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5 16:10:35

심정(조선)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06년 9월 8일 중종에 의해 책록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 (1등)
박원종 홍경주 류자광 류순정
장정 박영문 성희안 신윤무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2등)
이효성 최한홍 류순 이계
이활 심순경 윤형로 김수동
이계남 변수 조계상 김감
구수영
병충분의정국공신 (3등)
고수겸 류세웅 이심 민회창
구현휘 신준 정미수 강혼
류경 김경의 윤양로 심형
류계종 이식 허상 백수장
김우증 박건 한순 김수경
이함 황탄 윤사정 민희발
장온 이극정 이석번 송질
이손 정윤겸 심정
분의정국공신 (4등)
박이검 윤형 이종의 한사문
윤탄 조세훈 박영창 이창
박영분 변준 신윤문 민효증
이성언 이상 이맹우 김임
최유정 이희옹 변사겸 홍경림
김극성 이당 류홍 이성동
조계은 장한공 유승건 한숙창
강지 성몽정 윤희평 성율
이기 박이온 손동 윤장
류영 류응룡 이세응 신수린
윤금손 김선 신은윤 이곤
성희옹 윤여필 황맹헌 허광
한세창 조원륜 강윤희 조계형
문치 채수 서경생 김계공
김은 김무 권균 김준
반우형 김숙손 우정 임원산
송일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좌의정
심정
沈貞
출생 1471년 11월 16일[1]
(음력 성종 2년 윤9월 25일)
사망 1532년 1월 19일[2] (향년 60세)
(음력 1531년, 중종 26년 12월 3일)
평안도 강서현
사사형
봉호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1530년(중종 25) 삭탈
본관 풍산 심씨
정지(貞之)
소요정(逍遙亭)
부모 부친 - 심응(沈應, 1433 ~ 1504)
모친 - 대구 서씨 서문한(徐文翰)의 딸(? ~ 1523)
부인 하양 허씨 - 허당(許塘)의 딸(1468 ~ 1534)
자녀 장남 - 심사공(沈思恭)
차남 - 심사손(沈思遜, 1493 ~ 1528)
3남 - 심사순(沈思順, ? ~ 1531)
장녀 - 김억(金億)의 처
차녀 - 한윤종(韓胤宗)의 처
(서자) - 심사눌(沈思訥)

1. 개요2. 생애3. 평가4. 기타5. 대중매체6. 묘역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 중종반정에 참여해 정국공신에 책록되었다.

기묘사화 당시 남곤, 김전, 홍경주 등과 사건을 일으킨 인물로 지목되지만 정작 사건을 주도한 인물은 중종 자신이었다. 경서 해석과 역사에 밝았으며 학문상으로는 관학파 유학자였다. 교묘하게 꾀를 잘 써서 '꾀주머니'라는 별명도 있었는데 결론은 꾀로 흥한 자 꾀로 망했다.

2. 생애

1차 왕자의 난2차 왕자의 난 당시 공신이었던 심귀령(沈龜齡)의 증손이다.[3] 조선 시대 심씨 고위 인사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청송 심씨가 아니고 풍산 심씨이다. 1495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502년 별시 문과에 급제했으며 무오사화, 갑자사화 등을 극적으로 피했다. 1503년 수찬을 거쳐 1506년 중종반정이 터지자 가담하여 정국공신 3등으로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다. 1507년 중추부지사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김공저(金公著)와 조광보(趙光輔)가 역모를 일으켰다며 남곤, 김전, 김극성(金克成) 등과 함께 폭로하여 상을 받았다. 반면 이 옥사를 훈구파 대신들(특히 류자광)을 싫어했던 신진 사림파의 실제 어설픈 기도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중종실록》에 따르면 이 모의에 참여했던 김공저는 먼저 밀고하여 귀양에 그쳤고 남곤, 심정 등은 뒤에 "좀 더 천천히 알아보고 고하려고 했다"면서 고변했는데 상을 받았다. 이런 사림에는 넓게는 조광조까지 포함되었으나 불문에 부쳤으므로 사림들이 이 사실을 늦게 고변한 남곤, 심정을 싫어하게 될만도 하지만 심정 등의 입장에서는 또 목숨이 걸린 것이었다.

