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0:50:06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319000호대 전동차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편성번호 · 열차번호고속 ·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광역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 차량번호여섯 자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200000호대(8호기 한정)
광역전철
도입 예정
[[KTX(차량) #s-5|{{{#ffffff EMU-370}}}]]
 연구중
개번 전 차량번호  2030호대(1993~2011)
 5000호대(1996~2011) · 6000호대(2006~2008)
전량 퇴역
 1000호대(상세)(1974~2020) · 초저항(1974~2014)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광역전철
도입 예정
개번 전 차량번호  2030호대/현황
전량 퇴역  1000호대/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현황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한국철도공사 열차번호 · 기타 수도권 광역전철 열차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여섯 자릿수)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파일:김포골드라인SRS 로고.svg
파일:GreatTraineXpress.svg 파일:의정부경전철 로고.svg 파일:용인경량전철 로고.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1000호대
(상세)
초저항
3000호대 341000호대
(상세)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21000호대 331000호대 351000호대 361000호대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371000호대 391000호대 1000호대 2000호대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파일:ULine_icon.svg 파일:EverLine_icon.svg 파일:GoldLine_icon.svg
D000호대 U100호대 Y100호대 1000호대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A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파일:DILine_icon.svg
1000호대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차번 미정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 현황)
1000호대 (상세 · 현황)
초저항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현황)
저항 (현황)
초저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d2f34><tablebgcolor=#fff,#2d2f34>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KORAIL 31x000 Series EMU
}}} ||
파일:312020편성.jpg
312B20편성 (14차분)
파일:002-240403.jpg
실내 모습 (14~15차분)
차량 정보
<colcolor=#0052a4> 차량형식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량수 10량 1편성 / 6량 1편성 / 4량 1편성
생산량수 1585량[1] (1539량 + 18량 + 28량)
운행노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311G05편성)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319F08~319F10편성)
도입년도 1세대 1996 ~ 1997년 (1차분)
1997 ~ 1998년 (2차분)
1998년 (3차분)
2세대 2002년 (4차분)
2003년 (5차분)
2004년 (6차분)
3세대 2005 ~ 2006년 (7차분)
2006년 (8차분)
2012 , 2014년 (9차분)
2010년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2013 ~ 2014년 (10차분)
2016년 (11차분)
4세대 2019 ~ 2020년 (12차분)
2021 ~ 2022년 (13차분)
5세대 2022 ~ 2023년 (14차분)
2023 ~ 2024년 (15차분)
미정 2027년 예정 (16차분)
2028년 예정 (17차분)
2029 ~ 2030년 예정 (18차분)
2031년 예정 (19차분)
제작사 현대정공 (1~2차분)
대우중공업 (3차분)
현대로템 (4~13차분,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우진산전 (14~15차분)
소유기관 한국철도공사
운영기관
차량배속 파일:Seoulmetro1_icon.svg 구로차량사업소[2]
파일:Seoulmetro1_icon.svg 이문차량사업소[3]
파일:Seoulmetro1_icon.svg 병점차량사업소[4]
파일:SBLine_icon.svg 시흥차량사업소[5]
파일:GJLine_icon.svg 문산차량사업소[6]
차량정비 중정비 시흥, 문산, 평내
경정비 구로, 병점, 이문
편성번호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01 ~ 311B23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24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25 ~ 311B31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32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33 ~ 311B34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35 ~ 311B38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39 ~ 311B41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42 ~ 311B90 (10량)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11B91 (10량)[7]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B92 ~ 312B56 (10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G01 ~ 311G04 (4량)
파일:GJLine_icon.svg 311G05 (4량)
파일:Seoulmetro1_icon.svg 311G06 ~ 311G07 (4량)
파일:SBLine_icon.svg 319F08 ~ 319F10 (6량)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2a4>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750㎜
궤간 1,435㎜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1~13차분)
알루미늄(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14~15차분)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 직류 1,500V[8]
신호장비 ATS-S1
ATS-S2
제어방식 도시바 VVVF-GTO[9]
도시바 VVVF-IGBT
현대로템 VVVF-IGBT(IPM)[M]
우진산전 VVVF-IGBT[M]
미정 VVVF-IGBT
동력장치 교류 3상 농형 유도전동기
미정 완전밀폐형 영구 자석 동기전동기
기어비 14 : 99 (1:7.07)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110㎞/h
설계 110㎞/h(1~10차분)
120㎞/h(11차분~)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5M 5T(본선용 차량)
(Tc-M-M'-T-M'-T1-T-M-M'-Tc)
2M 2T(광명셔틀)
(Tc-M'-M'-Tc)
3M 3T(연천셔틀)
(Tc-M-M'-T-M'-Tc)
}}}}}}}}}
1. 개요2. 편성
2.1. 311000호대·312000호대2.2. 319000호대
2.2.1. 4량 편성 (광명셔틀)2.2.2. 6량 편성
3. 분류
3.1. 311000호대·312000호대3.2. 319000호대
3.2.1. 4량화 및 병결 시도3.2.2. 경의선 운행 / 대불선 시험 운행3.2.3. 수인선 운행
4. 사건 사고5. 개조 이력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5.2. 추진제어장치 교체
5.2.1. 2003년 5X64편성(현 311B63편성) GTO/IGBT 병용 사유
5.3. 객실 간 통로문 자동식 개조5.4. 출입문 전동화 개조
6. 조성 변경7. 노후화 및 유지보수 문제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위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로 한국 전동차 중 단일 계열 차종으로는 최다 편성 수를 보유하고 있다.

