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M-92 FIM-92 Stinger FIM-92 스팅어 | |||
사진출처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휴대용 지대공미사일 | ||
원산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81년~현재 | ||
개발 | 제너럴 다이내믹스 | ||
개발년도 | 1967년 | ||
생산 | 레이시온 | ||
생산년도 | 1978년~현재 | ||
단가 | $38,000 (FIM-92A 미사일, 1980년) $119,320 (2020년) | ||
사용국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등 30여개 국 | ||
사용된 전쟁 | 포클랜드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 전쟁 앙골라 내전 스리랑카 내전 리비아-차드 전쟁 타지키스탄 내전 카길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그레나다 침공 제2차 체첸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기종 | |||
파생형 | FIM-92A(원형) FIM-92B(POST형) FIM-92C~J(RMP형) | ||
세부사항 | |||
탄약 | 70mm Mk.27 고체연료 로켓 탑재 미사일 (환형폭발 파편탄) | ||
유도방식 | 단순 적외선 유도(FIM-92A) 2파장 적외선 유도(FIM-92B/C) | ||
전장 | 1,520mm | ||
중량 | 15.66kg | ||
유효사거리 | 4,800m[1] | }}}}}}}}} |
[clearfix]
1. 개요
사진은 노르웨이에서의 군사훈련 중에 FIM-92 스팅어를 사용 중에 있는 미군 제2해병원정여단(2nd Marine Expeditionary Brigade)에 소속된 미국 해병대원의 모습이다. |
FIM-92 스팅어(Stinger)는 미 육군에 채택된 1세대 휴대용 대공 미사일(MANPADS)인 FIM-43 레드아이(Redeye)의 후계기종으로 개발되었다. 1981년에 제식화가 이루어진 이후로 여러 개량을 거쳤으며, 다양한 플랫폼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
2. 상세
2.1. 역사
FIM-43 레드아이 사용 모습 |
FIM-43 레드아이의 부족한 전방위 추적능력과 무력한 적외선 방해대응책(IRCCM), 3G 이하의 제한적인 기동성을 개량, 보완한 레드아이 II가 1967년부터 개발이 진행되어 5년 후인 1972년에 FIM-92라는 제식명과 함께 양산계약이 맺어졌고 1978년부터 미군 전체에 본격적으로 조달이 시작되었다.
최초의 실전 경험은 1982년에 발발한 포클랜드 전쟁에서 영국 육군 소속 특수부대인 SAS(Special Air Service)가 아르헨티나 공군의 IA-58 푸카라 공격기와 푸마 헬리콥터를 격추시킨 것이었다.
하지만 스팅어를 본격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전쟁은 비슷한 시기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소련 몰래 개입한 미 중앙정보국(CIA)의 지원을 받은 아프가니스탄의 저항세력인 무자헤딘(Mujahideen)에게 400-900 기가 공급되어 수많은 소련군 수송헬기를 격추시켜 아프간전에서 소련군을 괴롭힌 대표적인 무기로 유명해졌다.[2][3]
1995년에 등장한 무인항공기(UAV) 등의 소형 항공기도 추적이 가능한 FIM-92E RMP 블록 I을 시작으로, 현재는 미사일 본체의 근접신관 탄두와 모터, 가스 발생기 등의 내부 부속들이 교체된 FIM-92E 기반의 FIM-92J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미국 등의 서방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수백기의 FIM-92 스팅어를 지원하여 단기간에 수십 기의 러시아 헬기와 저공비행하는 전투기들을 격추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대전차 미사일인 FGM-148 재블린과 NLAW와 함께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을 물리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는 중이다.[4] 러시아군의 공격 헬기를 스팅어로 저지한 우크라이나군은 수월하게 매복 지점을 형성하고 러시아군의 전차 대형을 대전차 미사일로 공격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미국 본토에서 생산을 끝내 생산 라인이 닫혀 있었는데, 이번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계기로 라인을 되살리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차세대 요격체로 대체될 예정이다.
2.2. 특징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FIM-92A는 적외선만으로 목표물을 추적했으나, 이후 FIM-92B POST(수동형 광학추적기 기술적용, Passive Optical Seeker Technique), FIM-92C RMP(재프로그래밍가능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적용, Reprogrammable MicroProcessor) 개량형부터는 적외선 이외에도 항공기에서 나오는 특유의 자외선을 동시에 포착한다.
이후 발전형(Advanced) 스팅어라고 불리는 RMP 블록 II에서는 AIM-9X 사이드와인더에 적용되었던 초점면배열(FPA) 방식 적외선영상유도(IIR)를 통해 성능 향상이 더 이루어졌으나 2002년에 예산 문제를 이유로 도입이 취소되었다.
목표물을 발견하면 사수는 BCU(배터리와 냉각용 압축 아르곤 가스가 들어있는 장치)를 스팅어에 장착한 다음, 피아식별장치(IFF) 안테나를 펼치고 목표를 조준한다. 일단 배터리를 작동시키면 45초 이내에 목표물을 조준 후 미사일을 발사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냉각공기와 배터리가 다 떨어지기 때문.[5]
보통 2인 1조로 운용하며, 지휘관이 육안관측이나 아군의 다른 레이더 및 탐색장치로부터 통보받은 지점을 주시하고 있다가 적기가 나타나면 사수에게 방향을 알려주고, 사수는 알려준 방향대로 목표를 찾은 다음 탐색기가 목표물을 포착했다는 신호가 나오면 그대로 발사한다.
발사된 미사일은 일정속도로 회전하면서 날아가는데, 이는 엄청나게 작은 미사일 크기 때문에 방향조절용 구동기를 1개 밖에 넣을 수 없었기 때문. 보통의 미사일이라면 구동기를 2개 이상을 넣어서 날개 2쌍을 움직여 상하좌우로 움직이지만 스팅어는 1개만 넣는 대신 미사일을 일정속도로 회전시켜서 필요할때만 구동기를 움직인다. 즉 위쪽으로 움직인다면 조종날개가 수평상태에 놓인 타이밍에만 움직이고, 다시 계속 회전하여 수직으로 놓이려 하면 조종날개가 원래의 각도로 돌아가는 방식.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크기의 제약 때문에... 사실 이러한 방식은 FIM-43 레드아이를 비롯하여 미스트랄, 이글라, 신궁 등 대부분의 미사일이 쓰는 방식이다.
미사일의 크기가 워낙에 작다보니 보통의 미사일들이 근접신관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스팅어는 오직 지연식 충격신관만 사용한다. 목표물에 부딪히고 약간 지연된 다음 폭발하는 방식. 이는 목표물 내부에 탄두가 들어갔을 때 터져서 파괴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인데, 워낙에 탄두가 작아서 좀 더 확실하게 적 항공기를 파괴하기 위해서 택한 방식이다. 허나 2018년 8월달에 CMDS(Cruise Missile Defense Systems Project Office)s가 8월 3주 동안 플로리다주 Eglin 공군기지에서 비행시험을 하는 동안 스팅어 미사일에 새로운 근접 탄두 능력을 시연했다고 한다. 첫 2주간의 시험 이벤트에서는 정적 드론 표적에 대한 근접 탄두 능력의 특성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CMDS에서 스팅어 기반 시스템 생산을 책임진 Wayne Leonard에 의하면, 마지막 주에는 소형에서 -쉐도우 UAV급의- 1,000파운드급에 이르는 자유비행하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에 대항하는 시험을 했다고 한다.#
미국이 소련의 침공으로 고생하던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들에게 마구잡이로 뿌려준 덕분에 소련군 공격헬기와 전폭기들은 엄청난 고생을 해야 했다. 79%의 명중률과 33%의 격추율을 기록하였기 때문. 그래서 착륙할 때 조종사들이 고생했다.[6] 이와 관련된 영화로는 《찰리 윌슨의 전쟁》이 있다. 한편 소련군도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여, 공격기 Su-25의 동체와 엔진 사이에 장갑판을 설치하고 엔진에 프레온 가스를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를 설치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러시아에서 제작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 제9중대에서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으로 귀국하는 선임병들이 탄 수송기를 격추시켜 주인공들을 경악시켰다.