1509년 성천부사 등 외직을 전전하다가 1515년 이조판서까지 승진했으나 삼사의 탄핵으로 물러났는데 그 뒤를 이어 이조판서가 된 사람이 남곤이다. 1518년 형조판서의 물망에 올랐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비난 및 소인(小人)으로 지목받은 것과, 이조판서였던 안당(安瑭) 등의 거부로 임명받지 못했다. 이후 한성판윤을 거쳐 우여곡절 끝에 형조판서를 지냈지만, 조광조 일파의 탄핵으로 파직당해 정국공신 명단에서도 삭탈당하자 원한을 품고 김전, 홍경주 등과 기묘사화를 일으켜 사류를 모조리 숙청할 계획을 세운다. 이후 한강변에 정자를 지어 울분을 달래던 중 아들 심사손(沈思遜)마저 조광조 일파의 탄핵으로 파직당하자 조광조 등의 사류에 대한 원망이 골수에 맺혀 틈만 노리게 되었다. 이 때쯤 되면 정광필, 안당, 남곤 등도 조광조 일파의 지나친 탄핵질에 우려를 나타내고 거리를 두게 된다.

1519년 이조판서를 거쳐 한직으로 물러났다가 조광조 등이 위훈삭제(僞勳削除)를 요구하여 반정 공신들로부터 심한 반발을 받게 됐다. 심정이 경빈 박씨와 함께 조광조를 모해했다는 것은 진실이 아니다. 밤에 비밀리에 재상들을 부른 것은 중종이고 뜬금없이 조광조를 비난하며 군사들을 움직인 것도 중종이었기 때문에 중종의 친위 쿠데타가 맞다. 당장 실록에서도 신하들이 중종을 꼬드겼다는 헛소문이 돈다며 정광필부터가 모든 것이 다 왕이 주도한 왕의 뜻이라는 것을 널리 밝히라고 진언한다. 심정은 조광조와 악감정이 있었어도 삭탈관직이나 유배로 끝내려 했지 사사까지는 너무 지나치다고 중종에게 건의할 정도였다.

1522년 비변사 제조, 1527년 우의정에 이어 남곤, 김전 등과 함께 정권을 장악했으나 1527년 영의정 남곤이 죽고 김전마저 죽은 뒤 좌의정·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에 올라 수하에 이항(李沆)과 김극핍(金克愊)을 두고 권력을 독점하게 됐다. 세자(뒷날의 인종)의 누나 효혜공주의 시아버지인 이조판서 김안로[4]와의 경계는 이 때 더욱 격렬해졌는데 이행 등과 함께 대신과 육조, 대간을 총동원하여 김안로를 밀어내게 된다.

하지만 직후 경빈 박씨가 세자를 저주했다는 작서의 변 사건이 터지면서 경빈 박씨파로 몰려 김안로의 사주를 받은 대사헌 김근사(金謹思), 대사간 권예(權輗)의 탄핵으로 평안도 강서현[5]으로 귀양갔다. 이항, 김극핍과 함께 신묘삼간(辛卯三奸)으로 지목된데다가 김안로의 탄핵으로 경빈 박씨의 뇌물을 받았다는 죄목을 뒤집어 쓰고 사사되었다. 김안로 때문에 몰락했기에 '상은이 지중하다.'라는 말을 남긴 다음에는 죽기 직전까지 "원수 김안로!"를 연발하다가 죽었다.[6] 기묘사화가 일어난 지 12년 뒤에 벌어진 일로, 후일 김안로가 죽은 뒤에도 사림의 미움을 받아 사면 복권되지 못하고 소인의 대표적 인물로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두고두고 욕먹었다.[7]

