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7:56:20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헤리치에서 넘어옴
마르타 아르헤리치의 주요 수상 및 경력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
파일:BBC 로고.svg
BBC 뮤직 매거진 선정
역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2019년 BBC 뮤직 매거진이 전세계 저명한 현역 피아노 연주자 100명에게 레코딩 시대의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 2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목록이다. 출처
<rowcolor=#000> 순위 피아니스트
<colcolor=#000><colbgcolor=#fff> 1위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2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3위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4위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5위 알프레드 코르토
6위 디누 리파티
7위 아르투르 슈나벨
8위 에밀 길렐스
9위 마르타 아르헤리치
10위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11위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12위 이그나츠 프리드만
13위 라두 루푸
14위 에드빈 피셔
15위 빌헬름 켐프
16위 머리 페라이어
17위 글렌 굴드
18위 발터 기제킹
19위 요제프 호프만
20위 클라우디오 아라우
○: 생존 피아니스트
†: 목록 선정 당시 생존하였으나 나중에 사망한 경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8f,#00d8ff> 제1회
(1927)
제2회
(1932)
제3회
(1937)
제4회
(1949)
제5회
(1955)
레프 오보린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드르 유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야코프 자크
파일:소련 국기.svg
벨라 다비도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아담 하라셰비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6회
(1960)
제7회
(1965)
제8회
(1970)
제9회
(1975)
제10회
(1980)
마우리치오 폴리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타 아르헤리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게릭 올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파일:폴란드 국기.svg
당타이선
파일:베트남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1회
(1985)
제12회
(1990)
제13회
(1995)
제14회
(2000)
제15회
(2005)
스타니슬라프 부닌
파일:소련 국기.svg
케빈 케너1
파일:미국 국기.svg
필리프 주시아노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윤디 리
파일:중국 국기.svg
라파우 블레하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6회
(2010)
제17회
(2015)
제18회
(2021)
제19회
(2025)
제20회
(2030)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조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브루스 리우
파일:캐나다 국기.svg
}}}

1. 1위 없는 2위
2. 1위 없는 2위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1978년 <colbgcolor=#fff,#1f2023>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 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 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 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 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 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 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 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 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 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 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 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 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 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 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 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푸아티에, 닐 사이먼
1996년 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 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 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 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2001년<colbgcolor=#fff,#1f2023>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 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 제임스 브라운, 캐롤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 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 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 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 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 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 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 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 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 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 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 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 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 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먼 리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 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 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 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 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 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
}}}}}}}}} ||

파일:B89754FA-DF93-4061-9D57-76D93F496678.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도이치 그라모폰 소속 주요 음악가
클라우디오 아바도 마르타 아르헤리치 세르게이 바바얀
다니엘 바렌보임 리사 바티아슈빌리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레너드 번스타인 윱 베빙 라파우 블레하츠
피에르 불레즈 조성진 칙 코리아
플라시도 도밍고 구스타보 두다멜 존 엘리엇 가디너
데이비드 가렛 힐러리 한 다니엘 하딩
히사이시 조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예브게니 키신 김봄소리 카를로스 클라이버
기돈 크레머 랑랑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윈디 브루스 리우 안네 소피 무터
안드리스 넬슨스 박혜상 마리아 조앙 피레스
마우리치오 폴리니 막스 리히터 야니크 네제 세갱
그리고리 소콜로프 스팅 다닐 트리포노프
유자 왕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존 윌리엄스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이 외의 소속 음악가들은 공식 사이트 참조, 성씨 알파벳순
}}}}}}}}}||
<colbgcolor=#000><colcolor=#fff> 마르타 아르헤리치
Martha Argerich
파일:marg.webp
[ 60년대 사진 펼치기 · 접기 ]
파일:아르헤리치과사.jpg
출생 1941년 6월 5일 ([age(1941-06-05)]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적
[[아르헨티나|]][[틀:국기|]][[틀:국기|]]
직업 피아니스트
레이블 도이치 그라모폰
결혼 첫번째 남편: 로버트 첸
두번째 남편: 샤를 뒤투와
세번째 남편: 스티븐 코바세비치[1]
가족 장녀: 리다 첸
차녀: 아니 뒤투아
삼녀: 스테파니 아르헤리치[2]
수상 [ruby(제7회,ruby=1965)]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1. 개요2. 생애
2.1. 유년기~청년기
3. 연주 스타일
3.1. 현재
4. 명연주5. 여담

[clearfix]

2018년 싱가포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하는 모습.

