬으며 이런 태도로 인해 당시 감독이었던 왕정치가 불만을 제기하였고 결국 04년 좋은 성적을 올렸음에도 부상을 이유로 방출되었다.

2003년에 3번 이구치 타다히토(109타점), 4번 마쓰나카 노부히코(123타점), 5번 조지마 겐지(119타점)의 뒤를 받치는 6번 타자로 출전해 104타점을 기록하며 100타점 4중주라는 별명을 얻었다.[3]

2.3. LG 트윈스

2005년과 2006년에는 멕시코에서 뛰었으며, 2007년에는 LG 트윈스에서 뛰게 된다. LG에서의 별명은 '잠실의 흑진주'.

당시 LG 감독이었던 김재박은 발데스를 지명타자로 쓸 생각이었으나, 발데스 본인이 수비를 하지 않으면 타격감이 올라오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수비를 봐야한다고 강력하게 요구했고[4], 실제로도 수비를 봤을 때 성적이 좋아 어쩔 수 없이 외야수로 기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광활한 잠실 야구장를 홈으로 두고 있는 LG에게 있어서 "발Death"라고 불릴 정도로 느린 발을 가진 발데스의 외야 수비는 재앙이나 다름없었다.[5] 이대형이 죽어라 외야를 뛰어다니며 엄청나게 고생했을 정도. 타격 면에서도 아쉬운 모습을 보였는데, 타율 대비 출루율은 꽤 높았으나 본래 슬러거 타입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해도 타팀의 외국인타자였던 클리프 브룸바제이콥 크루즈와 비교했을 때 장타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장타율이 0.400을 겨우 넘기고 출루율과 거의 비슷했다. 결국 LG는 성적도 애매하고 나이도 적지 않은 발데스와의 재계약을 포기한다. LG에서의 성적은 116경기 타율 .283, 123안타, 13홈런, 72타점, 50득점, 70볼넷, 장타율 .407, 출루율 .381.

여담이지만 말이 없는 과묵한 성격이며 진지한 선수였다. 아들 이스마엘 발데스는 여름 방학 때 LG에서 볼보이를 한 적이 있다.

3. 그 이후

2008년에는 멕시코 리그에서 뛰었으며 2009년부터 주로 푸에르토리코 윈터 리그에서 뛰었다.

2010년에는 타율 .316(6위), 홈런 4(공동 1위), 타점 27(1위)를 기록했고 시즌 MVP를 수상했다. 또한 캐롤시로부터 현역 최고령 선수의 영예를 칭송받아 발데스의 등번호 20번이 영구결번 되었다. 수상 시 "이런 상을 받아 매우 감동하고 있다. 여기 캐롤리나에서 내 가족, 아들, 시장, 그리고 매 경기 자신을 응원 해준 캐롤리나 팬들과 항상 보내왔다"고 말했다.

2013년 제3회 WBC에 푸에르토리코 대표팀으로 출전하였다.

2017년 1월 12일, 오릭스 버팔로즈의 주미 스카우트로 임명되었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6]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2007 LG 116 .283 123 15 0 13 72 50 4 70 2 49 .381 .407 .788
KBO 통산
(1시즌)
116 .283 123 15 0 13 72 50 4 70 2 49 .381 .407 .788

5. 관련 문서


[1] 안! 타! 발데스 go![2] 이후에 이대형이 사용하게된다.[3] 2001~2003년 다이에 호크스 타선은 장타력을 과시하며 '다이하드 타선'이라는 별명이 있었다.[4] 김현수, 채은성 등 지명타자로 쓰면 타격감이 별로라 수비를 뛰어야 하는 타자들이 실제로도 꽤 있다. 다만 위 둘은 그다지 수비가 좋은 편은 아니라는 게 흠. 그래도 발 빠르고 어깨 좋은 선수라 발데스보다는 수비가 좋았다.[5] 고관절 부상 전에도 재앙같은 수비라 평가받던 김재현보다도 수비가 별로였다. 어깨는 괜찮았지만 그 외적인 모습으로는 발 느린 김재현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최악이었다.[6]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