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20:49:12

개론서

1. 개요
1.1. 서술 기준
2. 인문계열
2.1. 언어문학
2.1.1. 국어국문학2.1.2. 영어영문학2.1.3. 불어불문학2.1.4. 언어학
2.2. 인문학
2.2.1. 철학2.2.2. 역사학2.2.3. 미술사학2.2.4. 종교학2.2.5. 종교사2.2.6. 고고학
2.2.6.1. 마한2.2.6.2. 신라
2.2.7. 문화인류학
3. 사회계열
3.1. 경영경제
3.1.1. 경영학3.1.2. 경제학3.1.3. 회계학3.1.4. 부동산학
3.2. 법학
3.2.1. 법학일반3.2.2. 공법학3.2.3. 사법학3.2.4. 사회법학3.2.5. 법철학
3.3. 사회과학
3.3.1. 문헌정보학3.3.2. 심리학3.3.3. 지리학3.3.4. 사회학3.3.5. 행정학3.3.6. 정치학3.3.7.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4. 자연계열
4.1. 화학생물
4.1.1. 화학4.1.2. 생명과학
4.2. 농림수산
4.2.1. 식물자원학4.2.2. 동물자원학4.2.3. 수산학
4.3. 생활과학
4.3.1. 식품영양학4.3.2. 의류학
4.4. 수리물리
4.4.1. 수학
4.4.1.1. 기초 레벨4.4.1.2. 학부 레벨
4.4.2. 통계학4.4.3. 물리학4.4.4. 천문학
5. 의약계열
5.1. 의학
5.1.1. 기초의학
5.1.1.1. 생리학5.1.1.2. 해부학5.1.1.3. 병리학
5.1.1.3.1. 법의학
5.1.1.4. 성과학
5.1.2. 임상의학
5.1.2.1. 내과5.1.2.2. 외과5.1.2.3. 흉부외과5.1.2.4. 신경외과5.1.2.5. 정형외과5.1.2.6. 산부인과5.1.2.7. 소아과5.1.2.8. 정신과
5.2. 치의학5.3. 한의학5.4. 간호학5.5. 약학5.6. 약학5.7. 한약학5.8. 보건과학
6. 공학계열
6.1. 토목
6.1.1. 건축학6.1.2. 건축공학6.1.3. 건설관리학6.1.4. 구조공학6.1.5. 측량학6.1.6. 교통공학6.1.7. 도시학6.1.8. 수공학6.1.9. 지반공학6.1.10. 환경공학
6.2. 기계
6.2.1. 기계공학6.2.2. 금형공학
6.3. 전기
6.3.1. 전기공학6.3.2. 전자공학6.3.3. 컴퓨터공학
6.4. 화공
6.4.1. 화학공학6.4.2. 재료공학
6.5. 학제간 연구
7. 교육계열
7.1. 교육일반
7.1.1. 교육학7.1.2. 유아교육학7.1.3. 초등교육학7.1.4. 특수교육학
7.2. 언어문학
7.2.1. 국어교육학
7.2.1.1. 한국어교육전공
7.2.2. 영어교육학
7.3. 인문사회
7.3.1. 역사교육학7.3.2. 지리교육학7.3.3. 사회교육학
7.4. 자연공학
7.4.1. 수학교육학7.4.2. 과학교육학
7.5. 예술체육
7.5.1. 체육교육학7.5.2. 음악교육학7.5.3. 미술교육학
8. 연계통합전공
8.1. 지역학
9. 관련 문서

1. 개요

기본서라고도 하며, 보통 대학 전공수준 해당 전공의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여 출판되는 책이다. 각 대학 강좌별로 수업 진도를 위한 실질적인 교과서로 쓰이거나 참고용 도서로 추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무원 고등고시 등 공무원채용시험 등을 준비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1.1. 서술 기준

