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폭싹 속았수다"><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폭싹 속았수다|
]]
- [ 등장인물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d0ba64><bgcolor=#0e5106><color=#ffffff><-2>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OST ]
- ||<tablewidth=100%><tablebgcolor=#d0ba64><tablecolor=#0e5106><nopad>
[[폭싹 속았수다/음악#s-2.1| 1막밤 산책]]d.ear
2025. 03. 08.[[폭싹 속았수다/음악#s-2.1| 1막청춘가]]추다혜
2025. 03. 08.[[폭싹 속았수다/음악#s-2.1| 1막너영나영]]
[[아티스트|안은경, 심은용]]
2025. 03. 08.[[폭싹 속았수다/음악#s-2.1| 1막이름]]
[[곽진언|곽진언]]
2025. 03. 08.[[폭싹 속았수다/음악#s-2.2| 2막활활]]
[[So!YoON!|황소윤]]
2025. 03. 15.[[폭싹 속았수다/음악#s-2.2| 2막희망의 나라로]]
[[최백호|최백호]]
2025. 03. 15.[[폭싹 속았수다/음악#s-2.3| 3막밤 산책]]아이유
2025. 03. 22.[[폭싹 속았수다/음악#s-2.3| 3막내사랑 내곁에]]홍이삭
2025. 03. 22.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colbgcolor=#d0ba64><colcolor=#0e5106> NETFLIX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2025) When Life Gives You Tangerines | |||
파일:폭싹 속았수다 봄 포스터.jpg | |||
언어별 제목 |
| ||
장르 | 로맨스, 시대극[1], 드라마, 휴먼, 가족, 청춘 | ||
공개일 | 2025년 3월 7일 ~ 2025년 3월 28일[2] | ||
공개 회차 | 16부작 | ||
제작사 | 팬엔터테인먼트, 바람픽쳐스 | ||
제작비 | 미상[3] | ||
제 작 진 | <colbgcolor=#d0ba64><colcolor=#0e5106> 연출 | 김원석 | |
극본 | 임상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0ba64><colcolor=#0e5106> 제작 | 박상현, 박호식 | |
프로듀서 | 홍수환, 전수정 | ||
촬영 | 최윤만, 김동수, 임지영 | ||
미술 | 류성희, 최지혜 | ||
CG | M83 | ||
VFX | 송용구 | ||
음악 | 박성일 | ||
편집 | 김진오 | ||
조명 | 김희태 | ||
의상 | 심현섭 | ||
조연출 | 김경은, 황인성 | }}}}}}}}} | |
출연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外 | ||
촬영 기간 | 2023년 3월 18일 ~ 2024년 2월 3일 | ||
<nopad> 독점 스트리밍 | [[넷플릭스| NETFLIX ]] | ||
시청 등급 | |||
링크 | \ |
1. 개요
여전히 꽃잎 같고, 여전히 꿈을 꾸는 당신에게 제주에서 태어난 '당차고 요망진 반항아' 애순이와 '팔불출 무쇠' 관식이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넷플릭스 시리즈 |
==# 공개 정보 #==
- 2022년
- 8월 5일, 김원석 감독과 임상춘 작가가 협업하기로 하고 본격적인 작품의 기획 작업에 들어갔다. 또한 제목은 <인생>(가제)으로 빠르면 2023년 하반기에서 늦으면 2024년 상반기에 만나볼 수 있을 전망으로 밝혀졌다. #
- 8월 26일, 아이유가 여주인공으로 출연을 제안받고 최종적으로 검토 중이라는 정보가 밝혀졌다. # 또한 박보검이 남주인공으로 낙점되었다는 정보가 밝혀졌으나 몇 시간 후 소속사 측에서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1 #2
- 12월 22일, 류성희 미술감독의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 제작에 참여한다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
- 2023년
- 1월 27일, 아이유와 박보검이 각각 주인공 '애순'과 '관식' 역할에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또한 당초 〈인생〉이라는 가제로 알려졌던 제목은 〈폭싹 속았수다〉로 밝혀졌다. #
- 1월 30일, 문소리와 박해준이 각각 '애순'과 '관식'의 장년 시절 역할에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2월 28일, 최대훈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배역명은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드라마 촬영이 3월부터 시작된다는 정보도 함께 밝혀졌다. #
- 3월 10일, 나문희와 김용림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전체 대본 리딩에 참석하였다고 한다. #
- 3월 15일, 이준영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대본 리딩에 참석하였으며 주요 배역 중 하나로 출연한다고 한다. #
- 4월 4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다는 정보가 공시되었다. #
