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02:33:42

E-7

피스아이에서 넘어옴
파일:보잉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민항기
<colbgcolor=#d4def7,#666>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EX · F/A-18E/F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7_Boeing_1.jpg
E-7 AEW&C

1. 개요2. 제원3. 운용국
3.1. 호주3.2. 튀르키예3.3. 대한민국3.4. 영국3.5. 미국3.6. 북대서양 조약기구
4. 논란점들
4.1. 기술적 문제와 해결4.2. G550 CAEW와의 비교4.3. E-767과의 비교4.4. 후속지원 미비 논란의 진실
5. 대한민국 공군의 추가 도입 여부
5.1. 한국형 조기경보기 개발사업?
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보잉노스롭 그루먼사가 공동 개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E-737은 대한민국 국군 명칭이며 보잉 측 정식명칭은 E-7 AEW&C 이다.[1]

동사가 개발한 베스트셀러 여객기, 737-700(보잉 Next-Generation 737)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파일:external/5d3e79cf3291a48cf836ca6802506ab2a7cd2de846112c31677cb72734b9b8ff.jpg
E-7의 내부 항공통제 공간

대한민국 공군 기준으로 승무원은 조종사 2~4명(임무별 체공시간에 따라 조종사 크루의 교대 필요성이 달라지기에 2인 또는 4인 체제로 간다)과, 항공통제 특기의 무기통제사, 공중감시수, 전자전장교 등 10여 명으로 구성된다. 영공을 비롯한 한국방공식별구역의 감시, IFF 정보를 이용한 식별, 요격관제 및 공역통제 등이 주임무이다.

노스롭 그루먼이 개발한 MESA 레이더라고 불리는 전자식 신형 레이더 장비가 특징. 회전 접시형 레이더보다 정비성/신뢰성이 향상되었고 전력 소비량도 더 줄어들었다고 한다. 360도 모드에서 최대 481km까지 탐지/식별할 수 있다. 집중조사 모드에서는 레이더 시야가 30도로 제한되지만 탐지거리는 최대 740km로 늘어난다. 다만 선회비행 중에는 방공관제임무에 약간의 지장이 생길 수 있다. 전술 데이터링크 체계는 Link-16을 탑재.

2. 제원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14f8886584203e0a2d9060a43f66503d.jpg
분류쌍발 터보팬 공중조기경보기/항공통제기
전폭34.3m
전장33.0m
전고12.5m
최대이륙중량77,564kg
최대속도시속 853km
적재중량19,831kg
엔진CFM 인터네셔널 CFM56-7B27A 터보팬 2기

3. 운용국

3.1. 호주

파일:20171125raaf8165654_049.jpg
E-7A 웨지테일

최초 고객으로 1997년 계약했다. 2006년부터 이 기체를 인도받을 예정이었으나 여러 문제로 지연되어 2012년 5월 최종적으로 6대가 인도 완료되었다. 호주 공군의 정식 제식명은 E-7A로 명명되었다.

2014년 10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이라크로 떠나 ISIL과의 전쟁에 파견되어 100소티 이상 작전을 펼치며 총 1,200시간 이상의 공중 지휘/통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3.2. 튀르키예

파일:KR_FQS3T82XwAYHD3e.png
E-7T 피스 이글
두 번째 구매국으로서 4대를 발주했다. 2011년에 인도받을 예정이었으나 역시 연기되어 2015년 12월 최종적으로 4대를 인도받아 부대를 완편하였다. 이 후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아제르바이잔 지원을 위해 실전 투입 되었다.

3.3. 대한민국

파일:external/www.vafa-kr.com/E_737_Peace_Eye.jpg
E-737 피스 아이

2006년 보잉 사와 도입 계약을 체결했으며 총 4대 (1.6조)를 발주했다. 이후 최종 검사를 마치고 2011년 9월 21일, 1호기를 정식으로 취역했다. 2~4호기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조립되어 2012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인도되었다.# 도입 5년째가 되는 2017년, 이들 기종을 대상으로 첫 창정비 진행이 확인되었다. 장래에 진행할 2차 E-X 사업에서 추가 도입 가능성이 높은 기종이다. 만약 2차 사업에 선정되면 총 2~4대가 추가되리라 예상된다.
기체번호 도입년월 상태 소속 MSN/LN 비고
ROKAF 64-700 2011년 8월 1일 운용중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제271비행대대 34700/2822 1호기
ROKAF 65-327 2011년 11월 13일 운용중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제271비행대대 35327/3071 2호기[참고]
ROKAF 65-328 2012년 5월 16일 운용중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제271비행대대 35328/3189 3호기[참고]
ROKAF 65-329 2012년 10월 24일 운용중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제271비행대대 35329/3319 4호기[참고]

기체의 등록번호가 보잉의 MSN(Manufacturer Serial Number)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후 도입된 F-35, KC-330 등의 기체는 18-001과 같은 형식으로 기체 도입연도 뒷자리 2개-도입 일련번호 순으로 부여되고 있다. 상술했듯 1호기는 직도입, 2~4호기는 기체 도입 후 장비 장착 및 통합을 KAI가 수행한 뒤 인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2022년 7월 국방부 소요검증위원회에서 조기경보기 총 4대 추가도입이 확정되었다.# 기존 보유 기종인데다 미 공군까지 E-7 도입을 확정하였으므로 E-7 추가도입이 가장 유력하긴 하나, 몇몇 국내외 방산업체들이 국내 자체 개발이나 국내 개조작업 등을 제안하며 다른 기종을 제안하고 있는 상태이며 아직 기종이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이변이 생길 수도 있다.

2024년 11월, 미국이 E-7 4대 판매를 승인하였다.#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는 E-7 판매 승인을 설명하면서 "한국 공군의 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 정보, 감시 및 미국과의 정찰 상호운영성도 강화시킬 예정"이라고 부연하였는데, 이 때문에 E-7의 선정이 사실상 유력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3.4. 영국

파일:E7_Comp_Lincoln-1021x580.jpg
웨지테일 AEW.1

2019년 3월, 영국은 기존에 운용하던 E-3의 개량을 포기하고 E-7 5대 도입을 결정했다. 기사 E-3 기령이 한계에 도달했고, 이전에 도입한 P-8A와의 공용화된 부분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고 보인다.

영국군 역시 호주군과 웨지테일이라는 명칭을 공유하기로 했으며, 예산압박에 시달리기 때문에 일부 기체는 중고기를 E-7로 전환하는 형태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2021년 3월, 국방예산 감축안에서 도입량을 3대로 깎았다.

3.5. 미국

2021년 9월 21일 미 공군 찰스 브라운 참모총장은 미 공군이 2023년 예산을 염두에 두고 노후된 보잉 E-3 센트리 AWACS 항공기를 대체하기 위해 E-7 웨지테일 구매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 그리고 2022년 4월에 E-7 도입이 확정되었다. 총 22대를 도입할 예정이며 2027년부터 배치된다고 한다.#

최종적으로 26대 도입을 확정지었다.##

2024년 미국 상원 국방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가격이 '1대당' 25억 달러, 원화로는 대략 3조 4천억원에 달한다. # 기존 도입국 국가들 대비 상당히 높은 가격이다.[5]

3.6. 북대서양 조약기구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 공중조기경보통제부대의 E-3A 14대를 대체할 기종으로 사브 글로벌아이, G550 CAEW와 함께 검토되다가 최종 선정되었다.

4. 논란점들

4.1. 기술적 문제와 해결

MESA 레이더가 비교적 신형임을 감안하면 운용 실적은 양호한 편이다. 그럼에도 주요 결함 역시 여기에서 발생했다. 호주 공군의 주 요구사항 중 하나였던, 저고도 항적 추적능력이 불안정했다.우리의 주요 임무인 북한의 저고도 침투 대응이 어려울 수 있었다. 당시에는 MESA 레이더가 검증되지 않았으나,(팰콘 레이더는 이미 개발국인 이스라엘 공군, 칠레 공군이 B-707에 탑재해 운용 중이었다) 현재는 해결되었다.#

호주 공군은 ROC(작전요구성능)을 낮추어 도입해서 2009년에야 실전배치했다. 예정보다 3년이 늦은 것이다. 호주는 2015년에 웻지테일의 FOC를 선언했다. E-737의 운용이 어느정도 궤도에 올랐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보잉은 터키와 한국에 공급할 737 AEW&C들은 이 문제들을 해결해서 전달하리라고 밝혔다.# 호주도 차후 업그레이드를 통해 해결하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제작사의 초기 결함을 떠맡다시피 했던 셈. 다행히 한국군은 5년 이상 운용하면서 저고도 추적능력 미달이나 레이더와 ESM 장비의 상호간섭과 같은 결함을 겪지 않았고, 큰 결함 없이 17년 11월에 공식적으로 사업을 마무리했다. 어쩌면 초기 불량이나 문제점 개선 사항을 관망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209급 잠수함을 도입할 당시 그리스 해군 이후에 사업을 착수했던 사례가 있다.[6]

2011년 9월 당시 터키행 737 AEW&C의 인도일정이 두 차례 연기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한국의 E-737도 인도가 늦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2012년 10월 4호기까지 인도가 끝나 8시간씩 교대 영공감시가 가능해지게 되었다. 2012년 맥스썬더 훈련에도 참여해 기존의 미 공군 E-3를 대신해 공중통제를 담당하기도 했다.

JTBC에서 이미 보유중인 4대 중 3대가 교체부품이 없어 지상에서 놀고 있다고 보도했다. 공군은 해당 보도를 부인했다. 우리 평시 작전에서 네 대의 기체 중 두 대가 교대로 운용되며, 한 대는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기, 다른 한 대는 정비기로 운용된다. 즉, 네 대 중 세 대가 지상에서 놀고 있단 말 맞았다. JTBC의 어설픈 보도를 비유하자면, 고속버스 터미널에 주차돼 있는 버스들을 보고는 "이 차들이 왜 도로를 달리지 않고 놀고 있냐"고 한 셈. 즉, 무지한 기자의 설레발이다.

도입 1년이 되는 2013년 10월까지 고장 수리 비용이 500억 원이 넘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나마 다행인 건 350억 원 정도는 보잉에게 무상으로 보상받았다.#

4.2. G550 CAEW와의 비교

파일:external/dimg.donga.com/35263487.1.edit.jpg
E-737 관련 인포그래픽

레이더 시스템
MESA vs. PHALCON. 외견상의 성능은 막상막하다. 737 AEW&C의 MESA시스템의 기체 상부에 설치되어 하방 사각이 넓어지는 특성이 있다. 이 점은 호주 공군 도입사업 시에도 문제가 된 바 있다. 팰컨 시스템은 기체 측면에 설치되어 하부 사각이 적다. 다만 실용적으로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며, 도입 3국에서 심각한 결함으로 여기지는 않는다고 보인다.