심정은 남곤 못잖게 청렴했으며[8] 자기 가족은 끔찍이 챙겨 형제간에 우의는 지극하여 곤경에 처한 동생 심의(沈義)를 끝까지 보살펴주었다고 한다. 한편 유배지에 있을 때 변방의 만포 첨사로 있던 장남 심사손이 여진족에게 살해됐다는 비보를 접한다. 차남 심사순은 아버지의 일로 국문을 받았음에도 끝까지 자백을 하지 않았다가 결국 절명했다. 손자 심수경은 처신을 잘하여 가문의 명예를 회복했다. 그럼에도 심정 본인은 끝까지 명예를 회복하지 못하고 조선시대 내내 간신의 대표로 남았다. 그러나 정작 무슨 간신짓을 했는지는 기묘사화의 누명 이외에는 언급되지 못한다. 무고한 사람을 죽인 사림의 흑역사라, 민간에서도 양반들이 간신으로 취급하니 간신이긴 해도 억울하게 죽은 것이 불쌍하다는 동정여론이 많았다.[9]

3. 평가

"심정은 본래 음험한 성품으로 갑자기 높은 권좌에 올라 위복을 자기 멋대로 부리고 사특한 의논을 선동하여 자기와 의견을 달리하는 사람을 배척하였다. 지난번 작서(灼鼠)의 변 때 은밀히 박씨(朴氏)의 뇌물을 받아 그의 문앞이 저자 같았다.[10] 그 형세가 더욱 치성(熾盛)하여 죄악이 저절로 드러났는데도 가벼운 벌을 주었는데 공론이 있으므로 여기에서 그칠 수가 없었다. 그런데도 오히려 회개는 하지 않고 분노를 품고 틈을 엿보아 서로 당을 맺어 조정을 다시 어지럽혔다. 심사순이 다시 악한 마음을 품고 사림을 모해하고자 하여 네 거리에다 방문을 붙여 위로는 어휘(御諱)를 범하고 아래로는 인심을 요동시켜 말로 형언하기가 어려운 부도(不道)를 저지를 줄을 어찌 생각이나 했겠는가? 이는 일가가 분심을 쌓음으로 말미암아 이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래서 나라의 대계(大計)를 위해 특별히 사사(賜死)하게 하여 중외에 효유하였는데, 먼저의 전지는 그 사실이 곡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고쳐 효유한다."
중종 26년 12월 3일

사실상 진짜로 죽을만한 죄는 없이, 김안로를 밀어준 사림과 방관하는 중종의 손에 의해 죽임을 당한 것이다. 심정을 향한 동정여론이 도리어 생겨난 것과 이를 두고 사림이 발작한 것만 봐도 실제로 정말 큰 잘못을 저지른 것은 없던 셈이다.

이 탓에 중종이 심정의 죄랍시고 하는 것 역시 누명이거나, 자신과 의견이 다른 사람을 배척했다는 것이 전부다. 누명을 뒤집어쓰고 사림을 달래주기 위한 용도의 제물로 쓰여진 것이다. 어찌보면 조선사에 시작된 당파를 이유로 서로를 죽이기 시작하는 정쟁의 첫 희생자라고 할 수 있다.[11]

