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18:00:54

린썬

임삼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4760, #546285 20%, #546285 80%, #3d476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화민국 임시정부 국장.svg 임시정부
중화민국 임시대총통
<rowcolor=#fff> 초대 제2대
쑨원 위안스카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장.svg 북양정부
중화민국 대총통
<rowcolor=#fff> 초대 대행 제2대
위안스카이 리위안훙 펑궈장 쉬스창
<rowcolor=#fff> 대행 제3대
저우쯔치 리위안훙 가오링웨이 차오쿤
<rowcolor=#fff> 대행
황푸
임시집정 · 육해군대원수
<rowcolor=#fff> 초대 대행
돤치루이 후웨이더 옌후이칭 두시구이
<rowcolor=#fff> 대행 육해군대원수
구웨이쥔 장쭤린
파일:백일문.svg 국민정부 주석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탄옌카이 장제스 린썬 장제스 }}}
}}}}}}

린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연합국 명예기.svg
연합국 주요 지도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알베르 르브룅 샤를 드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조지 6세 네빌 체임벌린 윈스턴 처칠 클레멘트 애틀리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이오시프 스탈린 미하일 칼리닌 린썬 장제스 }}}}}}}}}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B005-C002-0632-01_L1.jpg
강기동 구춘선 권동진 권병덕 김경천
김동삼 김병조 김붕준 김상옥 김성수[A]
김완규 김익상 김지섭 김하락 나석주
나용환 나인협 남상덕 남자현 노백린
린썬 문창범 문태수 민긍호 민종식
박열 박승환 박용만 박은식 박준승
백용성 신규식 신돌석 신석구 신채호
신홍식 쑨커 안재홍 양기탁
양전백 양한묵 여운형
여천민 연기우 오세창 오화영 유동열
유여대 유인석 윤기섭 우빈 이갑성
이동녕 이동휘 이명룡 이범석 이범윤
이봉창 이상설 이상재 이승희 이위종
이은찬 이인영 이재명 이종일 이종훈
이필주 임예환 장건상 장인환 전명운
전해산 정환직 조성환 조완구 주시경
주자화 지청천 채상덕 천청 최석순
최성모 편강렬 홍기조 홍범도
홍병기 황싱 후한민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colbgcolor=#000090><colcolor=#ffffff>
난징 국민정부 3대 정부주석
린썬
林森(임삼)|Lin Sen
파일:린썬.jpg
출생 1868년 3월 4일
청나라 푸젠성 민허우현[1]
사망 1943년 8월 1일 (향년 75세)
중화민국 충칭[2]
재임기간 난징 국민정부 제3대 주석
1932년 1월 1일 ~ 1943년 8월 1일
자초(子超)
장인(長仁)
학력 학령영화중학(鹤龄英华中学)
최종 당적
종교 유교(성리학)
육성


1. 개요2. 생애
2.1. 초기 이력2.2. 호법운동2.3. 국민혁명2.4. 중화민국 정부주석2.5. 사망
3. 주요 경력4. 기타5. 매체에서6. 참고문헌7. 관련 문서
7.1. 사건

[clearfix]

1. 개요

청나라의 관료, 중화민국의 혁명가, 정치인, 국가주석이었다.

2. 생애

2.1. 초기 이력

1868년 푸젠성 민허우 현(閩侯縣)에서 태어났다.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교회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884년에는 건너편의 타이완성으로 옮겨가 타이베이 전보국에서 근무하다가 청일전쟁으로 타이완이 일본에게 할양되자 일본에 항거하는 게릴라전을 수행하다가 1902년에 대륙으로 귀환, 상하이의 강해관 세관에서 일했다.

이후 태평양을 횡단해 하와이를 거쳐 샌프란시스코에서 살던 중, 1905년 쑨원도쿄에서 결성한 중국 동맹회에 가입하여 정치에 발을 들였다. 1909년 귀국하여 장시성 주장(九江)에서 비밀리에 무장 조직을 결성하고 1912년 신해혁명 때 장시성의 지휘를 맡았으며 1912년 1월 난징에서 임시참의원이 설립되자 의장으로 추대되었다.