레이더 시스템의 신뢰도
PHALCON 시스템은 보잉 707, 일류신 Il-76, 걸프스트림 G550 등 다양한 기반기에서 다년간 운용 경험이 있다. 현재는 737 AEW&C도 운용 경험이 늘고 검증되어 문제점은 적다. 호주군의 웨지테일은 말레이시아 항공기 실종 사건에 투입되어 성공적으로 임무를 마쳤다. 한국의 E-737 피스아이도 맥스썬더 훈련을 비롯한 여러 훈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실전에도 투입되어 이라크에서 E-3의 업무를 분담했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마쳤다.#

기반기의 성능
737 AEW&C은 큰 체급의 여객기가 베이스라 우세다. 737 AEW&C은 자중 46톤, G550은 자중 22톤으로 대략 두 배 차이다. 발전기의 발전량도 236kn과 136kn으로 두 배 가량이다. 737 AEW&C은 엔진 역시 강력해 전력 발전 여유량이 크다. 이는 레이더의 성능 개량과 직결 되는 요소다. 크고 넓은 내부공간을 이용해 최대 10명까지 관제사를 탑승시킬 수 있으며, 휴식공간도 여유롭다. G550은 비즈니스 제트기 기반이므로 이러한 점들에서 열세다. G550은 협소한 공간 때문에 지상 관제를 기반으로 운용한다. 관제사도 최대 6명, 휴식공간도 협소하다. 휴식공간 및 화장실이 아예 없다는 루머가 돈 바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시스템의 발전성
G550은 2010년 해상초계능력을 부여했고, 2016년 SAR포드에 ESM/ELINT 능력을 부여했다. 또한 2017년에도 UAV 탐지능력을 향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면모는 높게 평가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737 AEW&C도 호주가 총대를 메고 개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가 FOC를 선언한 시점이 2015년이었음을 가늠하면, 2017년에 시작하는 개량사업이 늦지도 않았다. 총 운용 대수 14기는 조기경보기로는 적지 않다.

2014년 G550에게 탄도미사일 탐지 수준에 그치지 않고, 추적 능력이 부여되었다는 소식이 있었다. 정작 구체적인 내용이 공식적으로 실증된 바는 없다. 추정하기로는 미해군이 텔레메트리용으로 도입하면서 측면 레이더 부분을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로 교체한것이 와전된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바에 의하면 G550도 탄도탄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E-737처럼 단순 탐지만 가능하다.

IAI이 G550을 완전무인화된 기체로 발전시킨다는 장기계획은 주목할만 하다. 기본 단계에서는 일반 조기경보기들처럼 기내에 관제사가 탑승하며, 1차 단계에서는 관제사는 지상기지에서 데이터링크를 통해 관제하고 조종사만이 탑승한다. 2차 단계에서는 조종사조차 탑승하지 않고 완전한 무인기로 운용하겠다는 계획이다. (Bill Sweetman, Unmanned AEW "Not So Far Away", 2007.12.14) 장비 대부분이 데이터링크로 연결된다면, 음성관제도 덜 필요하게 되며 거주 필요성도 줄어든다.

독자 관제성능
최대 10개 콘솔이 설치 가능한 E-737 우위. 두 기체 모두 독자적인 관제능력은 갖춘다. 한국군의 피스 아이는 8개의 콘솔을 탑재한다는 루머가 있다. 그러나 한 기사 사진에서는 콘솔 10개가 탑재되어 있음이 보인다. 기사 내에서도 이 내용이 명시된다. G550도 관제능력을 갖추고 않았다는 루머가 돌았으나 역시 루머는 루머일 뿐. 필요하면 최대 6개의 관제콘솔을 탑재할 수 있다.

각종 대처 능력
현대전에서 항공전력과 레이더 및 관제가 매우 중요하다. 전쟁 중 적측의 탐지 자산은 최중요 공격 대상이다. 여러 대응 수단 중 특수전력은 지상관제 레이더 및 관제소를 중요 타깃으로 삼는다. 혹은 대레이더 미사일과 각종 순항 미사일 공격으로 인해 언제든지 지상 관제소들이 파괴당할 수 있다. 특히 중국군북한군은 엄청난 숫자의 탄도 미사일 전력을 보유하며, 전시 초기 대량의 미사일 공격을 한국 공군 관제소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이스라엘의 G550 발전 로드맵은 이스라엘의 지리 및 군사적 특성에 의한다. 주변 적국에 비해 영공이 협소하며 장시간 체공한다. 조기경보기가 적의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에도 쉽게 노출되는지라 공중에 중요 자산을 집중하기 어렵다. 대형 기체는 가격도 비싸고, 한두 곳의 비행장만 공격받더라도 이착륙이나 기체 보호 쉘터 등의 문제로 운용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반면 미국은 원정 작전 비율이 높아 지상 기지의 지원을 받기 어렵다. 현장의 조기경보통제기에 기능을 집중하는 편이 나을 때가 많다. 나토는 핵공격 등 적 기습을 대비해야 했다. 일본은 공역이 매우 넓어 지대공이든 공대공이든 위험 지역을 회피할 수 있는 공역이 있다. 737 AEW&C역시 E-3/E-767같은 대형 플랫폼 기반에는 못 미치지만, 조기경통제 임무를 감당할 수준은 된다. 콘솔 10개를 설치할 수 있고 거주성도 좋다. 비즈니스기가 기반으로 최대 6개의 콘솔만 설치 가능하고 거주성도 열악한 G550에 비해 운용이 용이하다.

그러나 G550과 737 AEW&C가 갖추고 있는 콘솔 6~10개로는 지상관제소의 능력을 따라갈 수 없다. 어느 쪽이든 지상관제소의 완전 대체는 어렵다. '식별'만도 인력이 필요하다. 좁은 기내에서 지속적이며 원활한 업무는 어렵다. 각 레이더기지와 항공기지에 대한 지휘통제 및 통신, 관할하고 있는 전술기들에 대한 방공관제, 지상에서 떠맡아주던 기타 잡다한 업무는 중대형기라도 감당하기 어렵다. 지상관제능력의 전면 상실을 가정하면 일시적으로 737 AEW&C가 우위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완전 대체는 어렵고, 더 대형인 E-767 역시 그렇다.

결정적으로 E-7이 미군이 도입함에 따라 G550이 가진 그나마의 장점 대다수도 E-7이 압도할수 있게 되었다.

4.3. E-767과의 비교

E-767은 대형기 기반이라 작전 고도, 항속 거리 등에서 모두 우위를 점하는 데다 여러 편의 시설 등과 넓은 실내공간으로 승무원 거주성도 더 뛰어나다. 당연히 보잉 737은 중단거리 협동체 여객기인 반면 보잉 767은 중장거리 광동체 여객기이므로 이러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또한 기체의 체급차가 나는 만큼 E-767의 콘솔 수는 14~16개, 737 AEW&C의 콘솔 수는 10개이다. 콘솔이 더 많은 만큼 E-767 측이 한 번에 더 많은 비행기를 지휘/통제할 수 있다.

다만 레이더 범위와 탐지 능력, 첨단성 면에서는 E-767의 체급에도 불구하고 최신식 전자장비를 장착한 E-737이 우위를 점한다. E-767을 E-737보다 높은 평가를 하는 사람들은 E-767의 플랫폼(767-200ER)이 E-737의 플랫폼(737-700)보다 더욱 대형 항공기이기 때문에 체공 시간과 임무 고도가 더욱 높고, E-767에 통합된 S 밴드 하이브리드 위상배열레이더인 AN/APY-2 레이더의 BTH[7]모드 탐지거리가 흔히 알려진 E-737의 L밴드 AESA 레이더의 탐지거리인 480km보다 길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BTH 모드는 말 그대로 초수평선 스캔을 위한 모드이기 때문에 표적의 2차윈 추적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레이더 사각 너머의 위협 탐지와 경보에 한정되어 있다.

AN/APY-2 레이더의 BTH 모드가 전투기 기준 표적을 탐지할 수 있는 최대 탐지거리는 800km 라고 알고있는 사람들이 많으나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한 E-3 기준으로 AN/APY-2 레이더의 실제 유효한 탐지거리는 400km 내외라는 보고가 대부분이다. 미 공군, 연구 논문[8]

MESA 레이더는 AN/APY-2 레이더의 그것보다 더욱 긴 파장을 사용한다. 동시에 레이더 안테나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MESA 레이더가 가로 약 10.08m, 세로 약 3.55m이며 AN/APY-2는 가로 약 7.92m, 세로 약 1.37m다. 다시 말해서 MESA 레이더가 AN/APY-2 보다 위상배열레이더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모두 더 길다. 그러므로 MESA 레이더의 안테나 면적(약 35.5m²)이 AN/APY-2의 면적(약 10.8m²)보다 3배 이상 크다. 작동 파장의 차이가 4배 이내라는 점을 감안하면 양자의 안테나 이득은 서로 비슷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MESA는 진행파관(TWT)과 ADC(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DAC(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를 갖춘 채널을 하나만 사용하는 AN/APY-2과 달리 MESA는 ADC/DAC를 동시에 사용한다는 점이 MESA의 위상배열 안테나가 3배 이상 크다는 걸 감안하면 수신 단계의 안테나 이득과 수신 감도는 MESA가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통념과 달리 E-737의 MESA 레이더가 오히려 E-767의 AN/APY-2 레이더보다 더욱 탐지거리가 긴 레이더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ESA 레이더가 탐지거리가 더욱 짧은 레이더라고 잘못 알려진 것은 두 체계의 스캔 방식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E-767의 AN/APY-2 체계는 S밴드 위상배열레이더 하나를 기계적인 방위각 스캔에 결합하여 작동하는 체계로서 그 탐지거리는 PDNES[9] 또는 PDES[10]이 지향하는 공간에서의 탐지거리이다. BTH 모드에서 RCS 5m²의 전투기 기준 표적 탐지거리가 최대 800km에 달한다고 하지만 해당모드는 완전한 트랙을 구성할 수 없으며 불완전한 트랙이나마 품질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BTH 모드가 아니라 PDNES와 PDES, 특히 PDES가 AN/APY-2의 핵심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반면 E-737의 임무 컴퓨터에 통합되어 있는 MESA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레이더 구조물 좌위의 L 밴드 AESA 레이더와 전방과 후방의 종형(endfire array)을 사용하여 360° 전방위에 걸쳐서 다수의 로브(lobe)에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전방위 모드인 PDA 모드의 탐지거리를 이야기한다. 이것이 MESA 레이더의 핵심 모드이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구형 레이더인 AN/APY-2는 MESA와 달리 360° 전방위를 동시에 스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MESA 레이더와 AN/APY-2 레이더의 탐지거리를 비교하려면 MESA 레이더의 핵심 모드이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드인 PDA 모드가 아니라 특정 구역으로 레이더의 에너지를 집중하는 SE[11] 모드의 탐지거리를 기준으로 비교를 해야한다. 그래야 레이더 안테나가 지향된 방향으로만 스캔을 할 수 있는 AN/APY-2와 같은 조건에서 비교를 할 수 있다. 혹자는 이런 SE 모드에서는 특정 방향에서만 국지적으로 스캔을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이는 AN/APY-2 레이더도 마찬가지이며 애초에 PDA모드 같은게 없는 AN/TPY-2를 해당모드 기준으로 비교하는건 말도 안된다.

