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19:49:13

한국철도공사 393000호대 전동차/현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393000호대 전동차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일반열차 광역전철 화물열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편성번호 ·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편성번호 차량번호 차량번호여섯 자리 SR 임대·소유 차량번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200000호대(8호기 한정)
광역전철
도입 예정
[[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고속철도#s-7.1|{{{#ffffff EMU-370 (파일:KTX BI_White, Red.svg)}}}]]
 연구중
개번 전  2030호대
전량 퇴역
[[통일호|
통일호
]] 9900호대(1980~2001)

 1000호대(상세)(1974~2020)
 초저항(1974~2014)
 1차분(1996~2024)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광역전철
도입 예정
개번 전  2030호대/현황
전량 퇴역
[[통일호|
통일호
]] 9900호대/현황

 1000호대/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대전권 광역전철 전동차
(열차번호 · 차량번호 · 차량번호코레일 · 코레일 전동차)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파일:대전 2호선 아이콘.svg 파일:충청광역전철-logo.svg
1000호대
(현황)
2000호대
(현황)
393000호대
(현황)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1. 개요2. 현황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93000호대 전동차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2. 현황

<rowcolor=#fff> 편성번호 인버터 소자 전조등 제작회사 제작년도 도입 목적 비고
<colbgcolor=#aecc54><colcolor=#fff> 393I01 <colbgcolor=#81f781,#147d56> 현대로템
IGBT

[M][IPM]
LED 현대로템 1차분 2025년 충청권 광역철도 신탄진역 ~ 계룡역 개통분 시운전
393I02
393I03
393I04 시운전
393I05
393I06
393I07
393I08

[M] 미쓰비시 소자 기반[IPM] IPM이 적용된 IGBT는 녹색 배경이다.[M] [I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