4. 기타

5. 대중매체

6. 묘역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장충단비
  1. 봉황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양관[1]}}}
  1. 낙성대 삼층석탑
  2. 정업원 터
  3. 용양봉저정
  4. 성제묘
  5. 사육신묘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종친부경근당과옥첩당[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한우물[3]}}}
  1. 양녕대군 이제 묘역
  2. 효령대군 이보 묘역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십자각[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인조별서유기비[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선농단[6]}}}
  1. 삼군부 청헌당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옥천암 마애좌상[7]}}}
  1. 수표교
  2. 경희궁 흥화문
  3. 경희궁 숭정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운현궁[8]}}}
  1. 안평대군 이용 집터
  2. 석파정 별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석불좌상[9]}}}
  1. 황학정
1.#26 석파정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한글고비[10]}}}
  1. 삼층석탑
  2. 석조팔각승탑
  3. 석불입상
  4. 석 비로자나불좌상
  5. 선희궁터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홍지문 및 탕춘대성[11]}}}
  1. 도선사 마애불입상
  2. 성공회 서울성당
  3. 천도교 중앙대교당
  4. 삼군부 총무당
  5. 금암기적비
  6. 약사사 삼층석탑
  7. 약사사 석불입상
  8. 화산군 이연 신도비
  9. 구영릉 석물
  10. 연령군 이훤 신도비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오층석탑[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석제태실신석[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석등(하대석)[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전수덕사사리탑[A]}}}
  1.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2.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
  3.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1] 사적 제253호로 승격[2] 보물로 승격[3] 사적 343호로 승격[4] 사적 117호 경복궁에 포함[5] 보물 제1462호로 승격[6] 사적 436호로 승격[7] 보물 제1820호로 승격[8] 사적 제257호로 승격[9] 보물 제1977호로 승격[10] 보물 1524호로 승격[11] 사적으로 승격[A] 소재지 이전(충북 음성)[A] [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기기국 번사창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승가사승가굴관음보살상[1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중명전[17]}}}
  1. 창빈 안씨 묘역
  2. 정간공 이명 묘역
  3. 종묘 어정
  4. 우암 송시열 집터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수표석[18]}}}
  1. 충헌공 김구 묘역
  2. 성안공 상진 묘역
  3. 동래 정씨 임당공파 묘역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수죽정공신도비[1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제곡정공신도비[20]}}}
  1. 봉은사 선불당
  2. 화계사 대웅전
  3. 흥천사 극락보전
  4. 흥천사 명부전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원사대웅전}}}
  1. 충숙이공 영정
  2. 충숙공 이상길 묘역
  3. 옛 제일은행 본점
  4.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
  5. 탑골공원 팔각정
  6. 순흥안씨 양도공파 묘역
  7. 지장사 철불좌상
1.#76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
  1. 풍산심씨문정공파묘역
  2. 신선경과 류인호 묘역
  3. 문양군 류희림 묘역
  4. 여계묘역
  5. 남지기로회도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목장지도[21]}}}
  1. 봉은사 판전 현판
  2.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시헌 익사공신록[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열조통기[B]}}}
  1. 김양보 호성공신록
  2. 상설고문진보대전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타사 마애좌상[24]}}}
  1. 광주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2. 양호거사비
  3. 대성사 목불좌상
  4. 원지동 석불입상 및 석탑
  5. 효간공 이정영 묘역
  6. 충익공 신경진 묘역
  7. 문희공 유창 묘역
  8. 오공신회맹축
  9. 보문사 석가불도
  10. 보문사 신중도
  11. 보문사 지장시왕도

[16] 보물 제1000호로 승격[17] 사적 제124호 덕수궁에 포함[18] 보물 제838호로 승격[19] 제61호에 통합지정[20] 제61호에 통합지정[21] 보물 제1595-1호로 승격[B] 소재지 이전(제주, 부산)[B] [24] 보물 제1828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26
  1. 조계사 대웅전
  2. 양정편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교장[26]}}}
  1. 승동교회
  2. 동아일보사옥
  3. 미국공사관
  4. 사현사 석불좌상
  5. 순명비 유강원 석물
  6. 조선 이흠례 묘지
  7.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 (지장보살)
  8. 십장생도
  9.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
  10. 삼국지연의도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용비어천가 권3,4[2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흥선대원군 이하응 영정[28]}}}
  1.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2. 진관사 소 삼존불상(석가불,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
    {{{-2 143-1. 석가여래좌상
143-2. 좌협시보살상
143-3. 우협시보살상}}}
  1. 진관사 소 십육나한상
    {{{-2 144-1. 빈도라바라다바자상
144-2. 가나가바차상
144-3. 가나가바라타자상
144-4. 소빈다상
144-5. 나쿠라상
144-6. 바다라상
144-7. 카리카상
144-8. 바자라푸트라상
144-9. 지바카상
144-10. 판타카상
144-11. 라후라상
144-12. 나가세나상
144-13. 안가다상
144-14. 바나바시상
144-15. 아지타상
144-16. 수다판타카상
144-17. 제석상
144-18. 사자상
144-19. 인왕상1
144-20. 인왕상2}}}
  1. 진관사 영산회상도
  2. 진관사 십육나한도
    {{{-2 146-1. 나한도1
146-2. 나한도2
146-3. 나한도3
146-4. 나한도4
146-5. 제석신중도
146-6. 사자신중도}}}
  1. 진관사 칠성도
  2. 진관사 명호스님 초상
  3. 진관사 산신도
  4. 녹훈도감 선사어선 연회도

