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3:42:07

피아노 소나타 B단조(리스트)

제목Liszt Piano Sonata
작곡가프란츠 리스트
장르독주곡
연주자크리스티안 지메르만
녹음 시기1990년 2~3월

1. 개요2. 작곡 배경3. 상세4. 연주5. 여담
5.1. 발표 당시의 좋지 않았던 평가5.2. 피아니스트들에게 상당히 도전적인 곡

1. 개요

F. Liszt, Sonata in B minor, S.178

헝가리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프란츠 리스트가 1852~1853년 사이에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로, 프란츠 리스트의 유일한 피아노 소나타[1]이다. 기본적으로 단악장 소나타지만, 연주자나 평론가에 따라 악장을 구분하기도 한다(보통 4악장).

리스트의 피아노곡 중 가장 뛰어난 음악성을 가진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쇼팽의 피아노 소나타[2]와 더불어 낭만주의 시기 최고의 피아노 소나타로 평가 받고 있다.

2. 작곡 배경

이 곡은 1852~53년에 걸쳐 작곡되었으며 리스트의 자필악보에는 1853년 2월 2일에 이 피아노 소나타를 완성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그가 남긴 편지나 악보 스케치를 보면 1849년에 이미 처음 버전을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는 이 초고를 그대로 발표하지 않고 4년 가까이 수정을 한 후에 완성시켰으며 이 완성본은 처음 버전과는 상당히 다른 곡이 되었다.[3]

출판은 해를 넘겨 1854년에 이루어졌으며 자신에게 환상곡 Op.17을 헌정했던 로베르트 슈만에게 헌정했다. 하지만 당시 슈만은 양극성장애가 악화되어 환청과 망상에 시달리다 라인강 투신 자살 시도로 인해 정신 병원에 수용된 상태였기 때문에 부인이었던 클라라 슈만이 리스트가 보낸 악보를 대신 받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클라라 슈만은 이 곡을 몹시 싫어했다고 한다.

공식 초연은 출판된지 3년이 지난 1857년 1월 22일 베를린에서 한스 폰 뷜로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악보는 진작에 출판되었지만 이 곡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초연 이후부터 받기 시작했는데,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파격적이고 난해한 곡이었기 때문에 찬반이 극명하게 갈렸다. 요하네스 브람스, 클라라 슈만,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등의 보수성향의 음악인들은 이 곡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 반면 바그너로 대표되는 신낭만파 성향의 음악인들은 새로운 세계를 열어준 음악이라고 극찬했다.

3. 상세

리스트의 작품 중에서는 상당히 현대적인 면을 띠는 곡으로 평가받는다.

그 동안 3악장~4악장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을 깨트리고 단일 악장으로 무려 30분 동안 쉬지 않고 연주해야 되는 곡으로 당시 기준으로 파격적인 곡의 진행방식과 선율, 매우 어려운 연주기교 등으로 인해 처음 발표했을 때 상당한 충격을 일으켰다.

그 어렵다는 리스트 곡 중에서도 상당히 연주하기 어려운 곡에 속한다. 기교도 기교지만 리스트 곡들 중에서도 감정이나 곡의 특징을 표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물론 리스트 곡들 중에서 이 소나타 B단조보다 기교적으로 어려운 곡들이 많이 있지만 이 소나타는 어려운 기교에다 화려한 표현력과 완벽한 음악성을 특히나 잘 표현해야 하는 점이 난이도를 급격히 상승시킨다.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인 호로비츠는 리스트 소나타 B단조를 가리켜 “정신적으로는 물론 육체적으로도 주의해야 하는 악마와 같은 피아노 소나타”라 칭했다. 피아니스트 윤디 리도 이 곡을 가리켜 “인간의 생애, 사계절적 표현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단일 악장의 리스트의 유일한 소나타인 이 곡은 30분 동안 쉬지 않고 연주해야 하는 모든 표현력과 기교를 보여야 하는 피아노 테크닉의 정점에 있는 곡이자 교과서와 같은 곡인 것이다.

