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4:12:40

백색 주체사상


파일:차별.png
차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형태 구조적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민족/국민 정체성 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아랍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반화) · 코리아인*(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사회문화 계급(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성노동자(SWERF)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성소수자 동성애(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미소지니)
종교 기독교(공포증 · 가톨릭) · 불교 · 이슬람(공포증(히잡))
특성 (남성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모발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체제화) · 자폐 · 장애(혐오 · 청각)
차별 관련 사상 대한족주의 · 동화주의**(마스킹 · 일코 · 커버링) · 반지성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인종 분리주의(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족벌주의 · 혈통주의(한 방울 원칙)
대책 다문화주의 · 다양성(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비만 수용 운동) · 민권 운동(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관련 주제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억압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발언(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마름))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또한 ethnic Korean (한민족) 뿐 아니라 비한민족 계열 대한민국/북한 국적자도 넓은 의미의 Korean에 포함된다. }}}}}}}}}

파일:Flag_of_Third_Position.png
제3의 위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공통 국수주의 · 민족주의 · 황색 사회주의 · 혼합 정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협동조합주의
이념 국민생디칼리슴 · 나치-마오주의 · 민족 볼셰비즘 · 민족 아나키즘 · 슈트라서주의 · 순정사회주의 · 신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아랍 사회주의(바트주의) · 제4의 정치이론 · 좌익 파시즘 · 정통 페론주의 · 주체사상(백색 주체사상) · 팔랑헤주의 · MAGA 공산주의
정당/조직 독일 노동당 · 레히 · 민족 볼셰비키당 · 사회대중당 · 시리아 사회민족당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유라시아당 · 전통주의노동자당 · 팔랑헤 · 흑색 전선
인물 그레고어 슈트라서 · 기타 잇키 · 니콜라 봄바치 · 베니토 무솔리니(초기) · 알렉산드르 두긴(초기)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니키쉬 · 에른스트 윙어 · 조르주 소렐 · 찬드라 보스 · 후안 페론
기타 대안 우파 · 보수혁명 · 파시즘 · 인종국민주의 · 조선민족제일주의 · 좌익 보수주의 · 카다피주의 · 편자이론
}}}}}}}}} ||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이념 국가주의 · 국수주의 · 군국주의 · 권위주의 · 대중주의 · 민족주의 · 반공주의 · 지도자 원리 · 사회진화론 · 반민주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영웅주의 · 우생학 · 전체주의 · 협동조합주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네오 나치즘) · 네오 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프랑스 파시즘 · 에코파시즘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국민급진기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가사회주의 스웨덴 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조우 연대파일:모호 아이콘.svg · 바그너 그룹 · 레히 · 영국 자유군단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마르틴 하이데거파일:모호 아이콘.svg · 기타 잇키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르주 소렐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1922~1943의 이탈리아 왕국과 1943~1945의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파일:모호 아이콘.svg 파시즘 여부 논란 있음
}}}}}}}}}