이와 같이 스캔 패턴을 동일하게 두고 비교를 했을 때 MESA는 AN/APY-2보다 확실히 더욱 우수하다. 우선 MESA의 집중조사 모드와 AN/APY-2의 펄스 도플러 모드(PDES/PDNES)는 동시에 스캔할 수 있는 공간이 국지적인것은 동일하지만 AN/APY-2는 방위각 스캔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MESA는 전자주사식 방위각 스캔을 하기 때문에 국지적으로 동시 다목표 스캔을 집중하면서 360° 전방위 스캔을 보다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정시간 기준 360° 스캔을 시행하는 횟수를 비교하면 MESA의 집중조사 모드가 AN/APY-2의 PDES/PDNES 모드를 크게 앞서는 것이다.

그리고 link-16을 기준으로 J3.2 포맷을 워딩하여 이를 최종적인 파형(waveform)으로 구성하여 시간대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시행하는 단계에 들어갈 때 link-16의 기저 대역 기본 단위의 처음을 포함하여 이후 교전 체계와 J7.X 세트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업데이트가 되는 트랙에도 IFF 식별결과 워딩이 포함되는데 이 작업이 E-737에서는 MESA에서 트랙을 갱신하면서 동시에 시행하지만 E-767의 AN/APY-2에서는 트랙 갱신과 IFF 업데이트 사이의 시간 간격이 있다.

이는 AN/APY-2와 달리 MESA는 L 밴드 AESA 레이더로서 STANAG 4193 표준 IFF 심문 주파수도 작동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IFF 심문기를 통합하지 않고 MESA에서 공중 표적을 추적할 때 일부 체널에서 STANAG 4193 표준 L 밴드 심문 파형을 추적 표적에 동시에 지향(전자주사식 주향)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E-737이 작전 공역에서 IFF 심문 대상이 되었을 때는 별도로 통합되어 있는 응답기인 AN/APX-119가 E-737의 UHF 대역 전방위 안테나를 사용하여 심문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송출한다.

반면 AN/APY-2 레이더는 S 밴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레이더 자체가 IFF 파형을 생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 E-767에 통합된 응답기는 E-737의 AN/APX-119로 동일하지만 레이더와 별개로 장거리 IFF 심문기인 AN/UPX-40이 AN/APY-2 체계에 별도로 통합되어 있다. 원반형 레이돔 내부에 설치된 AN/APY-2 레이더 세트 한쪽면에 S 밴드 위상배열레이더가 설치되어 있고 반대쪽에 AN/UPX-40 장거리 심문기가 설치되어 임무 컴퓨터에 연동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E-767은 표적을 탐지 또는 추적 갱신을 하면 해당 트랙에 대한 IFF 심문 또는 심문 갱신은 AN/APY-2에 결합된 기계적인 방위각 스캔 구동 장치가 회전하여 AN/UPX-40의 L 밴드 안테나 빔폭 공간 안에 표적을 넣어야 가능하다. 그러므로 탐지와 식별 사이의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이 점 역시 일본의 E-767이 E-737에 비해 뒤떨어진다고 볼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E-767의 AN/APY-2는 펄스 모드(예 : BTH모드)와 펄스 도플러 모드(예 : PDES, PDNES)가 전방위 동시 스캔이 불가능하지만 E-737의 MESA는 탐지거리를 줄여서라도 다수의 로브에 에너지를 분산하고 이를 전자적으로 조향함으로써 동시에 360° 전공간(다만 후방의 수직 미익 때문에 E-767과 E-737 모두 후방 스캔은 제약이 있을 것이다)을 동시에 스캔하여 동시 다목표 표적 추적 능력면에서도 더욱 우수하다.

아울러 AN/APY-2는 AN/ALR-56C/M과 같이 H 밴드 이상에서 작동하는 일부 RWR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RWR 의 작동 범위 안에 들어가는 S 밴드에서 작동하는 반면 E-737의 MESA는 대부분의 RWR(일부 자료에서 FA-50에 통합된 SPS-1000 계열 RWR이 NATO C 밴드에서도 작동 가능하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RWR의 최저 작동 대역이 E 밴드이다)의 작동 범위를 벗어난 L 밴드에서 작동하며 AESA이고 Cycle Code Shift Keying을 사용해서 웨이브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표적이 된 적대 항공기의 RWR에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적대 전자전 체계 중 스탠드 오브 전자전기가 아닌 적 전투기에 통합된 자체 방어 체계 수준의 ECM(자체 보호 제머, 채프 살포기)등의 의한 재밍은 원천 배제할 수 있다는 점도 E-737의 상대적인 장점이다.

또한 737 AEW&C의 체급이 작고 동작 부위가 적어서 E-767보다 유지비/인력이 더 적게 든다.

실제로 위에 서술된 737 AEW&C의 장점들 덕분에 E-767과 같은 체계를 쓰는 E-3는 대부분의 운용국가들이 737 AEW&C로 대체하는 중이며 가장 많은 E-3를 쓰는 국가인 미국 또한 이미 E-7A를 도입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사실상 E-767이 가질수 있다는 우위보다 737 AEW&C가 가질수 있는 우위가 더 뛰어나다고 보는것이 옳다.

또한 향후 미래를 고려했을때도 737 AEW&C가 더 미래가 밝은데 E-767이 비행기 체급이 더 크긴 해도 내부에 탑재된 체계는 E-3때 부터 써오던 시스템인지라 E-3를 따라 개량이 중단되었지만 737 AEW&C는 현재 도입국들을 주도로 개량 계획이 나오고 있으며 미국 또한 차세대 조기경보기로 선정한지라 이에 대한 수요도 매우 높다.

4.4. 후속지원 미비 논란의 진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개발국인 미국은 737 AEW&C 도입 계획이 없어 후속지원이 불리할 것이란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우선적으로 정비 문제의 경우 기체에 한해서는 자유로운 상황이다. 기반기가 베스트셀러 보잉 737인 데다가, 대한민국의 각 항공사에서도 중단거리 노선에서 주력으로 운용한다. 미 해군의 P-8 대잠초계기 역시 기반기가 같으며,[12] 한국 해군에서도 도입 중이라서 민간기나[13] P-8와 공용화가 가능한 부분이 많은 것은 큰 장점이 된다.[14]

그리고 영공 방어의 핵심인 조기경보통제기 업그레이드를 포기할 리가 없다. 도입국 총합 14~19기[15]는 조기경보통제기로는 적은 숫자가 아니며, 무엇보다 제조사 경영 상황이 양호해 수요만 있다면 충분히 개량사업에 착수할 수 있다.

2017년 6월 12일 호주 정부가 주도하여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준비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여기에 한국 정부에 E-737 조기경보통제기 공동 업그레이드 개발 참여를 제안했음이 확인되었다. 미래의 호주 공군을 만들기 위한 마스터 플랜인 Plan Jericho에서 네트워크 중심작전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대형 감시정찰자산의 현대화는 호주 공군에게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E-7A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은 호주 공군이 선도적으로 프로그램 세부 내용을 설계하고 수요를 주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될 예정이다.

2017년 7월 5일 호주 국방부는 보잉 디펜스 오스트렐리아(BDA)와 5억 8천 2백만 호주달러(미화 4억 4천 3백만 달러) 규모의 호주 공군 E-7A Wedgetail AEW&C 업그레이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결국 호주의 동참 제안에 응하지 않았는데, 2020년 한국 공군이 2+2대 추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호주 측 제안에 응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뒤늦은 비판을 받았다.

737 AEW&C는 2020년 현재 유일한 서방권 대형 조기경보통제기이며 미군은 당분간 새로운 조기경보기를 만들 계획이 없다. 서방권 조기경보기 수요는 직접 개발하지 않는 이상 미제 737 AEW&C로 쏠릴 수밖에 없다.[16] 영국은 플랫폼이 더 큰 E-3을 대체하기 위해 737 AEW&C 도입을 확정했다. 미국이 사용하지 않는 점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절대적인 도입 기준은 아니라는 뜻이다.

그리고 태평양 공군 사령관인 케네스 윌스바흐[17] 대장은 2021년 2월 24일 항공우주전 심포지엄에서 737 AEW&C의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현 주력 조기경보기 E-3는 현대 공중전에서 생존 보장이 안 되니, 보다 최신 기종인 737 AEW&C로 대체해야 된다는 것이 요지이다. 이처럼 이제 미 공군의 도입 가능성까지도 거론되고 있으며, 때문에 '소수 국가만 도입해서 후속 지원이 불안하다'는 그동안의 지적은 점차 불식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022년 4월, 미 공군이 공식적으로 도입 의사를 나타냈다. 미 공군과 NATO가 제식으로 채용하게 되면서 후속지원 문제는 사실상 없어졌다고 봐도 좋다.

5. 대한민국 공군의 추가 도입 여부

대한민국 공군은 감시 공백지역의 최소화를 위해서 최소 2대의 피스아이를 더 도입하려는 사업을 벌이고 있고 현재 소요제기까지 된 상황이다. 2020년 6월 말에 국방장관 주관으로 소집된 방위사업추진위원회도 오는 2027년까지 조기경보통제기 2대를 추가도입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2021년도 국방예산에도 2억 5,100만 원의 관련 예산이 처음으로 반영되었다.

