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2:34:09

톰 소여의 모험

톰 소여에서 넘어옴
톰 소여의 모험
The Adventures of Tom Sawyer
파일:71l6aEDzaFS.jpg
<colbgcolor=#218e21><colcolor=#f7eb7b> 형식 소설
장르 모험
국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작가 마크 트웨인
출판 연도 1876년

1. 개요2. 특징3. 작가의 서문4. 줄거리5. 등장인물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6.1.1. 한국 방영
6.2. 주제가
6.2.1. 일본판6.2.2. 한국판
6.3. 회차 목록
7. 기타

[clearfix]

1. 개요

마크 트웨인이 1876년에 발표한 소설.

2. 특징

후속작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과 더불어 미국 문학의 대표작에서 빠지지 않는 소설이다. 트웨인의 자서전에 따르면 이 책의 집필을 2년간 중단한 적이 있다고 한다. 작가는 이 책이 자신이 최초로 타자기[1]를 이용해 쓴 책이라고 밝혔지만 빌 브라이슨은 최초로 타자기를 이용한 책은 마크 트웨인의 《미시시피 이야기》라고 주장했다.

톰 소여가 소년이라 종종 동화나 아동물로 출간되지만, 본래는 성인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집필한 작품이라고 한다. 부모님이 읽는 톰 소여의 모험을 몰래 읽은 (청)소년 독자들의 성원에 힘입어 명작, 고전이 된 사례라고. 1800년대 미국 미시시피강 변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이들의 눈으로 위선적인 어른들을 조롱하고 있으며 보다 보면 꽤나 어두운, 사회 고발성 성격이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 논란에 대해 좀 더 부연하자면, 작가 마크 트웨인이 인종 차별이나 제국주의를 공개적으로 강경하게 반대하고 비판한 미국의 대표적 양심적 작가 중 하나라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다만, 사회 전반에서 인종 차별주의나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반대하는 것이 당연시되고 정치적 올바름 때문에 인종 차별적인 '표현'에 대한 도덕적 기준선이 교조적일 정도로 엄격해진 20세기 중반 이후의 기준으로 보면 마크 트웨인이 사용한 일부 표현에 '인종 차별적인 요소가 있다'는 비판을 받게 된 것. 말하자면 마크 트웨인이 활동하던 당시에는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사람이라도 별생각 없이 사용하던 표현들이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그런 표현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마크 트웨인의 시대에는 '게으르고 무지하지만 천진난만한 흑인'[2]이라거나 '무책임하고 도덕률에 무관심한 인디언' 같은 아키타입들이 현대의 "딸바보 등장인물"나 "보이 미트 걸" 같은 단순하고 또 빈번한 문학적 아키타입으로 받아들여졌고, 따라서 마크 트웨인과 같이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작가도 이런 아키타입을 사용하는 데 별 거리낌이 없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정치적 올바름에 의해 이런 아키타입 자체가 백인 중심주의적인 사고방식에 의해 구축된 것이라는 비판을 받게 되면서 이 아키타입을 사용한 마크 트웨인의 작품 역시 인종 차별적 요소를 가진 것이 아니냐는 논란[3]을 만들어낸 것이다. 결국, (조금 아래에 나올 담배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마크 트웨인의 시대와 현대 사이의 시대적 차이를 통해 이해되어야 할 문제인 것.

마크 트웨인뿐 아니라 흑인 시인으로서 흑인 인권 운동에 앞장서 '할렘의 셰익스피어이자 블랙 아메리칸의 계관 시인'이라는 찬사를 들은 랭스턴 휴즈의 소설 주인공 '미스터 심플'이나 노예제의 부도덕함을 고발하여 남북 전쟁의 기폭제가 되었다고까지 평가받는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 역시 정치적 올바름의 대두 이후 이와 비슷한 비판을 받은 적이 있다는 점 역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 랭스턴 휴즈는 흑인인데 저딴 소리를 듣는다. 작가 역시 자신이 속한 시대의 특성과 한계에 속한 것이 당연한 인물이므로, 작품을 읽을 땐 그걸 감안하는 게 당연한 것이다. 이런 맥락을 무시하고 이 논쟁을 '마크 트웨인도 어쨌건 백인이다, 어쨌든 저런 표현을 썼으니 인종 차별주의자 아니냐'는 논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그냥 작가와 작품, 그 시대에 대해 별 관심이 없다는 이야기일 뿐이다. 작가 본인보다는 그 당시 사회를 비판하는 식으로 보는 것이 더 바람직할 듯. 거기다 이 작품에선 그저 '게으르고 무지하지만 천진난만한 흑인'으로만 나온 노예 짐은 후속편 허클베리 핀에서 자유를 갈망하는 흑인으로 재등장하며 비중도 서브 주인공 격으로 승격됐다. 허클베리 핀의 모험에선 노예제를 부정적으로 묘사하며, 그런 노예제를 옹호한 남부인들을 비판하고, 그러한 사회에서 짐 같은 흑인들이 어떠한 고통을 받았는지도 어느 정도 묘사되어 있으니, 반드시 현대 기준에서 나쁘게 묘사했다고 보기도 어렵다.

참고로 톰 소여, 허클베리 핀, 톰의 여자친구 베키, 세인트피터즈버그 마을 모두 실제 인물과 지역을 모델로 했다.

미국에서는 너무 어둡고 아이들 정서에 나쁘다고 여러 교회나 몇몇 주에서 판매 금지 및 도서관 비치를 금지당한 적도 있으며 아직까지도 미국의 몇몇 종교 단체에서 톰 소여의 작중 행동을 지적하며 문제가 있는 소설로 아이들이 보면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을 정도다. 완전히 틀리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 내용 중 톰이 멋져 보이기 위해서 담배(!)를 배우고 그것을 급우들 앞에서 당당히 피우는 장면이 있다. 기타 톰이 저지르는 다른 말썽들도 현대에 보면 범죄급인 것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소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런 얽매임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우선 위에서 예로 든 담배 건은 시대적으로 담배가 지금만큼 문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해야 된다.[4] 그리고 애초에 담배는 건강에 해로워서 특히나 청소년들에게 권할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흡연 자체가 범죄이거나 비도덕적인 것은 결코 아니다. 그리고 사실 이 작품은 위의 같은 지적을 하는 사회나 문명에서 벗어난 자유로움을 추구한다. 작중에서 그려지는 톰과 헉의 모습은 이런 측면에서 규율이나 관습으로 규정지을 수 없음이 최소한 작가의 의도일 것이다. 사실 한국에도 수박이나 참외 서리 등을 하고 고발만 안 당한 수많은 범죄자가 묻혀있다

1989년에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게임이 패미컴으로 2편 발매되었다. 세타에서 제작한 '톰 소여의 모험'과 스퀘어에서 발매한 '스퀘어의 톰 소여'. 세타의 게임은 슈팅형의 액션 게임인데, 구린 조작감과 원작과 전혀 상관없는 스토리 등 훌륭한 쓰레기 게임이다.