[25] 보물로 승격[26] 사적 제485호로 승격[27] 보물 제1463-2호로 승격[28] 보물 제1499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철불좌상
  1. 청화백자산수인물문병
  2. 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
  3. 청화백자매화절지문필통
  4. 청화백자운룡문병
  5. 백자대병
  6. 백자양각시문병
  7. 백자장군
  8. 양온명수이도기편호
  9. 봉은사 목 사천왕상
  10. 금선사 신중도
  11. 금동보살좌상
  12. 간평의
  13. 앙부일구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조선본천하여지도[2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국대전권3[30]}}}
  1. 전송림사출토청동불구일괄
  2. 금동불좌상(아미타불)
  3. 송시열상
  4. 전이한철필어해도병
  5. 성불사금동보현보살좌상
  6. 을축갑회도
  7. 경수연도
  8. 태학계첩
  9. 경현당어제어필화재첩

[29] 보물 제1601호로 승격[30] 보물 제152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청룡사 지장시왕도
  1. 청룡사 칠성도
  2. 청룡사 현왕도
  3. 청룡사 감로도
  4. 청룡사 가사도
  5. 청룡사 신중도
  6. 청룡사 석 삼불상
  7. 목우자 수심결·법어
  8. 금동석장 머리장식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곤여전도[31]}}}
  1. 학림사 삼신불괘불도
  2. 개운사 감로도
  3. 개운사 신중도
  4. 개운사 팔상도
  5. 개운사 지장시왕도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타사 금동 보살좌상(관음보살)[32]}}}
  1. 환희사 목불좌상(아미타불)
  2. 환희사 석불입상
  3. 청동 종
  4. 청동 종
  5. 류순정 영정
  6. 성변등록
  7. 정각사 목 아미타불좌상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자치통감 사정전 훈의 권 48-52[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자치통감강목 권 54[C]}}}
1.#226
  1. 봉은사 목 삼존불상(석가불, 가섭존자, 아난존자)
  2. 봉은사 목 십육나한상
  3. 봉은사 대웅전 신중도
  4. 봉은사 판전 신중도
  5. 봉은사 괘불도
  6. 봉은사 비로자나불도
  7. 봉은사 칠성도
  8. 봉은사 삼세불도
  9. 봉은사 삼장보살도
  10. 봉은사 감로도
  11. 봉은사 영산회상도
  12. 봉은사 십육나한도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학림옥로 권9~11[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서대문 권1~6[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묘법연화경 권5~7[D]}}}
  1. 수국사 아미타불도
  2. 수국사 십육나한도
  3. 수국사 극락구품도
  4. 수국사 감로도
  5. 수국사 신중도
  6. 수국사 현왕도
  7. 경국사 목 관음보살좌상
  8. 미타사 석불입상
  9. 염불사 목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일괄