현재 사업 입찰에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된 업체는 보잉, 사브, IAI로 각각 E-737, 사브 글로벌아이, EL/W-2085를 제시한 상태이다. 사브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 한국과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고 제시한 상태.[18]

2021년 충남 계룡대 공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공군본부 국정감사에서 4대 추가 도입론이 대두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2022년 7월, 결국 공군의 조기경보통제기는 기존 논의되던 2대가 아닌 2027년까지 4대를 추가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

2024년 11월 5일, 미국 측에서 대한민국이 요청한 E-7 4기 추가판매를 승인하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다만 미국이 보잉에게 한국에 판매할 수 있다고 승인한 것이지, 방사청이 E-7 추가 구입을 결정했다는 말이 아니며 여전히 3개 기종이 후보군으로 경쟁 중이다. 그러나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겹쳐지는 허가 시점과 "미국과의 정찰 상호운영성도 강화시킬 예정"이라는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의 부연 설명으로 인해 사실상 E-7이 유력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일단 방위사업청은 “항공통제기 2차사업은 현재 보잉(E-7A)을 포함한 다수업체간 협상과 시험평가가 진행 중”이라며 “아직 특정 기종이 결정되지 않았다”며 이러한 추측에 대해 선을 그었다.# 다만 11월 7일,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다시 당선되면서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요구와 주한미군 감축 카드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제 군용기 도입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져 선거 이전 시점에 비해 E-7의 도입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5.1. 한국형 조기경보기 개발사업?

하지만 보잉이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신용등급이 급락해 지원자격을 충족하지 못했고 사브IAI는 군의 요구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해서 추가도입이 취소되었다. 그래서 자체개발을 한다는 SBS 김태훈 기자의 단독보도가 있었는데 # 이에 몇몇 개인들이 개별적으로 문의를 해본 결과 방위사업청에선 해당 보도에 대해서 일말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을 뿐[19], 기존대로 해외 도입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부인했다.[20]

하지만 2022년 5월 1일, 세계일보 박수찬 기자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2021년 11월부터 항공통제기 중·장기 국내 개발 전략 수립 작업을 진행 중이며, 기체는 에어버스 A220이나 A320을 사용하고 레이더는 독자 개발하는 계획이 있다고 한다. # 다만 기사의 논조와는 달리 관계자들은 이조차도 모색일 뿐, 확정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또한 레이더 테스트와는 별개로 기존에 조기경보기로 개조해본 이력이 없는 항공기를 선택할 경우, 레이더를 올리고 항력 등과 관련된 비행 테스트등 여러 시험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2027년까지 도입 목표라면 일정 상 국산 개발은 불가능하며, 아울러 비용 역시 크게 초과할 가능성이 크다.

일단 2023년 3월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가 L3해리스와 손을 잡고 사업에 참여할 방침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 <colbgcolor=#005a99> 4세대/4.5세대 F-16(A/BR, C/D, CM/DM), F-15(C/D/E/EX)
5세대 F-22A, F-35A, F-23, F-32
6세대 {PCA}
공격기 AT-6B, A-10C, AC-130(H/U/W)R/AC-130J, F-117
폭격기 B-52(H/{J}), B-1B, B-2A, {B-21}
수송기 전술 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 C-17A, C-5M
지원기 조기경보기 E-3(B/C/G), E-8CR, {E-7}, E-10
정찰기 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 E-11A
계측통신정보기 RC-135S
전자정찰기 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 RC-135V/W, RC-26B
기상관측기 WC-130J
대기분석기 WC-135(C/W/R)
관측지원기 OB-135B
공중지휘기 E-4
공중급유기 KC-10AR, KC-135R/T, {KC-46A}
회전익기 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 SUAV RQ-11B, RQ-20B
UAV RQ-4A/B, RQ-170, RQ-180
UCAV MQ-1BR, MQ-9A/B, MQ-20, {CCA}
훈련기 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T-7A}
다목적기 UV-18B, U-27, U-28
특수목적기 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 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현대 영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0066> {{{#ffffff 영국 왕립 공군
Royal Air Force