소련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한 이후에 미군은 기술유출 등을 우려해 개당 10만 달러 정도를 주고 되샀지만 상당수가 회수되지 않아서 후일 테러와의 전쟁을 명분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미국을 불안하게 했다.[7] 그래서 현재 미군은 아프가니스탄 등지에 자신들이 뿌린 스팅어의 회수에 힘쓰고 있는데 주된 방법은 돈 주고 되사오는 것...
미국이 한국에다가 스팅어를 팔지 않아서 한국군은 한동안 영국에서 들여온 재블린 지대공미사일을 썼으나, 이후 미군이 구형 스팅어(FIM-92B POST형)를 한국군에 넘겨주어 일부 부대에서 운용하였다. 그러다가 구형 스팅어보다 더 고성능인 러시아제 이글라 지대공미사일를 불곰사업을 통해 들여왔고, 프랑스제 미스트랄 지대공미사일을 대규모로 도입하여 맨패즈 방공망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현재는 이글라와 미스트랄을 적절히 조합한 국산 맨패즈인 신궁을 개발하여 운용중이다.
헬리콥터의 자체방어용 공대공 미사일로서 개조된 AIM-92 스팅어도 있다. 미사일 자체가 특별히 바뀐 것은 아니고 헬리콥터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발사대 부분만 개조된 모델. 주로 일선에서 작전중에 마주칠 수 있는 적 공격 헬리콥터나 적 공격기를 요격하라고 만든 모델이지만... 정작 미군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 어차피 미군은 일선의 공격 헬리콥터가 적 헬리콥터나 공격기를 만나기도 전에 아군 전투기들이 적기를 청소해놓는 시스템이다 보니... 대신 영국이나 일본은 AH-64에 이 공대공 스팅어를 탑재하였다. 한국 역시 AH-64E 아파치 가디언을 들여오며 스팅어 블록 I 438기를 같이 구매하여 현재 운용중이다.
별외로 90년대에 경찰의 불법 무기 자진 신고 기간에 농부 아저씨가 스팅어 발사기를 들고 온 적이 있다. 깜짝 놀란 경찰이 어디서 난 거냐고 물으니 하늘에서 떨어진 것을 밭에서 주웠다고 했다. 알아보니 미군 헬리콥터가 훈련을 하다가 잃어버린 것이라고 한다.
스팅어를 비롯한 대공 미사일들은 지상 목표를 공격하지 못할 걸로 오해하곤 하지만, 사실 스팅어를 포함한 대공 미사일들은 대함, 대지 목표로도 쓸 수 있다. 스팅어의 경우는 지상 목표라도 우선 열원을 감지할 수 있다면 유도탄으로 쓸 수도 있다. 단지 효용성이 없어 잘 쓰지 않을 뿐이다. 스팅어 미사일은 발당 가격이 4억원이 넘어가고 관통력도 낮아서 대전차용으론 효율성이 꽝이다.[8] 사실 이건 다른 지대공 미사일과 암람처럼 전투기에서 발사하는 공대공 미사일도 마찬가지로, 대공 미사일은 애초에 기동성이 전차보다 좋고 가격도 전차보다 비싼 항공기를 격추시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무기체계라 대전차 미사일보다 비싼게 당연하다. 지대공 미사일과 공대공 미사일이 대전차 미사일보다 관통력이 낮아 전차에게 이빨도 안박히는 주제에 가격은 대전차 미사일보다 비싸다고 폄하해서도 안되는게 애초에 전차급 방어력의 중장갑을 두르는 항공기는 없는 마당에[9] 관통력을 무리하게 높일 필요는 없다.[10][11]
3. 등장 매체
스팅어 등장 작품
군사소설에 등장하면 항상 시커가 목표 찾는데 오래 걸린다고 욕만 쳐먹고 쓸모도 없는 무기로 나온다. 대표적인 예로, 톰 클랜시의 소설 '적과 동지(Debt of Honor)'에서 미국 국회의사당으로 자폭공격을 감행하는 여객기를 미국 대통령 경호팀이 이것을 들고 요격하려 하지만…[12] 한국 밀리터리 소설가 김경진의 데프콘에선 연달아 큰 전쟁을 겪은 한국군이 국적 가리지 않고 대공무기를 도입하면서 이글라, 미스트랄, 스타버스트(영국제 자벨린 미사일 개량형), 스팅어를 모두 사용한다는 설정과 함께 등장하는데 미국까기에 열을 올리는 소설답게 미국이 자국군이 쓰지 않는 구형 스팅어만 팔아치워 실전에서 무기력한 전개가 나온다.
단 주인공 보정 덕분에 액션물에서 주인공이 쓰면 얘기가 달라지며 발사 절차도 매우 빨라지고 유도 기능도 매우 뛰어난 요술봉이 된다. 주인공이 이걸 든 순간 날아다니는 적 장비는 얼마 지나지 않아 불타는 고철이 된다고 봐도 좋다.
- 007 살인 면허
마약 카르텔 두목인 산체스가 부하들에게 제임스 본드가 타고 있는 켄워스 W500B 세미 트레일러에 이것으로 쏘라고 시킨다. 엄연히 지대공 미사일인데 대전차 미사일마냥 사용하는 꼴이다.[13]
- 2009 로스트 메모리즈
후레이센진 행동대장 이명학이 이노우에 재단의 운송트럭을 호위하던 경호차량 중 한 대를 파괴하는데 사용했으며 이후 사카모토와 사이고가 타고 왔던 차량을 파괴할때 한번 더 사용했다. 지대공 미사일인데도 작중에선 대전차화기처럼 묘사되었다.[14]
- 공각기동대
S.A.C 2nd GIG에서는 난민들이 스팅어로 EP-3E를 격추시켰다.
- 그리자이아의 과실
TVA 최종화에서 영해침범해서 경고방송하는 헬리콥터를 히스 오슬로의 부하가 쿨하게 조준,격추시킨다.일본측이 운용하는 기종을 고려하면 헬리콥터는 OH-1로 추정.##
- 닥터후
그냥 발사도 가능하다는 식으로 나온다.멀쩡한 대전차미사일은 갖다 버렸는지대전차무기 정도로 사용. 예를 들면 뉴 시즌 2 마지막 에피소드 Doomsday에서 영국군이 사이버스 사이버맨 하나를 스팅어로 잡기도 한다.
- 던전앤파이터
FM-92 스팅어로 개명되어서 런처가 무큐 1개를 소모해서 쓰는데, 당연히 현실의 그 스팅어를 바라면 곤란하다. 미사일 발사기 디자인부터 싹 갈아엎어놓고 발사한 폭탄도 하늘로 날아가는 게 아니라 하늘에서 폭탄이 분열해서 땅에 투투투툭 떨어지는 대규모 폭격용 미사일 런처가 되어서 나왔다.