[31] 소재지 이전(제주, 부산)[32] 보물 제1818호로 승격[C] 화성박물관에 매도[C] [35] 보물 제1818호로 승격[D] 원주 무릉박물관 소장[D] [D]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염불사 지장시왕도
  1.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권12
  2. 묘법연화경권2
  3. 묘법연화경권5~7
  4. 묘법연화경권3
  5. 묘법연화경권5
  6.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권1
  7.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8. 도선사 청동 종 및 일괄 유물
    {{{-2 259-1. 동종
259-2. 청동숟가락
259-3. 청동젓가락
259-4. 청동국자
259-5. 일본봉래문경
259-6. 상평통보}}}
  1. 경국사 지장시왕도
  2. 경국사 감로도
  3. 경국사 팔상도
  4. 경국사 신중도
  5. 경국사 괘불도
  6. 법주사 수정암 석불좌상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수당진찬도[3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희경루방회도[40]}}}
  1. 감지은니범망경보살계및보살계의
  2. 지장암목비로자나불좌상복장전적류
    {{{-2 269-1. 화엄경소
269-2. 불명경권2,3
269-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권1,3,4,6
269-4. 묘법연화경권1,2,3,4,6
269-5. 각종다라니}}}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지장암신중도[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지장암감로도[E]}}}
  1. 백자청화칠보수복문호
  2. 백자상감연리지문병
  3. 백자청화화훼문병
  4. 백자호
1.#276 백자동화원형문각호
  1. 백자청화산수인물문사각병
  2. 백자청화화분문호
  3. 대한천일은행창립관련문서및회계문서일괄
  4. 상부암석불입상
  5. 도선사 석 삼존불상
    {{{-2 281-1. 본존불
281-2. 향우측 협시상
281-3. 향좌측 협시상}}}
  1. 기원사 독성도
  2. 지장암 지장보살도
  3. 지장암 산신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청룡사 석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43]}}}
  1. 묘법연화경 권1~7
  2. 사자암 신중도
  3. 사자암 영산회괘불도
  4. 사자암 현왕도
  5. 청련사 산신도
  6. 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
  7. 천축사 비로자나삼신불도
  8. 천축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9. 인천해관문서
  10.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11. 수선전도
  12. 도성대지도
  13. 수선총도
  14. 망우동지
  15. 훈도방주자동지

[39] 보물 제1430-2호로 승격[40] 보물 제1879호로 승격[E] 소유자 변경에 따라 시외 반출[E] [43] 보물 제182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26 선원제전집도서
  1. 지장암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2. 지장암 석조천불좌상 및 복장유물
  3. 지장암 석조가섭아난입상 및 복장유물
  4. 지장암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5. 지장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6. 지장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7. 지장암 목조관음지장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8. 지장암 자수아미타삼존괘불도 및 복장유물
  9. 지장암 자수지장보살도
  10. 학림사 석조약사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11. 심곡사 목조보살좌상
  12. 불설입무분별법문경
  13.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 권9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공자행단현가도[44]}}}
  1. 보각사 목조여래좌상
  2. 연화사 아미타불괘불도
  3. 연화사 칠성도
  4. 연화사 천수관음도
  5. 연화사 신중도
  6. 연화사 지장시왕도
  7. 천축사 목조석가삼존불
  8. 연복사탑중창비
  9. 도봉사치성광여래삼존도
  10. 석굴암 천룡도

[44] 경기지역으로 반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봉국사 아미타괘불도
  1. 봉국사 지장시왕도
  2. 봉국사 명부전 시왕도 및 사자도
  3. 봉국사 목조석가여래좌상
  4. 봉국사 석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및 권속
  5. 양헌수 병인양요 관련 문적
    {{{-2 356-1. 병인일기
356-2. 정족산성접전사실
356-3. 하거집}}}
  1. 정태제묘 출토 전적류 일괄
  2. 미타사 아미타후불도
  3. 미타사 지장시왕도
  4. 미타사 신중도
  5. 미타사 칠성도
  6. 미타사 백의관음도
  7. 봉원사 아미타괘불도
  8. 봉원사 범종
  9. 동관왕묘 소장유물 일괄
  10. 천축사 목조불단
  11. 흥천사 아미타불도
  12. 흥천사 지장시왕도
  13. 반야암 목조관음보살좌상
  14. 반야암 목조석가여래좌상
  15. 반야암 석조보살좌상
  1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흥천사 바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함[45]}}}
  1. 양아록
  2. 육조대사법보단경(언해) 권상
  3. 묘법연화경 권1∼3
1.#376 선종영가집(언해)
  1.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1
  2. 최북필 단구승유도
  3. 흥천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판
  4. 흥천사 현왕도
  5. 백상정사 신중도
  6. 의령남씨가전화첩
  7. 도안사 은선묘아미타삼존도
  8. 백자 청화운현명만자문병
  9. 화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10.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11. 화계사 천수천안관음변상판
  12. 화계사 탑다라니판
  13. 화계사 아미타후불도
  14. 화계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15. 화계사 명부전 십대왕도
  16. 화계사 명부전 시왕도 및 사자도
  17.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18. 현수제승법수
  19. 독곡집 권상
  20. 도선사 석조관음보살좌상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제존자삼종가[E]}}}
  1. 대혜보각선사서
  2. 마하연 제석천룡도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반야바라밀다경 권534[E]}}}

