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M2 Benelli CB-M2 | |||
<nopad>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기관단총 | ||
원산지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79년~1985년 | ||
개발 | 브루노 치볼라니 | ||
개발년도 | 1979년~1985년 | ||
생산 | 베넬리 | ||
세부사항 | |||
탄약 | 9×25mm AUPO | ||
급탄 | 20발, 30발, 4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단순 블로우백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200mm | ||
전장 | 660~450mm[1] | ||
중량 | 3.4kg | ||
발사속도 | 800~1000RPM | ||
탄속 | 390m/s | ||
유효사거리 | ?? | }}}}}}}}} |
1. 개요
베넬리의 브루노 치볼라니가 설계한 무탄피 기관단총.H&K G11과 다르게 이 총기는 처음부터 무탄피를 목적으로 설계했다.[2]
2. 상세
피오키 탄약공장과 협력해서 제작한 무탄피 탄환인 9×25mm AUPO는 단면을 보면 탄두와 탄피가 일체형으로 되어있고 맨 끝부분에 뇌관 역할도 해주는 베이스가 부착되었는데[3] 이 베이스는 격발후에 탄환과 동시에 총구로 배출된다.
탄환의 구조 자체는 볼캐닉 볼리셔널 리피터에 쓰인 무탄피 탄약과 비슷하다.
전체적인 총기 디자인도 설명해보자면 불량탄으로 인한 격발 불량에 대비를 위해 탄환을 별도로 배출해주는 탄환 배출구가 있고, 권총 손잡이 전방에는 베레타 M12, 프랑키 LF-57, S&W M1913 처럼 그립 세이프티가 탑재되었다. 또한 이 탄환은 G11의 4.73×33mm DM11과 다르게 별 다른 신 기술 없이 기존 탄환의 재료만으로도 싸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G11과 마찬가지로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격발 후 연소되는 열을 흡수해주는 탄피가 없는 탓에 연소열이 약실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데다가, 탄피가 배출되지도 않으므로 총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바깥에 나가지 못하고 계속 쌓이다가 총이 쉽게 과열되는 문제가 생긴 것이다.[4] 또한 탄피의 또 다른 중요한 점은 탄피는 약실을 폭발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해주는 것인데 이런 점도 없어서 장약의 폭발을 약실이 직접 감당한다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위 의 과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 블로우백 치고는 노리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도 생겼고, 탄환 자체도 기존 탄환들과 똑같이 통짜 금속인 탓에 무탄피의 목적 중 하나인 경량화와도 멀어졌다.
이런 단점들 때문에 무탄피에 대한 메리트를 느끼지 못한 베넬리에선 이 총기의 양산을 취소했다고 알려졌다.
3. 참고 자료
4. 둘러보기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91/38, SMLE No. 4 Mk I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BM59, AR70/223, AR-10, M16A1 | |||||
기관단총 |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 |||||
산탄총 | RS-202, SPAS-12 | |||||
권총 |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 |||||
유탄발사기 | M7, GLF-40,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 |||||
맨패즈 | FIM-92A | |||||
화염방사기 | M41, T148 | |||||
박격포 | M62 | |||||
지뢰 | VS-DAFM 7 | |||||
유탄 | M35, OD82, Mk.2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da3832> 베넬리 아르미의 제품 라인업 | ||
자동권총 | B76 | ||
기관단총 | CB-M2 | ||
산탄총 | <colbgcolor=#da3832> 더블 배럴 | 828U | |
펌프 액션 | 노바 · 슈퍼노바 | ||
반자동 | M1 · M2 · M3 · M4 (M1014) | ||
소총 | R1 · MR1 · Lup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