- 메탈기어 시리즈
특정 목표를 지정하면 알아서 미사일이 날아가주는 성능이 끝내주는 무기로, 1의 메탈기어 렉스, 2의 vs 메탈기어 레이전은 이것으로만 싸워야 한다. 어째서 대공 무기인데 지상에 있는 병기를 때려잡는데 쓰는지는 모른다.[15] 또한 생명체도 유도가 가능하며 재장전도 필요없는 상당히 유용한 무기.[16] - 메탈기어 솔리드
리퀴드가 끌고 온 하인드를 공략하기 위해 반드시 입수해야 하는 무기이며, vs 렉스 공략시에도 이걸로 공략해야만 한다.[17] 위에서 설명했듯이 목표를 지정하면, 미사일이 알아서 날아가서 명중한다. 이 점을 활용해 예상 외의 적을 잡을 때에도 활용할 수 있다(...).[18] - 메탈기어 솔리드 2
솔리더스와 뱀프가 타고 온 해리어를 공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무기이며, vs 레이전에서도 이걸로 공략해야만 한다. - 메탈기어 솔리드 피스 워커
시대가 왠지 안맞는 것 같지만 등장한다. 그래서 프로토타입이라는 설정으로 등장시킨 모양으로 이름이 XFIM-92A이다. 설계도 자체는 1주차에서도 아우터 옵스를 하다보면 주울 수 있기는 한데 개발에 필요한 기술 레벨이 73이나 되어서 1주차에서는 거의 무용지물. 랭크 4/5 무기이므로 FIM-43에 비해 위력도 강하지만 무엇보다 록온이 빠른 것이 강점이다. 이걸로 리오레우스가 날아다니는 것을 때려잡고 있으면 기분이 참 묘하다. -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
장르가 뒤바뀌었지만 "호밍 미사일"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 메탈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
이 무기를 모티브로 한 가상의 미사일 발사기인 "허니 비"(Honey Bee) 미사일이 등장한다. 에피소드 6 "꿀벌은 어디에서 잠드는가"의 내용이 바로 무자헤딘에게 미군이 뿌린 허니 비 미사일의 샘플이 소련군의 손에 들어가기 전에 회수해달라는 미군측의 의뢰를 받는 것인데 아프간전쟁에서 미군이 무자헤딘에게 뿌린 맨패즈라는 설정이나 외형이나 그냥 어딜봐도 모티브는 스팅어. 미군의 조건은 탄두와 발사관을 모두 보존해서 돌려달라는 것이었지만 다이아몬드 독스 측에서는 이를 몰래 분해해서 개량한 카피품을 만들고 돌려주는데 이 다이아몬드 독스 제 카피품의 이름은 '킬러 비'. 전통대로 사람이나 전차나 뭐나 다 록온되는 만능미사일이고 록온 거리도 길지만 어째 이번 작품에서는 다른 미사일류 무기들보다 데미지가 낮은 편이라 사용 빈도는 많이 밀리는 편. 심하면 에피소드 6에서 스컬즈를 잡는데만 쓰이고 그 이후로 한번도 안쓰는 경우도 있다. 재미있는건 나중에 가면 적군들 중에도 미사일 발사관을 들고다니는 놈들이 나오는데 허니 비가 아닌 킬러 비를 들고 나온다.
- 배틀필드 시리즈
모델링 오류가 있는데 3편과 4편, 하드라인의 모델링은 모두 실제 스팅어가 아닌 훈련용 미사일으로 모델링했다. - 배틀필드 2
2개씩 묶어서 대공 포대에 거치된 채로 등장. - 배틀필드 3
이글라와 함께 공병의 발사 후 망각 지대공미사일로 등장. - 배틀필드 4
에서는 유일한 발사 후 망각 미사일로 등장한다. 상당히 약해진 것이 흠. - 배틀필드 하드라인
얻기 힘든 노획무장이 되어서 헬리콥터들이 무조건 한방이 되었다. 하지만 차량의 대공 무기고 업그레이드만 하면 트렁크에서 쉽게 뽑아쓸 수 있기에 대공망을 없애버리는 밸런스 파괴가 행해졌다. - 배틀필드 2042
미래식 스팅어가 "FXM-33 대공 미사일"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이외에 포털 모드에서는 BF3의 스팅어가 재등장.
- 블루 아카이브
미사키가 사용하는 무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대공 무기일 텐데 그 세계관에 공군이 안 나오다 보니[19] 지상 병력을 상대하는 데에 쓴다. 심지어 소이탄 계열 집속탄을 쓰는데, 실제 스팅어는 지대공 미사일이라 집속탄 계열 탄환이 없다.
- 아파치
니콜라스 케이지가 주연했던 영화(원제: Fire Birds). 최종오의로 나온다. 주인공의 AH-64 아파치가 추락하자 쫓아오던 적기를 향해 아파치 날개에 달려있던 스팅어를 떼어내서 직접 사람이 들고 쏴버렸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아파치에도 공대공 사양의 스팅어를 달 수는 있지만, 현실에서는 그것을 그 자리에서 떼어내서 사람이 직접 조준 후 발사할 수는 없다. 발사신호를 줄 수 없기 때문. 다만 작중에서는 그래도 현실성을 높이려고 BCU와 IFF 등을 꺼내와서 수동으로 장착한 뒤 발사했다. 실제로 가능한지는 불명(애당초 BCU와 IFF까지 지참하고 다닐 리도 없고). #
- 요르문간드(만화)
러시아 서쪽의 파이프라인을 탈취하려는 마을에서 러시아의 하인드전투 헬리콥터의 습격을 받은 산악병들이 격추시키기 위해 사용되나... 현시창. 못 맞추다 전멸당하는 것을 본 코코 헥마티아르는 동료 산악병들에게 철수를 권한다.
- 워록(게임)
중화기병의 유일한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로 등장. 조준한뒤 수동으로 락온 한뒤 발사한다. 생김새는 잘 표현했으나, 장전할 때에는 발사관 앞으로 검은 미사일을 다시 집어넣어 장전한다. 유도탄이면서 명중률이 그닥이지만 항공 장비에 대한 억제력 때문에라도 누군가는 필수로 들어야하는 무기. 그런데 여기선 번역이 스팅거이다.
- 워 썬더
AH-64 시리즈 및 여러 서방권 헬기들의 공대공 무장으로 달리고 일부 경장갑 대공차량의 무장으로 달리지만 소련제 구형 맨패즈의 기동력인 10g로 모든 맨패즈의 기동력을 통일시킨 이게임 특성상 기동력이 매우안좋고 이 무장을 가장 많이 사용하게되는 헬기 지속전에서는 어째서인지 플레어에 매우 교란이 잘당하기에 성능이 영 좋지않다.
- 찰리 윌슨의 전쟁
소련군 하인드 공격헬기를 무찌를 무기로 중간에 등장한다. 무력하게 당하기만 하던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들이 이 무기로 하인드를 날려버리고 나중에 찰리도 무슬림들에게 받아서 한번 들어보기도 한다.
- 최종병기 그녀
OVA에서 프로토타입 병기인 미즈키가 이걸 맞고 격추당했다. 정확히는 기존의 전투로 인해 이미 피해가 심하게 누적된 상태에서 치세를 대신해 무리하게 출격했다가 결국 한계가 온 것.
