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8:50:19

FIM-92 스팅어

FIM-92
FIM-92 Stinger
FIM-92 스팅어
파일:Stinger4c020d2_s2_n2.jpg
사진출처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휴대용 지대공미사일
원산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81년~현재
개발 제너럴 다이내믹스
개발년도 1967년
생산 레이시온
생산년도 1978년~현재
단가 $38,000 (FIM-92A 미사일, 1980년)
$119,320 (2020년)
사용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등 30여개 국
사용된 전쟁 포클랜드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 전쟁
앙골라 내전
스리랑카 내전
리비아-차드 전쟁
타지키스탄 내전
카길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그레나다 침공
제2차 체첸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기종
파생형 FIM-92A(원형)
FIM-92B(POST형)
FIM-92C~J(RMP형)
세부사항
탄약 70mm Mk.27 고체연료 로켓 탑재 미사일
(환형폭발 파편탄)
유도방식 단순 적외선 유도(FIM-92A)
2파장 적외선 유도(FIM-92B/C)
전장 1,520mm
중량 15.66kg
유효사거리 4,800m[1] }}}}}}}}}
1. 개요2. 상세
2.1. 역사2.2. 특징
3. 등장 매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35fe44c6e2cf84b1f67207f84f2fe7b622ee51ddb03850560f6d9ba81ca5da6c.jpg
사진은 노르웨이에서의 군사훈련 중에 FIM-92 스팅어를 사용 중에 있는 미군 제2해병원정여단(2nd Marine Expeditionary Brigade)에 소속된 미국 해병대원의 모습이다.

FIM-92 스팅어(Stinger)는 미 육군에 채택된 1세대 휴대용 대공 미사일(MANPADS)FIM-43 레드아이(Redeye)의 후계기종으로 개발되었다. 1981년에 제식화가 이루어진 이후로 여러 개량을 거쳤으며, 다양한 플랫폼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

2. 상세

2.1. 역사

파일:external/weaponsystems.net/ad_manpads_fim43_v1.jpg
파일:DM-SD-98-06511.jpg
FIM-43 레드아이 사용 모습

FIM-43 레드아이의 부족한 전방위 추적능력과 무력한 적외선 방해대응책(IRCCM), 3G 이하의 제한적인 기동성을 개량, 보완한 레드아이 II가 1967년부터 개발이 진행되어 5년 후인 1972년에 FIM-92라는 제식명과 함께 양산계약이 맺어졌고 1978년부터 미군 전체에 본격적으로 조달이 시작되었다.

최초의 실전 경험은 1982년에 발발한 포클랜드 전쟁에서 영국 육군 소속 특수부대인 SAS(Special Air Service)아르헨티나 공군의 IA-58 푸카라 공격기와 푸마 헬리콥터를 격추시킨 것이었다.

파일:1629643576.jpg
하지만 스팅어를 본격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전쟁은 비슷한 시기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소련 몰래 개입한 미 중앙정보국(CIA)의 지원을 받은 아프가니스탄의 저항세력인 무자헤딘(Mujahideen)에게 400-900 기가 공급되어 수많은 소련군 수송헬기를 격추시켜 아프간전에서 소련군을 괴롭힌 대표적인 무기로 유명해졌다.[2][3]

1995년에 등장한 무인항공기(UAV) 등의 소형 항공기도 추적이 가능한 FIM-92E RMP 블록 I을 시작으로, 현재는 미사일 본체의 근접신관 탄두와 모터, 가스 발생기 등의 내부 부속들이 교체된 FIM-92E 기반의 FIM-92J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미국 등의 서방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수백기의 FIM-92 스팅어를 지원하여 단기간에 수십 기의 러시아 헬기와 저공비행하는 전투기들을 격추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대전차 미사일인 FGM-148 재블린NLAW와 함께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을 물리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는 중이다.[4] 러시아군의 공격 헬기를 스팅어로 저지한 우크라이나군은 수월하게 매복 지점을 형성하고 러시아군의 전차 대형을 대전차 미사일로 공격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미국 본토에서 생산을 끝내 생산 라인이 닫혀 있었는데, 이번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계기로 라인을 되살리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차세대 요격체로 대체될 예정이다.

2.2. 특징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FIM-92A는 적외선만으로 목표물을 추적했으나, 이후 FIM-92B POST(수동형 광학추적기 기술적용, Passive Optical Seeker Technique), FIM-92C RMP(재프로그래밍가능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적용, Reprogrammable MicroProcessor) 개량형부터는 적외선 이외에도 항공기에서 나오는 특유의 자외선을 동시에 포착한다.

이후 발전형(Advanced) 스팅어라고 불리는 RMP 블록 II에서는 AIM-9X 사이드와인더에 적용되었던 초점면배열(FPA) 방식 적외선영상유도(IIR)를 통해 성능 향상이 더 이루어졌으나 2002년에 예산 문제를 이유로 도입이 취소되었다.

목표물을 발견하면 사수는 BCU(배터리와 냉각용 압축 아르곤 가스가 들어있는 장치)를 스팅어에 장착한 다음, 피아식별장치(IFF) 안테나를 펼치고 목표를 조준한다. 일단 배터리를 작동시키면 45초 이내에 목표물을 조준 후 미사일을 발사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냉각공기와 배터리가 다 떨어지기 때문.[5]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6886894067_5beff95ba0_b.jpg
보통 2인 1조로 운용하며, 지휘관이 육안관측이나 아군의 다른 레이더 및 탐색장치로부터 통보받은 지점을 주시하고 있다가 적기가 나타나면 사수에게 방향을 알려주고, 사수는 알려준 방향대로 목표를 찾은 다음 탐색기가 목표물을 포착했다는 신호가 나오면 그대로 발사한다.

발사된 미사일은 일정속도로 회전하면서 날아가는데, 이는 엄청나게 작은 미사일 크기 때문에 방향조절용 구동기를 1개 밖에 넣을 수 없었기 때문. 보통의 미사일이라면 구동기를 2개 이상을 넣어서 날개 2쌍을 움직여 상하좌우로 움직이지만 스팅어는 1개만 넣는 대신 미사일을 일정속도로 회전시켜서 필요할때만 구동기를 움직인다. 즉 위쪽으로 움직인다면 조종날개가 수평상태에 놓인 타이밍에만 움직이고, 다시 계속 회전하여 수직으로 놓이려 하면 조종날개가 원래의 각도로 돌아가는 방식.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크기의 제약 때문에... 사실 이러한 방식은 FIM-43 레드아이를 비롯하여 미스트랄, 이글라, 신궁 등 대부분의 미사일이 쓰는 방식이다.