1. 개요

당신은 위대한 예술가예요. 당신 연주를 들으면서 호로비츠가 생각났습니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헤이그에서 아르헤리치의 연주회에 참석한 후.[3]
1941년생 유대계 스페인인 가정에서 태어난 아르헨티나 출신의 피아니스트. 80이 넘은 나이에도 활발한 연주 및 앨범 발매 활동을 하고 있는 거장 연주자이다. 1965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에도 여러 훌륭한 연주로 명성을 떨쳤다. 레코딩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피아니스트라는 데에 이견을 찾기 어렵다.

현란한 테크닉과 강력한 타건으로 상징되는 대표적인 기교파 피아니스트이며, 대표적인 20세기 피아니스트로 자주 언급되는 전설적인 명연주자다. 놀랍게도 80대에 접어든 2020년대에도 그 기교가 녹슬지 않고 최정상급의 연주를 보여주고 있으며, 나이가 든 후에는 협연과 실내악에 매진하고 있다.

그 경이로운 연주실력과 카리스마, 그리고 특유의 강력한 타건으로 인해 건반 위의 호랑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4].

2. 생애

교육열 높은 부모님 밑에서 자랐으며, 특히 유년 시절 피아노 교육은 어머니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아주 혹독하게 연습을 시켰다고. 아무리 재능을 타고난다 한들 노력까지 하는 자를 이길 수는 없음을 보여준 셈. 15살에 모든 테크닉을 마스터하고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음악인생이 열렸다.

특히 외교관이었던 아버지 덕분에 어린 시절 유럽으로 이사했기 때문에 아르헨티나에서 그 먼 유럽이란 곳을 자주, 쉽게 접할 수 있었다. 그래서 모국어인 스페인어, 영어, 프랑스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고, 프랑스어는 전 남편 샤를 뒤투아의 영향 때문인지 30대 때 인터뷰들을 보더라도 현지인 수준이다.

또 본인은 평생을 쉼없이 공연을 하며 유럽 및 세계 각지를 유랑민처럼 돌았을 터, 다큐멘터리 <Evening Talks>에서 말하기를 이제 여행이라는 것이 외롭고 지루하다고.

2.1. 유년기~청년기

파일:아르헤리치-아바도.webp
1968년 2월,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함께.[5]
3살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고 8살 때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제20번과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으로 데뷔했다고 한다. 또한 젊은 시절에는 피아니스트 프리드리히 굴다, 음의 세공사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등의 거장들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5살인 1956년부터 유럽 각지에서 연주회를 열고, 이듬해 1957년에는 이탈리아에서 열린 부조니 국제 콩쿠르와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모두 우승하여 유럽의 악단과 음반사들의 주목을 끌었다.[6] 1965년에는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3. 연주 스타일

강력한 타건과 스피드, 엄청난 기교, 박력있는 연주로 정평이 나 있다. 연타와 옥타브 테크닉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날카롭고 강한 터치, 탁월한 기교에 정열을 더한 피아니스트''
Apple Music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토카타 BWV 911도메니코 스카를라티, 소나타 K. 141
프레데리크 쇼팽, 마주르카 Op. 24 No. 2프란츠 리스트, 장송곡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토카타 Op. 11모리스 라벨, 밤의 가스파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연주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보통 연주시간이 30분 정도인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 소나타 b단조를 26분만에 끝내버리기도 하고, 많은 곡의 연주 길이가 다른 연주자들보다 조금씩 더 짧다.