고등교육기관의 학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인문계열
어문 국어국문학과 · 기타어문학과 · 노어노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서어서문학과 · 언어학과 · 영어영문학과 · 인도어과 · 일어일문학과 · 중어중문학과(대외한어과) · 한문학과
인문 고고학과 · 문예창작과 · 문화재보존학과 · 문화콘텐츠학과 · 미술사학과 · 사학과 · 신학과(대학원 목회자/성직자양성과정*){개신교(M.Div.*)(선교학과) · 천주교(STL*) · 원불교(M.A.*)} · 음악학과 · 한국학과 · 종교학과(기독교학과 ·불교학과) · 철학과(유학과 · PPE)
사회계열
법학 법학과
사회과학 관광학과 · 광고홍보학과 · 국제개발협력학과 · 국제학부 · 군사학과* · 경제학과(PPE) · 경찰행정학과 · 문화인류학과 · 문헌정보학과* · 북한학과 · 부동산학과 · 부사관과 · 비서학과 · 사회복지학과* · 사회학과 · 심리학과 · 아동가족학과 · 여성학과 · 장례지도과 · 정치외교학과(PPE) · 정책학과 · 지리학과 · 지적학과 · 지역개발학과 · 행정학과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상경 경영학과 · 금융보험학과 · 무역학과 · 세무학과 · 유통물류학과 · 회계학과
이학계열
농림수산 산림과학과 · 수산생명의학과* · 수산자원학과 · 식물자원학과 · 식물의학과 · 원예학과
생물화학 말특수동물학과 · 생명공학과 · 생명과학과 · 수의학과* · 애완동물과 · 축산학과 · 화학과
생활과학 소비자학과 · 식품영양학과* · 의류의상학과 · 조리과학과 · 제과제빵과 · 주거환경학과
수리물리 대기과학과 · 물리학과 · 수학과 · 지구환경과학과(대기과학과/지질학과/해양학과) · 천문학과 · 통계학과
의약계열
의학 의학과* · 치의학과* · 한의학과*
간호 간호학과*
약학 약학과* · 한약학과*
보건 보건행정학과* · 건강관리학과 · 안경광학과* · 방사선학과* · 응급구조학과* · 임상병리학과* · 치위생학과* · 치기공학과* · 의공학과 · 물리치료학과* · 작업치료학과* · 재활학과 · 언어치료학과*
공학계열
기계 기계공학과 · 기전공학과 · 금형공학과 · 드론학과 · 로봇공학과 · 설비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전기 광공학과 · 반도체공학과 · 산업공학과 · 정보보안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인공지능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토목 건축공학과 · 건축학과* · 교통공학과 · 도시공학과 · 안전공학과 · 조경학과 · 철도공학과 · 토목공학과 · 환경공학과
화공 고분자공학과 · 나노공학과 · 재료공학과 · 섬유공학과 · 식품공학과 · 에너지공학과 · 화학공학과
학제간연구 국방기술학과 · 기관학과 · 소방학과 · 예술공학과 · 출판인쇄과 · 철도운전관제과 · 특수장비과 · 항공운항과 · 항해학과 · 해양공학과
예체능계열
디자인 산업디자인학과 · 시각디자인학과 · 실내디자인학과 · 패션디자인학과
무용체육 경호학과 · 무용학과 · 스포츠의학과 · 체육학과
미술조형 동양화과 · 보석감정과 · 서양화과 · 조소과 · 종교미술학과 · 판화과
연극영화 공연제작과 · 극작과 · 영화영상학과 · 연극학과
음악 국악과 · 교회음악과 · 기악과 · 성악과 · 실용음악과 · 작곡과 · 음향과
응용예술 게임학과 · 귀금속공예과 · 도예과 ·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모델과 · 목형과 · 미용학과 · 사진학과
교육계열
교육일반 교육공학과* · 교육학과* · 유아교육과* · 초등교육과* · 특수교육과*
언어문학 국어교육과* · 영어교육과* · 외국어교육과* (독어교육과/불어교육과/일어교육과/중국어교육과) · 한문교육과*
예술체육 미술교육과* · 음악교육과* · 체육교육과*
인문사회 문헌정보교육과* · 역사교육과* · 윤리교육과* · 일반사회교육과* · 종교교육과* · 지리교육과*
자연공학 과학교육과* (물리교육과/화학교육과/생물교육과/지구과학교육과) · 경영금융교육과* · 기계교육과* · 기술가정교육과* (기술교육과/가정교육과) · 농업교육과* · 수학교육과* · 수해양산업교육과* · 컴퓨터교육과* · 전기전자교육과* · 환경교육과*
비사범계열 평생교육학과* · 한국어교육학과* · TESOL학과*
기타계열
자율 자유전공학부 · 교양학부
특성화 특성화학과 · 계약학과
기타 간판학과 · 면허 부여 학과* · 유일한 학과 · 실존하지 않는 학과
- * 표시가 있는 학과는 특정 직업에 대한 자격을 부여함(해당 학과를 졸업할 경우 임용되는 형태이거나(군사과 등), 전문자격이 부여되거나(교육과 등), 전문자격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의학과 등) 경우로 한정)
}}}}}}}}} ||