한국에도 세계 명작으로 취급, 꽤 많은 판본이 나와 있다. 1부만 번역하고 나머지는 무시하는 다른 세계 명작과는 달리 후속작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까지 번역해서 출간하는 경우가 많다.

종종 '톰 소의 모험'으로 잘못 쓰는데 톰 소의 모험이다. 애초에 톰 소여는 소년이다

3. 작가의 서문

이 책에 쓰인 대부분의 모험은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한두 가지는 내가 직접 겪었던 것이고 나머지는 내 학교 동창들이 겪은 것이다. 허클베리 핀과 톰 소여는 모두 살아있는 사람을 바탕으로 구상했다. 톰의 경우에는 내가 알고 있는 세 명의 소년들을 바탕으로 인물의 성격을 구성했다. 그러니까 결국 여러 인물들을 조합하여 넣은 허구의 인물이다. 이야기 속에 나오는 이상한 미신들은 모두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시기에(그러니까 3~40년 전쯤) 서부의 아이들과 노예들 사이에서 널리 떠돌던 것들이다. 비록 이 책이 주로 소년 소녀를 위해 쓰인 것이기는 하지만, 나는 성인 남녀도 즐길 수 있도록 노력했다. 나는 그들 자신이 어린 시절 간간이 겪었던 이상한 일들을 즐거이 떠올리며, 그때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생각했으며 무슨 이야기들을 했는지 돌아보기를 희망한다. 1876년 하트퍼드에서, 저자.

4. 줄거리

미시시피강 변의 가상의 마을 세인트피터즈버그[5]에 살고 있는 개구쟁이 소년 톰 소여는 마을의 대표적인 악동.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셔서 폴리 이모의 집에서 폴리 이모랑 같이 살고 있으며 친구로는 옆집 소녀 베키와 죽마고우인 떠돌이 소년 허클베리 핀이 있다. 장난꾸러기 톰은 학교에서나 동네에서나 알아주는 마을 제일의 말썽꾸러기로 항상 폴리 이모의 야단을 맞고 산다.[6] 하루는 폴리 이모로부터 담벼락에 페인트칠을 하게 되는 벌을 받았는데 페인트칠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친구들마다 페인트칠은 재밌는 거라고 속여 한 번만 칠하게 해 달라는 친구들의 부탁을 들어주는 대가로 먹을 것, 장난감 등을 상납받고 자신은 노는 잔머리를 굴리기도 한다.

어느 날 밤, 허클베리 핀과 함께 공동묘지에 갔다가 우연히 살인 현장을 목격한다.[7][8] 살인범 인디언 조[9]는 머프 포터 영감에게 누명을 씌우나 톰과 허클베리는 인디언 조의 보복이 두려워 그 사실을 비밀로 간직하기로 맹세한다.[10] 양심의 가책을 느끼던 톰은 머프 포터의 재판에서 인디언 조의 범행을 밝히지만 인디언 조는 도망가 버리고[11], 톰은 조의 보복을 두려워한다. 그 후 허클베리와 함께 보물 찾기에 나선 톰은 복수를 하기 위해 마을로 돌아온 인디언 조와 그의 보물에 대해 알게 되고,[12] 그러던 중 톰은 짝사랑하는 여자아이 베키와 함께 맥두걸 동굴로 놀러갔다가 길을 잃고 마는데 동굴 안에서 이리저리 방황하던 톰은 동굴 속 깊숙한 곳에서 돌아다니는 조를 발견하고 몸을 숨긴다. 조를 피해 몰래 베키와 동굴을 빠져나온 톰은 조가 동굴에 있다는 사실을 알리지 않는다. 톰은 마을 사람들에게 베키를 동굴에서 구해 왔다는 칭찬을 듣고 동굴은 마을 사람들에 의해 폐쇄되어,[13][14] 조는 폐쇄된 동굴 입구에서 시체로 발견된다. 발견 당시 동굴의 철문에 얼굴을 바싹 대고 아사한 상태였으며 주변에는 두 동강 난 칼과 박쥐의 발톱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박쥐를 잡아먹다 양초까지 먹어치우지만 끝내 굶어 죽은 것. 시체는 동굴 입구 가까운 곳에 묻어 주었다. 톰은 헉과 같이 동굴의 봉쇄되지 않은 다른 출입구로[15] 들어가서 조가 숨긴 보물을 찾아내고 마을로 돌아와서 보물을 찾아냄과 헉과 반씩 나눈다는 사실을 선언한다.[16]

흑인 탈출 노예와 함께 마을을 떠나게 된 허클베리 핀에게 모아둔 돈을 전달하며 작별을 하는 장면이 마지막을 장식하고 내용은 허클베리 핀의 모험으로 이어진다.

