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ng Island Iced Tea |
[clearfix]
1. 개요
데킬라, 럼, 보드카 등 여러 양주를 베이스로 하는 칵테일이며, 한국의 바에서는 줄여서 롱티라고 흔히 부른다.2. 역사
재료가 무척 많이 들어가며,[1][2] 홍차맛을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된 조합이라는 설도 있지만 가장 정설로 받아지는 것은 미국의 금주법 시대에 밀주된 술을 팔거나 마셔놓고 소량으로 남겨둘 수 없기 때문에 남는 술을 종류불문 일단 다 넣어서 한번에 마실 생각으로 만들어진 잡탕술이 칵테일 레시피로 정립된 것. 쉽게 말해 폭탄주다.이 설에 따르면, 이 칵테일의 이름인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도 '이건 술이 아니라 우리 동네에서 마시는 홍차거든요?' 하는 식의 농담
3. 특징
들어가는 재료가 많아 꺼내는 것부터가 매우 귀찮기 때문에 일부 칵테일 바에서는 시판 롱티 믹스를 사용해 만드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 실제로 미국에서는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핵심재료들을 미리 섞어서 1.75리터짜리 병에 싸게 파는 브랜드로, 스파이스드 럼으로 유명한 캡틴 모건의 제품이 자주 사용된다. 판매처 구입하여 그대로 얼음에 끼얹어 마셔도 되고, 콜라를 더 넣고 얼음과 마셔도 된다.일단 대충 레몬맛이 강한 아이스 티와 어느 정도 비슷하고, 콜라의 단맛이 알콜 맛을 어느 정도 감춰주어 마시기 쉽기 때문에 인기 있는 칵테일 중 하나다. 그러나 실제로 도수를 계산해 보면 대략 10-20도 전후.[4] 양이 많기 때문에[5] 조주사에 따라 많게는 30도 정도다.
4. 레시피
재료 목록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티’에 해당하는 재료가 단 한 가지도 들어가지 않는다.IBA 공식 레시피에서는 하이볼 글라스에 담으라고 하고 조주기능사 레시피에서는 콜린스 글라스에 담으라고 하는데, 두 글라스의 큰 차이는 없다. 물론 조주기능사 시험 시에는 무조건 콜린스 글라스에 담아야하지만, 집에서 만들 때에는 그냥 길쭉한 유리잔에 담으면 된다.
4.1. IBA 레시피
||<tablewidth=45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11><colbgcolor=#FFF,#111>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 Long Island Iced Tea
2024년 IBA 공식 레시피 ||
2024년 IBA 공식 레시피 ||
주재료
|
- 1. 하이볼 글라스에 얼음을 채우고 주재료들을 모두 넣고 가볍게 젓는다. 원한다면 레몬 슬라이스로 가니시해준다. ||
4.2. 조주기능사 레시피
콜라를 제외한 위의 재료들을 콜린스 글라스에 모두 부어준 다음, 콜라를 잔에 가득 부어준다. 이후 레몬 웨지로 가니쉬해주면 완성. |
4.3. 변형
레시피 바리에이션이 무척 많은 칵테일이다. 그만큼 가게마다 맛도 천차만별이다.- 데킬라를 빼고 스윗 앤 사워 믹스나 레몬 주스 15ml를 추가로 더해 셰이킹[6]하는 웨스턴 스타일 역시 많이 만드는 방식이다.
- 스윗 앤 사워 믹스 대신 파인애플 주스를 사용하고 7up을 넣은 후, 그레나딘 시럽으로 색을 내면 77 선셋 스트립(77 Sunset Strip)이 된다.
5. 여담
- 도수에 비해 술맛은 거의 안 느껴지는지라, 미국 드라마 빅뱅 이론에서 술에 무지 약한 셸든 쿠퍼가 이걸 아주 넙죽넙죽 받아마시고 술주정을 부리는 장면이 있다. 이름 때문에 진짜 차라고 생각했는지 맛있다며 빨대로 쭉쭉 들이켜는데, 3분도 안 돼서 큰 컵 두 잔을 싹 비워버리니 안 취할 리가 없다.
- 대표적인 작업주로 악명이 높다. 상술했듯 술맛은 거의 나지 않는데다 양은 많고, 그에 비해 도수는 높다보니 칵테일을 잘 모르는 경우는 악용당하는 경우도 있는데, 악명이 너무 높아진 나머지 반대로 잘 아는 경우라도 오히려 빨리 취하기 좋다며 좋아하는 경우도 있다.
- 진짜 립톤 아이스티로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를 만드는 바텐더가 있다는 도시전설도 있다.
6. 둘러보기
<colbgcolor=#21439C> 2024년 개정 조주기능사 실기시험 칵테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푸스 카페 | 맨해튼 | 드라이 마티니 | 올드 패션드 | 브랜디 알렉산더 |
싱가폴 슬링 | 블랙 러시안 | 마가리타 | 러스티 네일 | 위스키 사워 | |
뉴욕 | 다이키리 | B-52 | 준벅 | 바카디 | |
쿠바 리브레 | 그래스호퍼 | 시 브리즈 | 애플 마티니 | 네그로니 | |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 사이드카 | 마이타이 | 피나 콜라다 | 코스모폴리탄 | |
모스코 뮬 | 애프리콧 | 허니문 | 블루 하와이안 | 키르 | |
데킬라 선라이즈 | 힐링 | 진도 | 풋사랑 | 금산 | |
고창 | 진 피즈 | 프레시 레몬 스쿼시 | 버진 프루트 펀치 | 불바디에 |
[1] 보통 증류주가 두 가지 이상 들어가는 칵테일은 적절한 배합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종류가 많지 않다.[2] 그렇게 재료가 여럿 들어가다 보니 간단히 한다며 모든 재료를 4가지 정도에서 때우는 바텐더도 많다.[3] 정말로 그럴 가능성이 높은 것이, 롱아일랜드라는 지역은 뉴욕 주 동남쪽에 있는 큰 섬으로, 금주법 당시에도 가장 큰 도시였던 뉴욕에서 이런 잡탕술을 마신 사람들이 검문을 피할때 "내가 마신건 옆동네 롱아일랜드에서 만든 아이스 티라고요!"라고 발뺌할 수 있기 때문.[4] 일반적인 초록병 소주가 17도 언저리이다. 소주를 빨대로 먹는 정도의 알코올 섭취가 된다는거다[5] 보통 바에서는 블랙 러시안 같이 도수가 센 칵테일은 양이 적게 나오고, 미도리 사워같이 도수가 약한 칵테일은 양이 많이 나온다. 그럼에도 롱티는 도수 대비 양이 많기 때문에 칵테일 별 도수를 단계로 나누는 곳들에서는 단계도 천차만별이다.[6] 당연하지만 콜라는 붓기 전이다.[7] 이름이 모욕적이다 보니[8] 대부분은 약자인 AMF만 쓰고, 가끔씩 알래스카 아이스 티(Alaska Iced Tea)라고 되어있는 곳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