미사일의 크기가 워낙에 작다보니 보통의 미사일들이 근접신관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스팅어는 오직 지연식 충격신관만 사용한다. 목표물에 부딪히고 약간 지연된 다음 폭발하는 방식. 이는 목표물 내부에 탄두가 들어갔을 때 터져서 파괴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인데, 워낙에 탄두가 작아서 좀 더 확실하게 적 항공기를 파괴하기 위해서 택한 방식이다. 허나 2018년 8월달에 CMDS(Cruise Missile Defense Systems Project Office)s가 8월 3주 동안 플로리다주 Eglin 공군기지에서 비행시험을 하는 동안 스팅어 미사일에 새로운 근접 탄두 능력을 시연했다고 한다. 첫 2주간의 시험 이벤트에서는 정적 드론 표적에 대한 근접 탄두 능력의 특성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CMDS에서 스팅어 기반 시스템 생산을 책임진 Wayne Leonard에 의하면, 마지막 주에는 소형에서 -쉐도우 UAV급의- 1,000파운드급에 이르는 자유비행하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에 대항하는 시험을 했다고 한다.#

미국이 소련의 침공으로 고생하던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들에게 마구잡이로 뿌려준 덕분에 소련군 공격헬기전폭기들은 엄청난 고생을 해야 했다. 79%의 명중률과 33%의 격추율을 기록하였기 때문. 그래서 착륙할 때 조종사들이 고생했다.[6] 이와 관련된 영화로는 《찰리 윌슨의 전쟁》이 있다. 한편 소련군도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여, 공격기 Su-25의 동체와 엔진 사이에 장갑판을 설치하고 엔진에 프레온 가스를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를 설치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러시아에서 제작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 제9중대에서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으로 귀국하는 선임병들이 탄 수송기를 격추시켜 주인공들을 경악시켰다. 무자헤딘: 어서 와, 여기 아프가니스탄 처음이지?

소련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한 이후에 미군은 기술유출 등을 우려해 개당 10만 달러 정도를 주고 되샀지만 상당수가 회수되지 않아서 후일 테러와의 전쟁을 명분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미국을 불안하게 했다.[7] 그래서 현재 미군은 아프가니스탄 등지에 자신들이 뿌린 스팅어의 회수에 힘쓰고 있는데 주된 방법은 돈 주고 되사오는 것...

파일:attachment/스팅어(지대공미사일)/rokstinger.jpg
미국이 한국에다가 스팅어를 팔지 않아서 한국군은 한동안 영국에서 들여온 재블린 지대공미사일을 썼으나, 이후 미군이 구형 스팅어(FIM-92B POST형)를 한국군에 넘겨주어 일부 부대에서 운용하였다. 그러다가 구형 스팅어보다 더 고성능인 러시아제 이글라 지대공미사일불곰사업을 통해 들여왔고, 프랑스제 미스트랄 지대공미사일을 대규모로 도입하여 맨패즈 방공망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현재는 이글라와 미스트랄을 적절히 조합한 국산 맨패즈인 신궁을 개발하여 운용중이다.

헬리콥터의 자체방어용 공대공 미사일로서 개조된 AIM-92 스팅어도 있다. 미사일 자체가 특별히 바뀐 것은 아니고 헬리콥터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발사대 부분만 개조된 모델. 주로 일선에서 작전중에 마주칠 수 있는 적 공격 헬리콥터나 적 공격기를 요격하라고 만든 모델이지만... 정작 미군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 어차피 미군은 일선의 공격 헬리콥터가 적 헬리콥터나 공격기를 만나기도 전에 아군 전투기들이 적기를 청소해놓는 시스템이다 보니... 대신 영국이나 일본은 AH-64에 이 공대공 스팅어를 탑재하였다. 한국 역시 AH-64E 아파치 가디언을 들여오며 스팅어 블록 I 438기를 같이 구매하여 현재 운용중이다.

별외로 90년대에 경찰의 불법 무기 자진 신고 기간에 농부 아저씨가 스팅어 발사기를 들고 온 적이 있다. 깜짝 놀란 경찰이 어디서 난 거냐고 물으니 하늘에서 떨어진 것을 밭에서 주웠다고 했다. 알아보니 미군 헬리콥터가 훈련을 하다가 잃어버린 것이라고 한다.

스팅어를 비롯한 대공 미사일들은 지상 목표를 공격하지 못할 걸로 오해하곤 하지만, 사실 스팅어를 포함한 대공 미사일들은 대함, 대지 목표로도 쓸 수 있다. 스팅어의 경우는 지상 목표라도 우선 열원을 감지할 수 있다면 유도탄으로 쓸 수도 있다. 단지 효용성이 없어 잘 쓰지 않을 뿐이다. 스팅어 미사일은 발당 가격이 4억원이 넘어가고 관통력도 낮아서 대전차용으론 효율성이 꽝이다.[8] 사실 이건 다른 지대공 미사일과 암람처럼 전투기에서 발사하는 공대공 미사일도 마찬가지로, 대공 미사일은 애초에 기동성이 전차보다 좋고 가격도 전차보다 비싼 항공기를 격추시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무기체계라 대전차 미사일보다 비싼게 당연하다. 지대공 미사일과 공대공 미사일이 대전차 미사일보다 관통력이 낮아 전차에게 이빨도 안박히는 주제에 가격은 대전차 미사일보다 비싸다고 폄하해서도 안되는게 애초에 전차급 방어력의 중장갑을 두르는 항공기는 없는 마당에[9] 관통력을 무리하게 높일 필요는 없다.[10][11]

3. 등장 매체


스팅어 등장 작품
군사소설에 등장하면 항상 시커가 목표 찾는데 오래 걸린다고 욕만 쳐먹고 쓸모도 없는 무기로 나온다. 대표적인 예로, 톰 클랜시의 소설 '적과 동지(Debt of Honor)'에서 미국 국회의사당으로 자폭공격을 감행하는 여객기를 미국 대통령 경호팀이 이것을 들고 요격하려 하지만…[12] 한국 밀리터리 소설가 김경진의 데프콘에선 연달아 큰 전쟁을 겪은 한국군이 국적 가리지 않고 대공무기를 도입하면서 이글라, 미스트랄, 스타버스트(영국제 자벨린 미사일 개량형), 스팅어를 모두 사용한다는 설정과 함께 등장하는데 미국까기에 열을 올리는 소설답게 미국이 자국군이 쓰지 않는 구형 스팅어만 팔아치워 실전에서 무기력한 전개가 나온다.

주인공 보정 덕분에 액션물에서 주인공이 쓰면 얘기가 달라지며 발사 절차도 매우 빨라지고 유도 기능도 매우 뛰어난 요술봉이 된다. 주인공이 이걸 든 순간 날아다니는 적 장비는 얼마 지나지 않아 불타는 고철이 된다고 봐도 좋다.