- 5월 12일, 이수경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김원석 감독과 미팅까지 마친 후 대본리딩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6월 23일, 백지원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7월 25일, 오정세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7월 27일, 김선호가 특별출연한다는 기사가 공개됐다. #
- 8월 24일, 정이서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9월 5일, 이수미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9월 16일, 염혜란의 인터뷰를 통해 '폭싹 속았수다'가 차기작이라는 정보가 나왔다. #
- 2024년
- 1월 30일, 넷플릭스 공개가 확정되었다. #
- 11월 18일, 김성령의 인터뷰를 통해 여배우 역할로 특별출연한다는 정보가 나왔다. #
- 12월 21일, 김원석 감독이 내년 2025년 3월 공개 예정이라고 밝혔다. #
- 2025년
- 2월 4일, 2025년 넷플릭스 라인업에 공개되었다. 영상
1.1. 예고편
▲ 공개일 발표 | ▲ 티저 예고편 |
▲ 공식 예고편 | ▲ 2막 예고편 |
▲ 3막 예고편 | ▲ 4막 예고편 |
1.2. 포스터
파일:폭싹 속았수다 봄 포스터.jpg | |
▲ 봄 포스터 ( | ▲ 여름 포스터 ( |
| |
▲ 가을 포스터 | ▲ 겨울 포스터 ( |
1.3. 메이킹
1.4. 스틸컷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e5106> 분류 | 제목 | 출연 | 링크 |
<colbgcolor=#f5f5f5,#2d2f34> 대본 리딩 | 김원석 PD, 임상춘 작가,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이 그려낼 울림 가득한 이야기 <폭싹 속았수다>, 넷플릭스 공개 확정.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 | |
- | 제주에서 태어난 ‘요망진 반항아’ 애순이와 ‘팔불출 무쇠’ 관식이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넷플릭스 시리즈 | 아이유, 박보검 | | |
애순과 관식의 다채로운 여정, <폭싹 속았수다> 3월 7일 1막 공개. | | |||
누구에게도 기죽지 않는 꿈 많은 문학소녀 애순과 어떤 힘든 것도 군소리 없이 해내는 팔불출 무쇠 관식. 그리고 그들의 찬란한 인생을 함께 완성하는 사람들.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김용림, 나문희, 염혜란, 오민애, 차미경, 이수미, 백지원, 최대훈, 장혜진, 정해균, 오정세, 엄지원 | | ||
제작 발표회 | 요망진 봄처럼 설렘 가득 안고 애순과 관식이 만났습니다🍊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 | |
1막 | 함께 울고 함께 웃고, 온 마음을 나눴던 애순과 관식의 봄🍊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염혜란, 김태연 | | |
2막 | 삶의 무게 속 더 단단해진 애순과 관식의 인생 2막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이준영 | | |
영원히 도동리에 서성이게 되…🍊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염혜란, 나문희, 안태린 | | ||
3막 | 바야흐로,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었고, 그 자락자락한 것들이 영그는 계절이었다. | 아이유, 문소리, 박해준, 이준영, 강유석 | | |
4막 | 새천년의 겨울, 우리는 저마다 사고 칠 준비를 하고 있었다. | 아이유, 문소리, 박해준, 최대훈, 장혜진, 강유석 | | |
화보 | 애순관식 당도 제철 귤보다 달아요🍊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 | |
넷컷 | 애순관식즈, 잘도 아꼽다🍊 | | ||
백일장 | 필력 대결 하러 왔다가 깜짝 선물까지 받았수다🌼 | 아이유, 박보검 | |
1.5. 콘텐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자체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e5106> 분류 | 제목 | 출연 | 링크 |
<colbgcolor=#f5f5f5,#2d2f34> 홍보하러 온 건 맞는데 | 작은애순 아이유 & 큰애순 소리와 폭싹 수다 떨었수다 | 아이유, 문소리 | | |
여전히 사랑에 빠진 무쇠 관식이와 학씨 아저씨 | 박해준, 최대훈 | | ||
리액션 | 아이유 & 박보검과 함께 보는 애순 & 관식 커플 애틋 모멘트들🌼🍊 | 아이유, 박보검 | | |
찐 애순이들 등장!🍊 그림으로 제주를 그려온 그림할망들의 《폭싹 속았수다》 리액션 영상 | 제주 그림할망 | | ||
큰애순이 또 울어요🥲 애순, 관식, 금명 본체들의 《폭싹 속았수다》 2막 하이라이트 리액션 | 아이유, 문소리, 박해준 | | ||
시청자 모드 ON, 서로의 연기에 또 뭉클한 애순이들과 관식이들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 | ||
반말 키워드 인터뷰 | 우리는 애순이가 너~무 좋아 | 아이유 | | |
넷컷 인 더 부스 | 아꼬운 애순이들과 관식이들🧡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 | |
직접 쓰는 프로필&인생그래프 | 애순이의 SNS 아이디는 뭘까?🔍 아이유 & 문소리가 쓰는 애순이 프로필과 인생그래프🍊 | 아이유, 문소리 | | |