대안 우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eee> 관련 주제 고립주의(반세계화 · 불개입주의) · 고보수주의 · 내셔널리즘(네오내셔널리즘 · 백인민족주의) · 네오 파시즘 · 호모포비아 · 반유대주의(시오니스트 반유대주의) · 반이슬람 · 보우소나루주의 · 신반동주의 · 안티페미니즘(MGTOW · 레드필) · 우익대중주의 · 음모론 · 이슬람공포증 · 인종주의 · 테러리즘 · 트럼프주의(MAGA 공산주의)
사건사고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 2022년 버팔로 총기난사 사건 · 2023년 브라질 의회 점거 폭동 · 게이머게이트 ·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 테러 · 버지니아 샬러츠빌 폭동 · 텍사스 월마트 총기 난사 사건 · 피츠버그 총기난사 사건
음모론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부정선거 음모론 ·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부정선거 음모론 · 문화적 마르크스주의 · 유대인 음모론(유대인 배후자본설 · 유대 볼셰비즘) · 유라비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음모론 · 피자게이트 · 백인 제노사이드
상징/용어 Based · Cuckservative · Libtard · Safe space · Snowflake · Social Justice Warrior · 로버트 E. 리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켈트 십자가 · 페페 더 프로그
인물 Negative XP · TheQuartering · Tom MacDonald · 나오미 자입트 · 나이젤 패라지 · 닉 푸엔테스 · 데이비드 듀크 · 도널드 트럼프 · 라이언 키넬 · 로라 루머 · 로렌 서던 · 로렌 첸 · 리처드 스펜서 · 마일로 야노풀로스 · 마조리 테일러 그린 · 마크 다이스 · 벤 게리슨 · 블레어 화이트 · 스티브 배넌 · 알렉산드르 두긴 · 알렉스 스타인 · 알렉스 존스 · 앤드류 테이트 · 오웬 벤자민 · 자이르 보우소나루 · 잭 포소빅 · 제러드 테일러 · 카야 레이첵 · 팀 풀 · 이안 마일스 청 · 앤드루 브레이트바트
관련 집단 4chan(/pol/) · Alt-lite · Autistic dark web · Geeks and Gamers · Identitarian movement · MGTOW · The Fandom Menace · QAnon · soyjak.party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민주주의를 위한 포럼 · 부갈루 보이즈 · 브레이트바트 뉴스 · 아메리칸 르네상스 · 와패니즈 · 인셀 · 인포워스 · 전통주의노동자당 · 참정당
한국에의 영향 디시인사이드(국내야구 갤러리 · 미국 정치 마이너 갤러리 · 코로나 바이러스 갤러리) · 신 남성연대 · 일베저장소 · 진실의 눈과 머리 · 혁명21 · 부동산 스터디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파일:1000019248.jpg
백색 주체사상 / White Juche

1. 개요2. 역사3. 특징4. 둘러보기

1. 개요

백색 주체사상은 완전히 자립하고 고립될 유럽 민족국가를 믿는 경제적으로 좌파, 문화적으로 우파적이고 초국수주의적인 이데올로기이다. 백인 인종 국가 등을 주장하는 전형적인 백인 우월주의 사상이다.

2. 역사

백색 주체사상의 역사에 대해 정리해 둔 기사.

백색 주체사상은 1990년대 독일네오 나치 미카엘 코스[1]는 인물을 통해 등장했다.

그는 북한의 사상을 수용하는 친북 조직, 반제국주의 플랫폼을 결성했으며 북한 관영 매체는 미카엘 코스를 정기적으로 인용했다.[2] 김씨 일가 정권은 2016년 그를 방북하도록 초청하기까지 했다.

백색 주체사상에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 있는데 바로 존 폴 컵[3]이다.[4]

존 폴 컵은 미국 오레곤 주 출신이며 2003년 미국 선군정치연구회를 창설하고 2006년 북한 여행에 나섰을 정도다. 북한 당국은 그를 미국에서 주목할만한 정치인으로 묘사했다.

3. 특징

백색 주체는 열등민족[5]의 영향에서 자유로운 백인 민족국가를 수립하고자 하는 게 최종 목표라고 하며 이들의 국가는 오직 백인들만 살면서 민족국가를 표방하고 동시에 고립주의를 자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시에 이들은 극단적인 사회주의 경제 시스템을 옹호하는데 독특한 것은 자본주의는 퇴폐적인 것으로 취급하고 백색 주체사상을 이용하여 자본가들로부터 백인 노동 계급을 해방시키고 백인 지상낙원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이.

정리하면 이들은 대놓고 백인 우월주의 논조와 고립주의 민족주의를 표방한다.

4. 둘러보기


[1] Michael Koth[2] 2016년 조선중앙통신은 코스 동지가 “인민의 행복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김일성을 높이 평가했다 ”며 “조선인민은 물론 세계 진보적인 인민들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사회주의 조선의 창시자이시며 인류의 태양이시다.[3] John Paul Cupp[4] 그의 활동을 따로 정리해둔 기사.[5] 대체로 유색인종유대인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6] 네팔 노동자농민당은 외국에서 유일하게 주체사상을 받아들인 정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