4. 둘러보기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A1/A4, M1917, M70, M4, MA-1, M40/M40A1, M24 SWS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자동소총 M1918A2, M2, M3, M1946, AR-10B, M14, M15, T48, 스프링필드 SPIW, AAI SPIW, 올린-윈체스터 SPIW, H&R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SBR, LMR, M231, M16A2, M16A2E2, 슈타이어 ACR, 아레스 ACR, AAI ACR, MDHC ACR, G11K2
기관단총 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 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H&K CAWS, AAI CAWS, S&W CAWS, 판코르 잭해머, SPAS-16, MIWS
컴비네이션 건 M6
권총 리볼버 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 M1903, M1911A1, M9, XM10, M1971, TZ-75, 루거 P85, FN BDA
기관권총 SCAM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다목적기관총 M1919A4/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 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 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 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 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 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 M2, M9A1-7
박격포 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 G3SG/1, M82
자동소총 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 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SMG I/II
권총 리볼버 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 HDM, 루거 Mk.1/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 마스터키, M7180, M7188
기관총 Mk.23, EX-27, HK21, HK23A1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총류탄 M7
화학탄 M7A3, M14, M18, M25, M34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 총검 M6, M7, M9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8, XM29, LSAT
지정사수소총 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MSG90, SIG716
저격소총 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Mk.22, RC-50, XM109
산탄총 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 M3A1, MP5A3, MP5A5, MP5K, MP5SD3, M635, APC9K, MPX, P90 TR
권총 리볼버 M15, GS32N
자동권총 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 M60, M134, M240
중기관총 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 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 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 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 M3, M3A1, M67, M136
박격포 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 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A1 URG-I, N4, M723, M727, M733,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 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 M25, M91, Mk.15, Mk.21, TAC-338, LRP-07, RPR
기관단총 MP5-N, MP7A1, UMP45
권총 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 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 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 수류탄 살상탄 M67, M111, Mk.3, Mk.21, ET-MP
섬광탄 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 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 M100
지뢰 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 총검 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 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 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 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 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 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영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리 엔필드 No.4 Mk.I, L8A1, P14 No.3 Mk.I, 드 라일 카빈, L42A1, L81A1, L96A1, L118A1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L1A1
자동소총 M2 카빈, EM-1, EM-2, L85A1
기관단총 스텐 Mk II/V, 란체스터 Mk.I, L2A1, L34A1, M1928A1, M1A1
산탄총 L32A1, L74A1
권총 웨블리 Mk IV, S&W 38/200, L9A1, L9A1 D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루이스 Mk IV, 브렌 Mk2, L4A4, L86A1
다목적기관총 L7A2
중기관총 빅커스 Mk I, 브라우닝 L3A1, 브라우닝 L2A1
로켓발사기 PIAT, M20, L72A9
미사일발사기 블로우파이프, 재블린, 밀란, FIM-92 스팅어
무반동총 L2, L4, L6, L14A1
화염방사기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박격포, L9A1, L16A1
유탄 밀즈 No. 36M Mk I, L2A2
특수전 화기 자동소총 L22A1, M16A1, M16A2, L100A1, L101A1, HK33
기관단총 부시맨 Mk.I, MAC-10, L80A1, L90A1, L91A1, L92A1
권총 웰로드, L47A1, L66A1, L102A1
유탄발사기 M79, M203
비치사성무기 ARWEN 37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독일 연방군(서독군) 보병장비
파일:독일 정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독일 연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SSG 69, SP66, Gewehr M1903, Gewehr Lee-Enfield, MAS-36
반자동소총 G3SG/1, WA2000, PSG1, WSG2000, Gewehr M1, Karabiner M1
자동소총 StG44, G1, G2, G3, G4, HK32, HK33, G8, G41, RH-70, HK36, Mauser G11, H&K G11
기관단총 MP40, MP1, MP2, PM9, MP3, MP4, MP5, KP/-31, M1A1, DUX-53, DUX-59
산탄총 HK512, M870
권총 P08, PPK, P1, P2, P3, P4, P5, P6, P7, P9, P11, VP70, P51/52, M19
조명총 P2
지원화기 기관총 M1918, MG1 ,MG2, MG3, MG8, HK23, M1919, M73, MG50
유탄발사기 HK69, HK79
대전차화기 PzF44, PzF3, MBB Armbrust, M40, MILAN, M20, RL-100, M72 LAW, BGM-71 TOW, Leuchtbüchse 84 mm
맨패즈 Fliegerfaust 1, Fliegerfaust 2
박격포 Esperanza
유탄 DM21, DM41, DM51
지뢰 PARM 1
냉병기 총검 Arbeitsmesser, KCB-77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이탈리아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91/38, SMLE No. 4 Mk I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BM59, AR70/223, AR-10, M16A1
기관단총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CB-M2, M4, MP5, M1928A1, M1A1