애순이의 행복은 나의 행복🧡 박보검 & 박해준이 쓰는 관식이 프로필 & 인생그래프 | 박보검, 박해준 | | ||
이심전심 | 아기쀼가 영원히 나를 웃김🤣 아이유 & 박보검의 이심전심🍊 | 아이유, 박보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e5106> 분류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colbgcolor=#f5f5f5,#2d2f34> 웹예능 | 짠한형 | EP. 81 신동엽도 말려든 기존쎄 언니의 서사🤣🔥 왕년에 군기 잡고 그랬지? | 문소리 | | |
핑계고 | 봄 향기는 핑계고ㅣEP.70 | 아이유, 박보검 | | ||
유인라디오 | [만날사람인나] EP.9-1 보검 씨 서프라이즈 좋아하신다면서요? | 박보검 1부 | | |||
[만날사람인나] EP.9-2 당장 박보검&아이유 폭싹즈를 찵여오너라 | 박보검 2부 | | ||||
살롱드립 | 아이유 아이유 하는 이유 | EP. 81 아이유 | 아이유 | | ||
나래식 | 문소리X박해준 | 요망진 애순♥관식 | 폭싹 가족 모임 비하인드,첫사랑, 프러포즈썰,부산 사투리 | 문소리, 박해준 | | ||
이지금 | [미니 팔레트] 동갑 케미 달아요 '검'나 달아요🍊(With 박보검) Ep.1 | 아이유, 박보검 | | ||
방송 | | 아이유(애순) + 박보검(관식)🌼산골 소년의 사랑 이야기(가수: 예민) \[가요무대/Music Stage] | KBS 250310 방송 | | ||
자체 콘텐츠 | 이지금 | [IU TV] 얼굴만 봐도 즐거운 관식이네 회사 탐방 vlog (feat. 가요무대) | | ||
박보검 | 박보검 가요무대 WITH IU BEHIND FILM | | |||
엄지원 | 폭싹 속았수다 민옥이~ 엄지원의 촬영장 브이로그🎬 | 엄지원 | |
2. 시놉시스
당차고 야무진 소녀와 우직하고 헌신적인 소년. 제주 바닷가 작은 마을에서 한 뼘씩 자라온 두 사람의 인생은 어디로 향할까. 넘어지고 좌절해도 다시 일어서며, 세월을 뛰어넘어 피어나는 사랑 이야기.
3.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싹 속았수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싹 속았수다/등장인물#|]][[폭싹 속았수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음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싹 속았수다/음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싹 속았수다/음악#|]][[폭싹 속았수다/음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rowcolor=#0e5106> 파트 | 표지 | 발매일 | 곡명 | 아티스트 | 링크 |
1막 | 2025. 03. 08. | <colbgcolor=#f5f5f5,#2d2f34> 밤 산책 | d.ear | | |
청춘가 | 추다혜 | ||||
너영나영 | 안은경, 심은용 | ||||
이름 | 곽진언 | ||||
2막 | 2025. 03. 15. | 활활 | 황소윤 | | |
희망의 나라로 | 최백호 | ||||
3막 | 2025. 03. 22. | 밤 산책 | 아이유 | | |
내사랑 내곁에 | 홍이삭 |
5. 에피소드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e5106> 회차 | 부제 | 공개일시 | 러닝 타임 |
<colbgcolor=#f5f5f5,#2d2f34> 1막 | ||||
1회 | 호로록 봄 | 2025. 03. 07. (17:00, KST) | 57분 | |
억척스러운 어머니 아래서 야무지고 똘똘하게 자라난 애순. 그 작은 마음속에 헤아릴 수 없도록 많은 꿈을 품고 산다. 하지만 자꾸 서러운 일들이 닥치며 어린 애순을 힘들게 한다. | ||||
2회 | 요망진 첫사랑 | 2025. 03. 07. (17:00, KST) | 54분 | |
애순과 관식 사이에 유채꽃처럼 환환 사랑이 피어난다. 인생은 낙장불입, 굳게 마음먹고 사랑의 모험을 감행하는 두 청춘. 그런데 인생은 예측 불허, 첫걸음부터 험한 고비에 부닥칠 줄이야. | ||||
3회 | 예스터데이. "그들의 봄은..." | 2025. 03. 07. (17:00, KST) | 63분 | |
떠들썩한 소동 끝에 제주로 돌아온 애순과 관식. 마음대로 되는 게 하나 없는 애순은 말도 안 되는 운명에 자신을 내맡기려 한다. 애순만 보고 살던 관식은 애타는 마음을 어찌하면 좋을까. | ||||
4회 | 꽈랑꽈랑 여름 | 2025. 03. 07. (17:00, KST) | 59분 | |
화창한 여름날의 더불어 행복한 꿈꾸던 신혼부부. 하지만 시집살이란 그리 녹록하지가 않다. 모진 구박을 받으면서도 애순은 아이에게만은 다른 인생을 선물하고 싶다. | ||||
2막 | ||||
5회 | 한여름 밤의 만선 | 2025. 03. 14. (16:00, KST[S]) | 61분 | |
관식은 어떻게든 일자리를 구하려 애쓰고 애순은 가족 걱정에 눈물이 난다. 피가 마르는 그 순간, 두 사람에게 찾아든 한 줄기 희망. 애순은 제주에서 활짝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려 한다. | ||||
6회 | 살민 살아진다 | 2025. 03. 14. (16:00, KST) | 57분 | |
새로운 인생의 기쁨을 맛보며 날마다 행복한 애순과 관식. 하지만 하늘이 변덕을 부리던 어느 여름날, 어린 부부에게 사나운 태풍이 몰아친다. | ||||
7회 | 자락자락 가을 | 2025. 03. 14. (16:00, KST) | 64분 | |
구린 구석이 많은 상대 후보에 맞서, 애순이 도동리 최초 여성 계장에 도전한다. 한편, 생각지도 못한 유혹을 받는 금명. 엄청난 대가 앞에 금명의 양심이 시험에 든다. | ||||