물론 톰 소여가 돈을 헉에게 다 준 것은 아니다. 톰 소여의 몫은 폴리 이모가 법정 대리인으로 관리하며 톰 소여에게 용돈으로 1주일에 1달러씩을 주는 것으로 결정된다. 작은 돈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당시의 미국 물가를 고려하면 1달러는 천 원 정도가 아니라 지금 한국 돈의 가치로 약 5만 원 정도 되는 큰 돈이다.[17] 헉의 몫은 베키의 아버지인 대처 판사가 관리하게 되었고 마찬가지로 성년이 될 때까지는 1달러씩만 용돈으로 받게 된다. 헉에게 친권자가 없는 건 아니지만 헉의 아버지는 주정뱅이인 데다 한군데에 머물러 있는 사람도 아니므로 대처 판사가 관리하게 된 것. 후속작 허클베리 핀의 모험에서 그 돈의 존재를 알게 된 아버지가 그동안 헉이 받은 용돈을 계속 빼앗고(물론 헉으로부터 뺏은 거다.) 몇 번 대처 판사를 찾아가 나머지 돈 전부를 내놓으라고 했지만 당연히 뜻대로 되지는 않았다. 애시당초 법을 잘 아는 대처 판사를 당해낼 수는 없었기 때문.[18] 사실 헉은 1달러에 자기 재산을 전부 대처 판사에게 계약서까지 쓰면서 팔아넘겼고(팔았던 1달러과 그동안의 용돈은 아버지에게 넘겼다.) 헉의 아버지가 올 때마다 이 계약서를 내밀어서 쫒아냈다.[19]

5. 등장인물

6. 미디어 믹스

무성 영화 시대부터 많이 영화, 드라마화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두 번에 걸쳐 TV 시리즈 애니로 제작되었다.


캐나다의 록밴드 러시의 대표곡 중 Tom Sawyer라는 곡이 있다. Moving Pictures에 수록된 곡으로, 밴드를 상징하는 것을 넘어서 캐나다 대중 음악을 상징하는 노래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캐나다의 진짜 국가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현재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은 무려 1917년에 개봉한 "톰 소여(Tom Sawyer)"이며, 최초의 컬러 필름은 1938년 작 "톰 소여의 모험(The Adventures of Tom Sawyer)"이다. (본작은 좋은 평을 들었지만 흥행에선 적자가 났다) 이처럼 영화화는 많이 되었지만 주로 TV 에피소드나 TV용 영화로 제작되거나 다른 영화에서 톰 소여의 캐릭터가 나오는 등, 할리우드 영화로는 그리 성공적이진 못했다. 가장 최근에 제작된 것은 2014년에 제작된 저예산 영화 "톰 소여와 허클베리 핀(Tom Sawyer & Huckleberry Finn)"으로 이는 극소수의 극장에서만 개봉한 후 곧바로 DVD 출시 된 영화였으며 2015년에 개봉한 인디 영화 "Band of Robbers"는 박스 오피스 수익 2만 달러를 기록했다.

월트 디즈니 픽처스에서 제작한 95년 개봉 "톰과 헉(Tom and Huck)"이 그나마 메이저 영화사가 제작한 마지막 작품인데[43] 라이온 킹에서 어린 심바 역을 맡은 아역 배우 조너선 테일러 토머스가 톰 역할을 맡았으며, 2천393만 달러로 디즈니 저예산 아동용 영화치곤 나쁘지 않은 수익을 기록했다. 다만 로튼 토마토 지수가 25%일 정도로 평가가 좋진 않다.[44]

뮤지컬 스토리 오브 마이 라이프에서는 주인공 토머스 위버가 어릴 적 친구에게 이 책을 선물받고 작가의 꿈을 꾸게 된 것으로 나온다.

6.1. 애니메이션

파일:세계명작극장.png
세계명작극장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E0> 1969년 1969~1970년
1972년
1971년 1973년 1974년
도로로와 햐키마루 무민
신(新) 무민
안데르센 이야기 산다람쥐 로키 처크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rowcolor=#FFFFE0>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플랜더스의 개 엄마찾아 삼만리 꼬마 너구리 라스칼 펠리네 이야기 빨강머리 앤
<rowcolor=#FFFFE0>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톰 소여의 모험 가족 로빈슨 표류기 이상한 섬의 플로네 남쪽 무지개의 루시 알프스 이야기 나의 안네트 목장소녀 캐트리
<rowcolor=#FFFFE0>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소공녀 세라 사랑소녀 폴리아나 이야기 작은 아씨들 소공자 세디 피터 팬의 모험
<rowcolor=#FFFFE0>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키다리 아저씨 트랩 가족 이야기 대초원의 작은 천사 부시베이비 작은 아씨들 - 조의 아이들 일곱 바다의 티코A
<rowcolor=#FFFFE0> 1995년 1996년 1996~1997년 2007년 2008년
로미오의 푸른 하늘 명견 래시 집 없는 아이 레미 레 미제라블 소녀 코제트 포르피의 기나긴 여행
<rowcolor=#FFFFE0> 2009년 - - - -
안녕 앤 ~Before Green Gables~ - - - -
A: KBS2에서 돌고래 요정 티코라는 제목으로 국내 방영을 한 적이 있다.
}}}}}}}}} ||

톰 소여의 모험 (1980)
トム・ソーヤーの冒険
파일:bokenda.pn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 장르 모험
원작 마크 트웨인
감독 사이토 히로시(斉藤 博)
각본 미야자키 아키라(宮崎 晃)
캐릭터 디자인 세키 슈이치(関 修一)
미술 감독 아베 타이자부로(阿部泰三郎)
촬영 감독 쿠로키 케이시치(黒木敬七)
음악 핫토리 카츠히사(服部 克久)
녹음 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애니메이션 제작 닛폰 애니메이션
제작 닛폰 애니메이션
후지 테레비
방영 기간 1980. 01. 06. ~ 1980. 12. 28.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 (일) 19: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BC / (목) 17:30
파일:투명.png KBS
파일:투명.png EBS / (평일) 19:30
파일:투명.png 대원방송
편당 러닝 타임 24분
화 수 49화
국내 심의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모든 연령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최초의 애니화이자 가장 유명한 작품은 닛폰 애니메이션에서 1980년 세계명작극장으로 제작한 49부작 톰 소여의 모험. 보통 일본에서 톰 소여 애니판을 말하면 이걸 말한다. 후지 테레비계 민방을 통해 1980년 1월 6일부터 동년 12월 28일까지 매주 일요일 오후 7시 30분마다 방영했다.