  1. 가급적 위 틀을 분류기준으로 하여 작성한다.
  2. 저자가 해당 학문의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그 분야에 종사 중이거나 종사했던 자(예 : 연구원이나 교수, 명예교수 등)가 저술한 책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책과 저자의 학위가 동일한 분야여야 한다. 예를 들어 중어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의 중국사 책은 원칙상 이 항목의 대상이 아니다. 예외적으로 이에 해당하지 않으나 추가를 원하면 구분하여(앞에 ☆표시) 서술한다.
  3. 개론서는 특정 분야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학계의 쟁점들을 모은 저서는 개론서가 아니다. 또한 책의 제목은 개론서와 동일하나 책의 내용이 저자의 연구주제에 천착한 경우 또한 제외한다.
  4. 시리즈는 통권으로 취급한다.
  5. 최말단 분류에서 최신판을 가급적 최상단에 배치한다.
  6. 10년간 개정이 없는 책은 기재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이에 해당하지 않으나 추가를 원하면 구분하여(앞에 ◉표시) 서술한다.

2. 인문계열

2.1. 언어문학

2.1.1. 국어국문학

2.1.2. 영어영문학

2.1.3. 불어불문학

2.1.4. 언어학

2.2. 인문학

2.2.1. 철학

2.2.2. 역사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론서/역사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3. 미술사학

2.2.4. 종교학

2.2.5. 종교사

2.2.6. 고고학

2.2.6.1. 마한
2.2.6.2. 신라

2.2.7. 문화인류학

3. 사회계열

3.1. 경영경제

3.1.1. 경영학

3.1.2. 경제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제학/교과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회계학

3.1.4. 부동산학

3.2. 법학

3.2.1. 법학일반

3.2.2. 공법학

1. 헌법2. 형법3. 행정법4. 형사소송법5. 국제법

3.2.3. 사법학

1. 민법2. 민사소송법3. 상법

3.2.4. 사회법학

1. 노동법

3.2.5. 법철학

3.3. 사회과학

3.3.1. 문헌정보학

3.3.2. 심리학

3.3.3. 지리학

3.3.4. 사회학

3.3.5. 행정학

3.3.6. 정치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론서/정치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7.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4. 자연계열

4.1. 화학생물

4.1.1. 화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반화학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생명과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반생물학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농림수산

4.2.1. 식물자원학

4.2.2. 동물자원학

4.2.3. 수산학

4.3. 생활과학

4.3.1. 식품영양학

4.3.2. 의류학

4.4. 수리물리

4.4.1. 수학

번역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역)표시하였습니다.
4.4.1.1. 기초 레벨
0. 맛보기1. 기초수학
4.4.1.2. 학부 레벨
대학교 수학 교과서의 경우 국내서(번역서)는 가격이 싸지만 부피가 엄청나고 자잘한 오역 및 오타가 넘쳐나는데 배우는 주제는 많지 않다는게 단점이며, 해외서(원서)는 대부분의 이름난 명저들이 포진해있고 국내서에 비해 압도적으로 뛰어난 퀄리티와 거의 손바닥만한 사이즈에서 나오는 휴대성, 다양한 책이 널려있단 장점이 있으나 언어의 장벽, 그리고 대부분 나온 지 오래되어 절판된 책들이 많다는 점, 문제투성이의 수입 유통과정으로 인해 하드커버도 아닌 소프트커버가 기본적으로 5만원을 넘어가는 등 터무니없는 가격이 단점이다.

해외서의 경우 스프링어(Springer), 피어슨(Pearson) 계열사, 와일리(Wiley) 등에서 나온 교과서들이 많으며, 국내서는 경문사, 교우사 등과 최근에는 한빛아카데미에서 나온 책이 많이 쓰인다. 보통 이름난 원서는 둘 다 두루 쓰이지만 국내서는 수학교육과에서 특히 많이 쓴다. 중등교원임용경쟁시험은 국문 용어로 답안을 작성하기에 그걸 대비해야 하기 때문.

가끔씩 보면은 대학원 교재의 탈을 쓰고 학부수준의 내용도 다루는 교재들이 있다. 그것의 대표적이고 모범적인 예가 바로 Dummit의 대수학책과 Stein의 해석학 시리즈. 잘만 하면 좀 더 빨리 심화과정에 다다를 순 있다.

