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1:29:27

자기주도학습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유치원) · 초등교육기관(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중학교 ·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교육평가 정량평가(필기) 수능 · 내신(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학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실기) 논술 · 면접 · 입시미술 · 음악입시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 (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 시험만능주의
교육 범위 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국어과 · /수학과 · /과학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연공서열) · 명문대 (SKY · 의치한약수) · 인서울 대학교 (사대문 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잡대 (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 현재 교육 관련 문서 간에 혼용과 중복 현상이 심합니다.
이에 편집 예정자는 아웃링크(문단 또는 앵커 리다이렉트)를 적절히 활용해 문제를 해소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의무교육법)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각론) · 2015 개정(/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 일학습병행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교과용도서 (국정도서 · 검정도서 · 인정도서)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학습 · 수험 관련 조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682b4><colcolor=white> 서론 공부 조언* · 수험 생활 조언** · 수험 생활 조언/대학수학능력시험
일반 공무원 시험(과목별) · 대학교 · 영어(TOEIC · TEPS)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입시 공통(수능 · 내신) · 인문계 논술 · 자연계 논술 · 올림피아드(수학 · 화학 · 천문 · 지리 · 언어학) · SAT
기타 공부법(마음가짐) · 벼락치기 · 독학 · 쓴소리 · 인강 · 고시 낭인 · 자기주도학습 · 공부 · 성적 · 독학재수 · 예습 · 복습
* 포괄적인 공부에 대한 공부 관련 조언을 담은 문서
** 수험용 공부에 최적화된 공부 및 생활 관련 조언을 담은 문서
중등부 혹은 동일 기관 주최 중학생 대상 경시대회 존재
}}}}}}}}} ||


1. 개요2. 유사 개념들3. 전통적 교육(교육자 주도 학습)과의 비교
3.1. 기존 교육의 한계3.2. 자기주도학습의 장점과 한계
4. 한국에서
4.1. 고등학교대학입시4.2. 대학교4.3. 대학원
5. 자기주도학습을 잘 하려면?

1. 개요

self-directed learning
"비극적인 사실은, 우리들 중 상당수가 어떻게 가르침을 받아야 하는지만을 알고 있을 뿐,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는 배운 적이 없다는 점이다."
(It is a tragic fact that most of us only know how to be taught; we haven't learned how to learn.)
교육학자 맬컴 노울즈(M.Knowles),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1975, p.14 (볼드체는 나무위키에서 자체 강조)

스스로가 교육의 전 과정을 본인 의사에 따라 선택하고 수행하는 것으로, 교육학 용어이다.

2. 유사 개념들

자율학습, 자습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둘은 일정 부분 같으면서도, 다른 부문도 있다.

독학 / 자습 / 자율학습은 강사가 나와서 진행하는 정규 수업과 대비하여, 자율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이다. 야간자율학습 같이 외부의 강제성을 띌 경우 자율학습이더라도 자기주도학습은 아니다.

반면 자기주도학습은 독학 / 자습 / 자율학습 시간을 포함하여, 강사의 정규 교육에서도 피교육자의 참여를 끌어올리고자 하는 강의/교육 철학이다.

3. 전통적 교육(교육자 주도 학습)과의 비교

3.1. 기존 교육의 한계

기존의 전통적 교육에서 학교, 학원 강의는 다대일 강의가 일반적이며, 필연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학습자는 교사강의를 하고, 문제를 풀고 해설하는 것을 수동적이고, 방관자적으로 지켜 볼 뿐이다. 이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3.2. 자기주도학습의 장점과 한계

연세대 의대 신경외과학 김동성 교수는 '최근 의학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과거 '구조 및 과정 중심 교육'이 '역량/성과 중심 교육'으로, '학습에 대한 평가'가 '학습을 촉진하는 평가'로, '단편적 지식의 수동적 습득'이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대 의대 절대평가 실험 성공적‥"창의적 인재 양성" 물론 연대 의대 정도면 의사국가고시 합격률에 연연하는 학교는 아니지만 연대 의대가 의사국가고시 합격률을 발표 안하는 년도가 있고, 아직 이러한 학습방법에 우호적인 평가를 주기에는 이르다.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이 어릴 때는 학습방법 등에서 효과가 있으나 고등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수준을 하향평준화 시킨다는 비판도 있다.[1]