마르타 아르헤리치가 본격 등장했던 1960년대에 그녀의 연주 스타일은 정말 대단한 선풍을 불러 일으켰다. 24세에(1965년) 제7회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할 당시 그녀의 쇼팽 연주에 나타난 정열적이고 당당한 해석은 기존의 쇼팽해석과 상당히 달랐기 때문에 상당한 화제 및 논란이 되었다.

아래에 링크된 1965년 쇼팽 콩쿨의 영상을 참고해보면 지금 들어보아도 상당히 신선한 충격을 느낄 수 있다.
쇼팽 스케르초 3번, 1965 쇼팽 콩쿨 영상[7]

이처럼 강렬함과 화려한 기교를 일관되게 밀어붙이는 그녀의 연주스타일은 당연히 청자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녀의 연주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 조차도 그녀가 20세기 후반기를 대표할만한 거장 연주자 중 한명이라는 점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레퍼토리는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인 바흐부터 버르토크, 프로코피에프 등의 현대음악까지 다양한데 디스코그래피나 공연 레퍼토리를 보면 쇼팽, 슈만, 차이코프스키, 라흐마니노프 등의 낭만파 작곡가들의 작품을 즐겨 연주하며 라벨이나 버르토크의 곡도 많이 연주한다.[8]

1980년대 이후 그녀는 독주보다는 협주나 실내악 연주에 많이 매진하고 있는데, 일전의 인터뷰에서 '독주할 때는 많이 외로움을 느낀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그녀의 연주스타일을 감안했을 때 이런 발언은 좀 의외이긴 하지만 실제로 1980년대 이후 독주 연주는 별로 하지 않고 있다. 다만 공연과 별도로 피아노 독주 음반은 종종 나오고 있다.

3.1. 현재

현재 80대 중반을 바라보는 나이임에도 어떠한 건강상 문제 없이 여러 아티스트들과 앨범 작업 및 콘서트 연주를 하는 등, 세계 각지에서 활발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금강불괴

게다가 2022-2023 시즌 협연 스케줄에는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2번, 라벨과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을 비롯해 체력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요구하는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3번,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1번 등과 같은 대곡도 포함되어있다. 80대에 저런 곡들을 치다니... 무서운 에너지다....
78세(2019)에 연주한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연주

개인적으로는 잘 와닿지 않는다는 이유로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럼에도 아르헤리치의 차이코프스키 1번은 같은 곡의 역대 음반을 놓고 보더라도 최고 중 하나로 꼽힌다. 안 좋아한다고 했지 못친다고 하진 않았다.

2023년 10월 5일 제2회 시대악기 국제 쇼팽 콩쿠르[9] 개회식에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하는 모습. 1858년산 에라르 피아노를 사용했으며, 현대의 피아노와 음색의 차이가 있다.

젊은 시절에는 베토벤의 작품들은 거의 다루지 않았지만, 현재는 베토벤 작품들도 조금씩 시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피아노 협주곡을 자주 연주하는데 1번부터 3번까지만 연주하고, 4번과 5번은 연주한 기록을 찾기 어렵다. 피아노 협주곡 1-3번 외에는 합창 환상곡(op.80)을 자주 연주한다.

4. 명연주

각종 실황음반 및 스튜디오 음반을 왕성하게 남겼다. 발매한 대부분의 음반들이 명반으로 평가받는 리빙 레전드라 할만하다.

먼저 지휘자 리카르도 샤이와 함께한 1982년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연주가 매우 유명하다. 아르헤리치 특유의 몰아치는 듯한 빠른 템포와 강렬한 해석이 돋보인다. 실황임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최고의 테크니션 답게 전혀 미스터치가 없다(!). 일단 한번 들어보자!링크

대표적인 기교파 피아니스트인만큼, 리스트 소나타,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낭만주의 시대 난곡에서 빛을 발한다. 아르헤리치 본인도 이 점을 잘 알고 있었는지 고전주의보다는 낭만주의에 천착했다. 프로코피에프 피아노협주곡 3번, 슈만 피아노협주곡, 리스트 피아노협주곡,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등 아르헤리치가 연주한 대부분의 낭만주의 레파토리는 해당 곡을 즐기고자 하는 클래식 애호가들이 반드시 들어야 할 20세기 최고의 명반으로 손꼽는다.