산탄총 RS-202, SPAS-12
권총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18A2, 브렌 경기관총, AS70, FN 미니미
중기관총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유탄발사기 M7, GLF-40, M203
대전차화기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맨패즈 FIM-92A
화염방사기 M41, T148
박격포 M62
지뢰 VS-DAFM 7
유탄 M35, OD82, Mk.2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자위대 보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자위대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7.62mm 소총 M1, 7.62mm M1 기병총
자동소총 64식 소총, 89식 소총
기관단총 뉴 남부 M65, M66, 11.4mm 기관단총 M1, M1A1, 11.4mm 기관단총 M3, M3A1
권총 남부 권총, 뉴 남부 M57, 뉴 남부 M60, 11.4mm 권총, 9.65mm 권총, 미네베아 9mm 권총
조명총 53식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99식 경기관총, 62식 기관총, 74식 차재기관총, M1917A1, M1918A2, M1919A4, M1919A6, 12.7mm 중기관총 M2
대전차화기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로켓 발사통 M9, 89mm 로켓 발사통 M20, 84mm 무반동포
화염방사기 휴대용 방사기
맨패즈 FIM-92 스팅어
박격포 M2 60mm 박격포, 64식 81mm 박격포, M2 107mm 박격포
유탄 Mk2,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31 총류탄
냉병기 총검 M1 총검, 64식 총검, 89식 다용도 총검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자위대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포클랜드 전쟁 당시의 영국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포클랜드전쟁 시기
영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L42A1
L1A1 SLR
M16A1, M653
기관단총 L2A3, L34A1, L92A1
산탄총 L74A1
권총 L9A1, L47A1
지원화기 기관총 L4A2, L7A2, L2A1
유탄발사기 M79, M203
로켓발사기 L1A1
미사일발사기 Blowpipe, Milan, FIM-92
무반동총 L6, L14A1
박격포 L9A1, L16A1
폭발물 수류탄 L2A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무자헤딘 보병장비
파일:지하드 깃발.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무자헤딘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 / 폴링 블록
마티니-헨리, 리-엔필드, 모신나강, 르벨 M1886, 한양 88식
반자동소총SKS, M1 개런드, L1A1 SLR
자동소총AK-47, AKM, AKMS, 56식, 63식, AK-74, AKS-74, AKS-74U, AKMSU, G3A2, G3A4, M16A1, CQ 5.56
머스킷제자일
기관단총스텐 기관단총, PPSh-41, MP5
권총웨블리 리볼버, TT-33, 54식 권총, PM, 스테츠킨 APS
지원화기기관총Vz.26, DP-28, MG34, RPD, DShK, 54식 기관총, SG-43, KPV, PKM, 67식 기관총
대전차화기RPG-2, RPG-7, 69식 화전통, RPG-18, RPG-22, B-10, 65식, AT4, 56식, 밀란, BGM-71
맨패즈블로우파이프, FIM-43, FIM-92, 9K310-M,9K38, HY-5, Sakr
박격포63식 박격포, 82-PM-37, M1938}}}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지구본_white.png 국가별 운용무기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란군 보병장비
파일:이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이란-이라크 전쟁
이란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Vz.98/29, M1310, M1317, Kar98k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SVD
자동소총 G3, AK-47, AKM, 56식 자동소총, CQ 5.56
기관단총 MP40, 스털링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MP5, M12, Z-84
권총 M1911A1, M1314, M10
지원화기 기관총 M1919A4, M1919A6, Vz.26, MG3, MAG, DP-28, SGM, RPK, PK, M2HB, DShK
대전차화기 M18, M40, BGM-71, M47, RPG-7, 69식 화전통, RKG-3, 9M14
맨패즈 FIM-92, 9K32, 9K34, 9K38
대공포 KS-19, ZU-23, ZPU-4
박격포 M1
유탄 F1 수류탄, RGD-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이란-이라크 전쟁
이라크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Vz.24, Vz.33, Kar98k,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SKS, FN-49, Vz.52, 바그다드, 알 카데시, 타부크 저격소총
자동소총 G3, AK-47, AKM, PM md. 63, M70, 56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P40, PPSh-41, M56, Vz.61, PM-63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3, PM, 타리크
지원화기 기관총 MG3, DP-28, SGM, RPD, RPK, PK, 67식 기관총, M72, DShK, 54식 중기관총, NSV
대전차화기 M20, BGM-71, B-10, B-11, RPG-7, 69식 화전통, RPG-16, RKG-3, SPG-9, 9K111, 9M14, 밀란
맨패즈 FIM-92, 9K32, 9K38
화염방사기 LPO-50
대공포 KS-19, ZU-23, ZPU-4
유탄 F1 수류탄, RGD-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 독일 연방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독일 연방군 (1991~현재)
Bundeswehr
<colbgcolor=#808080><colbgcolor=#808080>MELLS (스파이크-LR) | 밀란-(2/2T/ER)
탑재형
기갑차량
MELLS | BGM-71D TOW-2R | HOT-(2/3)R
공대지
회전익기
HOT 3 | PARS-3LR
고정익기
AGM-65(B/D)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DM702 (155mm, PzH2000) | 불카노 155 (155mm, PzH2000) | {아세가이} (155mm, PzH2000)
함대지
불카노 127 (127mm, F125급)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ARS II)
공대지 (ALCM)
{AGM-158(B/B-2) JASSM-ER} | 타우러스 KEPD 350
지대지 (GLCM)
{JFS-M}
MGM-52 랜스R
함대함
{NSM} | RBS 15 Mk.3 | RGM-84D 하푼 블록 1C | RGM-84A 하푼 블록 1AR | MM38 엑조세R
공대함
시스쿠아R | AS.34 코모란 2R
대잠 미사일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54 Mod 0 | Mk.46 Mod (2/5) | DM4A1R
중어뢰
DM2(A3/A4) 제헥트 | DM2A1 제알R | DM1 제슐랑에R
보병
FIM-92(C/E) "플리거 파우스트 2 스팅어"
차량
FIM-92E (LeFlaSys 오젤롯)
단거리
FRP/FRR 롤란드 3R
중거리
{IRIS-T SLM} | MIM-23B I-호크 | MIM-23C I-호크 HEOSR
장거리
MIM-104A 패트리어트 | MIM-104C PAC-2 | MIM-104(D/E) PAC-2 GEM(-T) | MIM-104F PAC-3 (CRI/MSE)
대탄도탄{애로우-3}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B RAM 블록 I
개함방공 RIM-162B ESSM | RIM-66A SM-1MR 블록 IVR | RIM-7(M/H/P) 시스패로우R
함대방공 RIM-66M-2 SM-2MR 블록 IIIA
단거리
IRIS-T |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2E 스팅어
중장거리 미티어 | AIM-120(B/C-5/C-7) AMRAAM
잠대공 미사일
{IDAS}
{AGM-88E AARGM} | AGM-88B HARM 블록 IIIB
유도폭탄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8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 K14, M107A1-CQ
기관단총 K1A
산탄총 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 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 KM7, M9P