이 차량들은 주로 시흥차량사업소 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수도권 전동차의 중정비는 각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 일정 등) 작업 협의 등을 거쳐 배속 외 차량사업소에서도 시행할 수 있다.

2. 편성

파일:20230628_195723.jpg
1~8차분 방열구

2.1. 311000호대·312000호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조성(10량)
<colcolor=#0052a4> ↑ 인천(경원·경인선), 동인천(경인선 급행), 서동탄·천안·신창(경부·장항선) 방면
31#0## (구 5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1## (구 52##) (2) M(주변환장치)
31#2## (구 53##)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3## (구 58##) (4)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4## (구 55##) (5)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5## (구 54##) (6)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6## (구 59##) (7)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7## (구 56##) (8) M(주변환장치)
31#8## (구 57##) (9)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 (구 51##)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용산(경인선 급행), 광운대(경부·장항선), 연천(경원·경인선) 방면

2.2. 319000호대

2.2.1. 4량 편성 (광명셔틀)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조성(4량)
<colcolor=#0052a4> ↑ KTX광명역, 문산·임진강 방면
3190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910# (2)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20#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90# (4)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영등포, 서울역·용산 방면

2.2.2. 6량 편성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조성(6량)
<colcolor=#0052a4> ↑ 인천 방면
319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91## (2) M(주변환장치)
319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3## (4)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94## (5)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9## (6)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오이도 방면

====# 8량 편성 (예정) #====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조성(8량)
319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91## (2) M(주변환장치)
319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3## (4)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94## (5)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95## (6) M(주변환장치)
3196## (7)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9## (8)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 분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입 연식에 따라 15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311000호대·312000호대 (10량)
1세대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차분 VVVF
GTO
도시바
1996~1997년 (6편성)
전량 퇴역
2차분 VVVF
GTO
도시바
1997~1998년 (19편성)
1개 편성 운용
VVVF
IGBT
도시바
1998년 (2편성)
전량 퇴역
3차분 VVVF
GTO
도시바
1998년 (8편성)
2개 편성 운용
VVVF
IGBT
도시바
1998년 (6편성)[12]
3개 편성 운용
2세대 4차분 2002년 (4편성)
VVVF
GTO
도시바
2002년 (2편성)
5차분 2003년 (7편성)
VVVF
IGBT
도시바
2003년 (9편성)
6차분 2004년 (2편성)
3세대 7차분 2005~2006년 (12편성)
8차분 2006년 (5편성)
9차분 2012, 2014년 (7편성)
경춘선
이적분
2010년 (8량 2편성)
1개 편성 운용
10차분 2014년 (2량 2편성)
1개 편성 운용
2013년 (3편성)
11차분 2016년 (9편성)
4세대 12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19~2020년 (4편성)
13차분 2021~2022년 (8편성)
5세대 14차분 VVVF
IGBT
우진산전
2022~2023년 (8편성)
15차분 2023~2024년 (33편성)
319000호대 (4량·6량)
3세대 8차분 VVVF
IGBT
도시바
2006년 (4량 5편성)
1세대 2차분 VVVF
IGBT
도시바
1998년 (4량 2편성)
전량 퇴역
4세대 12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19~2020년 (6량 3편성)
319000호대 (8량)
미정 16차분 VVVF
IGBT
미정
2027~2028년 (8량 10편성)
도입 예정