4. 한국에서

4.1. 고등학교대학입시

고등학교 공부까지는 순수한 의미의 자기주도학습을 하는 경우가 드물다. 애초에 모든 학습활동이 입시의 연장선에 있다고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생각한다. 그나마 입시과목과 본인의 성향이 일치하는 학생의 경우 심화 공부를 하기도 하지만(대학 수준의 전공서를 읽어본다던지) 일반적인 학교에서는 드물다. 오히려 진정한 자기주도학습이지만 입시에 별 도움이 안 되는 경우 대부분의 주변인에게 핀잔을 듣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수학을 잘하고 열심히 하는 학생들도 수학이 정말 좋아서 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대학 가는 데 필요해서 하는 경우다.

다음 표는 강의 시간을 제외하고, 최상위권 (전국 상위 1%) 진입에 필요한, 추정 권장 학습 시간이다.[2][3]
평일 권장 자습 시간 (학기 중 평일)
학년 초1 초2 초3 초4 초5 초6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자습 시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210분 240분 270분 300분 330분 360분
학기 중 평일 자습 시간이다. 학교 수업과 숙제 및 사교육 수업, 숙제에 소비된 시간을 제외한다. 순수하게 혼자서 공부한 시간을 의미한다, 당연하겠지만 고등학생부터는 밤을 새지 않고서야 저 시간을 채울수 없다.
주말 및 방학 권장 자습 시간
학년 초1 초2 초3 초4 초5 초6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토요일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210분 240분 270분 600분 660분 720분
일요일 - - - - - - 210분 240분 270분 600분 660분 720분
방학 중 평일 60분 120분 180분 240분 300분 360분 420분 480분 540분 600분 660분 720분

4.2. 대학교

한국에서 진정한 자기주도학습이 시작되는 시기는 대학이다. 대학부터는 딱히 학생에게 공부를 강요하는 존재가 없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자기주도학습이 필요하다. 이때부터는 자기주도학습을 하지 않으면 공부를 버티기 어렵고 성과가 정말 안 나온다. 대학교 학점 공부가 아닌 자격증 공부나 어학 공부, 공무원 시험 공부의 경우 훨씬 더하다. 그런데 요즘에는 다 큰 성인들이 이게 안 되어서 토익 기숙학원에 들어가 공부한다고들 한다.

4.3. 대학원

물론 학부 공부도 자기주도학습이 중요하지만, 사실 인간의 학업 단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진정한 종착역이자 최종 단계는 바로 대학원이다. 고등학교와 대학교는 자기주도학습을 어려워하는 학생이더라도 어쨌든 주된 방법은 강의식 학습이니 교수가 가르쳐주는 것만 공부해도 반은 먹고 들어갈 수 있으나, 대학원(특히 문과 대학원)은 교수가 떠먹여주는 강의식 학습보다 자신이 스스로 사고하고 연구하여 논문이라는 결과물을 도출하는 자기만의 과정이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원이야말로 진정한 자기주도학습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학교와 학부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어려워했던 사람은 대학원이 적성에 안 맞을 수 있으니 대학원 진학에 대해 심사숙고해서 결정해야 한다.

5. 자기주도학습을 잘 하려면?


[1] 공학자 출신인 이영무 前 한양대 총장 같은 경우는 창의성을 강조하지만 창의성이란 지식의 축적 끝에서 나오는 것으로, 내가 가진 지식과 다른 사람의 지식이 융합되어 나오는 것이라며, 학생이 아는 것도 없는 상태에서 대학에서의 교육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2] 출처 : '초등 6년이 자녀 교육의 전부다'(2015), 저자 : 전위성[3] 홈스쿨링을 할 경우 이보다 더 길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