경​기관총 K3, K15
다목적 기관총 M60, K16, M134, PKT
중​기관총 M2, K6, NSVT
유탄발사기 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 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KH179
맨패즈 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 K75/K400, K413, MK3A2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CAR816, M4A1P, DD Mk.18P, SR-16, KAC KS-3, M6P, ARADP, K2C,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 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RAD, M107A1, PSLC
기관단총 K7, K13, MP5A5, MP5SD6, MP5K, MP9, APC9K PRO, DSMG9P, X95 9mm SMG, DSAR-15PC, Vz.61C
산탄총 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 G17, G19, G26, 베레타 92(SB/F), P7M13P, USP9T, P2000P, P226,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M&P9P, SFP9P, TT-33C
특수화기 APS, KSPW, M32 MGL
총검 KCB-77, 6X5C
의장 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에서 조류퇴치용으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현대 이스라엘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이스라엘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갈릴, M16A1, M16A2, M16A3, Menusar, M4, TAR-21/X95, MCX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89SR, SR-25, REC10
저격소총 HTR 2000, M24 SWS, M82A1, MRAD, TAC-50
기관단총 미니 UZI, R0635
산탄총 암셀 스트라이커, 레밍턴 M870, 베넬리 M4, SPAS-15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제리코 941, 글록 17S/19, SP-21, P11
지원화기 기관총 갈릴 ARM, 네게브, FN MAG, M2HB-QCB, M134
총류탄 시몬
유탄발사기 M79, M203, Mk.19, Mk.47
대전차화기 M47 드래곤, M72 LAW, MATADOR, B-300/시폰, 스파이크, BGM-71 TOW/MAPATS, RPG-7
박격포 솔탐 K6
맨패즈 블로우파이프, FIM-92A 스팅어, 미스트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393b42>AR70/90, ARX-160A1/A2/A3
저격소총 AW, 사코 TRG-42
기관단총 베레타 Mx4 Storm, UMP40
산탄총 FP6, SPAS-12, SPAS-15, STF-12
권총 베레타 92
지원화기 기관총 FN 미니미, 베레타 MG42/59, M2 중기관총, M134 미니건
유탄발사기 프랑키 GLF-40, GLX-160
대전차화기 MILAN 2T, TOW II, 판처파우스트 3, 스파이크, 브레다 폴고레
박격포 120mm F1, M62 81mm 박격포
맨패즈 FIM-92A 스팅어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 G36, HK416, SCAR
저격소총 AWM, M82A1, M107, 샤이택 M200, M110 SASS
기관단총 스펙터 M4, MP5, MP7, P90, 슈타이어 TMP, PMX
산탄총 베레타 RS202, 베넬리 M4 슈퍼 90
권총 베레타 93R, 글록 17/19, FN Five-seveN, P11
유탄발사기 M203, Mk.19, Mk.47
대전차화기 M72A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덴마크 국기.svg 현대 덴마크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A40000><colcolor=#FFF><colbgcolor=#A40000><colcolor=#FFF>스파이크-LR2 | 코브라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 BGM-71D TOW 2 | BGM-71A TOWR | SS.11R
공대지
회전익기
BGM-71D TOW 2R
고정익기
AGM-65(D/G) 매버릭 | AGM-12B 불펍R
함대함
RGM-84L 하푼 블록 2 | RGM-84(A/D) 하푼 블록 1A/1CR
지대함
RGM-84D 하푼 블록 1CR (MOBA 체계)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중어뢰
Tp 617R | Tp 421R | G7eR
FIM-92C 스팅어R | FIM-43 레드아이R
중거리
MIM-23(A/B/L) 호크R
장거리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7(P/M) 시스패로우R
'''
함대방공
'''
RIM-66M-2 SM-2 MR 블록 IIIA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AIM-9(J/N/L)R
'''
중장거리
'''
AIM-120(B/{C-8}) AMRAAM
유도폭탄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colcolor=#002F6C><colbgcolor=#FFF><colcolor=#002F6C>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탑재형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공대지
고정익기
AS.11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FIN)
공대지 (ALCM)
AGM-158A JASSM
함대함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지대함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어뢰|
어뢰
]]'''
경어뢰
{Tp 47 SLWT} | Tp 45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
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단거리
XA-181 ItO 90M
중거리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장거리
{다비즈 슬링}
'''
개함방공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AGM-154C JSOW | GBU-(32/38) JDA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현대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C7NLD, C8NLD
지정사수소총 HK417
저격소총 AWM, TRG-41, SR93, SSG 69, M82A1
기관단총 MP9
권총 글록 17M
산탄총 모스버그 590A1
지원화기 기관총 LOAWNLD, FN 미니미, FN MAG, M2HB-QCB
유탄발사기 H&K UGL, H&K AGW
대전차화기 M72A2, Pzf-3, TLV 84mm, 유로스파이크
박격포 MO-60-CA, L16A2, MO-120 RT
맨패즈 FIM-92 스팅어
유탄 NR20 C-1
특수전 화기 돌격소총 HK416, MCX*
저격소총 MSG90, AWSM-F*
기관단총 P90, MP5, MP7, MPX
권총 글록 18, P226, P11
기관총 콜트 캐나다 LOAWNLD
박격포 브란트 MO-60 V*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FN FAL, FN FALO, M47 드래곤, AT4
*: 왕립 네덜란드 해병대가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현대 포르투갈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006600><colcolor=#FFFF00><colbgcolor=#006600><colcolor=#FFFF00>밀란-(2/2T)
탑재형
기갑차량
BGM-71 TOW | SS.11R
공대지
고정익기
AGM-65(BR/F/G) 매버릭
함대함
RGM-84D 하푼 블록 1C | MM38 엑조세R
잠대함
UGM-84(L/D) 하푼 블록 2/1C
어뢰
경어뢰
Mk.46 Mod 5 | Mk.44 Mod 1R
중어뢰
A184 블랙샤크 | E14R | L5 Mod 4R | L3R | 마크 IVR
FIM-92E 스팅어 | 블로우파이프R
단거리
MIM-72(F/G) 채퍼럴 | 크로탈 R.440R
'''
개함방공
'''
RIM-162C ESSM 블록 II | RIM-7M 시스패로우
단거리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B/E/P)R
'''
중장거리
'''
AIM-120C-5 AMRAAM
유도폭탄 GBU-31 JDAM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 대만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대만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57식 소총, T65, T65K2, T86, T91, T112, T68, XT97, M16A2, M4A1, Mk.18, G36C
저격소총 M24 SWS/T93K1, M82A1, M107A1, DSR-1, PSG1, SSG 2000, T108
기관단총 T77 기관단총, UZI, MP5A5/SWA5, FN P90, MPX
산탄총 SPAS-12, 베넬리 M4
권총 T51K1, T75K1, G17, G19, G26, USP
지원화기 기관총 57식 기관총, T74 다목적 기관총, T75 분대 기관총, T90 중기관총, GAU-19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T85 유탄발사기, T91 40mm 자동유탄기관총, MGL Mk-1, MGL-140
대전차화기 1식 66mm 대전차 로켓, APILAS, FGM-148 재블린, 홍준, BGM-71 TOW-2A/B, M136
박격포 T63 120mm 박격포, T75 60mm 박격포, T75 81mm 박격포
맨패즈 FIM-92 스팅어, 미스트랄
의장 M1 개런드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M1 개런드,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 NEA-15, POF P415, 루거 AR556, Adams Arms P1D MSR-15, POF 레볼루션, KMR-A, PTRS-41, 루거 SFAR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MPi-KM-72, AK-74*, PM md. 90.D,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IWI Zion-15, 부시마스터 XM-15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PSL,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Wilk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SIG CROSS, R93*, 부시마스터 BA50, BFG-50, PGM 헤카트 II, FA-50T, TASCO 7ET3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보르즈 기관단총, PM-63D, SP9, Aselsan SA-9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M1911A1, PPK, 발터 P22, P08, VIS Wz.35,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PL-15C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Mayak K(T/M/TM),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M60,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Ares Shrike, M134D, MMG556D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UGL-40,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RG-1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KTH1, LMR-2017D, m/68D, GrW 36,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M74D,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TM-57, TM-62M, PTM-1, PTM-3, MON, OZM-72,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C-3-BD, M86 PDMD, YaRM, L9A1D, M15D, M21D, MPT-23P2
폭약 M112D, M/97D, KZ-6, C4D, PENOD, M1 관형폭약D, M2A4D, UR-83P, Minröjningsorm 1D, AO-1Sch, UYA-95-1.5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NR20C1D, PGN-60
비치사성무기 M18D, DG-01, L83A2, L84A3, Zarya-3, UDSh, M4A2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SIG716, 콜트 M933, HK433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M1500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M26 MASS, Sierra 12, KSG, SPAS-15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 및 준군사조직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조지아 국기.svg 현대의 조지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fff,#191919> 현대의 조지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AKM, AKMS, AK-74, AKS-74, AKS-74U, PM md.63, AK-74M, M4A1, M4A2, M4A3, G13, G3, HK33, SCAR
지정사수소총 DELTA-308, SVD, VSS, 갈라츠, SRS
저격소총 PDShP-1, PDShP-2, 자스타바 M93, TRG-22, TRG-42, M24 SWS, B&T APR, Tac-50, M82, M95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MP5, MP5SD, MP5K, UMP45
산탄총 M4
권총 CZ75, SPP-1M, PSS, 제리코 941, SP-21, G17, G21, P226, P229, USP, FN Five-seveN
지원화기 기관총 RPK-74, PKM, DShKM, NSV, Vz.59, 네게브, M240, M2HB, M134
유탄발사기 UBGL-1, AG-40, GP-25, AGS-17, M203, MGL, STK 40 AGL
대전차화기 RPGL-7D, RPG-7, PDM-1, SPG-9, RPO-A, RPG-18, RPG-22, RPG-26, 9K111, 9K115, 9K115 메티스-M, 9K113, FGM-148, AT4
박격포 GM-60, GNM-60, M6C-210, M57, GM-82, M69, 2B9, 2B14, GM-120, 2B11, M74, 솔탐 K6
맨패즈 9K38, 그롬, 9K32, 9K34, FIM-9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현대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알바니아 공화국군 (1945~현재)
Forcat e Armatosura të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colbgcolor=#FF0000> '''



