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3:17:41

김호호/1994 FIFA 월드컵 미국/독일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호호/1994 FIFA 월드컵 미국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독일전
,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틀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대회 대표팀 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 헝가리 · 터키[16위]
김정남호[2] 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20위]
이회택호 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22위]
김호호 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20위]
차범근호[3] 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30위]
히딩크호 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4위]
아드보카트호 토고 · 프랑스 · 스위스[17위]
허정무호 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15위]
홍명보호 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27위]
신태용호 스웨덴 · 멕시코 · 독일[19위]
벤투호 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16위]
[4][5]
{{{-2 {{{#!folding
[1] 1954년 스위스 월드컵 ~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2] 1982년 스페인 월드컵 ~ 1994년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3] 1998년 프랑스 월드컵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4] 2026 FIFA 월드컵부터 48개국 본선으로 확대되었다. (48강 조별리그)[5] 홍명보 감독이 2026년까지 사퇴 혹은 경질을 당하지 않는 이상 홍명보호가 될 예정이다.
}}}}}}}}}

파일:1994 FIFA 월드컵 미국 로고.svg
1994 FIFA 월드컵 미국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2e3192><colcolor=#ffffff>
조별리그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대한민국 경기 (C조)
스페인전 (1차전) · 볼리비아전 (2차전) · 독일전 (3차전)
결선 토너먼트 16강 8강 준결승 결승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47A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성인
1992 ~1994
1994 FIFA 월드컵 미국 (스페인전 · 볼리비아전 · 독일전)
}}}}}}}}}}}}}}}
1. 개요2. 경기 전 예측3. 경기 실황
3.1. 전반전3.2. 후반전
4. 경기 평가5. 중계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1994 FIFA 월드컵 미국 로고.svg
1994 FIFA 월드컵 미국 C조 5-2경기
1994년 6월 27일 월요일 15:00 (UTC-6)
코튼 볼 (미국, 댈러스)
주심: 조엘 퀴니우 (프랑스)
관중: 63,998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 : 3
파일:Deutscher-fussball-bund-logo.pn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52' 황선홍
63' 홍명보
파일:득점 아이콘.svg 12', 37' 위르겐 클린스만
20' 카를하인츠 리들레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김호호1994 FIFA 월드컵 미국 조별리그 C조 3차전 경기 내용을 정리한 문서.

이 경기도 정말 아쉬운 경기 중 하나인데, 전반에만 최인영 골키퍼의 아쉬운 플레이로 3골이나 실점한 상태에서 후반전이 시작하자마자 골키퍼를 최인영 대신 이운재로 교체하고, 황선홍박정배의 패스를 받아 칩슛으로 만회골, 공격에 가담한 홍명보가 멋진 중거리슛으로 2:3의 스코어까지 만들었다. 독일 선수들의 체력이 약해진 틈을 타 대한민국은 그야말로 총공세를 펼쳤지만, 최영일의 슈팅을 온 몸을 던져 막은 보도 일그너 골키퍼와, 황선홍이 찬 공이 독일 수비수의 손을 맞았는데도 오히려 핸들링으로 패널티킥을 어필하는 김주성에게 파울을 주는 조엘 퀴니우 주심의 엉터리 판정[1]에 힘입어 결국 추가 득점을 못한 아주 아쉬운 경기 중 하나다.

2. 경기 전 예측

파일:external/pbs.twimg.com/BPnrwy2CEAIBe_i.jpg
스페인전과 볼리비아전을 무승부 승점 2점을 획득하고 마지막으로 대결할 상대는 다름아닌 FIFA 랭킹 1위 & 디펜딩 챔피언 독일이었다.

16강 진출을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시점에서 하필 가장 강한 상대를 만나게 되어버린 것이다.[2] 그러나 개막전부터 독일은 무언가 나사가 하나 빠진 모습을 보였는데, 손 쉽게 승리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개막전부터 1명이 퇴장 당한 볼리비아를 상대로 1:0으로 진땀승을 거둔 것이다. 이어지는 스페인과의 2차전에서도 심각한 골 결정력 때문에 나름 우세한 기회를 잡고도 먼저 선취점을 뺏긴 끝에 1:1 무승부를 거뒀다. 디펜딩 챔피언으로 진출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우승 후보다운 모습을 전혀 보이지 못했다.