3.1. 311000호대·312000호대

2011년부터 전동차 차대번호가 구 5000번대에서 신 311000호대로 변경이 완료되었다. 차호 변경을 하면서 중앙선광명행 셔틀용으로 차출된 차량과 사고로 폐차된 5X19편성이 쓰던 번호는 뒤 번호의 차가 쓰는 방식으로 번호(예: 5X20→311B19, 5X81→311B78)를 배정받았다.

국내 최초의 VVVF 전동차인 구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현 341000호대/351000호대) 전동차 도입 이후 운행과 정비 도중 축적된 노하우는 이 5000호대(현 311000호대) 전동차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현재 모든 편성은 2008~2013년 사이에 객실 간 연결문이 투명 자동문으로 교체되었다. 2009년(31x000호대는 2012년)부터 도입되는 신차는 모두 자동문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온다.

도입 초반에는 5X01~5X42편성의 경우 열번표시기가 9000번대로 표시된 적이 있었으며, 경인선 용산급행은 용산행을 달고(예: 인천행 K113 열차 → K9113 열차) 다니기도 했다.

3.2. 319000호대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노선에서 운행하기 위해 단편성화된 호대이며, 영등포역광명역 셔틀 열차, 경의·중앙선(경의선 구간) 서울역행 열차, 문산역임진강역, 임진강역도라산역 셔틀 등으로 운행하고 있다. 영등포역병점역 출퇴근급행 열차로 2014년 8월 25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한 적도 있다.

한국철도공사 최초로 원핸들 주간제어기를 채용한 차량이기도 하다.

광명셔틀 운행구간 중에 경부고속선을 경유하여 KTX의 운행 시간표 변경 시 같이 영향을 받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문산 ↔ 서울역, 대곡 ↔ 서울역 구간의 셔틀 열차와 같이 KTX 운행 등으로 인해 자주 운행되지 않는다. 서로 운행하는 노선만 다를 뿐, 특성이나 다른 부분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광명 셔틀이 감편된 시절에 일부가 경의·중앙선 서울역행에 투입된 이력이 있다.

311G01~311G05편성의 차내 모니터가 천장형 LCD로 교체되었다.
파일:external/www.2427junction.com/61a-1gm10.jpg
<rowcolor=#ffffff> 311G07편성의 운행 모습.(2024년 4월 23일 폐차) 전두부가 2005~2008년까지 생산된 열차의 형태로 개조되어 있다.
1998년 제작된 311G06~311G07편성은 일부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 뱀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었다. 뱀작이는 뱀눈이(7~11차분)의 전두부와 납작이(1~3차분)의 차체가 합쳐졌다는 의미의 은어이다. 원래는 2023년까지 운행될 예정이었으나 불용열차로 분류되고 2020년 7월부터 구로차량기지에 유치되어 움직이지 않고 있었다. 확인되는 기록상으로 해당 열차들의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20년 7월 16일 K7040 영등포행 열차로 운행한 311G07편성을 끝으로 운행하지 않았다. 2024년 4월 23일에 311G07편성이, 4월 24일에 311G06편성이 폐차되었다.

319F08~319F10편성은 6량 편성의 4세대 전동차로, 본래 연천역광운대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하기 위해 도입한 열차다. 2020년 8월 말에 연천 셔틀 3편성이 모두 시흥차량사업소로 내려왔다. 이후 2024년 2월에 319F10편성이 이문차량사업소로 회송되어 휴차했지만 2024년 8월에 319F10편성이 다시 시흥차량사업소로 복귀했다. 원래는 연천 연장 개통 전까지 수인·분당선(수인선 구간) 오이도인천 구간 열차로 운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연천 연장 구간에 10량 열차가 투입됨에 따라 해당 편성 차량의 사용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에도 오이도 ↔ 인천 간 운행 계통은 존치되며 수인·분당선 중 수인선 구간의 배차를 채우기 위해 현재 319F08~319F10편성이 주로 출퇴근 시간에만 달린다. 다만 이 차량은 ATC 장치가 없어 고색역 ↔ 왕십리역 구간에는 운행할 수 없다. 물론 ATP 구간에도 운행할 수 없다. 수인·분당선 중 분당선 구간 운행을 위한 ATC 개조는 하지 않는 것으로 정해졌다. 추후 양주역동두천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할 계획이다.

