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1:38:32

유홍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한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유홍(후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유홍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광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90년 8월 1일 선조에 의해 책록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 (1등)
유홍 윤근수 황정욱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수충공성익모광국공신 (2등)
윤두수 윤섬 윤형 이후백
한응인 홍성민 홍순언
수충공성광국공신 (3등)
기대승 김주 류성룡 윤탁연
이산해 이양원 정철 최황
황림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평난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90년 8월 1일 선조에 의해 책록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 (1등)
박충간 이축 한응인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 (2등)
김귀영1 남절 류전 민인백
유홍 이산해 이수 이준
정철2 조구 한준 홍성민
추충분의평남공신 (3등)
강신 김명원 이정립 이증
이항복 이헌국 최황
1 1593년 임해군, 순화군을 보호하지 못한 혐의로 인한 제명, 1664년 현종 때 복권
2 1594년 탄핵으로 인한 제명, 1624년 인조 때 복권, 1691년 정무서 등의 상소로 인한 제명, 1694년 숙종 때 복권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기성부원군(杞城府院君) 충목공(忠穆公)
유홍
兪泓
출생 1524년(중종 19)
사망 1595년 2월 3일 (향년 69 ~ 70세)
(음력 1594년, 선조 27년 12월 25일)
봉호 기성부원군(杞城府院君)
시호 충목(忠穆)
본관 기계 유씨
지숙(止叔)
송당(松塘)
부모 부친 - 유관(兪綰)
모친 - 의령 남씨 남충세(南忠世)의 딸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관 관료. 기계 유씨의 중시조 중 한 명이다. 시관으로 이이를 뽑은 적이 있다고 한다. 이때 이이가 한때 불교에 빠져있었다는 이유로 장원은 주지 말자고 하는 이들이 있었는데 유홍이 '선현들도 처음 공부할 때는 실수한 적이 있다. 이제 제대로 유학을 공부하고 있는데 뭘 탓하냐?'라고 두둔해서 장원을 받을 수 있었다고 한다. 함경 병사, 개성 유수, 충청·전라·경상·함경·평안도의 관찰사, 한성 판윤을 두루 역임한 실무형 관료였다.

2. 생애

오랫동안 조선의 골머리를 앓게 한 종계변무에서 공을 세워[1] 윤근수[2], 황정욱과 함께 광국 공신 1등에 봉해졌다.

기축옥사 때는 정철과 함께 옥사를 지휘했는데, 잔혹한 정철에 비해 죄 없는 사람은 살려주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그런데 기축 옥사 자체가 선조의 비호를 받는 정철의 원맨쇼에 가까워서 크게 영향은 없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를 호종했으며 우의정에 오른다. 파천을 할 때 자기 가족들을 먼저 대피시키고 임금과 신하들은 서울을 사수하자고 해서 욕을 먹기도 했다. 본인은 이미 일흔에 가까운 노인이니 죽어도 미련이 없겠지만 아직 천수를 누리지 못한 사람들한테야 곱게 보일 리가 없다. 그러다 도원수 김명원의 장계를 그대로 읽고 본의 아니게 신각의 처형을 주도한다.

광해군이 분조를 이끌고 함경도로 향하자 세자를 수행하길 청한다.[3] 함경도가 이미 왜놈들의 손아귀에 들어가버렸다는 걸 파악한 광해군이 분조를 이끌고 남하하자 유홍도 뒤따르며 의병을 격려하는 격문을 돌린다.

왜군이 명나라와의 강화 회담으로 잠시 물러났을 땐 임금보다 먼저 서울에 와서 불탄 도성을 수습하고 전재민을 수습했다. 이후 좌의정으로 승진했으나 해주에서 왕비를 호종하다 객사한다.

참고로 그 의심 많은 선조가 일관적으로 신임한 드문 케이스의 신하였다. 전쟁 도중 대간들에게 지기는 있지만 일은 못 한다는 평가를 받아 끊임없이 탄핵받았고 본인도 고령이고 재주가 없다는 이유로 사직을 여러 번 청했지만 선조는 대신을 함부로 바꿀 수 없다며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래서 실록을 보면 능력 없는 자가 재상 자리에 오래 앉아 있었다고 사관에게 까이고 위급한 때에 재상을 바꾸지 않았다고 선조도 까인다. 인재를 보는 눈 하나만큼은 세종만큼이나 뛰어나다는 선조가 계속 중책을 맡겼던 만큼 능력이 없는 것 아니었겠지만, 이미 평균 수명을 훌쩍 넘긴 노령이었으므로 전시의 거친 업무를 감당하기 어려웠던 모양.

나름 조선사의 여러 굵직한 사건에 얽혀 있지만, 대중적 인지도는 심하게 낮다. 종계 변무는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기보단 뒷마무리를 처리한 거였고(게다가 홍순언의 야사 때문에 당시 실무자들은 전부 묻혔다), 기축옥사야 뭐 정철을 빼면 다들 하나같이 존재감 없기는 매한가지지만, 임진왜란 초기에 유성룡, 윤두수와 함께 전시 삼정승으로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어떤 드라마에서도 유홍의 배역은 없었다. 심지어 광해군을 따른 신하들 중에서 가장 높은 지위[4]에 있었던 신료임에도 광해군이 주인공인 매체에서까지 나온 적이 없다.[5]

3. 여담

본인은 존재감도 인지도도 하나같이 제로지만, 사위와 외손자는 조선사에 엄청난 임팩트를 남긴 인물들이었다. 부인이 둘 있었는데, 첫째 부인과 둘째 부인 모두 딸을 하나씩 낳았다(딸만 낳았다는 소리는 절대로 아니다). 이때 첫째 부인의 딸이 시집간 곳이 김장생의 아들이자 아버지와 함께 송시열을 가르친 김집이고, 둘째 부인의 딸은 김탁에게 시집가 김자점을 낳았다.

4. 대중매체


[1] 1584년 종계 변무 주청사 황정욱 일행이 대명회전에 이성계가 이인임의 아들로 되어 있는 오류를 고쳐놓겠다는 답을 받아왔는데, 이후 조선에선 대명회전 수정본이 거의 완성되었다는 소문을 듣고 유홍을 사은사로 보내 수정본을 받아오도록 시킨다. 기존에 명나라가 고쳐주겠다고 하고 입을 싹 닦은 적이 있으므로 조선 측에서는 아예 수정본까지 속시원하게 확인해야 불안감이 사라질 거였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중국 쪽에선 아직 황제가 수정본을 읽지 않았다는 핑계로 거부하려고 했고 이에 유홍이 사신단을 이끌고 피눈물을 흘리며 간청해서 수정본을 받아내는데 성공했다고 한다.[2] 친형이 윤두수다.[3] 징비록에 의하면 이때 유홍이 선조에게 하직 인사를 청했는데 선조가 무시했다고 묘사된다. 당시 선조는 무책임한 행태로 권위가 엄청나게 흔들린 상황이었는데, 영의정 최흥원은 세자를 수행하기로 되어 있었고 좌의정 윤두수는 평양에서 돌아오지 않았다. 이 상황에서 우의정까지 세자를 따라가겠다고 하면 선조 곁에는 삼정승이 아무도 없으니 곱게 보이지 않았던 모양. 유홍마저 떠나버리자 당시 선조 곁에 있는 재상급 인사는 정철밖에 없었다.[4] 영의정 최흥원은 강계까지만 호종하고 왕이 있는 의주로 돌아갔다.[5] 단, 밑에 써 있듯이 아주 옛날 영화에 나온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