원작의 내용을 순서를 조금 바꾸거나, 원작자의 다른 작품에서 따와서 메워 길이를 늘렸다. 미성년자가 음주나 흡연을 하는 묘사는 모두 커팅했다.[45] 세계명작극장 중에서도 작화가 좋은 편인데 콘도 요시후미가 거의 격주 단위로 참여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작품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몇 명은 일본보다 해외에서 인정을 받아 주로 미국 하청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게 된다. 종영 후 NHK BS2의 <BS 아니메 극장>을 통해 수차례 재편성했으며 2010년대 들어 16:9 HD로 디지털 리마스터링을 한 바 있으나, 인종 차별적인 내용이 담긴 43~45회는 건너뛰었다. 1999년에는 반다이 비주얼을 통해 DVD를 발매했고, 2012년에는 '메모리얼 박스' 형태로 또 나왔다.

6.1.1. 한국 방영

한국에선 1981년 1월 15일부터 1982년 1월 14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5시 30분마다 MBC에서 1주당 30분간 방영되었고, 1988년 5월 8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주 일요일 아침마다 1회당 50분간 재더빙 방영됐다.[46] 본방 당시에는 오동춘이 작사하고 마상원이 작곡한 곡을 썼는데 노래는 무지개가 불렀고, 1988년 재더빙판도 마상원이 작곡했으나 노래는 김태연과 그린필드가 맡았다. 1982년 5월 18일부터 9월 7일까지 KBS2를 통해 매주 화~수요일 오후 7시마다 재더빙 후 편성했다. MBC판의 번역은 서석주, 녹음 연출은 지연홍(본방)/박성수 PD(재방)였다.

2002년에는 대원디지털방송 산하 채널 애니원과 2008년 2월 25일부터 5월 1일까지 매주 월~금 저녁 7시 30분마다 MBC판을 EBS에서 방영했고, 이후 2008년부터 2011년까지 EBS에서 재방영을 했었고, 또한 2002년에는 대주미디어, 2010년 엠앤브이에서 DVD를 각각 냈다. MBC 성우진은 위에 상술. 2017년 대원방송에서 재더빙 방영 했으며, 번역은 <도라에몽>을 맡던 김언정, 연출은 심상보 PD였다. 다만, 1980년대 방영판과 달리 흡연 신을 부옇게 가렸다. 이후 2022년에는 극장판이 방영되었으며, 이때 번역은 온새미로, 연출은 성호진 PD가 맡았다.

6.2. 주제가

6.2.1. 일본판

OP
誰よりも遠くへ
누구보다 멀리
[nicovideo(sm35421591, width=100%)]
TV.ver
Full.ver
노래 쿠사카 마론(日下 まろん)
작사 야마카와 케이스케(山川 啓介)
작사 하토리 카츠히사(服部 克久)
편곡
ED
ぼくのミシシッピー
나의 미시시피
[nicovideo(sm35421607, width=100%)]
TV.ver
Full.ver
노래 쿠사카 마론
작사 야마카와 케이스케
작곡 하토리 카츠히사
편곡