3.2.1. 4량화 및 병결 시도

광명역행 셔틀 열차는 2006년 12월부터 운행하기 시작했으나, 광명역의 이용객이 워낙 저조하여 수요가 거의 없었고, 10량 열차 전체가 거의 빈 채로 다녔다. 결국 한국철도공사가 기존 5X79~5X80, 5X86~5X92, 6X01~6X07편성과 추돌 사고로 파손된 5X19편성의 잔여 차량[14]을 개조, 직류 기기를 떼어내고 4량짜리 셔틀 열차로 만들어 투입했다.[15] 5X79~5X80편성은 팬터그래프가 있는 칸과 운전실 없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된 객차만 광명셔틀로 개조하고 나머지는 중앙선으로 개조할 목적으로 떼어냈으며, 311G01~311G05편성은 5X79~5X80, 5X86~5X92, 6X01~6X07편성의 차량 중 53XX, 57XX, 55XX, 54XX, 650X, 640X호의 일부 객차를 조합해서 만들어 낸 편성이다.

편성별로 개조 전의 차호는 다음과 같다.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319000호대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빨간색은 운전실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c)
반입년도 소속
311G01편성 6402 5379 5779 5489 8차분 2006년
(현대로템)
구로
311G02편성 6406 5380 5780 6404
311G03편성 5492 5579 6506 5480
311G04편성 5486 6504 6502 5479
311G05편성 6405 5580 6507 6401 문산
311G06편성[A] 5019 5319 5519 5419 2차분 1998년 6월
(현대정공)
구로
311G07편성[B] 5819 5219 5619 5919
개조 작업이 현대로템에서 이루어졌었는데, 이는 기존 차량의 천장에 붙어 있던 LED 전광판을 철거하고 문 위에 LCD 모니터를 박아넣은 걸 제외하면 내장재는 거의 변화가 없다. 하지만 문 위에 LCD 모니터는 잦은 고장으로 인해 철거되고 대신 천장에 붙어 있는 LCD 모니터를 설치했다. 특히 5X19편성을 개조한 311G06~311G07편성의 경우, 전두부는 3세대 전동차 초기형의 그것이지만 측면과 내장재는 당시 5X19편성과 거의 똑같다. 전두부의 경우는 굳이 번거롭게 설계를 바꿔서 구형 차 형태를 다시 찍어낼 필요 없이, 당시부터 쓰이기 시작한 형태 그대로 만들어 내다 보니 짬뽕이 된 것이다. 인버터 소자도 당초 5X19편성의 도시바 GTO 그대로 쓰였으나 2013년에 311G06~311G07편성도 311G01~311G05편성과 동일한 도시바 IGBT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5019호는 사고 전에는 투핸들이었다.

당초 광명셔틀의 4량화를 할 때, 기존의 용산 ~ 광명 구간을 그대로 운행하기 위해서 7개 편성으로 개조한 뒤 투입하려 했다. 하지만 개조 작업 도중 출발역이 변경되어 전체 운행 구간이 짧아지면서 전체 7개 편성 중 2개 편성이 남게 되자, 남은 2개 편성을 병결시켜서 4+4량인 1개 편성을 만든 후 당시 진행 중이던 중앙선의 8량화 작업에 활용할 계획을 세웠었다. 하지만 두 편성끼리 병결할 경우 선두부 차량의 길이와 중간 차량의 길이가 같지 않은 열차의 특성상 스크린도어/승강장 문 위치와 열차 문의 위치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없던 일이 되었다.

19차분이 311B72~311B82편성 대차분으로 지정되었는데 광명셔틀 311G01~311G04, 311G06~311G07편성 대차분은 대차계획이 없다고 나왔는데 신안산선이 개통 후 운행 때 광명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311G05편성은 331000호대 4차분(331G29편성)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3.2.2. 경의선 운행 / 대불선 시험 운행

3.2.3. 수인선 운행

4.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개조 이력

<colbgcolor=#0052a4><colcolor=#fff> 차내 CCTV 표기랑 차량기지 배속이 틀린 차량[19]
<rowcolor=#fff> 편성 CCTV 표기 실제 배속
311B47,
311B54~311B56,
311B59
병점 구로
311B66~311B69,
312B40
구로 병점
311B71~311B80 병점 이문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파일:1607071100613.jpg 파일:20231111%EF%BC%BF140154.jpg 파일:1577789187583.jpg
개조 후
(1차: 로윈에서 개조)
개조 후
(2차: 로윈에서 개조)
개조 후
(3차: SLS 중공업에서 개조)
2003년 11월 말부터 객실 내장재가 불연재 대응이 되어 있지 않은 311B01~311B63, 311G06~311G07편성에 대해 내장재의 불연재화 개조공사를 시행하여, 2006년에 완료되었다.