8회 | 변하느니 달이요, 마음이야 늙겠는가 | 2025. 03. 14. (16:00, KST) | 63분 | |
하고 싶은 것도 많고 되고 싶은 것도 많은 금명. 드디어 일본에서 유학할 기회를 얻는다. 어쩌면 애순과 관식도 오랫동안 바라왔던 꿈을 하나 이룰 수 있을 것 같다. | ||||
3막 | ||||
9회 | 바람은 왱왱왱 마음은 잉잉잉 | 2025. 03. 21. (16:00, KST) | 49분 | |
비좁은 아파트에서 복닥거리며 사는 애순과 관식. 어딘가 관식을 닮은 10대 아들 은명 때문에 두 사람은 새로운 시험과 맞닥뜨린다. 한편, 금명은 새로운 기대와 함께 서울 생활을 시작한다. | ||||
10회 | 품 안의 바람 품 안의 사랑 | 2025. 03. 21. (16:00, KST) | 57분 | |
금명은 남다른 인연으로 만난 동료와 점점 가까워진다. 밤마다 찾아오는 불길한 꿈에 걱정을 떨치지 못하는 애순. 엄마의 직감이 뭔가를 알려주려 하는지도 모른다. | ||||
11회 | 내 사랑 내 곁에 | 2025. 03. 21. (16:00, KST) | 63분 | |
변함없이 자신을 아껴주는 연인과 결혼을 준비하는 금명. 하지만 마음 깊은 곳 불안함은 어찌할 수가 없다. 애순의 첫사랑이 그랬듯이, 금명의 첫사랑도 행복한 결말을 맞을 수 있을까. | ||||
12회 | 펠롱펠롱 겨울 | 2025. 03. 21. (16:00, KST) | 59분 | |
상처가 남은 채로 제주에 내려온 금명. 오랜만에 어린 시절로 돌아간 듯 부모와 따뜻한 시간을 보낸다. 속절없이 흐르는 세월 속에 애순은 사랑하는 이들과 보내는 시간이 새삼 소중해진다. | ||||
4막 | ||||
13회 | 그추룩 짝사랑 | 2025. 03. 28. (16:00, KST) | 62분 | |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금명의 일자리에도 문제가 생긴다. 좀처럼 빛이 들지 않던 어느 날, 우연히 낯익은 사람과 마주치는 금명. 금명의 인생에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시작이 찾아든다. | ||||
14회 | 훨훨 날라, 훨훨 날아 보켜 | 2025. 03. 28. (16:00, KST) | 65분 | |
감당 못 할 불운에 발이 걸려 넘어진 은명. 그런 아들을 구하기 위해 애순과 관식은 무엇이든 내던질 각오를 한다. 또다시 빈손이 되더라도, 온 가족이 똘똘 뭉쳐 헤쳐 나갈 수 있을 테니까. | ||||
15회 | 만날, 봄 | 2025. 03. 28. (16:00, KST) | 69분 | |
사업을 시작하거나 과감한 선택을 하며 식구들이 일제히 사고를 친다. 그 길에서 만난 저마다의 장애물. 아무리 힘들어도 가족이 있기에, 주먹을 불끈 쥐고 모두 함께 앞으로 나아간다. | ||||
16회 | 폭싹 속았수다 | 2025. 03. 28. (16:00, KST) | 85분 | |
그동안 고생한 보람이 한꺼번에 돌아오나 보다. 몸은 고되어도 웃음이 절로 나고 천년만년 살고 싶은 나날, 느닷없는 시련이 가족들을 덮친다. 이번에도 무쇠 같은 의지와 사랑으로 견뎌낼 수 있을까. |
6. 흥행
넷플릭스 공식 순위 | ||||
<rowcolor=#0e5106> 날짜 | 전체 순위 | 비영어 순위 | 시청 시간 | 시청수 |
2025-03-03(월) ~ 2025-03-09(일) | 10위 | 4위 | 13,900,000시간 | 3,600,000회 |
2025-03-10(월) ~ 2025-03-16(일) | 3위 | 2위 | 48,100,000시간 | 6,000,000회 |
2025-03-17(월) ~ 2025-03-23(일) | 3위 | 1위 | 65,500,000시간 | 5,500,000회 |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넷플릭스 주요 국가 일간 최고 순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국가 | 최고 순위 | 달성 날짜 |
| - | - | |
| 3위 | 2025년 3월 8일 | |
| - | - | |
| - | - | |
| - | - | |
| 3위 | 2025년 3월 12일 | |
| 2위 | 2025년 3월 9일 | |
| 9위 | 2025년 3월 16일 | |
| 8위 | 2025년 3월 16일 | |
| 2위 | 2025년 3월 10일 | |
| - | - | |
| 1위 | 2025년 3월 8일 | |
| 5위 | 2025년 3월 29일 |
플릭스패트롤 월드 순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순위 | 점수 | 1위 국가수 |
1화 ~ 4화 공개 | ||||
2025-03-08(토) - 1일 차 | 8위 | 228점 | 4개국 | |
2025-03-09(일) - 2일 차 | 6위 | 298점 | 10개국 | |
2025-03-10(월) - 3일 차 | 6위 | 305점 | 12개국 | |
2025-03-11(화) - 4일 차 | 6위 | 335점 | 13개국 | |
2025-03-12(수) - 5일 차 | 6위 | 355점 | 11개국 | |
2025-03-13(목) - 6일 차 | 6위 | 342점 | 14개국 | |
2025-03-14(금) - 7일 차 | 5위 | 309점 | 7개국 | |
5화 ~ 8화 공개 | ||||
2025-03-15(토) - 8일 차 | 5위 | 315점 | 6개국 | |
2025-03-16(일) - 9일 차 | 5위 | 339점 | 9개국 | |
2025-03-17(월) - 10일 차 | 5위 | 327점 | 9개국 | |
2025-03-18(화) - 11일 차 | 6위 | 304점 | 9개국 | |
2025-03-19(수) - 12일 차 | 5위 | 312점 | 9개국 | |
2025-03-20(목) - 13일 차 | 6위 | 313점 | 8개국 | |
2025-03-21(금) - 14일 차 | 7위 | 243점 | 5개국 | |
9화 ~ 12화 공개 | ||||