6.2.2. 한국판

OP(MBC)
노래 무지개
작곡 마상원
작사 오동춘
OP(애니원)
누구보다 먼 곳으로
노래 장미
ED(애니원)
나의 미시시피
노래 장예나

6.3.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작화 감독 방영일
제1화 トムとハックとブタ騒動
톰과 허크의 돼지 소동 (대원)
카토 메이
(加藤盟)
사이토 히로시
(斎藤博)
코사코 요시시게
(こさこ吉重)
日: 1980.01.06.
韓: 2008.02.25.(EBS)
韓: 2017.07.17.(대원)
제2화 ごきげんなペンキ塗り
신나는 페인트칠 (대원)
키요세 타케시
(清瀬武)
코사코 요시시게
세키 슈이치
(関修一)
후루야 요시타카
(後上義隆)
日: 1980.01.13.
韓: 2008.02.26.(EBS)
韓: 2017.07.17.(대원)
제3화 トム一目ぼれをする
톰, 한눈에 반하다 (대원)
코야마 세이지로
(神山征二郎)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1.20.
韓: 2008.02.27.(EBS)
韓: 2017.07.17.(대원)
제4화 サムじいさんのおまじない
샘 할아버지의 주술 (대원)
日: 1980.01.27.
韓: 2008.02.28.(EBS)
韓: 2017.07.17.(대원)
제5화 恋は異なもの味なもの
사랑은 쓰고 달콤한 것 (대원)
코시 시게오
(腰繁男)
타카노 노보루
(高野登)
日: 1980.02.03.
韓: 2008.02.29.(EBS)
韓: 2017.07.24.(대원)
제6화 ハックの家づくり
허크의 집 짓기 (대원)
사이토 히로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2.10.
韓: 2008.03.03.(EBS)
韓: 2017.07.24.(대원)
제7화 ライバル登場
라이벌의 등장 (대원)
요시로 토미타
(富田義朗)
바바 켄이치
(馬場健一)
日: 1980.02.17.
韓: 2008.03.04.(EBS)
韓: 2017.07.24.(대원)
제8화 あこがれの蒸気船
꿈에 그리던 증기선 (대원)
타다히코 이소미
(磯見忠彦)
스즈키 타카요시
(鈴木孝義)
타카노 노보루 日: 1980.02.24.
韓: 2008.03.05.(EBS)
韓: 2017.07.31.(대원)
제9화 ポリーおばさんの子供たち
폴리 이모의 아이들 (대원)
미야자키 아키라
(宮崎晃)
요코타 카즈요시
(横田和善)
코사코 요시시게
사쿠라이 미치요
(桜井美知代)
日: 1980.03.02.
韓: 2008.03.06.(EBS)
韓: 2017.07.31.(대원)
제10화 村の嫌われ者
마을의 골칫덩어리 (대원)
코시 시게오 코사코 요시시게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03.09.
韓: 2008.03.07.(EBS)
韓: 2017.07.31.(대원)
제11화 海賊の宝
해적의 보물 (대원)
바바 켄이치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3.16.
韓: 2008.03.10.(EBS)
韓: 2017.08.07.(대원)
제12화 ベッキー・サッチャー怒る
화가 난 베키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타카노 노보루 日: 1980.03.23.
韓: 2008.03.11.(EBS)
韓: 2017.08.07.(대원)
제13화 海賊になるんだ
해적이 될 거야 (대원)
요코타 카즈야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3.30.
韓: 2008.03.12.(EBS)
韓: 2017.08.07.(대원)
제14화 海賊には学校はない
해적은 학교에 다니지 않아 (대원)
코시 시게오 사쿠라이 미치요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04.06.
韓: 2008.03.13.(EBS)
韓: 2017.08.14.(대원)
제15화 冒険・冒険また冒険
모험에 모험을 거듭하다 (대원)
요코타 카즈요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4.13.
韓: 2008.03.14.(EBS)
韓: 2017.08.14.(대원)
제16화 トム・ソーヤーの葬式
톰 소여의 장례식 (대원)
바바 켄이치 타카노 노보루 日: 1980.04.20.
韓: 2008.03.17.(EBS)
韓: 2017.08.14.(대원)
제17화 運の悪い日
운수 나쁜 날 (대원)
사이토 히로시 스기노 아키오)
(杉野 昭夫)
日: 1980.04.27.
韓: 2008.03.18.(EBS)
韓: 2017.08.21.(대원)
제18화 痛い仲直り
아픈 화해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5.04.
韓: 2008.03.19.(EBS)
韓: 2017.08.21.(대원)
제19화 蛙の戦い
개구리 대결 (대원)
요코타 카즈야시 사쿠라이 미치요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05.11.
韓: 2008.03.20.(EBS)
韓: 2017.08.21.(대원)
제20화 ドビンズ先生の秘密
도빈스 선생님의 비밀 (대원)
코시 시게오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5.18.
韓: 2008.03.21.(EBS)
韓: 2017.08.28.(대원)
제21화 夏休みの始まり
여름방학이 시작되다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타카노 노보루 日: 1980.05.25.
韓: 2008.03.24.(EBS)
韓: 2017.08.28.(대원)
제22화 病気にならない薬
병에 걸리지 않는 약 (대원)
사이토 히로시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06.1.
韓: 2008.03.25.(EBS)
韓: 2017.08.28.(대원)
제23화 ナマズ釣りの日
메기 잡으러 가는 날 (대원)
요코타 카즈요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6.15.
韓: 2008.03.26.(EBS)