1~3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4~5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 4~5차분인 경우 바닥재, 좌석 시트, 손잡이만 개조했다.
1, 3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데 2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회색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커피 등이 묻었을 때 자국이 많이 남는 편이다.

5X07~5X10편성(개번 후 311B07~311B10편성)은 내장재 첫 개조 시범 대상으로 2003년 11월에 개조되었다.

역시 2003년 12월 ~ 2004년 1월에 개조했던 2X30~2X37, 2X47~2X48, 2X50, 2X55~2X59편성(개번 후 341B01~341B08, 351F01~351F08편성)과 동일하게 분리형 좌석이 달린 전동차는 1호선에 3량이 있는데 현재 311B39, 311B41편성의 일부 무동력 객차에 해당한다. 311B39편성의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2호, 311B41편성의 4호차는 4호선 출신 341304호,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4호이기 때문에 좌석이 한 자리씩 분리되어 있고 의자 맨 끝 부분이 파여 있었다.[21] 하지만 현재는 모두 운행중지되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5.2. 추진제어장치 교체

2003년부터 일부 차량의 추진제어장치(C/I)가 IGBT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도시바제 2레벨 IGBT를 채용했다.(총 91량 생산)

5.2.1. 2003년 5X64편성(현 311B63편성) GTO/IGBT 병용 사유

원래 계획상으로는 2003년도에 1호선 311B48~311B63편성(당시 5X49~5X64편성)을 우선 도시바 GTO(80량) 소자로 반입하고 그 다음 분당선 선릉~수서 연장 개통을 대비해 351F23~351F28편성(2X82~2X87편성)을 도시바 IGBT(18량) 소자로 반입할 예정이었다. 당시 추진제어장치(C/I) 관련해서도 계약이 그렇게 되어 있었다. 하지만 열차 및 도시바 IGBT 소자 반입이 예정을 따라가지 못하게 되었고, 개통을 앞두고도 같은 상황이 지속되자 결국 계획을 급수정하여 351F23~351F28편성(당시 2X82~2X87편성)을 그냥 도시바 GTO 소자로 반입하고 나머지 도시바 IGBT(18량) 소자를 311B60~311B63편성(당시 5X61~5X64편성)에 장착해서 반입하기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311B63편성(당시 5X64편성)만 도시바 GTO(2량) 소자와 도시바 IGBT(3량) 소자가 혼합되어 반입된 것이다.

5.3. 객실 간 통로문 자동식 개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한 편성씩 객실 간 연결문이 자동문(1~2차)으로 모두 교체됐으며 2012년에 도입된 3세대형 9차분부터는 모두 자동 통로문(2차)을 장착해서 도입됐다. 이후 2017년부터 도입되는 4세대형 12차분부터는 자동 통로문(3차)이 2개(319000호대 1개)만 제외하고는 모두 제거되어 도입된다.

5.4. 출입문 전동화 개조

311B47, 311B51~311B54, 311B58~311B60편성은 출입문이 기존 공기식에서 전동 스크류모터식으로 개조되었다. 개조를 실시함에 따라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지는 소음이 사라졌다. 추가로 311B55~311B57편성도 2015년도 상반기에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는데 2013년부터 생산되는 신차에 적용되는 저소음 도어가 적용되었다. 해당 차량들은 열릴 때 경고음이 나왔고 닫힐 때는 안 나오다가 아예 출입문 경고음이 나지 않았지만 지금은 안내방송 기기 교체로 경고음이 난다. 노선도 부분에 큰 장치(수동레버)가 붙어서 튀어나와 있는지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비상콕크가 좌석 밑에 설치되는 종전의 공기식 모터와 달리 출입문 옆에 설치되는 전기식 스크류모터를 설치할 만한 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구형 전동차의 구조상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6. 조성 변경