2025-03-22(토) - 15일 차 | 4위 | 287점 | 5개국 | |
2025-03-23(일) - 16일 차 | 4위 | 294점 | 6개국 | |
2025-03-24(월) - 17일 차 | 4위 | 288점 | 6개국 | |
2025-03-25(화) - 18일 차 | 4위 | 287점 | 6개국 | |
2025-03-26(수) - 19일 차 | 5위 | 273점 | 5개국 | |
2025-03-27(목) - 20일 차 | 5위 | 257점 | 3개국 | |
2025-03-28(금) - 21일 차 | 6위 | 255점 | 3개국 | |
13화 ~ 16화 공개 | ||||
2025-03-29(토) - 22일 차 | 6위 | 314점 | 4개국 | |
2025-03-30(일) - 23일 차 | - | - | - | |
2025-03-31(월) - 24일 차 | - | - | - | |
2025-04-01(화) - 25일 차 | - | - | - | |
2025-04-02(수) - 26일 차 | - | - | - | |
2025-04-03(목) - 27일 차 | - | - | - | |
2025-04-04(금) - 28일 차 | - | - | - | |
출처: FlixPatrol | }}}}}}}}} |
- 공개 다음 날인 3월 8일, 넷플릭스 전세계 8위를 기록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곧바로 1위를 차지했으며 홍콩과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 공개 3일 차인 3월 9일, 넷플릭스 전세계 6위로 2단계 상승했다. 대한민국과 홍콩,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카타르, 대만, 태국, 베트남에서 1위를 차지했다.
- 공개 7일 차인 3월 14일, 넷플릭스 전세계 5위로 또 한 단계 상승했다. 대한민국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베트남에서 1위를 차지했다.
- 공개 15일 차인 3월 22일, 넷플릭스 전세계 4위를 차지했다.
- 공개 3주 차에 글로벌 비영어 부문 1위를 차지했다. # 동시에 42개국에서 TOP 10, 6개국 1위를 기록했다.
- 3월 25일, 한국갤럽 설문조사 결과 '2025년 3월 한국인이 좋아하는 방송영상프로그램'에서 6.9%의 선호도를 기록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 OTT 드라마로서는 역대 다섯 번째로 갤럽 조사 1위를 차지한 것이며,[5] 〈더 글로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선호도를 기록했다.
- 3월 30일기준 시간당 조회수 6천 5백만으로 넷플릭스 전세계 2위를 차지하였다.
7.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IMDb=tt26471411, IMDb_user=9.3,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when_life_gives_you_tangerines,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98,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when-life-gives-you-tangerines, 레터박스_user=4.5,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35957,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3.5,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5249436, 키노포이스크_user=9.4,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Filmarks=16123/21766, Filmarks_user=4.3,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6053256, 도우반_user=9.5,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lObDmD, 왓챠_user=4.5,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20010, 키노라이츠_light=94.37, 키노라이츠_star=4.5,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TMDB=219246, TMDB_user=91, ## TMDB_highlight=display,
MyDramaList=735043-life, MyDramaList_user=9.2,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JustWatch=pogssag-sogasssuda, JustWatch_user=35, ## JustWatch_highlight=display,
'2025년 상반기 최고의 드라마'라는 호평이 많으며 기대작다운 면모를 보여줬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특히 1화의 염혜란과 6화의 아이유, 박보검의 압도적인 연기력이 많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극의 몰입도를 높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특히 아이유는 극중 애순의 젊은 시절과 금명의 청년-장년 시기의 1인 2역을 연기하며 두 캐릭터의 상반된 성격 차이를 잘 그려냈으며, 극중 금명의 목소리로 나오는 상당한 분량의 내레이션을 훌륭하게 소화하여 목소리만으로 감정을 전달해야 하는 가수 출신 연기자의 장점을 잘 살렸다는 평을 받는다.