2.2. 호법운동

1912년 중국국민당 창당 이후 가입했고 1913년 총선에서 45세의 나이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13년 위안스카이쑹자오런 암살 사건, 선후대차관 사건을 일으키자 강경한 무력 토벌을 주장했고 그해 7월, 쑨원이 대항해 일으켰던 계축전쟁에 가담했으나 실패로 돌아가자 쑨원을 따라 일본으로 망명했다. 1914년 겨울에는 중국국민당의 전신인 중화 혁명당의 미국 지부 총 지부장에 선출되었다. 1915년 위안스카이가 홍헌제제를 단행했다가 전국적인 저항인 호국전쟁이 일어났다. 위안스카이는 제제 취소 후 급사하고 리위안훙이 국회를 부활시키면서 호국전쟁은 끝났고 린썬은 쥐정 등과 함께 구 국민당의 강경파인 객려파를 영도하였다.

국회의 수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장훈복벽으로 선통제가 복위하자 강제로 해임당했다. 복벽 진압 이후 돤치루이가 국회와 약법 회복을 거부하자 1차 호법운동이 벌어졌고 1917년 호법전쟁이 일어나 광저우에서 쑨원이 군 정부를 수립하자 광저우로 가 외교부장에 임명되었고 쥐정 등과 함께 민우사를 조직, 쑨원을 옹호하며 북방과의 화의를 거부하고 강경한 무력토벌을 동의했다. 쑨원 축출 이후 1918년 6월 12일 참의원 의장에 추대되었다. 이후 익우사와 연합하여 헌법을 제정하고 정, 부총통 선거를 실시하려 했으나 천춘쉬안의 정학회의 방해로 실패했고 정학회의 전횡에 불만을 품어 중의원 의장 우징롄과 함께 광저우를 떠나 상하이의 쑨원과 합류했다.

1920년 2차 호법운동으로 2차 광동 군정부가 수립된 후 민우사 요인들을 거느려 호법정부에 합류, 1922년에는 복건성 성장(省長)이 되었으나 얼마 안 가 사임하고 건설부장이 되었다. 1922년 영풍함 사건 이후 임시 중앙위원에 선출되었고 직예군벌들이 옹립한 리위안훙 총통이 구 국회 회복을 선포하면서 참의원 의장으로 거론되었으나 1919년 보선 의원의 자격을 취소하게 되면서 1917년 선거에서 당선되었던 왕가양이 의장이 되었다.

2.3. 국민혁명

1924년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대회 주석을 맡았다. 1924년 1차 국공합작의 현장에 있었으며 중앙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 1925년 7월 1일 국민정부 성립 이후 국민정부 위원에 선출되었다. 하지만 보수파 혁명 원로라는 부담스러운 입지 때문에 국민당 좌파와 공산당의 견제를 받아서 8월의 랴오중카이 암살 사건 이후 또 다른 원로인 쩌우루와 함께 국민혁명의 취지를 화북에 통보하라는 구실로 외교대표단에 임명되어 사실상 베이징으로 추방되었고 이에 분노하여 베이징에서 국민당 보수 우파들을 규합하여 국공합작의 중단을 요구하는 서산회의를 개최, 서산회의파(西山會議派)를 구성하여 상하이에서 독자적 당중앙을 차렸다.

1924년 11월 24일 임시 집정에 취임한 돤치루이가 불평등조약 철폐라는 쑨원의 염원을 저버리고 열강과 매국적 조약을 체결하는가 하면 1925년 2월, 쑨원의 국민회의 소집을 무시하고 선후회의를 개최한 후 선후회의 이후 퇴진하겠다는 공약을 어기고 계속 정권을 연명하려 하자 베이징의 지식인들을 규하하여 돤치루이 타도 운동을 전개했으며 1925년 11월, 궈쑹링반봉사건을 일으키자 이를 옹호하고 격려의 전보를 보냈으며 관동군이 궈쑹링을 방해하자 이에 항의하는 뜻을 일본 공사관에 전달했다. 린썬에 대해 광저우 중앙은 서면으로 반성을 촉구하고 만약 2개월 안에 따르지 않으면 제적한다는 처분을 내렸다. 린썬은 이에 따르지 않았으므로 결국 광저우 당중앙으로부터 제명되었다.

