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22:08:34

샤를 6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 #002395;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0.3px"
카페 왕조
위그 로베르 2세 앙리 1세 필리프 1세
루이 6세 루이 7세 필리프 2세 루이 8세
루이 9세 필리프 3세 필리프 4세 루이 10세
장 1세 필리프 5세 샤를 4세
발루아 왕조
필리프 6세 장 2세 샤를 5세 샤를 6세
샤를 7세 루이 11세 샤를 8세
발루아오를레앙 왕조
루이 12세
{{{#!wiki style="margin: -16px -11px" 발루아앙굴렘 왕조
프랑수아 1세 앙리 2세 프랑수아 2세 샤를 9세 앙리 3세 }}}
부르봉 왕조
앙리 4세 루이 13세 루이 14세 루이 15세
루이 16세 (루이 17세) 루이 18세 샤를 10세
(루이 19세) (앙리 5세)
}}}}}}}}}



샤를 6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Dauphinarm.png
프랑스 도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장 2세 사를 5세 사를 6세
샤를 샤를 샤를 루이
샤를 6세 샤를 7세 루이 11세
샤를 루이 샤를
샤를 8세 프랑수아 1세
샤를 오를레앙 샤를 프랑수아 프랑수아
프랑수아 1세 앙리 2세 앙리 4세 루이 13세
앙리 프랑수아 루이 루이 디외도네
루이 14세
그랑 도팽 루이 프티 도팽 루이 루이 루이
루이 15세 루이 16세
루이 페르디낭 루이 오귀스트 루이 조제프 루이 샤를
샤를 10세
루이 앙투안
프랑스 국왕 }}}}}}}}}}}}
<colbgcolor=#fff><colcolor=#002395>
프랑스 발루아 왕조 제4대 국왕
샤를 6세
Charles VI
파일:샤를 6세 1410년대.jpg
1411년 묘사[1]
출생 1368년 12월 3일
프랑스 왕국 파리
사망 1422년 10월 21일 (향년 53세)
프랑스 왕국 파리
재위기간 프랑스 국왕
1380년 9월 16일 ~ 1422년 10월 21일
서명 파일:Signature_of_Charles_VI_of_France.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02395> 가문 발루아 가문
이름 샤를 드 프랑스
(Charles de France)
아버지 샤를 5세
어머니 부르봉의 잔
형제자매 루이 1세, 카트린
배우자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1385년 결혼)
자녀 샤를, 이자벨, 잔, 샤를, 마리, 미셸, 루이, , 카트린, 샤를 7세, 마르그리트(사생아)
종교 가톨릭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
3.1. 조상3.2. 왕비3.3. 자녀
4. 여담

1. 개요

<colbgcolor=#fff><colcolor=#002395> 파일:saint-c388vre_-_charles_vi_of_france.jpg
1837년 상상화[2]
프랑스 왕국의 국왕. 발루아 왕조의 제4대 왕이며, 샤를 5세의 아들이다. 별칭은 '사랑받는 왕(le Bien-Aimé)' 또는 '미치광이 왕(le Fou)'이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샤를 6세/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를 6세/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를 6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가족 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샤를 6세
(Charles VI)
<colbgcolor=#fff3e4,#331c00> 샤를 5세
(Charles V)
<colbgcolor=#ffffe4,#323300> 장 2세
(Jean II)
필리프 6세
(Philippe VI)
부르고뉴의 잔
(Jeanne de Bourgogne)
룩셈부르크의 보나
(Bonne of Luxembourg)
얀 루쳄부르스키
(Jan Lucemburský)
엘리슈카 프르셰미슬로브나
(Eliška Přemyslovna)
부르봉의 잔
(Jeanne de Bourbon)
피에르 1세 드 부르봉[3]
(Pierre Ier de Bourbon, Duc de Bourbon)
루이 1세 드 부르봉
(Louis Ier de Bourbon, Duc de Bourbon)
마리 드 에노
(Marie de Hainaut)
발루아의 이자벨
(Isabelle de Valois)
샤를 드 발루아
(Charles de Valois)
마호트 드 샤티용
(Mahaut de Châtillon)

참고로 외외증조부인 샤를 드 발루아는 친증조부인 필리프 6세의 아버지이다.(...)