연출 역시 훌륭했는데, 6화에서 애순이 처음부터 우는 것이 아닌 넋이 나간 상태에서 동명이를 안으며 구급차를 애타게 찾는 장면과 그 모습을 본 관식이 무릎을 꿇고 포효하듯이 우는 장면은 신파처럼 갑자기 휘몰아치는 슬픔이 아니라 탄탄하게 빌드업을 쌓아 올리며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감정이 동요되도록 했다. 이 때문에 본 작의 가장 슬픈 장면이자 명장면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전체 에피소드가 공개된 이후에도 '감히 한국 드라마 역사상 최고의 드라마', '인생 드라마'라는 긍정적 평가가 쏟아졌다. 최근 많은 한국 드라마들이 초반부에 비해 중후반부의 전개 방식이나 결말에 있어서 흡입력과 완성도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은 사례가 많았는데, 이 드라마는 처음부터 끝까지 길이 남을 완성도를 보여주었다고 국내외 시청자들은 평가하고 있다. # #
각본에 대한 호평과 함께 '믿고 보는 임상춘'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는 평이다. 물론 방영 전부터 높은 제작비가 들었다는 소식에 스케일이 큰 드라마일 거라 생각하고 본 시청자들은 심심했다는 평도 존재하나, 이는 내용상 자극적인 신과 액션신이 없어서 그런 것이고, 제작비는 섬 마을 하나를 통째로 만들었기 때문에 많이 들어간 것이다.
시청자들의 호평과 더불어 각종 평론 사이트들에서 받은 평가도 눈길을 끌었다. 1막이 공개된 시점부터 마지막 에피소드가 공개됐을 때까지 IMDb 9.3점, 로튼토마토 점수 98%, 왓챠피디아 4.5점, 더우반 9.5점 등 매우 높은 평점을 유지했으며, 이는 한국 드라마 중 가장 높은 평점이다.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 중 불과 3년 전에 방영된 〈우리들의 블루스〉와 결이 비슷한데,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회상[6]과 제주도 방언[7], 해녀(잠녀)들의 삶[8], 여러 인물들의 서사가 얽혀진 작품이란 점에 있어서 특히나 많은 비교를 받고 있다.
8. 촬영지
9. 기타
9.1. 드라마 관련
- 제목인 '폭싹 속았수다'는 '수고 많으셨습니다'라는 뜻의 제주 방언이나[11] 제주 방언에 익숙하지 않은 대다수의 관객들은 '완전 속았다'[12], '폭삭 삭았다' 등 전혀 다른 뜻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곧잘 있었다.[13]
- 1막은 한국 시각 기준 금요일 17시에 공개되었고, 2막부터 4막까지는 미국의 서머타임 시행으로 매주 금요일 16시에 공개되었다.
- 오애순 역의 아이유를 양금명 역으로 1인 2역을 하도록 하기 위해 오애순과 양관식을 연기하는 배우들이 1974년생(공개 당시 나이가 50세)인 문소리와 1976년생(공개 당시 나이가 48세)인 박해준으로 바뀐 데다가 분장을 해서 배우들의 본 모습보다 더 늙게 보이게 되었다.[14][15]
- 영어 제목 'When Life Gives You Tangerines'은 '인생에서 고난을 맞이했을 때'를 의미하는 'When life gives you lemons(삶이 너에게 레몬들을 줄 때)'라는 명언에서 '레몬'[16] 대신 제주도의 특산품이 귤이라는 걸 고려하여 'Tangerines'을 넣는 식으로 변형했다.[17]
- 번체중국어 제목 '苦盡柑來遇見儞'는 사자성어 苦盡甘來(고진감래)의 '甘(달 감)'을 '柑(귤 감)'으로 바꾼 것이다. 해당 명칭은 대만 넷플릭스 정규 제목이지만, 넷플릭스가 정식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중국에서도 해당 명칭으로 리뷰가 버젓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느 국내 OTT 콘텐츠와 마찬가지로 불법으로 시청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 일본어 제목 'おつかれさま'는 '수고하셨습니다'로 별다른 방언이나 언어유희를 섞지 않고 그대로 직역한 제목이다.
- 전 회차 공개 방식을 고수하던 넷플릭스에서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최초로 4주에 걸쳐 매주 4부씩 공개했다.
넷플릭스 시리즈 부문 배종병 시니어 디렉터는 “저희는 창작자와 논의를 통해 창작 의도에 맞게 시청자가 즐길 수 있는 공개 방식을 선택했다”며 “‘폭싹 속았수다’도 처음부터 4막으로 펼칠 작품이라고 감독, 작가와 이야기를 나눴다. 시청자도 그렇게 즐길 수 있게 하자는 취지에서 공개 방식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
- 작중 주요 배경이 제주도이긴 하지만 용수리의 해변가, 성산일출봉 등을 빼면 제주도가 아닌 안동시에 마을 단위로 지은 세트장에서 대부분의 장면을 촬영했다. 실제로 배까지 해당 세트장에 옮겨 와 촬영했고 바다를 비롯한 상당수의 장면을 CG로 대체했는데, 이는 출연진이나 넷플릭스 측에서 공개한 비하인드를 보면 대다수의 장면에 블루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통해 알 수 있다.