韓: 2017.09.04.(대원)
제24화 ネクタイをしたハック
넥타이를 멘 허크 (대원)
오오타 쇼고
(太田省吾)
미야자키 아키라
코시 시게오 코사코 요시시게
사쿠라이 미치요
日: 1980.06.22.
韓: 2008.03.27.(EBS)
韓: 2017.09.04.(대원)
제25화 意地っぱり野郎
고집쟁이 녀석 (대원)
미야자키 아키라 사이토 히로시 타카노 노보루 日: 1980.06.29.
韓: 2008.03.28.(EBS)
韓: 2017.09.04.(대원)
제26화 子役のリゼット
아역 배우, 리제트 (대원)
오오타 쇼고
미야자키 아키라
바바 켄이치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7.06.
韓: 2008.03.31.(EBS)
韓: 2017.09.11.(대원)
제27화 お芝居の始まるまで
연극이 시작되기 전까지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사쿠라이 미치요 日: 1980.07.20.
韓: 2008.04.01.(EBS)
韓: 2017.09.11.(대원)
제28화 リゼットを助けろ!
리제트를 구하라 (대원)
요코타 카즈요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7.27.
韓: 2008.04.02.(EBS)
韓: 2017.09.11.(대원)
제29화 突然のさようなら
갑작스러운 이별 (대원)
코시 시게오 타카노 노보루 日: 1980.08.03.
韓: 2008.04.03.(EBS)
韓: 2017.09.18.(대원)
제30화 ハックの父親
허크의 아빠 (대원)
미야자키 아키라 바바 켄이치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8.10.
韓: 2008.04.04.(EBS)
韓: 2017.09.18.(대원)
제31화 数を数えろ
숫자를 세어라 (대원)
오오타 쇼고
미야자키 아키라
스즈키 타카요시 사쿠라이 미치요 日: 1980.08.17.
韓: 2008.04.07.(EBS)
韓: 2017.09.18.(대원)
제32화 黄金を見つけた!
황금을 발견하다 (대원)
미야자키 아키라 코시 시게오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8.24.
韓: 2008.04.08.(EBS)
韓: 2017.09.25.(대원)
제33화 自由に向って逃げろ
자유를 향해 도망쳐라 (대원)
오오타 쇼고
미야자키 아키라
요코타 카즈요시 타카노 노보루 日: 1980.09.07.
韓: 2008.04.09.(EBS)
韓: 2017.09.25.(대원)
제34화 天から降って来た男
하늘에서 내려온 사나이 (대원)
미야자키 아키라 사이토 히로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09.14.
韓: 2008.04.10.(EBS)
韓: 2017.09.25.(대원)
제35화 空を飛びたい
하늘을 날고 싶어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09.21.
韓: 2008.04.11.(EBS)
韓: 2017.10.10.(대원)
제36화 気球を直そう
열기구를 고치자 (대원)
요코타 카즈요시 코사코 요시시게
사쿠라이 미치요
日: 1980.09.28.
韓: 2008.04.14.(EBS)
韓: 2017.10.10.(대원)
제37화 空からの眺め
하늘에서 본 경치 (대원)
사이토 히로시 타카노 노보루 日: 1980.10.05.
韓: 2008.04.15.(EBS)
韓: 2017.10.10.(대원)
제38화 おそろしい出来事
끔찍한 사건 (대원)
코시 시게오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10.12.
韓: 2008.04.16.(EBS)
韓: 2017.10.17.(대원)
제39화 良心の痛み
양심의 가책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10.19.
韓: 2008.04.17.(EBS)
韓: 2017.10.17.(대원)
제40화 マフ・ポッターの裁判
머프 포터의 재판 (대원)
요코타 카즈요시 코사코 요시시게
사쿠라이 미치요
日: 1980.10.26.
韓: 2008.04.18.(EBS)
韓: 2017.10.17.(대원)
제41화 インジャン・ジョーの行方
인디언 조의 행방 (대원)
사이토 히로시 타카노 노보루 日: 1980.11.02.
韓: 2008.04.21.(EBS)
韓: 2017.10.24.(대원)
제42화 楽しい船の旅
즐거운 배 여행 (대원)
코시 시게오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11.09.
韓: 2008.04.22.(EBS)
韓: 2017.10.24.(대원)
제43화 白い馬を見た
백마를 보다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11.16.
韓: 2008.04.23.(EBS)
韓: 2017.10.24.(대원)
제44화 稲妻をつかまえろ
번개를 잡아라 (대원)
사이토 히로시 코사코 요시시게
사쿠라이 미치요
日: 1980.11.23.
韓: 2008.04.24.(EBS)
韓: 2017.10.31.(대원)
제45화 さらば白馬よ
백마여, 안녕 (대원)
코시 시게오 타카노 노보루 日: 1980.11.30.
韓: 2008.04.25.(EBS)
韓: 2017.10.31.(대원)
제46화 化物屋敷で
귀신의 집에서 (대원)
요코타 카즈요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12.07.
韓: 2008.04.28.(EBS)
韓: 2017.10.31.(대원)
제47화 マクドウガルの洞窟
맥도걸 동굴 (대원)
스즈키 타카요시 후루야 요시타카 日: 1980.12.14.
韓: 2008.04.29.(EBS)
韓: 2017.11.07.(대원)
제48화 インジャン・ジョーの最後
인디언 조의 최후 (대원)
사이토 히로시 코사코 요시시게 日: 1980.12.21.
韓: 2008.04.30.(EBS)
韓: 2017.11.07.(대원)
제49화 格好の悪い終り方
모양 빠지는 마무리 (대원)
日: 1980.12.28.
韓: 2008.05.01.(EBS)
韓: 2017.11.07.(대원)