영국 왕립 해군 함대항공단
Royal Navy Fleet Air Arm}}}
회전익기 <colbgcolor=#000066> 공격헬기 WAH-64D, {AH-64E}
다목적 헬기 와일드캣 AH.1/HMA.2육/해, 그리핀 HAR.2, H135, AS365, 주피터 HT.1, AW101R, WS-51R
수송헬기 치누크 HC.4/HC.5/HC.6/HC.6A, 멀린 Mk.3i/Mk.4, 벨 212 AH.(1/3)육/R, 브리스톨 192 벨베데어R, 웨스트랜드 웨섹스R, 웨스트랜드 훨윈드R
대잠헬기 멀린 HM.2, SH-3R
전투기 1세대 글로스터 미티어R, 글로스터 자벨린R,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R, 드 해빌랜드 베놈R, 드 해빌랜드 시빅슨R, 슈퍼마린 어태커R, 슈퍼마린 시미터R, 캐나디어 세이버R, 캔버라 B(I)R, 폴랜드 냇R, 호커 시호크R
2세대 호커 헌터*, BAC 라이트닝R
3세대 팬텀 FG.1해/R, 팬텀 FGR.2R, 팬텀 F.3R, AFVG
4세대 / 4.5세대 타이푼 F2/FGR.4, 토네이도 IDS GR.1/GR.1A/GR.1B/GR.4/GR.4AR, 토네이도 ADV F2/F2A/F3R
5세대 라이트닝 II GR.1
6세대 {GCAP 템페스트}, BAE 템페스트
공격기 재규어 GR.1/GR.1A/GR.1B/GR.3/GR.3AR, 블랙번 버캐니어R, 호커 시들리 케스트럴R, 해리어 GR.1/GR.3/GR.5/GR.5A/GR.7/GR.9R, 시 해리어R, TSR-2, 문플라워 GR.1, F-111K
전술폭격기 캔버라 B.2R
전략폭격기 빅커스 밸리언트 B.1/B(PR).1/B(PR)K.1R, 아브로 벌컨 B.1/B.1A/B.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1/B.1A/B.2R
수송기 보이저 KC2/KC3, A400M 아틀라스 C1, C-17A ER, 허큘리스 C4/C5, AW.660R, 쇼트 벨파스트R, 블랙번 버벌리R, 브리스톨 브리타니아R, 더글라스 다코타R, 핸들리 페이지 헤이스팅스R
지원기 조기경보기 {웨지테일 AEW.1}, E-3D, 페어리 가넷 AEW.3R, 님로드 AEW3
대잠초계기 포세이돈 MRA1, 넵튠 NR.1R, 님로드R, 아브로 섀클턴R, 페어리 가넷R
정찰기 RB-45CR, 에어시커 R1, 섀도우 R1/R1A, 센티넬 R1R, 캔버라 PRR, 코멧 CR, P.66 펨브로크R
신호정보수집기 RC-135W
공중급유기 보이저 KC2/KC3, 아브로 벌컨 K.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K.1/BK.1AR, 빅커스 밸리언트 BK.1R, 록히드 트라이스타R, 빅커스 VC10R
무인기 MQ-9A, 워치키퍼 WK450, 제피르
훈련기 프롭 텍산 T1, 어벤저, 프리펙트 T1, 튜터 T1, B.125 불독R, DHC-1 칩멍크R, T67 파이어플라이R, 비글 허스키R, HP.137 제트스트림R, 쇼트 투카노 T.1R
글라이더 바이킹 T1
제트 호크 T1/T2, 페놈 T1, 타이푼 T1/T1A/T3, 캔버라 TR, BAe 125R, 냇 T.1R, BAC 제트 프로보스트R
다목적기 팰콘 900LX, BAe 146, BAe 125R, 안도버 CR, 드 해빌랜드 헤론R, 디펜더 R Mk2/T Mk3R, BN-2 아일랜더 R Mk1/CC Mk2R, 파이어니어 CC.1R, DHC-3 오터R
※ 윗첨자*: 가상적기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현대 튀르키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회전익기 <colbgcolor=#e30a17> 경헬기 OH-58C
다목적 헬기 UH-1D/N, UH-60, AS332, AS532 쿠거, T-70, AB206, Mi-8MT, {T-625 괴크비}
수송헬기 CH-47F
공격헬기 AH-1P/S/W, T-129 ATAK, {T-629}, {T-929 ATAK 2}
대잠헬기 AB-212, SH-60B
전투기 1세대 F-84GR
2세대 F-100C/D/FR, F-102AR, F-104GR
3세대 F-4E-2020 터미네이터, F-5A/B/2000R
4세대 / 4.5세대 F-16C/D, F-16C/D 블록 50+, {}
5세대 F-35A, {}
수송기 C-160, C-130H, CN-235 M-100, A400M
지원기 조기경보기 E-7T 피스 이글
대잠초계기 ATR 72 MPA
정찰기 RF-4ER, Ar 95W
공중급유기 KC-135 R-CRAG
전자전기 {하바 SOJ}
무인기 SUAV 바이락타르 Malazgirt, 바이락타르 미니 UAV, TAI Martı
UAV TAI 바이쿠스, TAI Gözcü, IAI 헤론, TAI IHA-X2, TAI 케클릭, TAI Şimşek, 바이락타르 TB1, TAI Turna, 베스텔 Karayel
UCAV 바이락타르 TB2, 바이락타르 아큰즈, TAI 앙카-S, TAI 악숭구르, {바이락타르 크즐에마}, {앙카-3}
훈련기 프롭 KT-1T, 휴르커스, SF.260D, MFI-395 슈퍼 무샤크, Fw 58R, Go 145R
제트 T-38, NF-5A/B, {휴르제트}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현대 호주 왕립 공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dead,#513100> 호주 왕립 공군 (1945~현재)
Royal Australian Air Force
회전익기 <colbgcolor=#ffdead> 다목적 헬기 AS.350BR, AW139 SAR, 벨 47G-3B-1/G-2/G-2AR, MRH-90 타이판, S-51R, SA.316BR, Sycamore Mk 3/Mk 14R,
공격헬기 AH-1G, 타이거 ARH, {AH-64E}
수송헬기 CH-47CR, UH-1B/D/HR, S-70A-9R
전투기 1세대 미티어 F Mk 3/F Mk 8/NF MK 11/T Mk 7/U Mk 21AR, 뱀파이어 F MK 30/FB Mk 31/T Mk 33/T Mk 34/T Mk 34A/T Mk 35/T Mk 35AR, CA-27 세이버 Mk 30/Mk 31/Mk 32R, 호커 P.1081
2세대 CAC CA-23
3세대 미라주 IIID/O(A)/O(F)R, F-4ER
4세대 / 4.5세대 F/A-18A/BR, F/A-18F, F-111A/C/GR
5세대 F-35A
폭격기 밸리언트 B Mk 1R, 링컨 Mk 30/Mk 30A/GR Mk 31/MR Mk 31R, 캔버라 B Mk 2/Mk 20/Mk 21/T Mk 4R
수송기 C-17A, C-27A, C-47A/B, C-49, C-50, C-53R, C-130A/E/H/J, DHC-2R, DHC-3R, DHC-4R, 노마드 N24A/N.22BR, 바이킹 C Mk 2R, 요크 C Mk 1R, 프레이터 Mk 21R
지원기 조기경보기 E-7A 웨지테일
대잠초계기 P2V-4/5/7R, P-3B/C, AP-3C, TAP-3B, P-8A
정찰기 RF-111CR, MC-55A, 미라주 IIIO(R)R, 리어젯 35R
공중급유기 KC-30A MRTT, 보잉 707-338C/368CR
전자전기 AP-3C, EF-18A
무인기 SUAV {퀀텀 벡터}
UAV A45 IAI 헤론, A92 GAF Jindivik Mk I/Mk 2/Mk 2B/Mk 102/Mk 3/Mk 3A, 캠콥터 S-100, MQ-4C
UCAV {MQ-28}
훈련기 프롭 Anson GR Mk I/Mk XII/Mk XIV/T Mk IR, CA-1/3/5/7/8/9/16 WirrawayR, CA-6 WackettR, CA-25 WinjeelR, CAP 10BR, CT/4A/B/E 에어트레이너R, DA40NG, DH.82A 타이거 모스R, DH.94 모스 마이너R, HS 748 Series 2R, PA-34-220TR, PC-9/A, PC-21, 비치크래프트 B200R/350
제트 MB-326HR, 호크 127
특수목적기 604 봄바디어, 737 보잉 비즈니스 젯, BAC 1-11 217EAR, CV-440R, HS.478 Series 2R, 미스테르/팰콘 20CR, 바이카운트 Model 720/756R, 팰콘 7X, 팰콘 90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大韓民國 國軍 |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colbgcolor=#407FBF> 회전익기 <colbgcolor=#407FBF> '''[[무장헬기|
경헬기
]]'''
{미르온} | Bo 105CBS | 500MD 디펜더 | OH-58B 카이오와 | OH-23G 레이븐
'''
다목적 헬기
'''
KUH-1 수리온 | MUH-1 마린온 | UH-60P 블랙 호크 | HH-60P | HH-32A | 벨 412 | UH-1(B/H) 휴이 | UH-19D 치카소
수송헬기 CH-47(D/NE/{F}) 치누크 | HH-47D
공격헬기 AH-64E 아파치 | AH-1(J/S) 코브라 | {MAH}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AW159 와일드캣 | 슈퍼 링스 Mk.99(A/U) | SA.319B 알루에트 III
'''[[전투기|
전투기
]]'''
프롭 F-51D 머스탱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2세대 전투기|
2세대
]]'''
F-5(A/B) 프리덤 파이터
'''[[3세대 전투기|
3세대
]]'''
KF-5(E/F) 제공호 | F-5(E/F) 타이거 II | F-4(D/E) 팬텀 II
4(.5)세대 {KF-21 보라매} | F-15K 슬램 이글 | KF-16(C/D) 블록 52 → KF-16U 파이팅 팰콘 | F-16(C/D) 블록 32 → 블록 52 PBU | FA-50 파이팅 이글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프리덤 나이트
공격기 KA-1 웅비 | A-37B 드래곤플라이 | AT-33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16(C/D) | RA-50 | RF-5A | RF-4C | RF-86F
전자 팰콘 2000S 백두 2 | RC-800B 백두 | EC-47Q ELINT
ISR RC-800G 금강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N-235(-100M/-220M)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전술 {C-390 밀레니엄} | C-130(H/H-30/J-30) 허큘리스 | MC-130K | C-54E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수상기 KN-1 해취호 | SX-1 서해호 | SX-2 | SX-3 제해호
다목적기 U-9(C/F) | O-2A | O-1(A/E/G)버드 도그 | U-6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37 피스 아이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8K 포세이돈 | P-3(C/CK) 오라이언 | S-2E 트래커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330 시그너스
전자전기 {한국형 SOJ 전자전기}
'''
연락기
'''
L-5 센티넬 | L-4 그래스호퍼 | SX-5 통해호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티로터 | RQ-103K | {WB 워메이트}
클래스 1 - 소형
넵튠 V270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RQ-102K 참매 | RQ-101 송골매 | 헤론 | 서쳐 II | 캠콥터 S-100 | {캠콥터 S-300} | KUS-7 | 솔개
클래스 3 - MALE급
{RQ-105K} | 헤론
클래스 3 - HALE급
RQ-4B 글로벌 호크
'''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105K}
{KUS-X} | {UCCR}
'''[[훈련기|
훈련기
]]'''
프롭 KT-1 웅비 | KT-100 | T-103 | T-41D 메스칼레로 | T-28A 트로젼 | T-6 텍산 | TF-51D | 부활호 | 새매호
제트 T-50 · TA-50 골든이글 | T-59 호크 | T-38 탈론L | T-37C 트윗 | T-33A 슈팅스타
헬기 벨 505
표적예인 CARV-II 캐러밴
가상적기 MQM-107 | MiG-29 | L-2 | J-7 | MiG-19 | Il-28
VIP 탑승기 B747-8B5L | {B737 MAX 8}L | B737-3Z8 | VCN-235 | HS.748 | 보잉 747-4B5L | VC-118 | VC-54 | L-26
VH-60P | VH-92 | AS332 L2 | 벨 412SP | 벨 212 | UH-1(B/H/N) | UH-19D | H-13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현대 독일 연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독일 연방군|
독일 연방군 (1991~현재)
Bundeswehr
]]'''
<colbgcolor=#808080> 회전익기 <colbgcolor=#808080> '''[[무장헬기|
경헬기
]]'''
H145M | H145 LUH | Bo 105(P/M/P1M) | SA.318C 알루에트 II | Mi-2NVA
'''
다목적 헬기
'''
NH90 TTH | NH90 NTH 시 라이온 | 시킹 Mk.41 | UH-1D | Mi-8NVA
수송헬기 {CH-47F SR 블록 2} | CH-53(G/GS/GA/GE)
공격헬기 EC665 타이거 UHT | Mi-24NVA
대잠헬기 {NH90 MRFH 시 타이거} | 링스 Mk.88A | Mi-14NVA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F-4F ICE 팬텀 II | MiG-21(M/MF/SMT/Bis)NVA | MiG-23(S/UB/MF/ML)NVA
4(.5)세대 유로파이터 타이푼 | MiG-29(G/GT)NVA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6세대 전투기|
6세대
]]'''
{FCAS}
공격기 토네이도 IDS | MiG-23BNNVA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4E
전자 {PEGASUS} | Br 1150M 아틀란틱 SIGINT
'''[[수송기|
수송기
]]'''
전술 A400M 아틀라스 | C-130J-30 허큘리스 | C-160 트란잘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NAEW&CF | E-3A 센트리NAEW&CF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8A 포세이돈} | P-3C 오라이언 | Br 1150 아틀란틱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130J | A330 MRTTMMF | A310 MRTT
전자전기 {유로파이터 타이푼 EK} | 토네이도 ECR | HFB 320 ECM
'''
의무후송기
'''
A321-251NX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II AE | EMT 알라딘 | AR 100-B
클래스 1 - 소형