- 드라마 촬영 기간중 고창군의 청보리 축제에 갔던 어느 관광객과 갈등[18]을 빚은 적이 있었고 이게 공론화 되자 제작사 측에서 즉각 사과하며 향후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 그러나 해당 사건은 기존에 알려진 방송사 측의 행패와 관련된 사건들과 무관하게 전적으로 관광객 측의 실수로 벌어진 사건으로 밝혀졌다.[19] 관광객이 들어가려던 유채꽃밭은 공유지가 아닌 사유지이며, 부지 소유자와 정식으로 계약한 후[20] 드라마 팀이 해당 지역을 빌려 촬영을 진행하고 있던 터라 부지를 실질적으로 임차한 촬영진 측에서 정당한 권리를 행사했을 뿐이었기 때문이다. 축제를 주관한 고창군청은 이에 대해 이를 사전에 알지 못하였다 변명하였으나, 애초에 이게 사실이든 아니든 결과적으로 고창군청의 미흡한 관광객 통제 조치로 관광객과 촬영팀 간에 불필요하게 갈등을 불러일으킨 것이다.[21]
- 시대극이며 제주도 배경이라 그런지 2004년 전도연, 박해일 주연의 〈인어공주〉와 닮은 점이 많다는 의견이 있다. 여자 주인공의 1인 2역(엄마/딸 역), 제주도 배경, 엄마 역들의 해녀 이야기, 엄마와 아빠의 연애 스토리, 여자 주인공의 이름이 비슷한 점 등 유사성이 많다.
-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인 1950년대 제주도는 제주 역사상 최악의 참사 중 하나인 제주 4.3 사건이 벌어진 시기이기도 해서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있었으나, 작중에선 관련 묘사가 없다.[22] 제작진 또한 해당 사건에 관한 언급은 일체 하지 않아 애상의 유아기 시점에선 해당 사건과 크게 상관없는 시기로 밝혀졌다.
- 애순이 이모라고 부르는 엄마 광례의 동료 잠녀 홍경자가 숨병걸려서 일을 못하는 다른 잠녀를 돕지 않으려는 광례를 타박하면서 피난을 올 때 대려오지 말았어야 했다는 말을 하는 것으로 보아 한국전쟁을 피해 육지에서 피난을 와서 제주도 남자 오한규와 결혼해서 애순을 낳은 것이 아닐까하는 추측도 된다. 그런데 임광례, 홍경자 모두 제주도 사투리를 쓰는 것을 봐서 둘 다 제주도 사람이고 혹시 4.3 사태 때 섬 안쪽에 살다가 해안선에서 5km 이상 떨어진 중산간 마을에 살다가 토벌대의 무차별 학살을 피해 바닷가라서 비교적 안전한 도동리로 피난을 온 게 아난가하는 추측도 가능하다. [23]
- 과거 향수를 자극하는 시대극인 데다 아이유와 박보검의 압도적인 연기력과 조연들 역시 연기력으로 정평이 난 배우들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드라마의 몰입도가 높아서 자기도 모르게 보다가 우는 시청자가 많다고 한다. 넷플릭스 측도 이 사실을 진작 예상했는지 드라마의 첫 콜라보 상품이 바로 크리넥스 곽티슈 세트였다. #. 포토카드와 스티커가 사은품으로 제공되며, 포토카드는 4종 구성으로 파트별 공개 시점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되어 출고된다고 밝혔다.
- 8화가 공개된 이후 아이유가 밝힌 촬영 비화에 의하면, 8화의 음주 장면은 실제로 현장에서 술을 소량 섭취한 뒤에 촬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 홍조 분장으로 취한 척을 할 수 있었으나 분장으로 홍조를 표현하면 분위기에 다소 맞지 않게 귀여워 보일 수 있다는 이유로 분장 대신 실제로 음주하는 것으로 정했다고 한다.
- 극 중에서 양관식의 병역과 관련된 언급이 없는데, 이는 당시 법적으로 양관식이 4대 독자라는 사유로 군 면제 대상이기 때문이다.[24] 4대 독자의 군 면제 관련 사항은 이후 세대를 거쳐 세세하게 변화를 거치다가 1994년에 폐지되었기에, 1950년생인 양관식이 성인이 되는 해는 1970년 전후이므로 당연하게도 군 면제 대상인 것이다.