7. 기타

그 밖에 한국에서는 만화가 한희작이 1980년대에 허클베리 핀의 모험과 같이 만화로 연재했는데 줄거리를 상당히 각색하여 새롭게 창작했다.

[1] typewriter가 현재는 보편적인 명칭이지만 당시는 타자기가 막 개발되던 시절이라 이름이 여러 가지가 있었다. 마크 트웨인은 typemachine이라는 명칭을 고집스레 고수했다.[2] 백인들 입장에서 흑인이 게으르다면 그 이유야 뻔하지 않는가? 노예의 생산물은 결국 주인 것인데 어느 노예가 채찍을 면할 수 있는 정도의 일 이상을 하려 하겠는가?[3] 다만 인디언 조의 경우에는 마크 트웨인이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을 보는 시선과 상관없이 백인과 원주민 간의 혼혈인 조의 선천적인 혈통상 조 자체가 후천적인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는 당시의 현실을 대변한다고 볼 수도 있다. 그는 원주민을 상대로 우위를 점하기 시작한 백인 사회에서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기도 불가능하고 그렇다고 원주민 사회에서도 이질적인 존재로 취급받을 확률이 높으며 원주민 사회는 일단 경제적으로 백인보다 열악하기에 기회는 백인 사회의 가장자리를 떠도는 것보다도 더 적을 것이다. 즉 불법으로 실험용 시체를 훔치는 등의 떳떳하지 못한 일을 하는 백인들의 하수인 역할을 하며 백인들의 세계 변두리의 암흑가를 전전하거나 아주 비참하게 살거나 둘 중 하나를 택해야만 하는게 당시 원주민과 백인 혼혈아의 현실이었을 가능성이 크다.[4] 마크 트웨인의 자서전을 보면 마크 트웨인이 10살 무렵에 학교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고 상급생들에게 놀림을 받았다거나, 몸이 불편하고 외로운 처지였던 가게 주인에게 소년들이 물 한 동이를 길어다 주면 담배 한 까치를 얻어서 피울 수 있었다는 일화들을 찾아볼 수 있다. 즉, 19세기 중후반의 미국에서는 미성년자의 흡연에 대한 관점 자체가 현대와는 전혀 달랐던 것. 물론 소년단에 입단하려면 금연을 서약해야 했다는 것과 같이 청소년의 흡연을 좋지 않게 보았다는 근거가 될 만한 일화도 있으나, 이는 흡연이나 음주 등을 '잠시의 즐거움을 위해 쓸데없는 데 돈을 낭비하는 방종한 행동'(20세기 초반 한국의 계몽 운동에서 금주와 금연을 권장한 것 역시 이와 같은 맥락이다.)으로 보고 특히 청소년들에게 검소한 생활을 권장한 것(말하자면, 넌 어린것이 벌써부터 먹고 노는 데 돈을 쓰냐?)이지 현대와 같이 미성년자의 흡연을 금기시한 것이라고 해석하기는 어렵다.[5] 플로리다에 위치한 동명의 도시와는 무관한 허구의 마을이다. 실제 모델은 작가가 어린 시절을 보낸 미주리 주의 소도시 해니벌(Hannibal)이다.[6] 그래도 폴리 이모의 죽은 여동생이 바로 톰의 모친이므로, 톰은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도 폴리 이모는 톰을 상당히 아끼는 편이다.[7] 죽은 고양이를 묘지에 들고 악마가 영혼을 수거할 때 고양이의 영혼에 사마귀를 함께 보내면 사마귀가 떼진다는 미신을 헉이 톰에게 얘기하고, 호기심이 생긴 톰이 헉을 따라가면서 사건을 목격하게 된다. 인디언 조에게 살해당한 의사 로빈슨은 시체를 몰래 파내 해부하는 의사였다. 인디언 조와 머프는 당시 로빈슨이 고용한 인부로 시체를 파낸 뒤, 품삯에 대한 의견 불일치와 조가 의사에게 품은 개인적인 원한으로 인해 서로 싸우게 되었다. 말다툼에서 시작된 싸움 도중 머프는 로빈슨이 휘두른 십자가에 맞고 기절하고, 그 틈을 타 조가 칼로 의사를 찔러 죽이게 된다.[8] 실제로 저 당시에 해부용 시신 같은 인체 표본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보니 시신을 묘지에서 몰래 파내는 일이 많았다. 이와 관련한 사건 중 엽기적인 사건으로는 살인마 H. H. 홈스가 증거 인멸 후 남은 해골을 정기적으로 시카고의 의과 대학에 팔아넘겼던 건이 있는데 샘플을 구하기 어려웠던 학교 측에서는 이 고마운 공급자에게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고 한다. 의대에서도 이 정도였으니 개인 의사들이 실험 재료를 구하는 것은 그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였을 것. 여기서 유래된 것이 바디 스내쳐.[9] 본명은 인전 조(Injun Joe)[10] 이 와중에 톰은 도피성으로 헉, 하퍼와 셋이서 보물이 숨겨저 있다는 무인도 탐험을 떠났다 돌아온다. 당연히 온 동네는 발칵 뒤집힌다.[11] 일부 매체에서는 이를 각색하여 도망가다가 붙잡혀 공개 처형으로 목을 잘렸다고 나온다.[12] 사실 조는 톰이 아니라 과거 자신을 유치장에 처넣었던 더글러스 부인의 남편에게 복수심을 품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이미 고인이어서 대신 그의 아내 더글러스 부인을 노렸으며 이 와중에 귀머거리 노인으로 변장을 하고 마을을 정찰하는 대담한 모습을 보였다.[13] 톰 같은 애들이 또 있을까 봐 자물쇠가 3개나 달린 철판으로 입구를 막았다. 톰은 동굴 안에 조가 있다는 걸 알기 때문에 그 자리에서 기절하고 만다.[14] 일부 판본에서는 조가 동굴에서 톰 일행을 발견하고 해치려고 하다가 톰 일행을 찾으러 온 보안관에게 발각되고, 이에 도주하다가 동굴 절벽에서 떨어져 죽었다고 최후를 묘사하기도 했다. 보통은 조가 동굴에 갇혀 아사한 결말이 더 많이 보이는 편이다.[15] 베키와 함께 빠져나온 숨겨진 출입구로 강 쪽으로 통하는 입구였다. 동굴 구조를 잘 알던 조도 이곳의 존재는 몰랐다.[16] 액수는 1만 2천 달러나 되었다. 현재 가치로 60~70만 달러대(약 7억). 허클베리 핀의 모험 처음에서 헉이 언급하는 부분이다.[17] 시대별 물가 비교는 수치로 보는 인플레이션 외 물가나 사회 상황 등을 감안해야 해서 딱 떨어지진 않는데, 비슷한 시기에 나온 초원의 집을 보면 당시 물가를 대략 알 수 있다. 빈농인 잉걸스 가문은 밭을 팔아 200달러를 벌어 빚을 청산하고, 부농인 와일더가에선 말 두마리를 팔아서 400달러를 번다. 마을 축제에서 레모네이드 한 잔이 5센트이고, 50센트 은화는 부농인 와일더가에서도 절대 아이한테 주지 않을 정도 큰돈이라(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애 버릇 나빠진다고) 진짜로 있다는 게 밝혀지자 또래 아이들이 구경하러 올 정도로 큰돈이었다. 로라 잉걸즈가 바느질을 했을 때 하루 수당이 25센트에, 교사로 두 달 일해서 번 돈이 40달러였다.(월급 20달러) 즉 19세기 말 1달러는 어른한테도 적은 돈이 아니었는데, 아이 일주일 용돈으로 1달러면 엄청난 돈이다.[18] 물론 그것도 있지만 대처 판사 정도면 웬만한 마을의 권력자급이라 헉의 아버지라도 함부로 덤비기는 어려웠기 때문.[19] 물론 대처 판사가 양심이 없는 건 아니고 술주정뱅이 헉의 아버지가 술이나 도박에 헉의 재산을 탕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계약서 덕분에 헉의 아버지가 소송을 걸어 돈을 뺏으려 했지만 실패한다. 