{EMT 루나 NG} | {팔케} | EMT 루나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시 팔콘 | 라인메탈 KZO
클래스 3 - MALE급
헤론 1L
'''[[UCAV|
UCAV
]]'''
클래스 3 - MALE급
헤론 TPL
클래스 3 - HALE급
{유로드론}
'''[[훈련기|
훈련기
]]'''
프롭 그롭 G120TP
제트 T-38(A/C) 탈론 | 알파 제트A | T-37B 트윗
헬기 H145(D2/D3) | EC135T1
VIP 탑승기 ACJ350-941 | ACJ319-133 | 봄바디어 글로벌 5000 · 6000 | AS532 U2 | A340-313X | A310-304 | B707-307C | Tu-154MNVA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윗첨자NVA: 구 국가인민군에서 편입된 기체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현대 네덜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네덜란드군|
네덜란드 왕국군 (1945~현재)
Nederlandse Krijgsmacht
]]'''
<colbgcolor=#FFF> 회전익기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Bo 105(C/CB/DB) | SA.319B 알루에트 III | SA.318 알루에트 II | OH-23(B/C) 레이븐
'''
다목적 헬기
'''
{H225M 카라칼} | AS532 U2 쿠거 Mk.2 | AB 412SP | UH-14A 링스 | AB 204B | S-55
수송헬기 CH-47(D/F) 치누크
공격헬기 AH-64(D → E) 아파치
대잠헬기 NH90 NFH | SH-14(B/C/D) 링스 | AH-12A 와스프 | HSS-1 시배트
'''[[전투기|
전투기
]]'''
프롭 P-51 머스탱 | P-40 워호크 | 스핏파이어 Mk.IX | 시퓨리 (F.50/FB.51/FB.60)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K 세이버 도그 | F-84F 썬더스트릭 | F-84(E/G) 썬더제트 | 미티어 (F.4/F.8) | 시호크 Mk.50
'''[[2세대 전투기|
2세대
]]'''
F-104G 스타파이터 | NF-5(A/B) 프리덤 파이터 | 헌터 (F.4/F.6)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F-16(A/B) 블록 1/5/10/15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TBM-3S2 어벤저
폭격기 B-25J 미첼 | PV-2 하푼
'''[[정찰기|
정찰기
]]'''
전술 리어젯 36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 RT-33A | 파이어플라이 Mk.(1/4/5)
'''[[수송기|
수송기
]]'''
경량 포커 F50 | 포커 F27 | 앤슨 Mk.1 | DH.89B 도미니
전술 {C-390 밀레니엄} | C-130H(-30) 허큘리스 | C-47(A/B) 스카이트레인
수상기 PBM-5A 마리너 | PBY-5A 카탈리나 | 시오터 Mk.2
다목적기 DHC-2 비버 | L-18 · L-21 슈퍼 컵 | 오스터 Mk.3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 TBM-3W2 어벤저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3C 오라이언 | SP-13A 아틀란틱 | P-2(V5/V7) 넵튠 | S-2F-1 트래커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 KDC-10 익스텐더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11 레이븐
클래스 1 - 소형
{하이아이 에어복서} | RQ-27 스캔이글 | 퀀텀 벡터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스켈다르 V-200
'''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9A 리퍼
'''[[훈련기|
훈련기
]]'''
프롭 PC-7 | S.11 인스트럭터 | T-7 · TC-45J 내비게이터 | 하버드 | 옥스포드 I | 파이어플라이 T.1
제트 S.14 마하트레이너 | T-33A 슈팅스타 | TF-104G | 헌터 T.7 | 미티어 (T.6/T.7)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현대 폴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 '''[[폴란드군|
폴란드 공화국군 (1990~현재)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
]]'''
회전익기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SW-4 푸슈치크 | Mi-2(Sz/Ro/US/URN/URP) | Mi-2(D/P/R)
'''
다목적 헬기
'''
S-70i 블랙 호크 | W-3 소쿠우 | AW149 | Mi-17(-1W/AE) | Mi-8(T/PS) | W-3PL 그우셰츠 | W-3(RM → WARM) 아나콘다 | Mi-14PŁ/R
공격헬기 {AH-64E 아파치} | Mi-24(D/W)
대잠헬기 AW101 멀린 모델 614 | SH-2G 슈퍼 시스프라이트 | Mi-14PŁ
'''[[전투기|
전투기
]]'''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21PFMA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MF/MF-75/bis) | MiG-23MF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16(C/D) 블록 52+ "야스트숌프" | MiG-29(A/UB) | {FA-50PL 블록 20}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후사르"}
공격기 FA-50GF | PZL-230(F/D) | Su-22(M4/UM3K) | Su-20
'''[[정찰기|
정찰기
]]'''
전술 PZL M28B 1E 브리자 | Su-20R | MiG-21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 | PZL M28(B/PT/GC) 브리자 | An-26 | An-2(T/TD/W)
전술 C-130(E/H) 허큘리스 | An-12B
다목적기 PZL-104 빌가 35A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PGZ-19R 오를릭} | {ITWL NeoX 2} | ADS 오비터 2 | 스카이라크 | WB 플라이아이 3.0 | FT 워시 5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UCAV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
클래스 3 - MALE급
MQ-9A 리퍼L
'''
지원기
'''
'''[[조기경보기|
조기경보기
]]'''
사브 340 에리아이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ZL M28 1(R/RM) 브리자 bis
'''[[훈련기|
훈련기
]]'''
프롭 PZL-130 오를릭 (TC1/TC2 Adv.) | DA42 트윈스타
제트 M-346 "비엘리크" | PZL TS-11 이스크라 | I-22 이리다 | MiG-23UB | MiG-21(US/UM)
헬기 카브리 G2 | R44
VIP 탑승기 B737-8TV BBJ2 | B737-86X | 걸프스트림 G550 | Tu-134A | Tu-154M | Yak-40K | 벨 412(SP/HP) | W-3WA VIP | Mi-8PS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현대 체코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7cb9e8> '''[[체코군|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
회전익기 <colbgcolor=#7cb9e8> '''
다목적 헬기
'''
UH-1Y 베놈 | W-3A 소쿠우 | Mi-17 · Mi-171Sh | Mi-8P
공격헬기 AH-1Z 바이퍼 | Mi-24(D/V)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MFN) | MiG-23(MF/ML)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JAS 39(C/D) 그리펜L | MiG-29(A/UB)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L-159A ALCA | Su-22M4 | Su-25K | MiG-23BN
'''[[정찰기|
정찰기
]]'''
전술 L-410FG | An-30FG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MW) | L-410UVP(-E) 터보레트 | An-26 | An-24(B/V)
전술 {C-390 밀레니엄} | An-12BP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A/B) 푸마 | RQ-12 와스프 AE | RQ-11B 레이븐 | 스카이라크 I-LEX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소이카 III
'''[[훈련기|
훈련기
]]'''
프롭 Z 43 | Z 142C AF | EV-97 유로스타 | L-200 모라바
제트 {L-39NG} | L-159(T1/T1+/T2) | L-39(C/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 | MiG-23UM | MiG-21UM
헬기 엔스톰 480B-G | Mi-2
VIP 탑승기 ACJ319-115X | 챌린저 CL601-3A | Yak-40K | Tu-154M | Tu-134A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현대 벨기에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벨기에군|
벨기에군 (1945~현재)
Belgische Defensie | La Défense Belge | Belgische Streitkräfte
]]'''
<colbgcolor=#000> 회전익기 <colbgcolor=#000> '''[[무장헬기|
경헬기
]]'''
{H145} | AW109BAi | SA.316B 알루에트 III
'''
다목적 헬기
'''
NH90 TTH | 시킹 Mk.48 | S-58C
대잠헬기 NH90 NFH
'''[[전투기|
전투기
]]'''
프롭 스핏파이어 FR.XIV | 허리케인 Mk.1
'''[[1세대 전투기|
1세대
]]'''
CF-100 Mk.5 카눅 | F-84F 썬더스트릭 | F-84(E/H) 썬더제트 | 미티어 (F.4/F.8/NF.11)
'''[[2세대 전투기|
2세대
]]'''
F-104G 스타파이터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F-16(A/B) 블록 1/5/10/15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미라주 5BA
'''[[정찰기|
정찰기
]]'''
전술 미라주 5BR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수송기|
수송기
]]'''
전술 A400M 아틀라스 | C-130H 허큘리스 | C-54 스카이마스터
다목적기 오스터 AOP.6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 푸마 | RQ-11 레이븐
클래스 1 - 소형
RQ-21 블랙잭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스켈다르 V-200
클래스 3 - MALE급
RQ-5A 헌터
'''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9B 스카이가디언}
'''[[훈련기|
훈련기
]]'''
프롭 SF.260 | T-6 텍산
제트 알파 제트 B1 | CM.170 마지스테르 | TF-104G | 미티어 T.7 | T-33A 슈팅스타
VIP 탑승기 다쏘 팔콘 7X | ERJ-145 | 다쏘 팔콘 20E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현대 캐나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캐나다군|
캐나다군 (1968~현재)
Canadian Armed Forces | Forces armées canadienne
]]'''
<colbgcolor=#da291c> 회전익기 <colbgcolor=#da291c> '''[[무장헬기|
경헬기
]]'''
CH-139 | CH-146
수송헬기 CH-147
대잠헬기 CH-148 사이클론
'''[[전투기|
전투기
]]'''
'''[[2세대 전투기|
2세대
]]'''
CF-104 | CF-100 | CF-101
'''[[3세대 전투기|
3세대
]]'''
CF-5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CF-18(A/B)/CF-188(A/B)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수송기 전략 CC-177
전술 C-130J-30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NAEW&CF | E-3ANAEW&CF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8} | CP-140M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CC-330} | CC-150 폴라리스
'''[[UAV|
무인기
]]'''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CU-176 가고일
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현대 그리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그리스군|
그리스군 (1945~현재)
Ε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
<colbgcolor=#0D5EAF>회전익기 <colbgcolor=#0D5EAF> '''[[무장헬기|
경헬기
]]'''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AB 206B 제트레인저 II | SA.319B 알루에트 III | OH-13(H/S) 수우
'''
다목적 헬기
'''
{UH-60M 블랙 호크} | NH90 TTH GR | UH-1H 휴이 · AB 205A | {AW139} | AS332 (A2/C1) 슈퍼 퓨마 | AW109(E/S) | AB 212 | UH-19(B/D) 치카소
공격헬기 AH-64(A+/D) 아파치
수송헬기 CH-47(C/D/DG/SD) 치누크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S-70B-6 에게안 호크 | AB 212ASW
'''[[전투기|
전투기
]]'''