3. 경기 실황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선발 명단 4-4-2
감독: 김호
GK
1. 최인영 파일:주장 아이콘.svg 45+1'
22. 이운재 45+1'
RB
12. 최영일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9'
CB
5. 박정배
CB
20. 홍명보 파일:득점 아이콘.svg 63'
LB
4. 김판근
RW
7. 신홍기
CM
6. 이영진 39'
2. 정종선 39'
CM
10. 고정운
LW
9. 김주성
CF
15. 조진호 45+1'
11. 서정원 45+1'
CF
18. 황선홍 파일:득점 아이콘.svg 52'
CF
9. 카를하인츠 리들레 파일:득점 아이콘.svg 20'
CF
18. 위르겐 클린스만 파일:득점 아이콘.svg 12'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8' 파일:득점 아이콘.svg 37'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B
3. 안드레아스 브레메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4'
CM
20. 슈테판 에펜베르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4' 75'[3]
5. 토마스 헬머 75'
CDM
8. 토마스 헤슬러
CM
16. 마티아스 자머
RWB
14. 토마스 베르톨트
}}}
{{{#!wiki style="margin: -16px -11px;" CB
6. 기도 부흐발트
CB
10. 로타어 마테우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64'
7. 안드레아스 묄러 64'
CB
4. 위르겐 콜러
}}}
GK
1. 보도 일그너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선발 명단 3-5-2
감독: 베르티 포크츠
SBS 하이라이트 영상
MBC 하이라이트 영상

3.1. 전반전

파일:external/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489787540b2d52514897e52d9731&name=kl.gif파일:external/static1.businessinsider.com/rtxfbpp.jpg
대한민국을 상대로 터닝 슛을 작렬한 위르겐 클린스만
하지만 그래도 독일은 역시나 강력했다. 황금 폭격기 위르겐 클린스만이 이끄는 독일 공격진은 사정없이 대한민국 선수들을 농락했고, 위르겐 클린스만은 경기 시작 12분 만에 환상적인 볼 컨트롤 후 멋진 터닝 발리슛으로 묘기에 가까운 선제골을 뽑아냈다. 스페인 이상으로 강한 독일에 대한민국 수비수들은 제대로 대응조차 하지 못했고, 실점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부흐발트의 골대를 맞고 나온 슛을 카를하인츠 리들레가 받아 넣으면서 끌려가기 시작했다. 그 후 선제골을 넣은 위르겐 클린스만이 다시 한 골을 추가해 전반을 0:3으로 마치게 되자 대한민국의 사기는 급격히 떨어졌고, 전반전의 졸전은 역시 독일에겐 안 되는가...라는 생각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사실 실점 장면을 보면 당시 대한민국의 수문장이었던 최인영 골키퍼의 어이없는 실책들이 주 원인이었다.[4] 정면으로 오는 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흘려보내거나 리들레에게 내준 두번째 실점 전에 있었던 부흐발트의 골대를 맞고 나오는 슛의 세컨 볼의 위치를 잡지 못하는 등 집중만 잘 했어도 막을 수 있었던 골까지 못 막고 그대로 헌납하는 일까지 벌어진 것. 어찌되었던 독일은 3골 차 리드로 여유있게 전반을 마쳤고, 당시 독일의 중계진이나 관중들은 싱거운 승부에 앞으로 몇 골이나 더 넣을까?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지경이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후반전에 결국 골키퍼 자리에 최인영을 빼고 당시 경희대학교 3학년 학생 신분이었던 이운재를 전격 기용하며 수비를 재조직하고 반격을 시작했다. 사실 이운재는 멀쩡한 상황이면 기용하지 않았을 후보 키퍼였으나, 일단 최인영이 너무 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 경기의 추가 이미 기울어진 판국이니, 차기 월드컵을 위해 경험을 쌓아주려고 출전시키게 된 것이다.[5] 그런데 이렇게 출전한 이운재는 우려와 다르게 독일 대표팀의 주장인 로타어 마테우스의 코너킥 상황에서 흘러나온 세컨 볼을 받아찬 중거리 슛부터 위르겐 클린스만의 1대1 찬스를 막아내는 등 오히려 주전이었던 최인영보다 안정적으로 골문을 막아냈다.[6] 신예 골키퍼인 이운재가 이렇게 안정적으로 골문을 막아내면서 대한민국은 반격의 서막을 올린다.