'''
<colbgcolor=#FF0000> '''[[소총|
소총
]]'''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AR70/90 | MPT-76 | MPT-55 | ASh-82 | AK-47R | ASh-78R | 56식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VDR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22 | TRG-42
기관단총 H&K MP5
권총 Px4 스톰 | 마카로프 PMR | TT-33R
'''



'''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MG4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G5, RPK | ASh-78 Tip-2 | RPD
'''[[기관총#s-5.1|
중기관총
]]'''
DŠKM | M2HB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로켓 RPG-7 | Tip-57 | 69식 화전통
미사일 FGM-148 재블린
맨패즈 FIM-92 스팅어 | HN-5
유탄 RGD-5R
박격포 히르텐베르거 M6C-210 | 히르텐베르거 M8 | 67식 박격포R | PM-43R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ARX-160 | M4A1 | G36 | ASh-82 MOD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 H&K SR9
'''[[저격소총|
저격소총
]]'''
바렛 M82
기관단총 UMP45 | MP7A1 | MP5SD | MP5K
권총 Five-seveN | 글록 19 | P8 | P12 | 베레타 92 | 야부즈 16
유탄발사기 GLX-160 | M203
※ 윗첨자R: 퇴역 장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현대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CD116> 현대의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CD116> 소총
<colbgcolor=#FCD116> 돌격소총 갈릴, 갈릴 ACE, TAR-21, M16A2, M4A1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110
저격소총 M24, M82, M95, MSR
기관단총 UZI, MP5
권총 M1911A1, M9, 제리코 941, 코르도바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네게브, M249, K3 경기관총, M60, FN MAG, M134, M2HB
유탄발사기 M79, M203, MGL Mk.1, Mk.19
대전차화기 M72, APILAS, AT4, 스파이크-MR/LR/ER, BGM-71, RPG-22
박격포 M4, M30, MO-120 RT
맨패즈 FIM-92, 미스트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스위스 국기.svg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colbgcolor=#DA291C><colbgcolor=#DA291C>{스파이크 LR2} | NLAW | PAL BB 77 드래곤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LR2} | PAL BB 85 TOW | PAL BB 65 BANTAMR
공대지
고정익기
Flz Lwf LB 66 "NORAS"R | Flz Lwf LB 82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12cm Mw int G 96 STRIX (120mm, Mö 16) | 15,5cm Kan int G 01 SMArt (155mm, Pz Hb M109)
L Flab Lwf BL 94 스팅어
단거리
Mob Flab Lwf 레이피어R
장거리
{BODLUV GR 패트리어트} | Flab Lwf BL 64 블러드하운드R | RSA | RSC/D | RSE 크린스
단거리
Flz Lwf LL AIM-9X "SIWA" | Flz Lwf LL (63/80 · 63/90 · 63/91) | Flz Lwf LL (63 · 63/75)R
중장거리 Flz Lwf LL (64 · 64/79) "팔코"R | Flz Lwf LL 97 · AMRAAM 120C-7
※ 윗첨자R: 퇴역 무장
취소선: 개발 취소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현대 노르웨이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FGM-148 재블린 | ERYXR
탑재형
기갑차량
BGM-71D TOW-2 | SS.11R | ENTAC
공대지
고정익기
AGM-12B 불펍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VIDAR)
공대지 (ALCM)
JSM
함대함
{3SM 티르빙} | NSM | 펭귄 Mk.1R
공대함
AGM-119 펭귄 Mk.3R
어뢰
경어뢰
스팅레이 Mod 0 | Mk.46 Mod 2R
중어뢰
DM2A3 제헥트 | Mk.37R | Tp 612R | T1 Mod 1R
PPZR 피오룬 | FIM-92A 스팅어R | RBS 70R
단거리
NOMADS
중거리
NASAMS 3 | MIM-23C I-호크 · NOAHR
장거리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CIWS
'''
미스트랄 1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7M 시스패로우R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IRIS-T | AIM-9(L/J)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GBU-(31/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현대 리투아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리투아니아군 (1990~현재)
Lietuvos Ginkluotosios Pajėgos
<colbgcolor=#006A44><colcolor=#FFF><colbgcolor=#006A44><colcolor=#FFF>FGM-148 재블린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
유도로켓
지대지
{M30A2 · M31A2 GMLRS} (227mm, HIMARS) | {XM403 · XM404 ER-GMLRS} (227mm)
{MGM-164 ATACMS 2000}
보병
RBS 70 Mk.1 | FIM-92 스팅어 | PPZR 그롬
차량
FIM-92 스팅어 (AN/TWQ-1 어벤저)
중거리
NASAMS 3
'''
CIWS
'''
4K33 오사-MR (그리샤급)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현대 라트비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라트비아 국군 (1991~현재)
Latvijas Nacionālie Bruņotie Spēki
<colbgcolor=#9D2235><colcolor=#FFF><colbgcolor=#9D2235><colcolor=#FFF>스파이크-(SR/LR1/LR2)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ER2
유도로켓
지대지
{M30A2 · M31A2 GMLRS} (227mm, HIMARS) | {XM403 · XM404 ER-GMLRS} (227mm)
{MGM-164 ATACMS 2000}
'''[[대함 미사일|
대함 미사일
]]'''
'''
지대함
'''
{NSM}
RBS 70 NG | FIM-92 스팅어 | PPZR 피오룬
중거리
{IRIS-T SL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파일:이라크 국기.svg 현대 이라크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colbgcolor=white,#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white,#191919> 소총 <colbgcolor=white,#191919> 반자동소총 SKS
돌격소총 AKM, 56식 자동소총, Vz.58, PM md. 63, PM md. 65, 자스타바 M70, 자스타바 M70B, AK-74, AKS-74U, 자스타바 M21, MPi KMS-72, wz.1988 탄탈, 레밍턴 R4, SIG M400, M16A2, M16A4, M4 카빈, K2C, VHS-D2
지정사수소총 타부크 저격소총, 드라구노프 SVD, 자스타바 M76, PSG1, Mk.14 EBR
저격소총 M24 SWS, M82, HS.50, K14
기관단총 M56, Vz.61, PM-63 RAK, PM-98, MP7A1
산탄총 베넬리 M4 슈퍼 90
권총 타리크, 마카로프 PM, 베레타 92, Glock 19, FB P99, CZ75, CZ82, SIG P226, CZ99, M&P9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자스타바 M72, M249