프롭 스핏파이어 Mk.(Vb/Vc/LF.IXc/HF.IX/XVI) | Bf 109G-6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E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F-84G 썬더제트 | F-84F 썬더스트릭
'''[[2세대 전투기|
2세대
]]'''
F-5(A/B) · N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G 스타파이터 | F-102A 델타 대거
'''[[3세대 전투기|
3세대
]]'''
F-4E 팬텀 II → F-4E AUP PI2000 | 미라주 F1CG
4(.5)세대 라팔(EG/DG) 스탕타르 F3-R | 미라주 2000(EGM/BGM) → 미라주 2000-5 Mk.2 | F-16(C/D) 블록 (30/50/52+/52M) → 72 파이팅 팰콘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A-7(E/H) 콜세어 II | SB2C-5 헬다이버
폭격기 웰링턴 GR.XIII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4E | RF-5A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 RT-33A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7J 스파르탄 | C-47(A/B/D) 스카이트레인 | AS.10 옥스포드 Mk.(I/II) | 웰링턴 C.XIV
전술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B/H) 허큘리스 | N.2501D 노라트라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 Ar 196(A-3/A-5)
다목적기 비치 B360 킹에어 | C-12C 휴론 | U-17(A/B) | 에어로 커맨더 680(F/FL) | Do 28D-2 스카이서번트 | DHC-2 비버 | C-45F 익스퍼다이터 | 오스터 Mk.III | PT-17 · PT-13 카뎃 | 앤슨 Mk.II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99 에리아이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전자전기 C-130H (EW) | AB 212EW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3B 오라이언
'''
의무후송기
'''
비치 B350ER 킹에어
'''
연락기
'''
L-21B · L-18(B/C) 슈퍼 컵 | L-17B 나비온 | L-5(B/C) 센티넬 | Fi 156C-1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II | EMP-X6T | 아틀라스 204 | DJI 매트리스 300RTK
클래스 1 - 소형
{ADS 오비터 3} | {알파 900}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HAI 아르키타스} | E1-79 페가수스(I/II) | SAGEM 스퍼워 B
클래스 3 - MALE급
{사프란 패트롤러} | 헤론 TPL | 헤론L
'''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9B 시 가디언} | {HAI 그리파스}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6A 텍산 II | P2002JF 시에라 | T-41D 메스칼레로 | AT-6A · T-6(D/G) 텍산 | DH.82A 타이거 모스 II
제트 M-346B 마스터 | T-2(C/E) 벅아이 | TA-7(C/H) | TF-104G | TF-102A | T-37(B/C) 트윗 | T-33A 슈팅스타 | AT-33AN 실버스타 Mk.3
헬기 슈바이처 NH300C | 벨 47(G-3/G-5/J-2)
VIP 탑승기 ERJ-135 레거시 600 | 다쏘 팰컨 7X | 걸프스트림 G500 | AB 212VIP | G-159 걸프스트림 I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현대 헝가리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헝가리군|
헝가리 방위군 (1989~현재)
Magyar Honvédség
]]'''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H145M | AS350 B2 에큐워이 | Ka-26 | Mi-2 | Mi-1
'''
다목적 헬기
'''
H225M 카라칼 | Mi-17(N/PP) | Mi-8(P/S/T/TS) | Mi-4A
공격헬기 Mi-24(D/V/P)
<colbgcolor=#FFF> '''[[전투기|
전투기
]]'''
<colbgcolor=#FFF> '''[[1세대 전투기|
1세대
]]'''
MiG-15bis | MiG-17(A/AS/P/F/PF/PFU)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P/PM) | MiG-21(F-13/PF)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bis) | MiG-23(MF/MS)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JAS 39(C/D) 그리펜L | MiG-29(B/UB)
공격기 Su-22M3 | Il-10 · 아비아 B.33
폭격기 Il-28 | Tu-2S
'''[[정찰기|
정찰기
]]'''
전술 An-30 | MiG-17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An-26B | An-24V | An-2 | Il-14 | Li-2T
전술 C-390 밀레니엄 | A319-112
전략 C-17A 글로브마스터 IIISAC
다목적기 Yak-12
'''[[지원기|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스카이라크 (1/I-LEX)
클래스 1 - 소형
스카이라크 3
'''[[훈련기|
훈련기
]]'''
프롭 Z 242L | Z 143LSi | Yak-52 | Yak-18 | Yak-11 | 레트 C-11
제트 {L-39NG} | L-39ZO 알바트로스 | L-29 델핀 | Su-22UM3 | MiG-23UB | MiG-21(U/UM) | MiG-15UTI
VIP 탑승기 다쏘 팔콘 7X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SAC: NATO SAC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탈리아군|
이탈리아군
Forze Armate Italiane | Italian Armed Forces
]]'''
<colbgcolor=#198019> 회전익기 <colbgcolor=#198019> '''[[무장헬기|
경헬기
]]'''
TH-500B | OH-13H
'''
다목적 헬기
'''
{AW169} | HH-101A | AW109A/E/Mk.II | HH-139A/B | NH 500E | 벨 205 | 벨 206 | 벨 212 | 벨 412SP/HP | AB.47 G2 | A.105 | H-19A/D | H-34 | S-51
수송헬기 ICH-47F | CH-47C | NH90 TTH | A.101G | VH-3D | S-61R
공격헬기 {AW249} | A129 CBT
대잠헬기 벨 212 ASW | NH90 NFH
'''[[전투기|
전투기
]]'''
'''[[1세대 전투기|
1세대
]]'''
CL13 세이버 Mk.4 | F-84F/G | F-86K | G.91R/PAN/Y |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FB.5/FB.52/FB.52A/NF.10 | 드 해빌랜드 베놈 FB.50
'''[[2세대 전투기|
2세대
]]'''
F-104G/S/S-ASA/S-ASA/M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2000A | A-200A | F-16A/BL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 F-35B
'''[[6세대 전투기|
6세대
]]'''
{GCAP}
공격기 A-11B | AV-8B+
정찰기 전술 RT-33A | RF-104G | U-166B
'''[[수송기|
수송기
]]'''
C-27J | C-130H/J/J-30 | Do 228 | 피아지오 P.180 | 팰컨 50 | 팰컨 900 | 아에리탈리아 G.222 A/RM/SAA/TCM | 브레다-피토니 BP.471 | 브레다-자파타 BZ.308 | CV-440-75/96 | C-119J/G | DC-6 | G.212 | SM.102 | 포커 F27-600L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 P.136
다목적기 알라파마 발도 | 암브로시니 S.1001 | H-395 | LA-250 | MB.308 | U-166A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550A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72AS | P-1150A | S2F-1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767A | KC-130J | KC-707
전자전기 {EA-37B} | EA-200B | YEC-27J | 아에리탈리아 G.222 VS | PD-808GE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RQ-7 | S-100
클래스 3 - MALE급
P.1HH 해머헤드
'''[[UCAV|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9A | MQ-1C
클래스 3 - HALE급
{유로드론}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260A/B | T-2006A | 암브로시니 S.7 | 카프로니 트렌토 F-5 | G.46 | G.59 | G.80 | G.82 | M.416 | MB.323 | P.148 | P.149 | 템코 T-35
제트 T-346 | T-345 | A-11T | MB-339A/CD/RM/PAN | 피아지오 P.180 | TF-2000A | EA-200A | TF-104G | T-33A
VIP 탑승기 VC-319AJ | CL-215-1A-10 | CV-440-75 | 걸프스트림 III | DC-9-30 | VC-180A | PD-808VIP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카라비니에리),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현대 스페인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스페인군 (1945 ~ 현재)
Las Fuerzas Armadas Españolas
회전익기 경헬기 <colbgcolor=#fefefe,#393b42>Z.2R | XZ.3R | XZ.4R | Z.5R | Z.6R | Z.7(A/B)R | HD.11R | HE.20R | HE.25
정찰헬기 HR.12R | HR/HRA-15R
다목적 헬기 Z.1(A/B/C)R | HU.8R | HU.10R | HD/HE-16R | HU.18 | HU.21 | HU.22 | HE.24 | HE/HU.26 | HU.27 | HU.30
<colcolor=#373a3c> 수송헬기 HT.17 | HT/HD-19R | HD/HT.21 | HT.27 | HT.29
공격헬기 HA.14R | HA.15R | HA.16R | HA.28 티그레
대잠헬기 HS.9R | HS.13R | HS.23
전투기 프롭 C.1R | C.2R | C.3R | C.4(E/J)R | C.6 (1939)R | C.6 (1954)R | C.7R | C.8 (1939)R | C.9 (1939)R | C.11 (1938)R
1세대 C.5 (1955)R
2세대 C.8 (1965)R
3세대 A.9R | C.11R | C.12R | C.14(B)R
4세대 / 4.5세대 C.15 | C.16(M) 타이푼
6세대 {FCAS}
폭격기 BV.1R | B.2R | B.3R | B.4R | B.5R | B.6R | B.7R
공격기 A.1R | A.2R | A.3R | A.4R | A.10(B/C) 사에타R | VA.1 마타도어R | VA.1(A/B)
정찰기 프롭 TR.12A | TR.19
제트 TR.20 | AR.9 | CR.12
수송기 T.1R | T.2R | T.3R | T.4(I/II/III)R | T.5R | T.6R | T.7R | T.8R | T.9(I/II)R | T/TL.10 | TM.11 | T.12(B/C/D) | T.15R | T.16R | T/TK/TM.17R | T.18 | T/TM.19 | | TM.20 | T.21 | T.22 | T/TK.23 | T/TK.24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 {E-7}NAEW&CF
대잠초계기 P.3(M)R | {C-295 MPA/ASW}
공중급유기 TK.10 | {A330 MRTT}
의무후송기 D.2 | D.3A | D.4
전자전기
무인기 UR.01 | NR.03 | NR.04 | NR.05 | {SIRTAP} | {유로드론}
훈련기 프롭 EE.1(I, II)R | EE.2R | EE.3R | EE.4R | EE.5R | E.6(I, II)R | E.16R | E.17R | XE.18R | E.18R | E.19R | E.20 | E.21 | E.22 | E.23 | E.24 | E.26 | E.27 | E.30 | E.31 | TE.12B
제트 VAE.1 | VAE.1B | CE.8R | AE.9 | XE.12R | E.14(B)R | CE.11R | CE.14R | CE.15(M) | E.15R | E-25 미를로
수상기 HR.1R | HR.2R | HR.3R | HR.4R | HR.5R | HR.6R | HR.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현대 포르투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포르투갈군|
포르투갈군 (1945~현재)
Forças Armadas de Portugal
]]'''
<colbgcolor=#006600> 회전익기 <colbgcolor=#006600> '''[[무장헬기|
경헬기
]]'''
AW119Kx | SA.319 알루에트 III | SE.3130 알루에트 II
'''
다목적 헬기
'''
AW101 멀린 모델 514 · 516 | SA.330(C/S1) 퓨마 | UH-19A 치카소
대잠헬기 슈퍼 링스 Mk.95A
소방헬기 {UH-60A 블랙 호크} | Ka-32A11BC
전투기 프롭 P-47D 썬더볼트 | 스핏파이어 Mk.Vb | 허리케인 II(B/C)
'''[[1세대 전투기|
1세대
]]'''
피아트 G.91(R/3 · R/4) | F-86F 세이버 | F-84G 썬더제트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F-16(A/B) 블록 15 OCU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
공격기 A-7P 콜세어 II | A-26(B/C) 인베이더 | SB2C-5 헬다이버