2010년 1월, 모종의 사유로 1호선 2차분 5X14, 5X23, 5X25편성(현 311B14, 311B22, 311B24편성)의 조성이 1달간 변경된 적이 있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 1월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0년 1월 기존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5X14 5014 5214 5314 5814 5514 5414 5914 5623 5723 5123
5X23 5023 5223 5323 5823 5523 5423 5923 5614 5714 5125
5X25 5025 5225 5325 5825 5525 5425 5925 5625 5725 5114
}}}}}}}}} ||

2012년 하반기부터 2013년 12월 8일까지 311B86~311B87편성은 중앙선 전동차의 객실과 혼용하여 운행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86 311086 321508 311286 321408 311486 311586 321412 321512 311886 311986
311B87 311087 321513 311287 321413 311487 311587 321414 321514 311887 311987
}}}}}}}}} ||

2014년 하반기에 311B90~311B91편성이 경춘선 361C14~15편성하고 신규객차 각각 2량씩 재조성하여 운행했지만 311B91편성은 361C14편성으로 바뀌어서 경춘선으로 복귀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90 361014 361114 361214 361314 311490 311590 361414 361514 361614 361914
311B91 361015 361115 361215 361315 311491 311591 361415 361515 361615 361915
}}}}}}}}} ||

2014년 상반기에 311B53~311B54편성의 객차가 서로 바뀌었으나 2015년 초에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53 311053 311153 311253 311353 311453 311553 311653 311754 311854 311953
311B54 311054 311154 311254 311354 311454 311554 311654 311753 311853 311954
}}}}}}}}} ||

2017년부터 중저항 출신 부수객차들의 노후화로 인해 조성을 변경하게 되었으며, 2023년까지 311B39~311B41편성까지 총 3개 편성만이 1호선에서 유일하게 조성이 변경되어 있었다. 현재는 3개 편성 모두 기본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colbgcolor=gray><colcolor=#fff> 311B39 341602(7) 311639(7)
311B40 311302(4), 311602(7) 311340(4), 311640(7)
311B41 341304(4), 341604(7) 311341(4), 311641(7)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39 311039 311139 311239 311339 311439 311539 341602 311739 311839 311939
311B40 311040 311140 311240 311302 311440 311540 311602 311740 311840 311940
311B41 311041 311141 311241 341304 311441 311541 341604 311741 311841 311941
}}}}}}}}} ||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colbgcolor=gray><colcolor=#fff> 311B39 341602(7) -
311B40 341313(4), 341613(7) 311302(4), 311602(7)
311B41 341304(4), 341604(7)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39 311039 311139 311239 311339 311439 311539 341602 311739 311839 311939
311B40 311040 311140 311240 341313 311440 311540 341613 311740 311840 311940 [23]
311B41 311041 311141 311241 341304 311441 311541 341604 311741 311841 311941
}}}}}}}}} ||
편성 제외된 객차들은 현재 모두 매각되었다.

7. 노후화 및 유지보수 문제

2024년 기준으로 일부 차량들이 도입된 지 20년이 도래하면서 갈수록 노후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4~5차분(311B42~311B63편성)의 경우 경부선 병점 이남 구간이 역간 거리도 길고 장시간 고속으로 오랫동안 주행을 하다 보니 노후화가 심각해졌으며, 2022년에는 직류 구간에서의 주 퓨즈 문제로 인해 일부 차량들이 한동안 용산 ↔ 동인천 급행으로만 운행했었다가 한동안 다시 완행에도 활발하게 투입되고 있었지만, 2024년 10월 기준 현재 4~5차분 편성 대부분이 다시 용산 ↔ 동인천 급행 위주로만 운행 중이다.

7~8차분(311B66~311B82편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역간 거리가 긴 구간을 장시간 고속으로 주행하다 보니 차령이 20년에 육박하면서 차량 노후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차내 소음 및 굉음 문제마저도 발생하고 있다.[24] 여담으로 311B66~311B76, 311B78, 311B81~311B82편성일 경우 출입문 경고 스티커가 한쪽(311000호대를 앞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면)만 부착되어 있다. 나머지 311B77, 311B79~311B80편성은 출입문 경고 스티커가 모두 부착되어 있고 광명셔틀 311G01~311G05편성일 경우 객차마다 다르다.