다목적기관총 MG3, PK, 자스타바 M84, M240
중기관총 DShK, 54식 중기관총, NSV, KPV, M2 브라우닝, M134
유탄발사기 GP-25, AGS-17, M203, Mk. 19
로켓발사기 RPG-7, 69식 화전통, RPG-18, RPG-22, RPG-29, M-79 오사, APILAS, AT4
미사일발사기 9M113, 9M133, 밀란 대전차 미사일, FIM-92, BGM-71
무반동총 SPG-9, Pvpj 111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 이집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집트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AK-47, M4 카빈, M16A2, M16A1, 마아디, AR70/90, CAR-15, SG552, SIG516, CZ-805/807, 베레타 ARX-160
저격소총 SVD, PSG1, AWM, M40A3, SSG 3000, M82
기관단총 MP5, UMP, MP7
권총 TT-33, 헬완, 헬완 920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FN 미니미, FN MAG, RPK, RPD, PK/PKM/PKMS, M60E4
중기관총 SG-43, DShK, NSV, KPV, M2HB, M134 미니건, GAU-19
유탄발사기 마아디 GL, M79, Mk.19 고속유탄기관총
대전차화기 휴대형 M72 LAW, M47 드래곤, RPG-7
설치형 MILAN 2, BGM-71D TOW II, 3M6, 3M11, 9K11, 9M113, 9K115, HJ-8, 아케론 MP
무반동총 M40 무반동포, SPG-9, B-10, B-11
박격포 M-43, 2B11 Sani, 헬완 UK-2, M240 박격포, M224, M30, M252
맨패즈 Sakr Eye, 이글라, 스팅어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인도 국기.svg 현대 인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인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393b42>INSAS/1B1 INSAS, T91, AKM, Vz.58*, MPi-KM*, AK-103, AK-203, CAR-15, M4A1, TAR-21, SCAR, CAR-817
저격소총 갈라츠, 드라구노프 SVD59, OSV-96, PSG1, 마우저 SP66, NTW-20/비드완사크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SAF 카빈 2A1, MSMC, ASMI, UZI, MP5, MP9, Mx4
권총 자동권총 9mm 1A, 글록 17
지원화기 기관총 INSAS LMG, 네게브, PKM, MG 2A1/5A/6A, M2 브라우닝, NSV, KPV
유탄발사기 GP-25, MGL 40mm, AGS-17, AGS-30
대전차화기 RCL Mk II, RCL Mk III, 106mm M-40A1*, 밀란 1/2T, 스파이크, 9M113 콘쿠르스, 9K135 코넷, B-300/시폰, RPO-A 시멜
박격포 OFB E1 51mm*, OFB E1 81mm, L16 81mm 박격포, OFB E1 120mm
맨패즈 FIM-92 스팅어, 9K38 이글라
*: 도태 여부 미확인}}}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현대 파키스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파키스탄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자동소총 H&K G3, FN FAL, 56식 자동소총, 81식 자동소총, M16A1, M4A1, AUG*, FN F2000*
저격소총 SSG 69*, SVD, PSG1, 이스티글랄, 바렛 M82
기관단총 MP5/MP5K, 스털링 기관단총, FN P90*
권총 Pk-09, 글록 17*/26*, H&K P7*, 슈타이어 M9A1, 베레타 92F, SIG P226, TT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FN 미니미 파라*, M249, FN MAG*, MG3, M2 브라우닝, RPD*, DShKM, KPV
유탄발사기 M203, Mk.19 고속유탄기관총*, 밀코 MGL
대전차화기 칼 구스타프 M3*, 69식 화전통, RPG-29*
맨패즈 HN-5A, Anza Mk-I, II, III 시리즈, 미스트랄, RBS 70, FIM-92 스팅어
*: 도태 여부 미확인}}}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바레인 국기.svg 현대의 바레인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Bahrain Defence Force (1968~현재)
قوة دفاع البحرين
<colbgcolor=#c81025><colcolor=#fff> 소총 <colbgcolor=#c81025> 자동소총 G3, FAL, M16A2, M4 카빈
저격소총 M82
기관총 경기관총 MAG
중기관총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기관단총 MP5
권총 하이파워
대공 미사일 FIM-92A, RBS 70
대전차 화기 무반동포 BAT
대전차 미사일 BGM-71C, FGM-148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카타르 국기.svg 현대 카타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8d1b3d> 카타르군(1971~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قطرية
개인화기 <colbgcolor=#8d1b3d> 권총 M10, HK4, P226
<colbgcolor=#8d1b3d> 기관단총 L2A3, MP5A3
소총 자동소총 FAL, G3A3, M4 카빈, M16A1, CAR-15A1, AK-47, AKM, AK-12, SCAR-L, SCAR-H, 발멧 M62/76
저격소총 M700, M82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AG, HK21, 미니미
중기관총 M2 브라우닝
대전차화기 밀란, HOT, AT4CS, M2, FGM-148, 9K135
맨패즈 미스트랄, 블로우파이프, FIM-92
박격포 MO-120 RT, L16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현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모신나강, MAS-36, M40A3, KSVK 12.7
반자동소총 SKS, SVD, PSL, Mk.14 EBR
자동소총 StG44, AK-47, AKM, AKMS, 56식 자동소총, MPi-KM, PM.md.65, AK-63, AMD-65, M70, Vz.58, AK-74, AKS-74U, AK-74M, AK-103, G3, FAL, CQ 5.56, K2C, G36, AUG, M16A2, M4A1
기관단총 PPSh-41, UZI, MP5, P90
산탄총 M3
권총 TT-33, PM, PB, CZ75, 브라우닝 하이파워, G17, G19, 베레타 92, HS2000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FN 미니미, M249
다목적기관총 MG3, PKM, 80식 기관총, M60
중기관총 DShK, NSV, M2HB
유탄발사기 AGS-17, MGL-140, Mk.19
로켓발사기 RPG-7, RPG-22, RPG-29, M-79 오사
미사일발사기 9K38, 9K32, 화승총, 메티스-M, 9M133, HJ-8, TOW, MILAN, FIM-92
무반동총 AT4, SPG-9
유탄 F1, RGD-5, RPG-43, M6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현대 헤즈볼라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7E600> 현대의 헤즈볼라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7E600> 소총 <colbgcolor=#F7E600> 반자동소총 SKS
자동소총 AK-47, AKM, AKMS, AK-74, AKS-74, AKS-74U, CQ 5.56, FN FAL, H&K G3, M16A1, M16A2, CAR-15, M4A1
저격소총 SVD, T-5000, SSG 69, 사야드-2
기관단총 MP5
산탄총 M37, M1100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지원화기 경기관총 M1919, PKM, FN MAG, M240
중기관총 DShKM, KPV, M2HB
유탄발사기 GP-25, GP-30, M203
대전차화기 RPG-7, PG-7-AT 나데르, RPG-29, RPG-30, SPG-9, 9K111, 데흘라비, 토브샨-1, 라아드, 메티스-M, 판처파우스트 3, MILAN, M40, M72, 사에게-2, 투판
박격포 HM12, M29, HM16