1926년 중산함 사건이 일어나자 이를 환영하고 대표를 파견하려 했으나 천궁보 등이 대표가 오면 체포하겠다는 강경한 반응을 보이면서 그만뒀다. 1927년 장제스가 4.12 상하이 쿠데타를 일으키자 처음에는 이를 환영하였고 영한합작에 참여했으나 장제스와 왕징웨이가 물밑으로 합작하면서 서산파는 나가리되었다. 하지만 린썬의 경우 명망이 높았기 때문에 1928년 10월 8일 국민당 중앙상무위원회에서 국민정부 위원 겸 입법원 부원장에 선출되었다.

2.4. 중화민국 정부주석

1929년 3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당적을 박탈하기로 했던 광저우 당중앙의 처분이 공식적으로 철회되었다.

1931년 2월, 장제스가 탕산 사건을 일으켜 입법원장 후한민을 감금하자 광동파, 개조파, 서산회의파가 연대하여 광저우 국민정부를 수립, 1차 양광사변을 일으켜 장제스에게 대항했다. 린썬 역시 후한민의 감금에 반발하여 4월 30일 중앙감찰위원 등택여 등과 함께 장제스를 탄핵했다.

1931년 6월 1일 훈정 시기 약법의 반포 이후 6월 13일 3기 5중전회에서 입법원장에 선출되었다. 9월 18일 만주사변이 일어나면서 결국 장제스가 12월 15일 하야하자, 12월 28일 4기 1중전회는 린썬을 주석, 탕사오이 등 33명을 국민정부위원, 쑨커행정원장, 천밍수를 행정원 부원장, 장췬입법원장, 다이지타오를 고시원장, 우차오수를 사법원장, 쥐정을 사법원 부원장 등으로 선출했다. 린썬은 1932년 1월 1일 국민정부 주석에 취임했고 쑨커 내각이 출범했으나, 쑨커는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 와중에 임무를 감당하지 못하고 사임했고 장왕합작에 따라 행정원장에 왕징웨이, 군사위원장에 장제스가 취임하였다.

이후 1935년까지 국민정부 주석으로 임기를 수행했으나 당연히 실권은 장제스와 왕징웨이, 그 중에서도 장제스에게 있었고 린썬은 난징에 있는 국민정부(후에 총통부)에 발도 들여 놓지 못했않았다. 왜냐하면 그 곳은 여전히 장제스가 쓰고 있었으니까. 타임지는 1934년의 한 기사에서 대놓고 그를 장제스의 꼭두각시로 지칭하였다. 1935년 12월에 두번째 임기가 만료되어 사퇴해야 했지만, 5기 1중전회가 린썬의 임기를 헌법이 반포될때까지 연장하도록 결의하면서 퇴임이 미루어지게 되었다. 그래봤자 장제스의 허수아비여서 의미가 없었다.
파일:external/imgtu.lishiquwen.com/3e3f32b26ca9c90aadae714d439d20bd.jpg
린썬과 장제스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대국민 연설을 하면서 국민들의 지지와 결집을 호소했다. 11월 16일, 충칭으로 이동하기 직전 장제스에게 자신은 이미 늙었으니 살아서 다시 난징을 밟기 어려울 것이라며 자신이 죽으면 자신의 수집품은 박물관에 기증하고 현금은 양자와 양손에게 주며 은행예금은 유학생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써달라고 부탁하고 다음날인 11월 17일 충칭으로 올라가는 군함에 올라탔다. 12월 26일, 충칭에 도착한 후 국가주석으로 정무를 보았다.

1938년 왕징웨이 공작에 포섭된 왕징웨이가 왕징웨이 정권을 수립, 린썬에게 난징으로 돌아와 일본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지만, 일언지하에 거부하고 충칭에서 항일전쟁을 수행했다.