-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정작 만든 미국은 안 쓰고 GLA만 쓰다 보니 스팅어도 쿼드캐논이나 RPG-7처럼 소련제인 줄 아는 사람들이 꽤 많았다. GLA 진영의 대전차, 대공방어시설인 스팅어 사이트에서 사이트 안의 보병들이 이름 그대로 사용한다. 건설 아이콘을 보면 특유의 조준기가 보인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캐주얼한 게임 특성상 발사 절차가 훨씬 간략하다.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캠페인 한정으로 등장하며, Mi-8 및 Mi-24를 격추시키는 데 사용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멀티플레이에서도 부무장으로 사용 가능하며, 유도 미사일 중 가장 뛰어난 유도력을 자랑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보병을 상대로 락온할 수도 있다. 2발씩 주기에 플레어로 회피하는 항공기도 여유롭게 잡을 수 있다. 다만 렉 걸리는 서버에서는 수십발을 쏴도 안맞을 때가 있으니 이런 경우 얌전하게 서버를 떠나자.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캠페인 중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배경의 미션에 등장하는데, 기계식 조준기를 달아서 수동으로 자유발사가능하게 만들어놨다. 이외에도 미래 시점과 멀티플레이에서는 외형이 변경된 스팅어와 유사한 장비가 "FHJ-18 AA"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온라인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위의 스팅어에서 이름을 따온 듯한 "Stinger M7"이라는 이름의 가상의 맨패즈가 등장한다. 한번에 4개의 미사일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
시그마 2B라는 이름으로 재등장. 블랙 옵스 2와 마찬가지로 무유도 상태에서도 발사가 가능하다.
- 킨키영무국
영무성, 신무청, 그리고 자위대가 모두 활용하는 대공 병기로 등장. 단 플레이어가 직접 사용해 볼 수는 없고, 컷씬에서만 나온다. 본래 신무청 쪽에는 공급이 안 되는 무기인지, 사이가 신사 측이 스팅어를 사용해 영무국의 드론을 격추하자 코히나타 과장이 "누가 신사에다 스팅어 팔았어?" 라며 성질을 내기도 한다.
- 픽셀 건 3D
가성비가 매우 안좋은 성능을 가진 로켓 런쳐로 나온다.[20]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유도이기는 유도인데 이게 수동 유도라는 점.
- Fate/Zero 애니메이션판
19화에서 에미야 키리츠구가 나탈리아 카민스키와 구울들이 탄 비행기를 격추하는 데 사용한다.[21]
- Grand Theft Auto V
호밍런쳐라는 무기의 외형이다. 걍 들고 조준하고 쏘면 되는 단순한 방식이지만, 항공기 외에도 차량이나 탱크에도 락온된다! 이렇게 보면 RPG의 상위호환이지만 어째선지 온라인에선 처음부터 쓸 수 있다.[22] 다만 인서전트나 나이트샤크나 어벤져 같은 경우에는 15발, 25발을 맞혀야하고 채프나 플레어를 발사하면 먹히지도 않고 무엇보다 고수들은 헬리콥터로도 피해버린다.
- H3VR
무한정으로 꺼내면서 마음껏 사용할수 있지만, 기계형 오브젝트가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4. 둘러보기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91/38, SMLE No. 4 Mk I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BM59, AR70/223, AR-10, M16A1 | |||||
기관단총 |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 |||||
산탄총 | RS-202, SPAS-12 | |||||
권총 |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 |||||
유탄발사기 | M7, GLF-40,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 |||||
맨패즈 | FIM-92A | |||||
화염방사기 | M41, T148 | |||||
박격포 | M62 | |||||
지뢰 | VS-DAFM 7 | |||||
유탄 | M35, OD82, Mk.2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자위대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자위대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7.62mm 소총 M1, 7.62mm M1 기병총 | |||||
자동소총 | 64식 소총, 89식 소총 | |||||
기관단총 | ||||||
권총 | 남부 권총, | |||||
조명총 | 53식 신호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로켓 발사통 M9, 89mm 로켓 발사통 M20, 84mm 무반동포 | |||||
화염방사기 | 휴대용 방사기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박격포 | M2 60mm 박격포, 64식 81mm 박격포, M2 107mm 박격포 | |||||
유탄 | Mk2,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31 총류탄 | |||||
냉병기 | 총검 | M1 총검, 64식 총검, 89식 다용도 총검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자위대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포클랜드 전쟁 당시의 영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포클랜드전쟁 시기 영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L42A1 | |||
L1A1 SLR | |||||
M16A1, M653 | |||||
기관단총 | L2A3, L34A1, L92A1 | ||||
산탄총 | L74A1 | ||||
권총 | L9A1, L47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4A2, L7A2, L2A1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L1A1 | ||||
미사일발사기 | Blowpipe, Milan, FIM-92 | ||||
무반동총 | L6, L14A1 | ||||
박격포 | L9A1, L16A1 | ||||
폭발물 | 수류탄 | L2A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영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무자헤딘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무자헤딘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 / 폴링 블록 | 마티니-헨리, 리-엔필드, 모신나강, 르벨 M1886, 한양 88식 | ||
반자동소총 | SKS, M1 개런드, L1A1 SLR | ||||
자동소총 | AK-47, AKM, AKMS, 56식, 63식, AK-74, AKS-74, AKS-74U, AKMSU, G3A2, G3A4, M16A1, CQ 5.56 | ||||
머스킷 | 제자일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PPSh-41, MP5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TT-33, 54식 권총, PM, 스테츠킨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DP-28, MG34, RPD, DShK, 54식 기관총, SG-43, KPV, PKM, 67식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69식 화전통, RPG-18, RPG-22, B-10, 65식, AT4, 56식, 밀란, BGM-71 | ||||
맨패즈 | 블로우파이프, FIM-43, FIM-92, 9K310-M,9K38, HY-5, Sakr | ||||
박격포 | 63식 박격포, 82-PM-37, M193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국가별 운용무기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란-이라크 전쟁 이란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Vz.98/29, M1310, M1317, Kar98k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SVD | ||||
자동소총 | G3, AK-47, AKM, 56식 자동소총, CQ 5.56 | ||||
기관단총 | MP40, 스털링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MP5, M12, Z-84 | ||||
권총 | M1911A1, M1314,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9A4, M1919A6, Vz.26, MG3, MAG, DP-28, SGM, RPK, PK, M2HB, DShK | |||
대전차화기 | M18, M40, BGM-71, M47, RPG-7, 69식 화전통, RKG-3, 9M14 | ||||
맨패즈 | FIM-92, 9K32, 9K34, 9K38 | ||||
대공포 | KS-19, ZU-23, ZPU-4 | ||||
박격포 | M1 | ||||