3.2. 후반전

SBS NEWS 공식 유튜브 채널의 골 장면 하이라이트
그리고 마침내 후반 7분에 황선홍이 1:1 찬스에서 침착한 칩 슛으로 독일의 골문을 갈랐다.[7] 이 때까지만 해도 경기의 흐름이 크게 뒤바뀔 정도는 아니었으나.
파일:94명보.jpg
파일:94명보2.jpg
파일:94명보3.jpg
불과 11분 만인 후반 18분 리베로 홍명보가 벼락같은 중거리 슛으로 독일의 골망을 흔들면서[8][9] 본격적으로 경기 양상이 뒤집히기 시작한다. 0:3에서 2:3으로 점수차가 줄어들자, 대한민국이 갑자기 어디서 힘이 솟아났는지 경기를 주도하며 맹렬하게 공격을 퍼부었고, 최강의 전력을 자랑하던 독일은 눈에 띄게 경기력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게다가 당시 경기가 열린 댈러스 코튼 볼 스타디움은 섭씨 40도를 오르내릴 정도로 엄청난 폭염에 시달려야 했고, 그 때문인지 시간이 흐를수록 노장 선수들이 주축이었던 독일은 체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대한민국은 더위에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해서 맹공을 퍼부으며 독일 선수들을 압도했다. 독일은 점수차를 벌리는 건 고사하고 리드를 지키기 위해 극단적인 수비 전술을 쓰며 우주방어에 급급해지기 시작했는데, 경기를 지켜보던 미국 현지 관중들은 대추격을 시작한 대한민국을 향해 응원을 보내기 시작했고, 수비에만 급급했던 독일을 향해서는 야유를 퍼붓기 시작했다.[10] 그럼에도 독일은 계속해서 대한민국에 속수무책으로 휘둘릴 수밖에 없었으며, 대한민국의 공격을 선수들의 육탄 방어와 보도 일그너 골키퍼의 선방쇼로 간신히 막아내야 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대한민국의 추가 득점은 더 이상 나오지 못했고,[11] 2:3으로 석패하며 최종 2무 1패 승점 2점 월드컵 20위[12]로 월드컵을 마치게 되었다.

4. 경기 평가

비록 대한민국은 염원하던 첫 승과 16강 진출은 달성하지 못했으나, 경기 내용 면에서는 FIFA 랭킹 1위 & 디펜딩 챔피언 독일을 상대로 2:3으로 가히 16강급이라는 외신의 평가를 연이어 받았고, 이 경기에서 멀티골을 뽑으며 승리의 주역이 된 위르겐 클린스만대한민국이 전반전에도 저런 경기력을 보였거나 경기 시간이 5분만 더 있었더라면 정말로 우리가 졌을지도 모른다라고 회고했다. 그만큼 전반전에 너무 위축되어 있었던 것이 아쉬운 대목이었다.

한편 이 경기 전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은 그저 독일 입장에서 보기에 승점자판기밖에 안되는 만만한 팀이었으나, 역전패가 떠오를 정도로 맹렬한 추격을 해 오고 이로 인해 자국 공격수까지도 무력화시킨 이날 경기 후로 독일은 대한민국 팀을 쉽게 얕잡아보지 않았다. 다음의 사례를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이 당시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을 보좌하던 코치는 훗날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장기 집권하게 되는 요아힘 뢰프였다. 그리고 후술하는 대로 그가 감독이 되어 이끈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은 훗날 월드컵에서 또 다시 대한민국에게 패배하게 된다.