폭격기 PV-2(C/D) 하푼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T-33A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 | C-212-100 | C-47 스카이트레인 | DH.89A 드래곤 래피드 | C-45 익스퍼다이터 | AS.10 옥스포드 (I/II) | Ju 52/3mg3e | Ju 86
전술 C-390 밀레니엄 | C-130(H/H-30) 허큘리스 | DC-6(A/B) | N.2501D · N.2502 노라트라 | C-54 스카이마스터
수상기 {CL-515} | HU-16A 알바트로스 | G-44 위전 | G-21 구스
다목적기 PA-32 체로키 식스 | 세스나 182C · 185A · 206 · 310B · 401B | Do 27(A-1/A-3/A-4/B-1) | 오스터 D.5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C-295 MPA 퍼슈에이더 | P-3(P/C CUP) 오라이언 | P-2E 넵튠
'''
탐색구조기
'''
HC-54 서치마스터 | SB-17G 플라잉 포트리스
'''
연락기
'''
FTB-337G 밀리롤 | MH.1521C 브루사드 | L-18 · L-21B 슈퍼 컵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RQ-11B 레이븐 | 패럿 아나피 | 센스플라이 eBee X | DJI 매빅 | 오텔 EVO II
클래스 1 - 초소형
BAE 실버폭스 | ANTEX-M | UX-스파이로 | 비욘드 비전 VTOne · HEIFU | 테크에버 AR4 | 님버스 1800 | DJI 매트리스 300 RTK | 오텔 드래곤플라이
클래스 1 - 소형
오가사 OGS42 | 테크에버 AR3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B 30 엡실론 | DHC-1 칩멍크 라이코밍 | AT-11 캔전 | T-6G · AT-6(A/B/C/G) 텍산 | 하버드 Mk.(IIA/III/IV) | SNJ-4/R | 앤슨 T.1M.27 마스터 III | M.19 마스터 II | M.14 매지스터 | 핀치 모델 10G | DH.82(A) 타이거 모스
제트 알파 제트 A | TA-7(C/P) | T-38A 탈론 | G.91T/3 | T-37C 트윗 | T-33A 슈팅스타 | 뱀파이어 T.55
표적예인 마티넷 TT.1
가상적기 MQM-170 아웃로
VIP 탑승기 다쏘 팰컨 900 | 다쏘 펠컨 50 | 다쏘 펠컨 20DC | B707-3F5C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루마니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루마니아군|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
<colbgcolor=#002B7F> 회전익기 <colbgcolor=#002B7F> '''[[무장헬기|
경헬기
]]'''
IAR 316B | IAR 317 | SA.318 알루에트 II | SM-2 | SM-1
'''
다목적 헬기
'''
{UH-1Y 베놈} | IAR 330(H/L/M) 퓨마 | Mi-17 | Mi-8(T/PS) | Mi-4
공격헬기 {AH-1Z 바이퍼} | IAR 330L SOCAT
대잠헬기 {H215M 쿠거} | IAR 330 나발
'''[[전투기|
전투기
]]'''
프롭 La-9
'''[[1세대 전투기|
1세대
]]'''
Yak-17 | Yak-23 | MiG-15bis | MiG-17(F/PF)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P/PM) | MiG-21(F/RFM/RFMM)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 LanceR (A/C) | MiG-21(M/MF/MF-75) | MiG-23MF
4(.5)세대 F-16(AM/BM) 블록 15/20 MLU 파이팅 팰콘 | MiG-29(A/S/UB) | MiG-29 SnipeR | IAR 95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IAR 93(A/MB/B/DC) 불투르 | Il-10
폭격기 Il-28 · H-5 | Tu-2
'''[[정찰기|
정찰기
]]'''
전술 An-30 | MiG-21C | H-5R | Fw 189 | Fi 156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7J 스파르탄 | An-26A | An-24RT | An-2(T/TD) | Il-14 | Li-2T | Ju 86
전술 C-130(B/H) 허큘리스
수상기 He 114
다목적기 BN-2A 아일랜더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
연락기
'''
IAR 814 | Ae-45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피닉스 30 | DJI 팬텀 | CFly 페이스 2
클래스 1 - 초소형
{퀀텀 벡터} | RQ-11 레이븐 | DJI 매트리스 300RTK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워치키퍼 X} | RQ-7 섀도우 600 | Tu-143 · VR-3
'''
UCAV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 SİHA}
'''[[훈련기|
훈련기
]]'''
프롭 Iak-52(W/TW) | IAR 825 | IAR 823 | IAR 813 | IAR 811 | Yak-18 | Yak-11 | La-9UTI | Yak UT-2 | Z 181 | Po-2 | Kl 35 | Fw 58 | Go 145
제트 IAR 99(C/SM) 쇼임 | MiG-21 LanceR B | L-39ZA 알바트로스 | MiG-23UB | MiG-21(U/US/UM) | L-29 델핀 | HJ-5 | MiG-15UTI
VIP 탑승기 Mi-17-1VA | B707-3K1C | BAe 146-200 | Il-62M | BAC 1-11 | Il-18D | AS365 C 도팽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png 현대 덴마크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a40000> 덴마크군 (1945~현재)
Forsvaret
회전익기 <colbgcolor=#a40000> 경헬기 AS550C2 페넥육→공 | OH-6 카유스육→공R | SA.319 알루에트 III해R | 벨 47D · AB 47G육R
다목적 헬기 AW101 멀린 Model 512 (SAR/TTT) | S-61A-(1/5) 시킹R | S-55C 치카소R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슈퍼 링스 Mk.90B해→공 | 링스 Mk.80해R
전투기 프롭 스핏파이어 HF.IXeR
1세대 F-84(E/G) 썬더제트R | F-86D 세이버 도그R | F-100(D/F) 슈퍼 세이버R | 헌터 F.51R | 미티어 (F.4/F.8/NF.11)R
2세대 F-104G · CF-104G 스타파이터R | F 35 드라켄 (WDNS)R · F 35FD 드라켄
4(.5)세대 F-16(A/B)R Block 1/5/10/15F-16(AM/BM) Block 20 MLU 파이팅 팰콘
5세대 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 B-17G 플라잉 포트리스R
정찰기 전술 RF 35 드라켄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수송기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H 허큘리스R | C-54(D/G)R | 펨브로크 C.52R | C-47AR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 {E-7}NAEW&CF
해상초계기 챌린저 604
연락기 L-4 그래스호퍼육R | 시 오터R | 프락터 Mk.IIIR
비행정 PBV-1A 칸소-A · PBY-(5A/6A) 카탈리나R
다목적기 KZ X육R | KZ VII 레르케R | KZ IIIR
무인기 SUAV RQ-20 푸마 | RQ-11 레이븐
UAV SAGEM 스퍼워육→공
훈련기 프롭 벨리스 일렉트로 | T-17 서포터 | DHC-1 칩멍크 Mk.20R | AT-16 하버드 IIBR | AS.10 옥스포드R | KZ IIR
제트 TF 35 드라켄R | TF-104G · CF-104D 스타파이터R | 헌터 (T.7/T.53)R | TF-100F 슈퍼 세이버R | 미티어 T.7R | T-33A 슈팅스타R
표적예인 미티어 TT.20R | 파이어플라이 TT.1R
VIP 탑승기 챌린저 604 | 걸프스트림 III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현대 노르웨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BA0C2F> 회전익기 <colbgcolor=#BA0C2F> '''[[무장헬기|
경헬기
]]'''
H-13(D-1/G-3) 수우 · AB 47(J/J-2)R
'''
다목적 헬기
'''
AW101 멀린 모델 612 | 벨 412(HP/SP) | 시킹 Mk.43(A/B)R | 링스 Mk.86R | UH-1B 이로쿼이R | UH-19D 치카소R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NH90 NFHR
'''[[전투기|
전투기
]]'''
프롭 스핏파이어 LF.IXeR
'''[[1세대 전투기|
1세대
]]'''
뱀파이어 (F.3/FB.52)R | F-86F 세이버R · F-86K 세이버 도그R | F-84(E/G) 썬더제트R · F-84F 썬더스트릭R
'''[[2세대 전투기|
2세대
]]'''
CF-104 · F-104G 스타파이터R | F-5(A/B) 프리덤 파이터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F-16(A/B)R 블록 1/5/15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R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 B-17G-BO 플라잉 포트리스R | 모스키토 FB.6R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5A (G)R | RF-104G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 Fi 156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옥스포드 (I/II)R | Ju 52/3mR | C-60A 로드스타R
전술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E/H) 허큘리스R | C-53D 스카이트루퍼R | C-47A 스카이트레인R | C-119G 플라잉 박스카R
수상기 HU-16B 알바트로스R | 선덜랜드 Mk.VR | 카탈리나 (IB/IVA/IVB) · PBY-5AR
다목적기 DHC-6 트윈 오터R | DHC-3 오터R | C-64 노스만 Mk.(IV/VI)R | 앤슨 Mk.I | N-3PB 노매드R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8A 포세이돈 | P-3(B/C/N) 오라이언R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전자전기 다쏘 팔콘 20ECMR
'''
연락기
'''
L-19A 버드 도그R | L-18C 슈퍼 컵R | Fi 156R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인다고 3 | PD-100 블랙 호넷 나노
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AE | RQ-12A 와스프 III 블록 IV | RQ-11 레이븐
'''[[훈련기|
훈련기
]]'''
프롭 MFI-15 사파리 | 사브 91(B/B-2) 사피르R | PT-26R | PT-19R | 하버드 (II/IIb) · SNJ-3/4R | 모스키토 T.3R | Fw 58R
제트 CF-104D · TF-104GR | T-33A 슈팅스타R | 뱀파이어 T.55R
VIP 탑승기 다쏘 팔콘 20C-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초기에는 737 AEW&C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첫 도입국인 호주와 이후 도입한 NATO 회원국 측에서 E-7 이라고 부르자 보잉도 공식 명칭을 E-7로 사용하게 되었다.[참고] 1호기는 완제품으로, 2~4호기는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에서 상용 항공기를 보잉으로부터 인도받아 개조, 공군에 인도했다.[참고] [참고] [5] 물론 적용된 옵션등의 사양이 공개되지 않은 만큼 추가된 기능들 때문에 증가한 가격일수 있다.[6] 호주의 피스아이는 E-X 사업 당시 마케팅 차 한국에 잠시 들르기도 했다.[7] Beyond The Horizon, 의역하면 초수평선 탐지[8] E-3A 기준이긴 하나 Block 45등의 후기형에서도 레이더 감도 개선으로 인한 저 RCS 표적 탐지성능 개선정도를 제외하면 레이더 탐지거리 자체는 큰 변화가 없었고 E-767도 개조 자체는 E-3의 개선과 동일했기 때문에 차이가 없다.[9] Pulse Doppler Non-Elevation Scan[10] Pulse Doppler Elevation Scan[11] Sector Emphasis, 집중조사[12] 세부 모델은 E-737이 보잉 737-700, P-8이 보잉 737-800 기반으로 다르긴 하나, 700/800 둘 다 보잉 737 NG에 속한 제품군이라 상호 호환성이 높다.[13] 한국은 아시아나항공에어부산, 에어서울, 하이에어,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항공을 제외한 전 항공사가 보잉 737 NG를 보유하고 있다.[14] 항공자위대의 경우 보유한 기종인 E-767과 KC-767의 플랫폼이 보잉 767로 같고, 일본항공이나 전일본공수도 보잉 767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정비상 이점을 누리고 있는데 한국 공군도 이러한 장점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15] 한국 2기, 영국 3기는 도입의사뿐 아직까지는 실기체 인수가 되지 않았다.[16] 에어버스가 현재 E-3를 대체하기 위한 목표를 가진 조기경보기 개발 계획을 내놓긴 했지만 2030년대 실전배치가 목표라 당분간 서방권 내에서 경쟁 상대는 비즈니스젯 기반의 사브 글로벌아이뿐이다.[17] 대장 진급 직전에 주한미군 부사령관 겸 제7공군(주한미공군) 사령관을 지냈다. 더군다나 태평양 공군의 관할 지역 공군 중 737 AEW&C을 사용하는 국가가 두 곳이나 있다.[18] 이는 웬만한 이변이 있지 않는 이상, 한국군이 기존 운용 중인 군용 기체와의 호환성 문제(E-737, P-8)를 들어 E-7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19] 이조차도 사업 타당성 및 관련 예산 통과와는 별개다.[20] 사실 이미 수년 전 사브사 등에서 기술제휴를 해줄테니 한국형 조기경보기 사업을 제안이 된 적이 있었으나 견적을 내보니 사업타당성이 떨어져서 무산된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