유탄 | F1 수류탄,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란-이라크 전쟁 이라크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Vz.24, Vz.33, Kar98k,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SKS, FN-49, Vz.52, 바그다드, 알 카데시, 타부크 저격소총 | ||||
자동소총 | G3, AK-47, AKM, PM md. 63, M70, 56식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P40, PPSh-41, M56, Vz.61, PM-63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3, PM, 타리크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DP-28, SGM, RPD, RPK, PK, 67식 기관총, M72, DShK, 54식 중기관총, NSV | |||
대전차화기 | M20, BGM-71, B-10, B-11, RPG-7, 69식 화전통, RPG-16, RKG-3, SPG-9, 9K111, 9M14, 밀란 | ||||
맨패즈 | FIM-92, 9K32, 9K38 | ||||
화염방사기 | LPO-50 | ||||
대공포 | KS-19, ZU-23, ZPU-4 | ||||
유탄 | F1 수류탄,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 이스라엘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이스라엘 국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갈릴, M16A1, M16A2, M16A3, Menusar, M4, TAR-21/X95, MCX | ||
지정사수소총 | 갈라츠, M89SR, SR-25, REC10 | ||||
저격소총 | HTR 2000, M24 SWS, M82A1, MRAD, TAC-50 | ||||
기관단총 | 미니 UZI, R0635 | ||||
산탄총 | 암셀 스트라이커, 레밍턴 M870, 베넬리 M4, SPAS-15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제리코 941, 글록 17S/19, SP-21,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갈릴 ARM, 네게브, FN MAG, M2HB-QCB, M134 | |||
총류탄 | 시몬 | ||||
유탄발사기 | M79, M203, Mk.19, Mk.47 | ||||
대전차화기 | M47 드래곤, M72 LAW, MATADOR, B-300/시폰, 스파이크, BGM-71 TOW/MAPATS, RPG-7 | ||||
박격포 | 솔탐 K6 | ||||
맨패즈 | 블로우파이프, FIM-92A 스팅어, 미스트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AR70/90, ARX-160A1/A2/A3 | ||
저격소총 | AW, 사코 TRG-42 | ||||
기관단총 | 베레타 Mx4 Storm, UMP40 | ||||
산탄총 | FP6, SPAS-12, SPAS-15, STF-12 | ||||
권총 | 베레타 92 | ||||
지원화기 | 기관총 | FN 미니미, 베레타 MG42/59, M2 중기관총, M134 미니건 | |||
유탄발사기 | 프랑키 GLF-40, GLX-160 | ||||
대전차화기 | MILAN 2T, TOW II, 판처파우스트 3, 스파이크, 브레다 폴고레 | ||||
박격포 | 120mm F1, M62 81mm 박격포 | ||||
맨패즈 | FIM-92A 스팅어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4, G36, HK416, SCAR | ||
저격소총 | AWM, M82A1, M107, 샤이택 M200, M110 SASS | ||||
기관단총 | 스펙터 M4, MP5, MP7, P90, 슈타이어 TMP, PMX | ||||
산탄총 | 베레타 RS202, 베넬리 M4 슈퍼 90 | ||||
권총 | 베레타 93R, 글록 17/19, FN Five-seveN, P11 | ||||
유탄발사기 | M203, Mk.19, Mk.47 | ||||
대전차화기 | M72A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덴마크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A40000><colcolor=#FFF> | <colbgcolor=#A40000><colcolor=#FFF> | 스파이크-LR2 | 코브라R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 BGM-71D TOW 2 | BGM-71A TOWR | SS.11R | ||
공대지 | 회전익기 BGM-71D TOW 2R고정익기 AGM-65(D/G) 매버릭 | AGM-12B 불펍R | ||
함대함 | RGM-84L 하푼 블록 2 | RGM-84(A/D) 하푼 블록 1A/1CR | ||
지대함 | RGM-84D 하푼 블록 1CR (MOBA 체계) | ||
어뢰 | 경어뢰 | MU90 임팩트 | |
중어뢰 | Tp 617R | Tp 421R | G7eR | ||
FIM-92C 스팅어R | FIM-43 레드아이R | |||
중거리 | MIM-23(A/B/L) 호크R | ||
장거리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 RIM-7(P/M) 시스패로우R | ||
''' 함대방공 ''' | RIM-66M-2 SM-2 MR 블록 IIIA | ||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AIM-9(J/N/L)R | ||
''' 중장거리 ''' | AIM-120(B/{C-8}) AMRAAM | ||
유도폭탄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 ||
<colbgcolor=#FFF><colcolor=#002F6C> | <colbgcolor=#FFF><colcolor=#002F6C> | 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 |
탑재형 |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 ||
공대지 | 고정익기 AS.11R | ||
'''[[지능탄| 유도포탄 ]]''' | 지대지 | BONUS 155 (155mm, K-9 FIN) | |
공대지 (ALCM) | AGM-158A JASSM | ||
함대함 |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 ||
지대함 |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 ||
'''[[어뢰| 어뢰 ]]''' | 경어뢰 | {Tp 47 SLWT} | Tp 45 | |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 |||
단거리 | XA-181 ItO 90M | ||
중거리 |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 ||
장거리 | {다비즈 슬링} | ||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 ||
단거리 |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
''' 중장거리 ''' | AIM-120(B/C-7) AMRAAM | ||
유도폭탄 | AGM-154C JSOW | GBU-(32/38) JDAM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 |||||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 C7NLD, C8NLD | |||
지정사수소총 | HK417 | |||||
저격소총 | AWM, TRG-41, SR93, SSG 69, M82A1 | |||||
기관단총 | MP9 | |||||
권총 | 글록 17M | |||||
산탄총 | 모스버그 590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OAWNLD, FN 미니미, FN MAG, M2HB-QCB | ||||
유탄발사기 | H&K UGL, H&K AGW | |||||
대전차화기 | M72A2, Pzf-3, TLV 84mm, 유로스파이크 | |||||
박격포 | MO-60-CA, L16A2, MO-120 RT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유탄 | NR20 C-1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HK416, MCX* | ||||
저격소총 | MSG90, AWSM-F* | |||||
기관단총 | P90, MP5, MP7, MPX | |||||
권총 | 글록 18, P226, P11 | |||||
기관총 | 콜트 캐나다 LOAWNLD | |||||
박격포 | 브란트 MO-60 V* | |||||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 FN FAL, FN FALO, M47 드래곤, AT4 | |||||
*: 왕립 네덜란드 해병대가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포르투갈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
<colbgcolor=#006600><colcolor=#FFFF00> | <colbgcolor=#006600><colcolor=#FFFF00> | 밀란-(2/2T) | |
탑재형 | 기갑차량 BGM-71 TOW | SS.11R | ||
공대지 | 고정익기 AGM-65(BR/F/G) 매버릭 | ||
함대함 | RGM-84D 하푼 블록 1C | MM38 엑조세R | ||
잠대함 | UGM-84(L/D) 하푼 블록 2/1C | ||
어뢰 | 경어뢰 | Mk.46 Mod 5 | Mk.44 Mod 1R | |
중어뢰 | A184 블랙샤크 | E14R | L5 Mod 4R | L3R | 마크 IVR | ||
FIM-92E 스팅어 | 블로우파이프R | |||