5. 중계

국내 중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 -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임주완 신문선
파일:SBS 로고(1991-1994).svg 손석기 -

6. 여담

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요 경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A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1954)
vs 헝가리 0:9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54)
vs 터키 0:7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아르헨티나 1:3 패
파일:불가리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불가리아 1:1 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2:3 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0)
vs 벨기에 0:2 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vs 스페인 1:3 패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90)
vs 우루과이 0:1 패
1994 FIFA 월드컵 미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2:2 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볼리비아 0:0 무
파일:독일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3 패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3 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네덜란드 0:5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1:1 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폴란드 2:0 승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국 1:1 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1:0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2:1 (연장) 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0:0 무
(PSO 5:3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0:1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터키 2:3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파일:토고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토고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1:1 무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위스 0:2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그리스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그리스 2: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아르헨티나 1: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2:2 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1:2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러시아 1:1 무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알제리 2:4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0:1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웨덴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2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0 승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0:0 무
파일:가나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가나 2:3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2:1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1:4 패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vs 아랍에미리트 1:1 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6)
vs 인도네시아 4:2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6)
vs 쿠웨이트 0:2 패
파일:이란 국기.svg (199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6 패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1:2 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07)
vs 인도네시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07)
vs 이란 0:0 무
(PSO 4:2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07)
vs 이라크 0:0 무
(PSO 3:4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vs 일본 0:0 무
(PSO 6:5 승)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1 무
파일:인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인도 4:1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1:0 (연장)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2 무
(PSO 0:3 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3:2 승
2015 AFC 아시안컵 호주
파일:오만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0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1: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0 (연장)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라크 2: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2 (연장) 패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1: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연장) 승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카타르 0:1 패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1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2:2 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3 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PSO 4:2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2:1 (연장)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0:2 패
기타 경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1:2 (연장)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1999)
vs 브라질 1:0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2:3 패
파일:오만 국기.svg (200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3 패
파일:몰디브 국기.svg (200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몰디브 0:0 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4)
vs 튀르키예 2:1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4)
vs 독일 3: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0: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0:3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7)
vs 중국 0:1 패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vs 카타르 2: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4:1 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연령별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423f3f>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0 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0 승
파일:라오스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라오스 2:0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3: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2: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0 (연장) 승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6: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1:2 패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4:3 (연장) 승
파일:베트남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베트남 3: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연장) 승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9: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4: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5: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2017)
vs 기니 3: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7)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vs 잉글랜드 0:1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7)
vs 포르투갈 1:3 패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9)
vs 포르투갈 0:1 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9)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9)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세네갈 3:3 무
(PSO 3:2 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1:0 승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크라이나 1:3 패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2:1 승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온두라스 2:2 무
파일:감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감비아 0:0 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3:2 승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1:0 (연장)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1:2 패
파일:이스라엘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스라엘 1:3 패
U-17 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1:0 승
기타 경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3)
vs 네덜란드 1: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3 패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1)
vs 뉴질랜드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1)
vs 멕시코 3:6 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인도네시아 2:2 무
(PSO 10:11 패)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여자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0:2 패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2015)
vs 코스타리카 2:2 무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5)
vs 스페인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vs 프랑스 0:3 패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vs 프랑스 0: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9)
vs 나이지리아 0:2 패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2019)
vs 노르웨이 1:2 패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콜롬비아 0:2 패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모로코 0:1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1:1 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파일:미얀마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얀마 3:0 승
파일:필리핀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1:5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5: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4 패
U-17 대표팀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0)
vs 일본 3:3 무
(PSO 5:4 승)
기타 경기
파일:북한 국기.svg (2017)
vs 북한 1:1 무
파일:중국 국기.svg (2022)
vs 중국 2:3 패
}}}}}}}}}}}}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독립 문서로 등재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경기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FIFA 월드컵 결승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49-1956).svg (1954)
vs 헝가리 2:3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
vs 브라질 0:2 패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4)
vs 아르헨티나 1:0 (연장) 승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결승전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8)
vs 스페인 0:1 패
기타 경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82)
vs 오스트리아 1:0 승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4)
vs 대한민국 3:2 승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vs 대한민국 1:0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vs 브라질 7:1 승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8)
vs 멕시코 0:1 패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vs 대한민국 0:2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2)
vs 일본 1:2 패
※ 동독 대표팀 기록 제외 }}}}}}}}}}}}}}}