일변수 미적분학의 Spivak의 책 끝부분에 전공자들에게 권장하는 로드(Further Reading)가 있는데 몇몇 과목은 빠지고 저자의 전공인 기하학에 편중되어 있긴 하지만 스텝 바이 스텝으로 좋은 책이 많이 나와 있어 꽤 유용하므로 한번쯤은 참고해보자. 또한 각 과목의 문서에 들어가보면 아래에 열거 된 교재들의 대부분에 대한 친절한원망 설명과 리뷰분노가 들어가 있으니 그것 역시 참고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확률 및 통계의 경우 아래 통계학 문단에 기본적인 것들만 소개되어 있으며, 각 과에 특화된 수학과목(ex: 공업수학, 수리물리학, 수리경제학 등)들의 교재는 해당 문서에 잘 나와 있으니 그걸 보시라.

1. 미적분학2. 선형대수학3. 해석학6. 미분방정식7. 정수론
미적분학을 갓 배우고 있는 대학 초년생인지, 학부 수준의 대수학과 복소해석 내용을 잘 숙지하고 있는 고학년생인지에 따라 권장하는 교과서가 다르다. 이것은 학부 대수학이 은연히 기초 정수론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에 잘 이해하기만 해도 학부 정수론은 전부 끝낸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 또한 복소해석학이 필요한 이유는 바로 해석수론 관련 내용을 소화할 때 필수적이여서이다. 아직 이것들을 보지 않은 대부분의 학부 초년생들은 Maturity가 한참 부족하기 때문에 섣불리 뛰어들지 말고 중등수학의 대수 파트와 미적분학, 기초적인 논리증명법을 익혀두고 전자의 방식을 따르던지 하자. 게다가 정수론을 전공하려는 정수론 키즈들의 경우 하디와 라이트의 명작을 놓칠 수 없다!
* 학부 수준의 대수학과 복소해석을 숙지하지 않은 경우:
*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G. H. 하디 & Edward M. Wright
* The Higher Arithmetic, Harold Davenport
* Elementary Number Theory, David M. Burton(역)
* Elementary Number Theory, Kenneth H. Rosen(역)
*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Ivan Niven & Herbert S. Zuckerman & Hugh L. Montgomery
* A Friendly Introduction to Number Theory, Joseph H. Silverman(역)
* 정수론, 박승안&김응태
* 언급한 두 과목을 숙지한 고학년생의 경우:
* A Course in Arithmetic, Jean P. Serre
* Number Theory, Zenon I. Borevich & Igor R. Shafarevich
* Basic Number Theory, Andre Weil
8. 고전 기하학9. 집합론10. 대수학11. 위상수학12. 복소해석학13. 미분기하학
학부 수준의 곡선&곡면론과 다양체론은 둘 다 이 분야의 입문길인데, 둘 다 서로가 딱히 선수과목은 아니라서 뭘 먼저 할 것인가는 상관은 없지만 선수과목과 배우는 과정이 다르다. 전자(선곡선/면)는 다변수 미적분에 선형대수, 미분방정식이 요구되고, 후자(선다양체)는 거기에 해석학과 위상수학, 그리고 대수학의 군론이 요구된다. 배우는 과정의 경우 전자는 학부 책을 끝내고 나면 바로 이어서 후자의 방법을 따르게 되며, 후자같이 쌩 다양체부터 시작해서 다른 책을 참고안하고 앞만 쭉쭉 보고 나가면 곡선론은 리만기하학에서야 보게 된다. 이와 같은 접근성으로 인해 학부에선 전자의 방법이 스탠다드이며, 다양체론은 좀 짬을 들여 배우거나 아래의 "다변수 미적분의 해석학으로써의 다변수해석학"으로 배우게 된다. 일반 다양체와 이 과목과의 차이는 주로 기초적인 토픽(편도함수, 편미분등...)의 증명과 리군등의 내용이 들어가냐 마냐인데, 아직 미숙한 Maturity의 학부생들에겐 전자의 과목이 그나마 소화하기 편하다. 그리고 Spivak의 저 5권이나 되는 미분기하 시리즈, 엄청나게 크다. 미다체를 시작으로 리만기하학까지 쭉쭉 달리는데, 간단한 다변수 미적분 토픽 증명은 Calculus on Manifold한테 넘기니 없지만 그래도 학부수준부터 대학원 수준까지 나갈건 다 나간다. 요놈의 경우 처음에는 선수과목들이 학부생들도 소화할 수 있어 넘길 순 있으나, 점점 갈 수록 요구가 심해진다.(...)
* 곡선론 First:
* Differential Geometry of Curves and Surfaces, Manfredo P. do Carmo(역)
* Elementary Differential Geometry, Barrett O'Neil(역)
* Elementary Differential Geometry, Andrew N. Pressley(역)
* 다양체 First:
* An Introduction to Differentiable Manifolds and Riemannian Geometry, William M. Boothby
* Foundations of Differentiable Manifolds and Lie Groups, Frank W. Warner
* Differential Topology, Victor Guillemin & Alan Pollack
*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Differential Geometry Vol. 1~5, Michael Spivak
* 다변수해석학
* Calculus on Manifolds, Michael Spivak(역)
* Analysis on Manifolds, James Munkres
14. 수치해석15. 실해석학16. 대수기하학17. 이산수학