이 곡에서 사용된 주제변형기법을 설명한 동영상

이 소나타는 상기했듯, 단일 악장의 형태이다. 그는 여러 개의 주제를 제시하지만, 모든 악상이 동일한 모티브를 기본으로 두고 있는 것이 특이한 점이라 할 수 있겠다. 리스트는 끝없이 이 주제들을 변형시켜가며 단조로움을 피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법을 주제 변형 기법이라 부르며, 상당히 다양해 보여도 그 시작은 하나의 모티브[4]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매우 대단한 기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0분의 곡 전체에서 나오는 멜로디들의 모티브가 처음 몇 분 안에 거의 다 드러난다. 그러다가 13분 쯤에 마치 느린 악장 같은 역할로 새로이 등장하는 F#장조 선율 역시 이 곡의 다채로움을 더한다. 파괴적인 메피스토적인 절대악부터 순수한 인간의 여리다시피 한 선까지, 그는 인간의 감정을 이 소나타 안에 몇 안 되는 주제로 완벽하게 표현한 것이다.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들이 도전하는 작품들 중 하나로 조르주 치프라, 마르타 아르헤리치,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블라디미르 호로비츠클라우디오 아라우,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등이 명반을 남겼다.

더 읽을거리는 네이버 캐스트 참고바람.

4. 연주


리스트 스페셜리스트 조르주 치프라의 연주

5. 여담

5.1. 발표 당시의 좋지 않았던 평가

당시 기준으로 너무나도 어려운 연주 난이도, 시대를 앞서간 선율과 기법, 그리고 당시에 생소했던 주제변형기법까지 들어간 이 소나타는 처음 듣는 이에게 매우 피곤하고 난해하게 다가왔다. 기법적으로 상당히 시대를 앞서간 작품으로 대중들 뿐만 아니라 음악 전문가들도 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혹평을 퍼부었다.

5.2. 피아니스트들에게 상당히 도전적인 곡


* 테크닉도 정말 어렵지만, 특히 단악장에 30분이다 보니 내로라하는 피아니스트라 할지라도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연주를 하려 하면 상당히 부담스럽다. 흔히 4등분되는 구조긴 하지만, 진짜로 3-4악장인 기존 소나타와는 달리 그 사이에 손을 내리고 숨 돌릴 구간이 없는 차이는 매우 커서 여간 곤란한 게 아니다.
* 어렵기도 어렵지만 휴식없는 30분 구조 때문에 라이브 연주에서 미스터치 없이 연주하는게 거의 불가능할 정도. 특히 온 힘을 쏟아부어야 하는 막판의 프레스티시모[9]에서 미스터치가 없는[10] 라이브는 정말로 흔치 않은데,[11] 대개 이 부분에서 지친 기색이 여실하다. 21세기의 피아노 연주자 중에 기교적으로 최고로 꼽히는 아믈랭이나 유자왕의 리스트 소나타 연주 영상에서도 간간이 미스 터치가 들린다.
* 30분동안 쉬지 않고 연주를 해야하지만, 그만큼 작품의 아름다움도 리스트 소나타의 매력이다. 이런 아름다움을 구사해내는 것도 피아니스트의 몫이기 때문에 더욱 난이도가 어렵다. 아름다운 선율 뒤에는 어려운 기교들이 숨어있는 것이다. 도중에 나오는 세 손 연주 효과 기법은 손이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다.


[1] 단테 소나타 등 소나타 풍의 작품은 몇몇 있지만, 제대로 소나타 형식을 갖춘 곡은 이 곡이 유일하다.[2] 1번을 제외한 2번3번[3] IMSLP에서 자필보를 받아보면 알 수 있듯이 리스트는 초기 판본에서 수졍이 꽤 많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형적인 테크닉 중심 리스트식 종결부를 완전히 지워버리고 조용하고 여운이 남는 종결부로 바꾸었다. 그리고 이는 클래식 음악계 종사자 및 애호가들에게 신의 한 수라고 평가받는다.[4] 특히 매우 다급한 느낌으로 처음 등장했던 베이스의 연타 멜로디가 감미롭고 아름다운 제3주제 역할로 등장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다.[5] Walker, Alan et al. "Liszt, Franz."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20 Nov. 2009[6] 리스트라는 사람이 여성들과 자주 물의를 일으키는 등 됨됨이도 별로고 악보에 충실하지 않은 연주와 기교로 치장된 작곡/편곡 스타일을 가진 사람이라고 싫어했다.[7] Hamilton, Kenneth. "Liszt: Sonata in B min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8] Walker, Alan et al. "Liszt, Franz."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20 Nov. 2009[9] 리히터의 연주 영상[10] 템포를 확 죽여서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도 있다만, 이러면 청취자가 단박에 알고 그만큼 김이 샌다. 게다가 속도 줄인다고 미스터치가 안 나온다는 보장도 없는 난이도라, 이러고 틀리기까지 하면 인템포로 틀리는 것보다도 안 좋은 연주가 될 것이다.[11] 해당 피아니스트의 녹음본과 비교하면 더더욱 차이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