단거리 | MIM-72(F/G) 채퍼럴 | 크로탈 R.440R | ||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블록 II | RIM-7M 시스패로우 | ||
단거리 |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B/E/P)R | ||
''' 중장거리 ''' | AIM-120C-5 AMRAAM | ||
유도폭탄 | GBU-31 JDAM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12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대만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대만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57식 소총, T65, T65K2, T86, T91, T112, T68, XT97, M16A2, M4A1, Mk.18, G36C | |||
저격소총 | M24 SWS/T93K1, M82A1, M107A1, DSR-1, PSG1, SSG 2000, T108 | |||||
기관단총 | T77 기관단총, UZI, MP5A5/SWA5, FN P90, MPX | |||||
산탄총 | SPAS-12, 베넬리 M4 | |||||
권총 | T51K1, T75K1, G17, G19, G26, USP | |||||
지원화기 | 기관총 | 57식 기관총, T74 다목적 기관총, T75 분대 기관총, T90 중기관총, GAU-19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T85 유탄발사기, T91 40mm 자동유탄기관총, MGL Mk-1, MGL-140 | |||||
대전차화기 | 1식 66mm 대전차 로켓, APILAS, FGM-148 재블린, 홍준, BGM-71 TOW-2A/B, M136 | |||||
박격포 | T63 120mm 박격포, T75 60mm 박격포, T75 81mm 박격포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미스트랄 | |||||
의장 | M1 개런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의 조지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fff,#191919> 현대의 조지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 AKM, AKMS, AK-74, AKS-74, AKS-74U, PM md.63, AK-74M, M4A1, M4A2, M4A3, G13, G3, HK33, SCAR | ||
지정사수소총 | DELTA-308, SVD, VSS, 갈라츠, SRS | ||||
저격소총 | PDShP-1, PDShP-2, 자스타바 M93, TRG-22, TRG-42, M24 SWS, B&T APR, Tac-50, M82, M95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MP5, MP5SD, MP5K, UMP45 | ||||
산탄총 | M4 | ||||
권총 | CZ75, SPP-1M, PSS, 제리코 941, SP-21, G17, G21, P226, P229, USP, FN Five-seveN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74, PKM, DShKM, NSV, Vz.59, 네게브, M240, M2HB, M134 | |||
유탄발사기 | UBGL-1, AG-40, GP-25, AGS-17, M203, MGL, STK 40 AGL | ||||
대전차화기 | RPGL-7D, RPG-7, PDM-1, SPG-9, RPO-A, RPG-18, RPG-22, RPG-26, 9K111, 9K115, 9K115 메티스-M, 9K113, FGM-148, AT4 | ||||
박격포 | GM-60, GNM-60, M6C-210, M57, GM-82, M69, 2B9, 2B14, GM-120, 2B11, M74, 솔탐 K6 | ||||
맨패즈 | 9K38, 그롬, 9K32, 9K34, FIM-9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조지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알바니아 공화국군 (1945~현재) Forcat e Armatosura të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 |||
<colbgcolor=#FF0000> ''' 개 ''' 인 화 기 | <colbgcolor=#FF0000> '''[[소총| 소총 ]]''' |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 AR70/90 | MPT-76 | MPT-55 | ASh-82 | AK-47R | ASh-78R | 56식R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SVDR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TRG-22 | TRG-42 | |||
기관단총 | H&K MP5 | |||
권총 | Px4 스톰 | 마카로프 PMR | TT-33R | |||
''' 지 '''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2| 경기관총 ]]''' | MG4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G5, RPK | ASh-78 Tip-2 | RPD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DŠKM | M2HB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로켓 | RPG-7 | Tip-57 | 69식 화전통 | ||
미사일 | FGM-148 재블린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HN-5 | |||
유탄 | RGD-5R | |||
박격포 | 히르텐베르거 M6C-210 | 히르텐베르거 M8 | 67식 박격포R | PM-43R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ARX-160 | M4A1 | G36 | ASh-82 MOD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HK417 | H&K SR9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바렛 M82 | |||
기관단총 | UMP45 | MP7A1 | MP5SD | MP5K | |||
권총 | Five-seveN | 글록 19 | P8 | P12 | 베레타 92 | 야부즈 16 | |||
유탄발사기 | GLX-160 | M203 | |||
※ 윗첨자R: 퇴역 장비 | ||||
※둘러보기 : 알바니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CD116> 현대의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CD116> 소총 | <colbgcolor=#FCD116> 돌격소총 | 갈릴, 갈릴 ACE, TAR-21, M16A2, M4A1 | ||
지정사수소총 | 갈라츠, M110 | ||||
저격소총 | M24, M82, M95, MSR | ||||
기관단총 | UZI, MP5 | ||||
권총 | M1911A1, M9, 제리코 941, 코르도바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네게브, M249, K3 경기관총, M60, FN MAG, M134,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MGL Mk.1, Mk.19 | ||||
대전차화기 | M72, APILAS, AT4, 스파이크-MR/LR/ER, BGM-71, RPG-22 | ||||
박격포 | M4, M30, MO-120 RT | ||||
맨패즈 | FIM-92, 미스트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콜롬비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 |||
<colbgcolor=#DA291C> | <colbgcolor=#DA291C> | {스파이크 LR2} | NLAW | PAL BB 77 드래곤R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 LR2} | PAL BB 85 TOW | PAL BB 65 BANTAMR | |||
공대지 | 고정익기 Flz Lwf LB 66 "NORAS"R | Flz Lwf LB 82 매버릭R | |||
유도포탄 | 지대지 | 12cm Mw int G 96 STRIX (120mm, Mö 16) | 15,5cm Kan int G 01 SMArt (155mm, Pz Hb M109) | ||
L Flab Lwf BL 94 스팅어 | ||||
단거리 | Mob Flab Lwf 레이피어R | |||
장거리 | {BODLUV GR 패트리어트} | Flab Lwf BL 64 블러드하운드R | | |||
단거리 | Flz Lwf LL AIM-9X "SIWA" | Flz Lwf LL (63/80 · 63/90 · 63/91) | Flz Lwf LL (63 · 63/75)R | |||
중장거리 | Flz Lwf LL (64 · 64/79) "팔코"R | Flz Lwf LL 97 · AMRAAM 120C-7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스위스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노르웨이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 FGM-148 재블린 | ERYXR | |
탑재형 | 기갑차량 BGM-71D TOW-2 | SS.11R | ENTAC | ||
공대지 | 고정익기 AGM-12B 불펍R | ||
'''[[지능탄| 유도포탄 ]]''' | 지대지 | BONUS 155 (155mm, K-9 VIDAR) | |