[45] 보물로 승격[E] 소유자 변경으로 시외반출[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1. 백자청화 칠보화훼문 사각병
  2. 성제묘 무신도
  3. 장충동 관성묘 무신도
  4. 흥천사 극락보전 극락구품도
  5. 흥천사 극락보전 도량신도
  6. 흥천사 극락보전 신중도
  7. 흥천사 천룡도
  8. 흥천사 만세루 아미타불회도
  9. 흥천사 만세루 신중도
  10. 흥천사 만세루 제석천도
  11. 흥천사 도량장엄번
  12. 흥천사 목조여래좌상
  13. 흥천사 목조보살좌상
  14. 흥천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2 415-1. 석조지장보살좌상
415-2. 석조무독귀왕상
415-3. 석조도명존자상
415-4. 시왕상
415-5. 귀왕상
415-6. 판관상
415-7. 사자상
415-8. 금강역사상
415-9. 동자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및 복장유물[48]}}}
  1.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2. 용암사 현왕도
  3. 조문명 초상
  4. 해학반도도 병풍
  5. 김홍도 필 매해파행도
  6. 고봉화상선요
  7. 흥천사 시왕도
  8. 진위대 군안궤
  9. 봉은사 판전
1.#426 지장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E]}}}
  1. 소미타참서
  2. 지장보살본원경
  3. 배자예부운략 권1~3, 권4
  4. 비변사계회도
  5. 백자호
  6. 운가사 현수제승법수
  7.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8. 원응사 묘법연화경
  9. 몽산화상법어약록
  10. 무예제보
  11. 적조사 신중도
  12. 자수 연지화조문 방석
  13. 자수 연지봉황문 방석
  14. 자수 '상궁청신녀'명 연화봉황문 방석
  15. 자수 '아미타불'명 번
  16. 자수 연화당초문 현우경 표지
  17. 논어언해 권3
  18. 묘법연화경
  19. 선학원 신중도
  20. 영가대사증도가 남명천선사계송(언해)
  21. 자치통감강목 권11
  22. 역정감구봉수지도
  23.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48] 보물로 승격[E] 소유자 변경으로 시외반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50] 보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3.04.0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colcolor=#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77호
풍산 심씨 문정공파 묘역
豊山 沈氏 文靖公派 墓域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463-10, 463-13, 855, 산153-3
시대 조선 시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 / 면적 분묘 6基, 석물 25基, 사당1棟, 토지 1,190㎡
지정연도 1991년 12월 24일
관리자
(관리단체)
풍산심씨 종친회
파일:풍산_심씨_문정공파_묘역.jpg
파일:풍산심씨문정공파묘역.jpg
<colbgcolor=#c00d45,#94153e> 풍산 심씨 문정공파 묘역[15]
현재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에 심정의 묘가 있다. 장남 심사손, 차남 심사순 및 손자 심수경 등 심정 자손들의 묘 60여 기도 함께 있어 하나의 가족 묘역을 이루고 있다. 1991년 12월 24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받았다. 풍산 심씨 문중에서는 심정의 후손들을 그의 시호를 따서 문정공파로 분류하며 따라서 문화재로 지정할 때 공식 명칭을 '풍산 심씨 문정공파 묘역'이라 했다.