그렇다고 해서 굴다의 제자 답게 고전주의 레파토리도 부족한 게 아니다.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협연한 모짜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이나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2,3번 역시 매우 우수한 레코딩이라 할만하다. 바흐의 영국 조곡 음반이나 슈만의 어린이정경과 같은 소박한 연주에서도 카랑카랑한 음색으로 만만치 않은 내공을 자랑한다. 대표적으로 스카를라티 소나타 K.141의 연주는 전무후무한 연타 테크닉으로 정평이 나 있는데, 그녀의 앵콜 18번 중 하나로 꼽힌다.

최근에는 '기교파 피아니스트'라는 수식어가 무색할만큼 실내악 연주에 힘쓰고 있다. 아르헤리치처럼 화려하고 강렬한 음향을 지닌 피아니스트와 실내악은 잘 어울리지 않을 것 같지만 의외로 협주에서도 좋은 앙상블을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들어서 실내악 음반으로 그래미어워드를 수상하였으며, 2016년에는 이작 펄만과 실내악 음반을 발매하고, 2022년에는 르노 카퓌송과 음반을 발매했다. 기본적으로 음악성이 출중한 피아니스트이기 때문에 가능한 성과이다.

5. 여담



[1] 미국의 저명한 피아니스트로 결국 아르헤리치와 이혼했다.[2] 스티븐 코바세비치와의 딸[3] 《아르헤리치의 말(올리비에 벨라미, 2023, p. 233)》, 마음산책.[4] #[5] 왼쪽은 27세의 아르헤리치, 오른쪽은 35세의 아바도. 아르헤리치와 아바도는 음악적으로 매우 각별한 사이였으며, 음반도 함께 여러 장 발매하기도 했다.[6] 참고로 1956년 제네바 콩쿠르의 2위 입상자는 아르헤리치와 같이 미켈란젤리의 제자였던 마우리치오 폴리니였다.[7] 공개 연주가 아닌 것으로 보아 결선이 아니라 예선때의 영상인 듯 하다.[8] 특이하게 리스트드뷔시의 곡은 많이 연주하지 않으며 베토벤의 연주도 의외로 적은 편이다. 전 남편인 피아니스트 스테판 코바세비치에 의하면 아르헤리치에게 베토벤은 신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연주하기 부담스러워 했다고 한다. 참고로 코바세비치는 대표적인 베토벤 스페셜리스트로, 그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은 클래식 애호가들의 애장품 중 하나이다.[9] 쇼팽 콩쿠르를 주최하는 쇼팽 재단에서 주최하는 콩쿠르로, 쇼팽이 살았던 당대의 악기를 가지고 시대연주를 하는 콩쿠르라는 차이점이 있다.[10] 재즈와 클래식을 섞은 거슈윈랩소디 인 블루를 협연할 일정까지 잡아놓은 적이 있으나 마르타답게 직전에 취소했다고 한다.[11] 대표적인 예시가 유자 왕.[12] 이혼 사유는 남편의 외도. 그리고 이때 뒤투아의 외도 상대는 정경화였다. 아르헤리치 말로는 뒤투아가 평생 가장 사랑했던 사람이라고.[13] 이혼 후에도 현재까지 전 남편과 쿨하게 지휘자-협연자의 관계로 연주를 자주한다.[14] 이 때문에 당타이손의 연주가 우승에 적합하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다. 당시 뛰어난 연주를 보였지만 호불호가 심하게 갈렸던 이보 포고렐리치가 탈락하자 아르헤리치가 이 결과에 납득하지 못해 사퇴한 것일 뿐이고 마르타 아르헤리치도 당타이선의 연주를 인정해주었기 때문이다. 이후의 쇼팽 콩쿠르 심사위원에 당타이선이 지속적으로 발탁되는 것을 보면 쇼팽 협회도 그를 충분히 인정하였고 실제로 그가 발매한 쇼팽 CD들을 들어보면 누구라도 그가 쇼팽 스페셜리스트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15] 임동혁 또한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