맨패즈 9K32, 9K34, 9K38, 9K338, QW-1, FIM-9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현대의 러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볼트액션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SKS
돌격소총 AKM, AKMS, AK-74, AK-74M, AK-74MR, AKS-74U, AK-12, AK-15, A-545, A-762, AN-94, MalyukC, C7A1C
저격소총 SVD, SVDM, SV-98, T-5000, T-5000M, Tochnost, OSV-96, M95C, M98C
권총 MP-443, MP-446, PL-15, GSh-18, PM, PMM, Fort-12C, Fort-17C
지원화기 기관총 RPK-74, RPK-74M, RPK-16, PKM, PKP, PKP-SP, NSV, Kord, KPV, 73식 대대기관총
유탄발사기 GP-30, GP-34, DP-64, RG-6, AGS-30, AGS-40
대전차화기 대전차 로켓 RPG-7V2/V1/D, RPG-26, RPG-27, RPG-28, RPG-29, RPG-30, RPG-32, RPG-76C, RPO, M72 LAWC, PSRL-1C, PzF-3C, M141 BDMC, MATADORC
대전차 미사일 9K111, 9M113, 9K115(115-1), 9K135, FGM-148C, MBT LAWC, MILANC
무반동총 SPG-9, AT4C, 칼 구스타프 M4C
박격포 2B9, 2B14, 2B25
맨패즈 9K38 Igla, 9K338 Igla-S, 9K333, FIM-92C, PPZR GromC
수류탄 RGD-5, RGO, RGN, M67C
지뢰 PFM-1, POMZ, PTKM-1R
휴대용 무인기 Orlan-10, KUB-BLA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AS Val, OTs-14, AK-103, AK-104, AK-105, AK-107, MR556, M4A3, AS-15, ASh-12.7, SR-3, A-91, 9A-91, OTs-12, AM-17
저격소총 VSS, SSG 08, HK417, G28, AWSM, VSSK, MTs-558, DVL-10, SVDK, SVLK-14S, KSVK, MTs-572, HS.50, AI AXC
특수소총 ADS, APS
기관단총 AEK-919K, SR-2, PP-93, PP-2000, PP-19, PP-19-01, PP-90M1, OTs-02, PP-91, MP5, MP7A1, MP9
산탄총 KS-23M, KS-23K, 18,5 KS-K, Vepr-12
권총 PB, PSS, Glock 17, SR-1, APS, OTs-23, OTs-33, OTs-38, SPP-1
기관총 AEK-999, GShG-7.62, PM M1910
유탄발사기 GM-94, RGS-50, GPR-20, GP-46
냉병기 도검 6Kh2, 6Kh3, 6Kh4, 6Kh5, 6Kh9(9-1), NRS-2
C: 노획 장비}}}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8,000m로 늘린 어드밴스드 스팅어(RMP 블록 II)도 있었지만 2002년에 예산 문제로 인해 미 육군 도입이 철회되었다.[2] 방심하던 소련군은 무자헤딘의 스팅어 세례에 엄청나게 고생했으며, 이 때문에 부랴부랴 플레어 같은 디코이를 장착하거나 심지어는 화염방사기를 계조하여 교란시키기도 했다. 공격기에는 프레온 가스를 내장시켜 화재를 예방하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했다.[3] 반면 대응되는 러시아제 무기는 9K32 스트렐라-2 이다.[4] 스팅어 외에 영국이 스타스트릭을 제공했고, 슬로바키아가 보유중이던 S-300을 넘겨주고 보상으로 미국이 슬로바키아에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배치해줬다. 노르웨이는 미스트랄을 지원하기로 결정했고, 독일은 동독군이 사용하던 스트렐라 2,700기를 보내기로 결정했는데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아 700기가 사용 불능이었다. 우크라이나군이 기존에 보유했던 소련제 이글라도 활발히 사용중이다. 우크라이나 공수부대는 우크라이나 자체개발 '대전차' 미사일인 Korsar로 Mi-8 2대를 격추시키는 재주를 부리기도 했다.[5] 스팅어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보병휴대용 미사일이 이런 식이다.[6] 예를 들어 수송기가 아프간의 현지 공항에 착륙할 때 공항 활주로 1~2km 미만의 거리까지 고고도에서 날다가 70~90도 사이를 육박하는 급강하 후 착륙한다. 이러다가 지면까지 급강하했던 적도 있다.[7] 실제 사용되었는지는 불명이다. 대부분의 경우, 냉각기가 유효기간을 넘었기 때문에 실제로 쓰지는 못했다고 한다. 냉각기가 없으면 탐색기가 작동하지 않아 미사일이 목표를 찾을 수 없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는 파슈툰족이 파키스탄에도 많이 살기에 친중정책을 취하는 파키스탄을 통하여 중국에 밀반입되는 것을 우려한다는 의견도 있다.[8] 참고로 재블린 미사일의 발당 가격이 9600만원이고, 재블린보다 관통력이 높은 헬파이어 미사일의 발당 가격이 1억 3천만원이다.[9] 방어력이 세다고 여겨지는 Su-25나 A-10, 공격헬기들도 전차급 방호력이 아니다. 이들에게 있어 방호력이란 전차처럼 적의 공격을 막아내고 도탄시키는 목적보다는 위험한 저고도 임무에서 피격되더라도 임무를 계속하거나 어떻게든 파일럿을 생존시켜 귀환하기 위한 것이다. 장갑판도 조종석이나 엔진에나 적용되어 있는 데다가 두께 또한 전차와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얇다.[10] 기동성이 좋은 항공기를 잡는데 필요한건 명중률과 정확도지 관통력이 아니다. 전차급 방어력의 장갑을 두르는 항공기가 나오지않는 이상 관통력을 높이는건 오히려 대공 미사일의 비용 대비 효율성만 떨어뜨릴 뿐이다.[11] 항공기에 전차급 방어력의 장갑을 두르는게 기술적으로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이렇게 무식하게 장갑을 높이면 중량 증가로 인한 비행능력 하락 및 기동성 하락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거기다 결정적으로 전차마냥 장갑을 두껍게 둘러봐야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처럼 탄두가 큰 미사일에 맞으면 공중분해되기 때문.[12] 사실 이것은 모든 휴대용 대공 미사일, 즉 맨패즈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시커에 필요한 APU, 즉 배터리+냉각제는 기껏해봐야 45초 정도의 시간동안 전력 및 냉각 가스 등을 공급할 수 있고, 이 문제는 결국 스팅어 등의 미사일을 기지방어나 매복에 주로 쓰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미 충돌궤도에 들어선 보잉 747을 스팅어 한두 발로 격추시키기는 정말 하늘의 축복이 없는 이상⋯.[13] 근데 열원만 있으면 지상표적에도 얼마든지 발사 가능하다. 이는 열추적방식의 SAM은 전부 동일한 사항이다.[14] 애초에 스팅어같은 휴대용 지대공미사일은 이름 그대로 헬기나 전투기같은 공중병기를 격추시키는 용도로 쓰지 차량 몇 대 파괴할때 쓰기에 너무 과한 화기다.[15] 메탈기어 솔리드 3의 경우, 시대 배경이 냉전시대이므로 스팅어는 나오지 않으며, 대신 소련제 무기인 알라의 요술봉(...)이 그 위치를 대신한다.[16] MGS4 이후부터는 이것도 재장전을 한다. 그런데 그 재장전하는게 스팅어 본체를 버린다...[17] 렉스의 경우에는 본체에서 미사일을 쏘아대기 때문에, 스팅어를 정조준해서 쏘려 할 경우, 미사일 세례를 받기 딱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팅어를 쏘기 전에 먼저 채프 그레네이드를 뿌려서 날아오는 미사일들을 무력화시킨 뒤에 스팅어를 쏴야 한다.[18] 무려 게임 잡지 공략본에서 추천하는 방법이다. PSG-1을 활용한 정공법으로는 잡기 힘들기 때문. 스팅어 외에도 니키타 미사일로도 잡을 수 있다.[19] 아예 없는 건 아니고 아파치 등 공격헬기 및 수송헬기는 늘상 돌아다니고, 수송기의 존재 역시 자주 드러나며(심지어 6호 전차 티거를 공수투하도 한다) 고정익 UAV를 RABBIT 소대가 운용하기도 한다. 전투기나 유인 지상공격기 등이 등장한 바가 없을 뿐 MD 시스템의 존재가 언급되며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 탄도 미사일이 직접 등장했고 심지어 재현 불가능한 오파츠 취급이긴 해도 우주전함까지 존재하는 세계관에서 공군은 묘사만 안 되었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20] 중요한 것은, 가격이 320젬이고 두번째 업그레이드 비용이 329젬이란 것이다.[21] 소설판의 경우 영국제 맨패즈 Blowpipe를 사용한다.[22] RPG는 랭크가 100을 넘어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