[1] 율리우스력 11월 7일[2] 율리우스력 1월 9일[3] 사실 심귀령은 공신이라고는 해도 4등 공신으로 이름만 올린 수준이었으며 여말선초의 무장 중 1명으로 생각하면 된다.[4] 김안로는 김종직의 제자인 김전의 동생 김흔의 아들이였는데 김전이 중종반정을 계기로 후배 사림파와 원수가 되고 자신은 중종의 딸을 며느리로 삼으면서 외척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5] 서울특별시 강서구가 아니다.[6] 이 장면은 2001년 SBS 드라마 〈여인천하〉에도 나왔다.[7] 사실 김안로를 앞세운 것이 사림이었고, 당시 사림은 김안로를 위해서 죄없는 심정과 이행 등을 모함했다라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사림은 이를 두고 "우리를 해하려는 근거 없는 모함"이라고 일축했는데, 만약 심정과 이행이 억울하다는 것이 밝혀진다면 역으로 공격당할 거라 생각해 사림 입장에선 어떻게든 심정과 이행은 죽었어야 했고, 죄를 뒤집어써야만 했다.[8] 그들이 관학파 출신이었다는걸 상기하자. 세도가 극에 달하게 되는건 권력이 견제없이 집중된 김안로, 윤원형 때의 일.[9] 심지어 이는 사림의 역사관을 그대로 수용하며 쓴 일제강점기 시절 소설인 임꺽정전에서도 간신이지만 억울하게 죽은 심정이 불쌍하다라는 식으로 나온다. 실록이 밝혀지며 재평가가 되기 전에도 이미 심정이 불쌍하다는 여론은 있었던 셈이다.[10] 이 일이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중종도 알고 있었다. 당장 이종익이 해당 일이 없는 것은 전하도 잘 알고 있지 않냐며 그런데 왜 이런 말을 하냐고 대놓고 억울함을 표하는 옥중상소를 썼을 정도다. 출처[11] 조광조의 경우나 이전은 대부분 연산군이나 중종에 의한 숙청이었지, 관료들끼리 정적을 죽인 것이 아니었다. 조광조의 경우, 관학파나 훈구파에서도 다들 조광조를 살리려고 애를 썼던 것처럼 서로 죽인다는 개념은 정착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조광조의 죽음을 엉뚱한 이들에게 돌리고 피에 굶주린 사림파의 흑역사적인 만행으로 인해 이후 조선에 관료들이 당이 다르면 서로를 죽인다는 개념이 정착된다.[12] 야스에 따르면 남곤도 돌아가면서 "심정... 자네 아우도 내 형만큼 현명하구려..."라고 중얼거렸다고. 사화 이후의 태조를 보면 남곤은 어떻게든 조광조를 살리려고 노력한 인물이였다. 원래 조광조를 죽이려 한 이는 중종인데 정광필과 남곤이 결사 반대하여 삭탈관직과 유배형으로 형량을 많이 낮추었다. 결국 중종이 조광조를 죽이려고 하자 남곤은 "옳은 일 하려다가 자신만 옳다는 편집적인 성격이 된 것뿐이라며" 목숨까지 거둘 필요가 있냐고 사사에 반대했고 중종이 계속 죽이자고 할 때마다 끝없이 반대하며 조광조가 죽은 후에는 매우 슬퍼했다. 중종의 꼭두각시로 놀아난 도구였다는 점은 남곤과 심정도 마찬가지.[13] 혹은 아우가 위기에 몰렸을 때 탈출하라는 암시로 쥐구멍을 잘 기억해두라고 이야기를 하자 그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고도 하며 아예 무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14] 조선 시대에는 법적으로 남자는 16살, 여자는 14살이면 결혼이 허용(1440년에 제정된 법이다.)되었기에 되려 나이 차가 그 시절에는 늦게 본 손자라고 여길 수도 있었다. 증손자뻘을 볼 나이에 아들을 본 심수경이 독특한 것이다.[15]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위키백과: Amond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