[1] 뿐만 아니라 황선홍의 골 이후 코너킥 상황에서 있었던 서정원의 슛이 독일 수비수를 맞고 나갔는데, 골킥을 준 판정도 있었다. 또, 후반 막판 홍명보의 간접 프리킥을 마티아스 자머 선수가 태클로 막아낸 상황에서 원래는 대한민국에 코너킥을 줘야했지만, 그냥 그대로 경기를 종료시켜버렸다.[2]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공격진에는 (푈러가 노쇠화하기는 했어도) 여전히 위르겐 클린스만이 건재했고, 미드필더에는 1996 발롱도르 수상자 마티아스 자머슈테판 에펜베르크, 토마스 헤슬러가, 수비진에는 주장 마테우스와 위르겐 콜러, 안드레아스 브레메, 기도 부흐발트가 지키고 있었던 독일이었다.[3] 경기 도중 야유를 보내는 관중들을 향해 가운데 손가락을 날리다가 즉각 교체 및 강제 퇴출되었다.[4] 최인영은 이 경기를 끝으로 월드컵 총 6경기 선발 출전 11실점의 기록을 세우고 월드컵 무대에서 은퇴했다.[5] 비슷한 연유로 당시 유망주였던 조진호도 추후의 월드컵을 위해 독일전에 출전했는데, 사실 보통 월드컵에 나가는 대표팀들은 엔트리 중 한두 자리 정도를 이렇게 미래를 위해서 유망주에게 내주곤 하는 것이 흔한 일이다. 브라질의 호나우두카카도 이런 식으로 첫 월드컵을 경험했다. 대한민국도 1986년엔 김주성김종부, 1990년엔 황선홍홍명보, 이상윤(당시 서정원도 예비 엔트리에는 있었으나 끝내 탈락했다.), 1994년엔 조진호와 이운재, 1998년엔 고종수이동국, 2002년엔 박지성이천수, 차두리, 최태욱, 현영민, 2006년엔 박주영백지훈, 2010년엔 이승렬김보경 등이 미래를 보고 데려간 유망주들이다. 2018년엔 이승우, 2022년엔 이강인과 예비 엔트리의 오현규가 이런 케이스로 추가됐다. 다만 결과적으로 2022년의 이강인은 단순 경험 쌓기 용으로 부르기엔 가나전과 포르투갈전에서 각각 1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 상당히 많은 활약을 하긴 했다.[6] 하지만 최인영이 대표팀에서 물러나고 1인자가 될 줄 알았던 이운재는, 그 후 경쟁 상대로 서동명을 만나 한 번 밀렸다가 다시 또 김병지에게 밀리는 등 자리를 잡지 못하다가 기어코 간염으로 쓰러져 버려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에 출전하지 못한다. 월드컵이 끝나고 건강을 회복한 후 비로소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결국 주전을 차지하며 먼 길을 돌아온다.[7] 하지만 황선홍은 골을 넣고도 좋아할 수 없었다. 당시 경기 영상을 봐도 도저히 골 넣은 사람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표정이 어둡다. 물론 아직도 2골이나 리드당하고 있던 탓이기도 했지만, 하필 왜 이제야 들어가는 거야...하고 스스로에게 화가 났다고 한다.[8] 이 골은 미국 월드컵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성공시킨 골이다. 그리고 멋진 인생 골을 성공시키고도 담담하게 손가락으로 1을 가리키는 홍명보의 세레머니가 인상적이었다.(사실 골을 넣자마자 기뻐서 방방 뛰었는데 그건 중계 카메라에 잡히지 않았다. 본인의 자서전에 나온 컬러 사진 중에 그 사진이 있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 당시 동네에서 축구를 하던 꼬마들이 많이 흉내내기도 했다.[9] 게다가 이 골 장면을 정면과 후방에서 찍은 장면을 보면, 순식간에 아웃프론트 킥으로 공이 회전하며 독일 골문의 왼쪽을 파고 드는, 아주 멋진 중거리슛이었다.[10] 그와중에 부진한 모습을 보이던 독일의 미드필더 슈테판 에펜베르크는 자신에게 야유를 보내는 관중들에게 가운데 손가락을 날리는 물의를 일으키며 즉시 교체 당했고, 두 번 다시 국가대표로서 메이저 대회에는 발탁되지 못한다.