4.4.2. 통계학

1. 일반통계학
유독 통계학 전체에 대한 입문서는 바이블로 꼽힐만한 책이 있지는 않다. 어떤 개론서를 보든 무난하다는게 중론.2. 기초 확률론
해석학을 배우고 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미적분으로도 충분하다.3. 수리통계학
이 때부터 수학과의 선형대수학과 해석학을 필수로 배워야 한다.4. 확률론
여기까지 넘어가면 선대+해석 듀오를 넘어 실해석까지 필요하게 된다. 다행히 듀렛 기준으로 첫 장에 측도론이 나와있다.

4.4.3. 물리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반물리학 문서
5.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4. 천문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문학 문서
번 문단을
교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의약계열

5.1. 의학

5.1.1. 기초의학

5.1.1.1. 생리학
5.1.1.2. 해부학
5.1.1.3. 병리학
5.1.1.3.1. 법의학
5.1.1.4. 성과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과학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2. 임상의학

5.1.2.1. 내과
5.1.2.2. 외과
5.1.2.3. 흉부외과
5.1.2.4. 신경외과
5.1.2.5. 정형외과
5.1.2.6. 산부인과
5.1.2.7. 소아과
5.1.2.8. 정신과

5.2. 치의학

5.3. 한의학

5.4. 간호학

5.5. 약학

5.6. 약학

5.7. 한약학

5.8. 보건과학

6. 공학계열

6.1. 토목

6.1.1. 건축학

6.1.2. 건축공학

6.1.3. 건설관리학

6.1.4. 구조공학

6.1.5. 측량학

6.1.6. 교통공학

6.1.7. 도시학

6.1.8. 수공학

6.1.9. 지반공학

6.1.10. 환경공학


6.2. 기계

6.2.1. 기계공학

6.2.2. 금형공학

6.3. 전기

6.3.1. 전기공학

6.3.2. 전자공학

6.3.3. 컴퓨터공학

메이저 학과에 비해 번역본의 수요가 적어서 그런지 번역 상태가 열악한 경우가 많다. 영어가 아무 때나 혼용되어서 등장하기도 하고 군데군데 번역이 아예 안 되어 있기도 하니 이 점 유의하길 바란다. 대신에 번역본은 십만원이 넘는 원서보다는 훨씬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산수학 교재의 경우 아래 것들 말고 다른 명저들뿐 아니라 좀 더 심화된 조합론 교재도 설명되어 있어 수학 항목을 참조하는 것도 좋다.

6.4. 화공

6.4.1. 화학공학

6.4.2. 재료공학

6.5. 학제간 연구

7. 교육계열

7.1. 교육일반

7.1.1. 교육학

7.1.2. 유아교육학

7.1.3. 초등교육학

7.1.4. 특수교육학

7.2. 언어문학

7.2.1. 국어교육학

7.2.1.1. 한국어교육전공

7.2.2. 영어교육학

7.3. 인문사회

7.3.1. 역사교육학

7.3.2. 지리교육학

7.3.3. 사회교육학

7.4. 자연공학

7.4.1. 수학교육학

7.4.2. 과학교육학

7.5. 예술체육

7.5.1. 체육교육학

7.5.2. 음악교육학

7.5.3. 미술교육학

8. 연계통합전공

8.1. 지역학

9. 관련 문서


[1] 실제 법학 커리큘럼에서 개론서로 쓰이는 서적은 이 민법총칙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