작중에서도 헉이 모험을 하고 돌아왔을 때 돈이 고스란히 남아있었다.[20] 원본 성우인 노자와 마사코이미자는 둘 다 드래곤볼손오반 역할을 했다.[21] 정식 명칭을 불리면 십중팔구 곤란한 상황이 된다. 애니메이션에서도 토머스는 보통 선생님께 야단맞을 때 불리는 명칭이라고 언급된다.[22] 또는 허크라고도 불린다.[23] 5살 때 어머니는 돌아가셨고, 아버지는 술만 마시면 헉을 때리다 집을 나갔다고 한다. 어머니 기일엔 기도를 하는 것으로 보아 어머니와의 사이는 괜찮았던 듯.[24] 이는 후속작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에서 더 잘 나타나 있는데 헉이 재산을 얻게 된 후 자기 아버지한테 납치되어 오두막에 감금된다. 그리고 돈을 내놓으라는 협박을 당하지만 사실 헉은 원래 부랑아라서 갑갑한 생활을 싫어했기 때문에 아버지만 없으면 자기 맘대로 살 수 있는(그리고 그 아버지는 헉을 놔두고 어디론가 가는 경우가 많았다.) 오두막 생활을 더 좋아했기 때문에 그리 효과는 없었다. 유일하게 헉을 사랑하고 돌봐준 돌아가신 어머니를 좋아하고 그리워한다. 이후 헉의 아버지가 동네로 돌아와서 헉을 부려먹기 위해 헉을 찾아다녔지만 헉은 숨어 지내고 피하면서 찾을 수 없게 되었다. 헉을 찾을 뻔했지만 헉이 아버지를 피해 여행선에 숨었고 톰의 아칸소주 샐리 숙모의 심부름을 같이 따라갔다.[25] 이선호 성우의 몇 안 되는 소녀 연기이다.[26] 톰의 학교 친구이자 빵집 딸이다.[27] 본명은 에드워드 대처. 부인이자 베키의 어머니의 이름은 마거릿이다.[28] 베키의 사촌인 제프 대처의 아버지다. 제프는 톰의 학교 친구로, 선생님의 칭찬을 듣는 모범생에다 반장이라 톰은 제프를 질투하고 있다.[29] 톰이 다니던 주일 학교에선 성경 두 구절을 외우면 파란 카드를 주고, 그 파란 카드가 10개 모이면 빨간 카드 하나와 바꿔주고, 그 빨간 카드를 10 장 모으면 노란 카드와 바꿔주고, 그 노란 카드를 10개 모으면 새 성경책과 바꿀 수 있었다. 즉, 성경 하나를 받으려면 굉장히 많은 성경 구절을 외웠어야 했다. 톰은 성경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베키에게 멋지게 보이려고 전에 다른 아이들에게 울타리 페인트칠을 하게 하며 바꿨던 물건들을 전부 그 아이들이 가지고 있던 카드와 바꾼 뒤 당당하게 성경을 달라고 했다. 주일 학교에선 톰이 정말로 성경 구절을 다 외웠다 생각하곤 기특해하며 예수에게 가장 먼저 부름받은 두 사도가 누구인지 묻는데, 톰은 다윗골리앗이라고 대답했다. 그다음 문장은 '이번 장은 자비롭게 여기서 막을 내리도록 하자'이다. 정답은 시몬 베드로와 그의 동생 안드레아.[30] 톰의 부모님인 여동생 부부가 사망한 후 톰과 시드를 키우고 있다. 또한 남편을 잃은 과부이기도 해서 사실상 폴리 혼자서 딸과 조카 형제를 키우는 셈이다.[31] 애니메이션에선 죽은 남편의 누나, 즉 폴리의 시누이(메리의 고모)인 샐리 가족이 사는 곳에 톰과 헉이 가는 에피소드가 있다. 톰과 샐리는 사돈 관계지만 톰은 편의상 샐리 숙모라고 부르고 있다. 원래는 톰 혼자서 심부름을 가는 길이었는데, 헉의 아버지가 갑자기 나타나서 헉을 찾자 얼떨결에 헉이 톰을 따라가게 된 것이다. 낯선 아이가 찾아가면 샐리네 가족이 놀랄까봐 톰은 헉을 시드라고 소개한다.[32] 이 작품의 시작이 폴리가 톰을 혼내며 부르는 모습이다.[33] 애니메이션 1화에선 회초리를 들었다는 언급이 나온다. 그러나 도빈슨 선생만큼 자주 때리지는 않고, 정말 잘못했을 때만 가끔씩 드는 듯. 평소에는 주로 말로 혼내는 편이다.[34] 배를 타야 할 정도로 멀리 있는 주일 학교에 있어서 어머니와 사촌 동생들을 자주 보지 못했다. 애니메이션 3화에서도 학업을 마치고 한 달 만에 가족을 만난 거라고. 단 애니에서는 3화부터 쭉 얼굴을 보일 정도로 비중이 늘어났다.[35] 애니에서는 친형제인데 너무 다르다는 폴리의 언급으로 보아 친형제라는 설정으로 각색된 듯. 이부형제라는 설정은 톰이 메리의 고종사촌언니 베니(톰에게는 사돈)에게 헉을 시드라고 속일 때 활용된다. 애니에서 밝혀진 바로는 톰의 아버지는 회계사였고 아들에게 다정한 아버지였으나 시드가 태어난지 얼마 안 된 시기, 즉 톰이 3살 때 병으로 돌아가셨다고 언급된다.[36] 번역에 따라 '인전'과 '인디언'이 혼용된다. Injun 자체가 아메리카 원주민을 뜻하는 '인디언'의 발음을 축약한 단어이다. 참고로 현재는 구시대적이고 인종 차별적인 단어로 인식되니 쓰면 안 된다.[37] 머프가 대부분 알딸딸한 상태인 것을 악용하여 머프 자신이 한 것처럼 속였다.[38] 마크 트웨인의 원작에서는 동굴 출구가 막혀서 아사했다. 애니판에서는 톰과 베키를 구조하러 온 보안관을 피하고 도망치다 동굴에 낭떠러지에 추락사한다.[39] 사실 그 크림은 조의 어머니가 상해서 버린 거였는데, 그 사실을 잊고 조를 혼낸 거였다.[40] 젊은 의사인 로빈슨이 마을 의사로 온 후론 미첼에게 진료를 받는 환자가 줄었기 때문이다. 폴리는 미첼의 진료를 받는 일이 익숙해서 아플 때마다 미첼을 부르고 있다.[41] 5년 전, 조가 로빈슨의 아버지의 집에 찾아와 먹을 것을 달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로빈슨은 그를 쫓아내고, 조가 몇 년이 걸려도 복수를 하겠다 화를 내자 그를 부랑자라며 감옥에 넣어버렸다. 결국 조는 정말로 복수를 하게 되었다.[42] 당시 공포 통치 시절이라 무고한 시민들이 단두대로 처형되는 시대 배경상 유럽에도 체벌 문화가 남아있을것으로 보인다. 물론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저것보다 더한 형벌들이 상당했다.[43] 2년 전 개봉한 "헉 핀의 모험(The Adventures of Huck Finn)"과 더불어 디즈니 채널에서 질리도록 틀어주던 작품이다.[44] 여담으로 본작에서 (정신은 제대로 박힌) 비행 청소년 역인 허클베리 핀을 연기한 브래드 렌프로는 당시 꽤 잘나가던 아역 배우였는데, 15세이던 98년에 마약(코카인과 마리화나) 소지 혐의로 체포되고 18세가 되기 전 이미 재활 시설에 두 번이나 들어가게 되는 등 실제 비행 청소년이 되고 말았다. 2000년에는 친구와 요트를 훔치려다가 체포되었고, 무면허 운전과 음주 운전과 마약 문제 등 다양한 사고를 치다가 25세의 젊은 나이에 헤로인/모르핀 과다 투약으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드류 배리모어린제이 로한처럼 세계적으로 유명한 배우까진 아니어서 국내에선 인지도가 없지만, 현지에선 '제대로 보호 및 지도받지 못해 망가진 아역 배우 중 하나'로 언급된다. 당시 배우가 외모나 태도가 조숙한 편이어서 주변 어른들이 실제 나이보다 많은 걸로 여겼다는 증언도 있다. 본작에서 보면 그는 톰 역의 테일러보다 키도 크고 변성기가 아직 안 온 테일러에 비해 목소리도 굵은 편이라 형처럼 보이는데, 렌프로는 82년생으로 테일러보다 오히려 한 살 어렸다.[45] 성인 캐릭터가 담배 피우는 건 나온다.[46] 첫 회에는 오전 8시 30분~오전 9시 20분이었다가 이후 오전 7시 50분~오전 8시 40분으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