2~3차분 중 6개 편성(311B24, 311B32, 311B35~311B38편성)은 이미 기본 사용 연한인 25년이 지난 차량으로, 해당 차량들 역시 노후화가 진행 중에 있다. 311B24편성의 경우 정밀안전진단을 받은 뒤에도 얼마 안 되어 공기압축기 등 여러 부품의 노후화로 인해 2023년 8월부터 한동안 이문차량사업소에만 있다가 동년 11월에 운행에 복귀한 적도 있으며, 311B32편성의 경우 2024년 1월에 역곡역 부근에서 팬터그래프 부분이 터지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311B35편성 일부 객차의 출입문이 고장난 채로 운행에 투입되는 등 전반적인 관리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2024년 10월 22일부터 출입문 도어엔진 고장 다발로 인해 운행에 투입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6개 편성 모두 점검 및 수리 중이다.

새로 도입된 14~15차분 차량들이 운행 도중 전장품이 터지는 심각한 결함으로 인해 대다수가 경부선 투입이 중지된 상황이며 2~3대 정도만 간간이 경부장항선에 투입되고 있으나 그마저도 병점/서동탄이나 천안까지만 투입하고 있으며, 신창까지 투입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다만 2024년 7월 이후로는 안정화되어서 다시 활발하게 투입되고 있다.[25]

8.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311B01~311B23, 311B25~311B31, 311B33, 311G06~311G07편성 폐차, 311B34, 311B39~311B41편성 휴차 및 311B91편성의 경춘선 환원 상태이므로 현재 1220량이 운행 중이다. 또한 5X19편성 중 5719, 5119호는 개번 전 조기폐차, 311B39~311B41편성 중 311639, 311340, 311640, 311341, 311641호 T(무동력)칸 5량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출신, 311B90~311B91편성 중 16량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출신이므로 생산량수에서 제외된다.[2] 311B32편성, 311B35~311B38편성, 311B42~311B59편성, 311B83~311B90편성, 311B92~312B15편성, 312B41~312B56편성, 311G01~311G04편성[3] 311B24편성, 311B71~311B82편성, 312B16~312B29편성[4] 311B60~311B70편성, 312B30~312B40편성[5] 319F08~319F10편성[6] 311G05편성[7] 구 361C15편성 → 311B91편성 → 현 361C14편성[8] 319000호대 차량은 교류 전용으로 직류 장비는 없다.[9] 2차분부터는 우진산전이 면허생산한 소자를 쓴다.[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M] [12] 10량 3편성 + 9량 1편성 + 8량 2편성[48] 311G05편성은 경의·중앙선에서 운행 중이다.[14] 5019-5319-5519-5419가 311G06편성으로, 5819-5219-5619-5919가 311G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15] 이는 일본의 583계715계마개조 될 때 그대로 반영되었다.[A] 2024년 4월 24일 폐차[B] 2024년 4월 23일 폐차[18]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19] 해당 차량들은 CCTV 설치 이후에 차량기지 배속이 바뀌었기 때문이다.[20] 조성이 변경되며 대신 연결된 일부 객차는 제외[21] 1993년산 4호선과 1993~1994년산 수인·분당선 초기형 차량들의 의자는 모두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현 341B01~341B08, 351F01~351F08편성이 해당 차량이다. 341B04편성은 1호선 311B01의 부수객차 8량이 들어가 TC칸만 해당되고 341B07편성은 4호선 341B13펀성의 부수객차 2량이 들어가 10량 중 8량만 해당된다.[22] 2세대 5차분 중 유일한 GTO/IGBT 짬뽕이었던 311B63편성 (구 5X64편성)이 나머지 객차도 IGBT로 교체되면서 모든 객차가 통일되었다.[23] 2022년 1호선 차량 내구연한 만료로 조성이 변경되었다.[24] 그래도 비슷한 시기 경의·중앙선의 321000호대보다는 나은 상태이다. 경고스티커와 경고음, 심지어 출입문 위 노선도가 없거나 비정상적으로 작게 인쇄되어 있는 등 문제가 있기도 하다.[25] 차량의 문제가 아니라, 가선 전력의 품질 문제가 원인이었다. 현재는 변전소에 회로적 보완을 하여, 많이 개선된 상황.[26] 1기형, 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27] 현재는 수인·분당선용 전동차이며, 1기형, 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