2.5. 사망

이후 1943년 5월 12일, 임시 수도 충칭에서 신임 캐나다 대사와 만나기 위해 차를 타고 가던 중 변을 당하고 만다. 린썬의 관용차는 일찍이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선물한 차로, 매우 튼튼한 차라서 평소에 사고가 없었고 운전사도 능숙한 인물이라서 그간 별일이 없었으나 그날 린썬의 일정이 조금 늦은 관계로 린썬의 운전사가 다소 빠르게 운전했는데 회전을 하던 도중에 대형 트럭을 피하려다가 가로수를 박고 사고가 발생했다. 린썬은 머리를 크게 부딪혔고 처음에는 별 일 없다고 해서 일정을 계속 수행하려 했으나 기절하여 병원에 옮겨졌고 결국 뇌출혈로 사망했다.

후임 주석은 장제스였다. 장제스가 그의 국장에 참석하느라 카이로 회담 일정이 늦어졌다. 그의 시신은 충칭에 안장되었는데 충칭에 있는 유일한 국가 원수의 묘라고 한다. 하지만 린썬의 묘는 문화대혁명 당시에 홍위병들의 손에 폭파되고 시신은 홍위병들이 끌어내서 불살라버렸다. 1979년에 이르러서야 그의 묘가 복원되었다.
파일:external/imgtu.lishiquwen.com/7359c75650f163a5b9c166831dd71a1b.jpg
충칭 통신 대학 근처의 린썬의 묘다. 현재는 충칭 시의 보호를 받는 문화재이다.

읽어보면 알겠지만 신해혁명에서 중일전쟁까지 정치적 격동을 직접 몸으로 체험한 사람이다. 언뜻 보기에는 갑툭튀한 허수아비로 보이겠지만 나름대로 험난한 인생 역경을 헤쳐오면서 살아온 사람이었다. 그의 첫 정치경력이 청나라 관리였을 정도였다.

3. 주요 경력

난징 국민정부 역대 주석
파일:대만 국장.svg
2대 대행 3대
장제스 린썬
(1931년 12월 15일 ~ 1932년 1월 1일)
린썬
대행 3대 대행
린썬 린썬
(1932년 1월 1일 ~ 1943년 8월 1일)
장제스
난징 국민정부 역대 입법원장
파일:중화민국 입법원 휘장.svg
1대 2대 3대
후한민 린썬
(1931년 3월 2일 ~ 1932년 1월 1일)
장쥐

4. 기타

파일:external/www.lilychen.net/Taipei_Parks_21.jpg
* 서거 후 중국 각지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일부 도로명을 린썬로(林森路)로 개명했다. 이 중 대륙에 있던 린썬로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전부 개명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주요 대도시에 린썬로가 있다. 각 도시들마다 있는 중산로(中山路)와 평행하는 도로로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타이베이의 林森北路, 林森南路가 있다.

5. 매체에서

6. 참고문헌

7. 관련 문서

7.1. 사건



[1] 지금의 푸젠성 푸저우시 민허우현(閩侯縣)[2]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충칭시[3] 다만 본인에겐 예외였는지 생전 결혼을 여러번 했고 심지어 노년에 10대였던 수양딸을 후처로 삼았다 한다. 사실 근현대시기 중국의 지도자급 인물들은 저우언라이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여성편력이 복잡한 편 이다.[4] "장제스의 만수 무강을 기원한다"(介石之壽)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총통부를 관통하는 대로의 이름이기도 했는데, 1990년대에 대만 원주민 민족 가운데 하나인 케타갈란(카이다거란, 凱達格蘭)의 이름으로 바뀌었다.[5] 참고로 이건 같은 아시아 국가인 이라크 왕국도 마찬가지로 1936년 시나리오로 시작하면 (소련의 침공을 받지 않는다면)1939년 4월 5일에 사망해야 하는 가지 1세가 게임이 끝날때 까지 살아있다, 단. 1939년 시나리오에는 역사대로 파이살 2세가 국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