[11] 이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이 2분쯤 지났을 무렵, 김주성이 페널티 박스 바로 바깥 아크 정면 쪽에서 간접 프리킥을 얻어내 홍명보가 강한 슈팅을 해봤지만 자머의 태클로 공이 골 라인으로 나가서 주심이 코너킥을 마지막이라도 줬어야 했지만, 그 즉시 경기를 종료시켜버렸다.[12]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도 20위를 기록했었다.[13] 이후 독일은 그 결승전에서 브라질호나우두에게 2골을 맞고 0:2로 져서 준우승을 기록했다.[14] 월드컵 1라운드 탈락으로만 봤을 경우에는 그로부터 80년 전에 일어났으며, 월드컵 2라운드 조별리그 탈락은 그로부터 40년 전에 일어났다.[15] 이후 직후 월드컵에서도 일본에게마저 역전패를 당해 월드컵 2연속으로 아시아 팀에게 패배라는 수모를 당했고 이 역전패가 최종 결과에까지 크게 영향을 미쳐서 결국 월드컵 조별리그 2연속 탈락으로까지 이어지고 말았다.[16] 독일은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당시 1라운드 15강 토너먼트 탈락(10등)과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1라운드 32강 조별리그 탈락(22등)으로 80년 만에 월드컵 1라운드에서 탈락했으며, 특히 독일은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2라운드 8강 조별리그 탈락(6등)한적도 있다.(1974년과 1978년은 8강도 조별리그 방식이었으며, 8강 각 조 1위만 결승행, 각 조 2위는 3위·4위전으로 갔다.(4강전 없었다.))[17] 독일 2018년 러시아 월드컵 22등, 2022년 카타르 월드컵 17등.[18] 포르투갈은 2패를 모두 대한민국에게 당했고 2002년에 탈락도 당했다. 이탈리아는 북한과 대한민국에 1패씩 모두 탈락을 당했고, 독일은 대한민국과 일본에 1패씩 당했고 대한민국을 상대로는 2018년에 탈락도 당했다. 스페인은 1994년 대한민국에 2:2 무승부로 승점 1점을 헌납하고 말았고, 2002년 8강전에서는 대한민국에 승부차기로 패배하여 탈락을 당했으며, 2022년 32강 조별리그에서 일본에게 1:2로 역전패하여 조 2위로 밀렸고, 벨기에는 1994년 미국 월드컵 24개국 본선에서 사우디에게 0:1로 패배하였으며, 1998년 대한민국의 물귀신 작전에 걸려들며 무승부 탈락을 당했고, 2002년 일본에게도 무승부로 승점 1점을 헌납하여 조 2위로 밀렸다.[19] 이 대패로 인해 당시의 독일 감독이 그 경기를 치른 다음 날에 아예 잘리는 일까지 벌어졌다.[20] 그로부터 20년 후 이 경기의 득점자인 홍명보와 위르겐 클린스만는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월드컵 대표팀 감독과 미국 월드컵 대표팀 감독을 각각 지휘봉을 잡았는데 홍명보가 지휘한 대한민국 월드컵 대표팀은 벨기에, 알제리, 러시아와 같이 배정을 했지만 H조 4위 1무 2패로 조별리그에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이후 16년 만에 1승을 하지 못하고 결국 탈락했는데 반면 위르겐 클린스만이 지휘한 미국 월드컵 대표팀은 독일, 포르투갈, 가나와 같이 G조에 배정을 했는데 G조 2위 1승 1무 1패로 16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16강에서 H조 1위 벨기에와의 대결에서 연장전까지 치열한 접전에 끝에 패배하여 대회을 마감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