공대지 (ALCM) | JSM | ||
함대함 | {3SM 티르빙} | NSM | 펭귄 Mk.1R | ||
공대함 | AGM-119 펭귄 Mk.3R | ||
어뢰 | 경어뢰 | 스팅레이 Mod 0 | Mk.46 Mod 2R | |
중어뢰 | DM2A3 제헥트 | Mk.37R | Tp 612R | T1 Mod 1R | ||
PPZR 피오룬 | FIM-92A 스팅어R | RBS 70R | |||
단거리 | NOMADS | ||
중거리 | NASAMS 3 | MIM-23C I-호크 · NOAHR | ||
장거리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
''' CIWS ''' | 미스트랄 1 | ||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 RIM-7M 시스패로우R | ||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IRIS-T | AIM-9(L/J)R | ||
''' 중장거리 ''' | AIM-120(B/C-7) AMRAAM | ||
유도폭탄 | GBU-(31/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리투아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리투아니아군 (1990~현재) Lietuvos Ginkluotosios Pajėgos | ||
<colbgcolor=#006A44><colcolor=#FFF> | <colbgcolor=#006A44><colcolor=#FFF> | FGM-148 재블린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 | ||
유도로켓 | 지대지 | {M30A2 · M31A2 GMLRS} (227mm, HIMARS) | {XM403 · XM404 ER-GMLRS} (227mm) | |
{MGM-164 ATACMS 2000} | |||
보병 RBS 70 Mk.1 | FIM-92 스팅어 | PPZR 그롬차량 FIM-92 스팅어 (AN/TWQ-1 어벤저) | |||
중거리 | NASAMS 3 | ||
''' CIWS ''' | 4K33 오사-MR (그리샤급)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현대 라트비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라트비아 국군 (1991~현재) Latvijas Nacionālie Bruņotie Spēki | ||
<colbgcolor=#9D2235><colcolor=#FFF> | <colbgcolor=#9D2235><colcolor=#FFF> | 스파이크-(SR/LR1/LR2)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ER2 | ||
유도로켓 | 지대지 | {M30A2 · M31A2 GMLRS} (227mm, HIMARS) | {XM403 · XM404 ER-GMLRS} (227mm) | |
{MGM-164 ATACMS 2000} | |||
'''[[대함 미사일| 대함 미사일 ]]''' | ''' 지대함 ''' | {NSM} | |
RBS 70 NG | FIM-92 스팅어 | PPZR 피오룬 | |||
중거리 | {IRIS-T SLM}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현대 이집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이집트군 보병장비 | ||||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 AK-47, M4 카빈, M16A2, M16A1, 마아디, AR70/90, CAR-15, SG552, SIG516, CZ-805/807, 베레타 ARX-160 | ||
저격소총 | SVD, PSG1, AWM, M40A3, SSG 3000, M82 | ||||
기관단총 | MP5, UMP, MP7 | ||||
권총 | TT-33, 헬완, 헬완 920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N 미니미, FN MAG, RPK, RPD, PK/PKM/PKMS, M60E4 | ||
중기관총 | SG-43, DShK, NSV, KPV, M2HB, M134 미니건, GAU-19 | ||||
유탄발사기 | 마아디 GL, M79, Mk.19 고속유탄기관총 | ||||
대전차화기 | 휴대형 | M72 LAW, M47 드래곤, RPG-7 | |||
설치형 | MILAN 2, BGM-71D TOW II, 3M6, 3M11, 9K11, 9M113, 9K115, HJ-8, 아케론 MP | ||||
무반동총 | M40 무반동포, SPG-9, B-10, B-11 | ||||
박격포 | M-43, 2B11 Sani, 헬완 UK-2, M240 박격포, M224, M30, M252 | ||||
맨패즈 | Sakr Eye, 이글라, 스팅어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인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인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INSAS/1B1 INSAS, T91, AKM, Vz.58*, MPi-KM*, AK-103, AK-203, CAR-15, M4A1, TAR-21, SCAR, CAR-817 | |||
저격소총 | 갈라츠, 드라구노프 SVD59, OSV-96, PSG1, 마우저 SP66, NTW-20/비드완사크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SAF 카빈 2A1, MSMC, ASMI, UZI, MP5, MP9, Mx4 | |||||
권총 | 자동권총 9mm 1A, 글록 17 | |||||
지원화기 | 기관총 | INSAS LMG, 네게브, PKM, MG 2A1/5A/6A, M2 브라우닝, NSV, KPV | ||||
유탄발사기 | GP-25, MGL 40mm, AGS-17, AGS-30 | |||||
대전차화기 | RCL Mk II, RCL Mk III, 106mm M-40A1*, 밀란 1/2T, 스파이크, 9M113 콘쿠르스, 9K135 코넷, B-300/시폰, RPO-A 시멜 | |||||
박격포 | OFB E1 51mm*, OFB E1 81mm, L16 81mm 박격포, OFB E1 120mm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9K38 이글라 | |||||
*: 도태 여부 미확인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인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파키스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파키스탄군 보병장비 | |||||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 <colbgcolor=#ffffff,#191919> 자동소총 | H&K G3, FN FAL, 56식 자동소총, 81식 자동소총, M16A1, M4A1, AUG*, FN F2000* | |||
저격소총 | SSG 69*, SVD, PSG1, 이스티글랄, 바렛 M82 | |||||
기관단총 | MP5/MP5K, 스털링 기관단총, FN P90* | |||||
권총 | Pk-09, 글록 17*/26*, H&K P7*, 슈타이어 M9A1, 베레타 92F, SIG P226, TT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FN 미니미 파라*, M249, FN MAG*, MG3, M2 브라우닝, RPD*, DShKM, KPV | ||||
유탄발사기 | M203, Mk.19 고속유탄기관총*, 밀코 MGL | |||||
대전차화기 | 칼 구스타프 M3*, 69식 화전통, RPG-29* | |||||
맨패즈 | HN-5A, Anza Mk-I, II, III 시리즈, 미스트랄, RBS 70, FIM-92 스팅어 | |||||
*: 도태 여부 미확인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의 바레인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Bahrain Defence Force (1968~현재) قوة دفاع البحرين | |||
<colbgcolor=#c81025><colcolor=#fff> 소총 | <colbgcolor=#c81025> 자동소총 | G3, FAL, M16A2, M4 카빈 | ||
저격소총 | M82 | |||
기관총 | 경기관총 | MAG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
기관단총 | MP5 | |||
권총 | 하이파워 | |||
대공 미사일 | FIM-92A, RBS 70 | |||
대전차 화기 | 무반동포 | BAT | ||
대전차 미사일 | BGM-71C, FGM-14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바레인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카타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8d1b3d> 카타르군(1971~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قطرية | |||||
개인화기 | <colbgcolor=#8d1b3d> 권총 | M10, HK4, P226 | ||||
<colbgcolor=#8d1b3d> 기관단총 | L2A3, MP5A3 | |||||
소총 | 자동소총 | FAL, G3A3, M4 카빈, M16A1, CAR-15A1, AK-47, AKM, AK-12, SCAR-L, SCAR-H, 발멧 M62/76 | ||||
저격소총 | M700, M82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AG, HK21, 미니미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밀란, HOT, AT4CS, M2, FGM-148, 9K135 | |||||