3.2. 왕비

파일:Christine_de_Pisan_and_Queen_Isabeau_detail.jpg
이자보 드 바비에르(1370년~1435년 9월 24일)

3.3.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남 프랑스의 도팽 샤를
(Charles, Dauphin of France)
1386년 9월 25일 1386년 9월 28일
1녀 잉글랜드의 왕비 이사벨라
(Isabella, Queen of England)
1389년 11월 9일 1409년 9월 13일 리처드 2세
오를레앙 공작 샤를 1세
슬하 1녀
2녀 브르타뉴 공작부인 잔
(Joan, Duchess of Brittany)
1391년 1월 24일 1433년 9월 27일 브르타뉴 공작 장 5세
슬하 4남 3녀
2남 프랑스의 도팽 샤를
(Charles, Dauphin of France)
1392년 2월 6일 1401년 1월 13일
3녀 푸아시 수녀원 부원장 마리
(Marie, Prioress of Poissy)
1393년 8월 24일 1438년 8월 19일
4녀 부르고뉴 공작부인 미셸
(Michelle, Duchess of Burgundy)
1395년 1월 11일 1422년 7월 8일 선량공 필리프
슬하 1녀
3남 프랑스의 도팽 루이
(Louis, Dauphin of France)
1397년 1월 22일 1415년 12월 18일 부르고뉴의 마르그리트
4남 프랑스의 도팽 장
(John, Dauphin of France)
1398년 8월 31일 1417년 4월 5일 에노의 자클린
5녀 잉글랜드의 왕비 캐서린
(Catherine, Queen of England)
1401년 10월 27일 1437년 1월 3일 헨리 5세
슬하 1남[4]
오언 튜더
슬하 3남 1녀[5]
5남 샤를 7세
(Charles VII)
1403년 2월 22일 1461년 7월 22일 앙주의 마리
슬하 5남 2녀[6]

4. 여담

루브르 박물관 입구의 유리 피라미드를 설치하기 위해 땅을 파던 도중 유적이 드러났고 그중 황금 투구가 발굴되었는데 샤를 6세의 투구라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 유물은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당시 존망의 위기로 서유럽을 돌아다니던 동로마 황제 마누일 2세를 가장 극진히 대접한 인물이기도 하다. 당시 성 드니 축일연 행사에 초청하고 루브르 궁전을 숙소로 제공하는 등 크게 환대하였는데 당시 휘하 영주들이 황제는 정교도의 수장이라 하여 이렇게까지 극진히 대접하는 것에는 반대했지만 쌩까고 그냥 강행했다. 이후에는 지원병을 청하는 황제의 요청에 따라 실제로 적게나마 지원군을 보내주기도 했다.


[1] 수도사 피에르 살로몽과 대화하는 그림.원본[2] 생전에 초상화를 정식으로 남기지 못해 1837년에 상상화가 만들어진 프랑스 왕들 중 마지막이다. 이후부터는 공식 초상화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3] 영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이 외조부 또한 정신적으로 불안정했고, 그 딸이자 어머니인 잔, 외삼촌인 루이 2세 드 부르봉도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보아 이 외조부에게 정신병력이 유전되었을 개연성이 상당해 보인다고 한다. 영어 위키백과 Peter I, Duke of Bourbon 중, 'Peter is reported to have been somewhat mentally unstable, a trait of nervous breakdowns (presumably hereditary, if mental illness is hereditary) that showed clearly for example in his daughter Joan of Bourbon, the queen, and in her son, king Charles VI of France, as well as in Peter's only surviving son, Duke Louis II.'[4] 헨리 6세[5] 리치몬드 백작 에드먼드 튜더, 베드퍼드 공작 재스퍼 튜더[6] 루이 11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