맨패즈 | 미스트랄, 블로우파이프, FIM-92 | |||||
박격포 | MO-120 RT, L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카타르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모신나강, MAS-36, M40A3, KSVK 12.7 | ||
반자동소총 | SKS, SVD, PSL, Mk.14 EBR | ||||
자동소총 | StG44, AK-47, AKM, AKMS, 56식 자동소총, MPi-KM, PM.md.65, AK-63, AMD-65, M70, Vz.58, AK-74, AKS-74U, AK-74M, AK-103, G3, FAL, CQ 5.56, K2C, G36, AUG, M16A2, M4A1 | ||||
기관단총 | PPSh-41, UZI, MP5, P90 | ||||
산탄총 | M3 | ||||
권총 | TT-33, PM, PB, CZ75, 브라우닝 하이파워, G17, G19, 베레타 92, HS2000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RPK, FN 미니미, M249 | ||
다목적기관총 | MG3, PKM, 80식 기관총, M60 | ||||
중기관총 | DShK, NSV, M2HB | ||||
유탄발사기 | AGS-17, MGL-140, Mk.19 | ||||
로켓발사기 | RPG-7, RPG-22, RPG-29, M-79 오사 | ||||
미사일발사기 | 9K38, 9K32, 화승총, 메티스-M, 9M133, HJ-8, TOW, MILAN, FIM-92 | ||||
무반동총 | AT4, SPG-9 | ||||
유탄 | F1, RGD-5, RPG-43, M6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ISIL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헤즈볼라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7E600> 현대의 헤즈볼라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7E600> 소총 | <colbgcolor=#F7E600> 반자동소총 | SKS | ||
자동소총 | AK-47, AKM, AKMS, AK-74, AKS-74, AKS-74U, CQ 5.56, FN FAL, H&K G3, M16A1, M16A2, CAR-15, M4A1 | ||||
저격소총 | SVD, T-5000, SSG 69, 사야드-2 | ||||
기관단총 | MP5 | ||||
산탄총 | M37, M1100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1919, PKM, FN MAG, M240 | |||
중기관총 | DShKM, KPV, M2HB | ||||
유탄발사기 | GP-25, GP-30, M203 | ||||
대전차화기 | RPG-7, PG-7-AT 나데르, RPG-29, RPG-30, SPG-9, 9K111, 데흘라비, 토브샨-1, 라아드, 메티스-M, 판처파우스트 3, MILAN, M40, M72, 사에게-2, 투판 | ||||
박격포 | HM12, M29, HM16 | ||||
맨패즈 | 9K32, 9K34, 9K38, 9K338, QW-1, FIM-9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헤즈볼라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 미국 | |||
남미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독일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싱가포르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 중앙아시아 ''' | |||||
서아시아 | 이란 | ||||
''' 오세아니아 ''' | |||||
아프리카 | }}}}}}}}}}}} |
[1] 8,000m로 늘린 어드밴스드 스팅어(RMP 블록 II)도 있었지만 2002년에 예산 문제로 인해 미 육군 도입이 철회되었다.[2] 방심하던 소련군은 무자헤딘의 스팅어 세례에 엄청나게 고생했으며, 이 때문에 부랴부랴 플레어 같은 디코이를 장착하거나 심지어는 화염방사기를 계조하여 교란시키기도 했다. 공격기에는 프레온 가스를 내장시켜 화재를 예방하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했다.[3] 반면 대응되는 러시아제 무기는 9K32 스트렐라-2 이다.[4] 스팅어 외에 영국이 스타스트릭을 제공했고, 슬로바키아가 보유중이던 S-300을 넘겨주고 보상으로 미국이 슬로바키아에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배치해줬다. 노르웨이는 미스트랄을 지원하기로 결정했고, 독일은 동독군이 사용하던 스트렐라 2,700기를 보내기로 결정했는데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아 700기가 사용 불능이었다. 우크라이나군이 기존에 보유했던 소련제 이글라도 활발히 사용중이다. 우크라이나 공수부대는 우크라이나 자체개발 '대전차' 미사일인 Korsar로 Mi-8 2대를 격추시키는 재주를 부리기도 했다.[5] 스팅어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보병휴대용 미사일이 이런 식이다.[6] 예를 들어 수송기가 아프간의 현지 공항에 착륙할 때 공항 활주로 1~2km 미만의 거리까지 고고도에서 날다가 70~90도 사이를 육박하는 급강하 후 착륙한다. 이러다가 지면까지 급강하했던 적도 있다.[7] 실제 사용되었는지는 불명이다. 대부분의 경우, 냉각기가 유효기간을 넘었기 때문에 실제로 쓰지는 못했다고 한다. 냉각기가 없으면 탐색기가 작동하지 않아 미사일이 목표를 찾을 수 없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는 파슈툰족이 파키스탄에도 많이 살기에 친중정책을 취하는 파키스탄을 통하여 중국에 밀반입되는 것을 우려한다는 의견도 있다.[8] 참고로 재블린 미사일의 발당 가격이 9600만원이고, 재블린보다 관통력이 높은 헬파이어 미사일의 발당 가격이 1억 3천만원이다.[9] 방어력이 세다고 여겨지는 Su-25나 A-10, 공격헬기들도 전차급 방호력이 아니다. 이들에게 있어 방호력이란 전차처럼 적의 공격을 막아내고 도탄시키는 목적보다는 위험한 저고도 임무에서 피격되더라도 임무를 계속하거나 어떻게든 파일럿을 생존시켜 귀환하기 위한 것이다. 장갑판도 조종석이나 엔진에나 적용되어 있는 데다가 두께 또한 전차와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얇다.[10] 기동성이 좋은 항공기를 잡는데 필요한건 명중률과 정확도지 관통력이 아니다. 전차급 방어력의 장갑을 두르는 항공기가 나오지않는 이상 관통력을 높이는건 오히려 대공 미사일의 비용 대비 효율성만 떨어뜨릴 뿐이다.[11] 항공기에 전차급 방어력의 장갑을 두르는게 기술적으로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이렇게 무식하게 장갑을 높이면 중량 증가로 인한 비행능력 하락 및 기동성 하락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거기다 결정적으로 전차마냥 장갑을 두껍게 둘러봐야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처럼 탄두가 큰 미사일에 맞으면 공중분해되기 때문.[12] 사실 이것은 모든 휴대용 대공 미사일, 즉 맨패즈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시커에 필요한 APU, 즉 배터리+냉각제는 기껏해봐야 45초 정도의 시간동안 전력 및 냉각 가스 등을 공급할 수 있고, 이 문제는 결국 스팅어 등의 미사일을 기지방어나 매복에 주로 쓰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미 충돌궤도에 들어선 보잉 747을 스팅어 한두 발로 격추시키기는 정말 하늘의 축복이 없는 이상⋯.[13] 근데 열원만 있으면 지상표적에도 얼마든지 발사 가능하다. 이는 열추적방식의 SAM은 전부 동일한 사항이다.[14] 애초에 스팅어같은 휴대용 지대공미사일은 이름 그대로 헬기나 전투기같은 공중병기를 격추시키는 용도로 쓰지 차량 몇 대 파괴할때 쓰기에 너무 과한 화기다.[15] 메탈기어 솔리드 3의 경우, 시대 배경이 냉전시대이므로 스팅어는 나오지 않으며, 대신 소련제 무기인 알라의 요술봉(...)이 그 위치를 대신한다.[16] MGS4 이후부터는 이것도 재장전을 한다. 그런데 그 재장전하는게 스팅어 본체를 버린다...[17] 렉스의 경우에는 본체에서 미사일을 쏘아대기 때문에, 스팅어를 정조준해서 쏘려 할 경우, 미사일 세례를 받기 딱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팅어를 쏘기 전에 먼저 채프 그레네이드를 뿌려서 날아오는 미사일들을 무력화시킨 뒤에 스팅어를 쏴야 한다.[18] 무려 게임 잡지 공략본에서 추천하는 방법이다. PSG-1을 활용한 정공법으로는 잡기 힘들기 때문. 스팅어 외에도 니키타 미사일로도 잡을 수 있다.[19] 아예 없는 건 아니고 아파치 등 공격헬기 및 수송헬기는 늘상 돌아다니고, 수송기의 존재 역시 자주 드러나며(심지어 6호 전차 티거를 공수투하도 한다) 고정익 UAV를 RABBIT 소대가 운용하기도 한다. 전투기나 유인 지상공격기 등이 등장한 바가 없을 뿐 MD 시스템의 존재가 언급되며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 탄도 미사일이 직접 등장했고 심지어 재현 불가능한 오파츠 취급이긴 해도 우주전함까지 존재하는 세계관에서 공군은 묘사만 안 되었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20] 중요한 것은, 가격이 320젬이고 두번째 업그레이드 비용이 329젬이란 것이다.[21] 소설판의 경우 영국제 맨패즈 Blowpipe를 사용한다.[22] RPG는 랭크가 100을 넘어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