- 신문에서 여공을 구인하던 공장의 주소가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감전동 37-6'인데, 해당 지역은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며[25] 현재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37번지'로 바뀌었으며, 해당 부지는 현재 사상근린공원이다. 지금은 쇠락할 대로 쇠락했지만, 과거 사상공단은 명실상부 부산 산업의 중추 중 하나였으며 광활한 부지에 많은 공장이 넓게 존재하였기에 실제로 작중 위치에 공장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 한국사 강사 전한길이 본인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강의에서 본 작품에 출연하였다 밝혔으나 그의 논란 때문인지 혹은 단순히 편집된 건지 작품에 등장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았다. 아마 편집되지 않았더라면 양금명이 스타강사(배역명:한승진)를 스카우트하는 장면에서 두 분을 더 만나기로 했다고 언급하는 장면이 있는데, 그 두 명 중 한 명으로 출연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그의 강의에서 출연에 관해 얘기한 것을 들어보면 스타강사가 스카우트되는 장면과 비슷한 상황이었고, 스타강사 한승진이 TV 프로그램에서 릴레이 명사로 양금명을 지목하는 장면은 발언에 없는 것으로 보아 배우 교체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 시대가 흐를수록 점점 현대화와 관광지가 되어가는 제주도의 고증이 매우 정확하다. 거기에다가 점점 각박해지는 사회상도 같이 묘사했기에 세대를 불문하고 시청자들이 씁쓸해하는 반응을 보여줬다.
9.2. 인물 관련
- 아이유는 tvN 드라마 〈호텔 델루나〉 이후 약 6년 만, 박보검은 tvN 드라마 〈청춘기록〉 이후 약 5년 만의 드라마 작품이며, 박보검의 경우 군복무 이후 복귀작을 겸하기도 한다.[26]
- 아이유는 영화 〈페르소나〉 이후 6년 만에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에 출연한다.
- 아이유와 김원석 감독은 tvN 드라마 〈나의 아저씨〉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 박해준과 김원석 감독은 tvN 드라마 〈미생〉, 〈나의 아저씨〉와 〈아스달 연대기〉에 이어 네 번째로 협업한다.
- 오정세와 김원석 감독은 tvN 드라마 〈미생〉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 오정세와 염혜란, 임상춘 작가는 KBS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 오정세는 다작 배우답게 문소리와는 영화 〈서울대작전〉, 박해준과는 드라마 〈미생〉, 영화 〈탐정: 더 비기닝〉를 최대훈과는 드라마 〈KBS 드라마 스페셜 - 나 곧 죽어〉, 〈모범형사 2〉 나문희와는 영화 〈너는 내 운명〉, 〈레슬러〉를 백지원과는 드라마 〈뷰티풀 마인드〉, 정이서와는 〈하트 투 하트〉를 이수미와는 영화 〈레슬러〉 그리고 염혜란과는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영화 〈거미집〉에서 남편과 아내로 같이 출연하고 공개이후 박보검과 〈굿보이〉에 출연할 예정이고 김해숙과는 〈악귀〉, 〈Mr. 플랑크톤〉에 이어서 출연하고 〈북극성〉에서도 재회할 예정이다.
- 염혜란은 문소리와 드라마 〈라이프〉를 최대훈과는 드라마 〈무법 변호사〉, 〈쌍갑포차〉를 나문희와는 연극 〈잘자요, 엄마〉,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영화 〈아이 캔 스피크〉를 김용림과는 연극 〈잘자요, 엄마〉를 이준영과 드라마 〈마스크걸〉을 이수미와는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마스크걸〉에 같이 출연하였다.
- 아이유와 박해준은 tvN 드라마 〈나의 아저씨〉[27]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다만 두 사람은 전작에서 마주치지 않았다.
- 아이유와 김용림은 KBS2 드라마 〈최고다 이순신〉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 아이유와 문소리는 애니메이션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각각 OST와 성우를 맡았다.
- 김미경과 조재윤은 MBC 금토 드라마 〈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 나문희와 김용림은 MBC 드라마 〈수사반장〉, 〈새엄마〉, 〈안녕〉, 〈아리랑아〉, 〈후회합니다〉, 〈하얀 민들레〉, 〈안국동 아씨〉, 〈전원일기〉, 〈시장 사람들〉, 〈사랑과 진실〉, 〈제2공화국〉, 〈제3공화국〉, 〈남자셋 여자셋〉, 〈사랑한다면〉, 〈아버님 제가 모실게요〉, SBS 드라마 〈청실홍실〉, 〈여자〉, 연극 〈잘자요, 엄마〉, 영화 〈정직한 후보〉, 〈정직한 후보 2〉에 이어 스물 한 번째로 협업한다.
- 시어머니와 며느리 관계로 나온 나문희와 염혜란은 2015년 연극 <잘 자요, 엄마>에서, 주연배우인 어머니와 딸로 출연했다. 김용림도 같은 연극에서 배우 이지하와 함께 어머니와 딸로 출연했다.
- 이수경은 박해준과는 영화 〈침묵〉에서 검사와 피의자 역할로, 박보검과는 영화 〈차이나타운〉,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 같이 출연하였다.
- 백지원은 아이유와는 영화 〈드림〉, 박보검과는 드라마 〈남자친구〉에서 엄마와 아들 역할로, 문소리와는 드라마 〈레이스〉에 같이 출연하였다. 또한 이수미와는 영화 〈니나 내나〉를 염혜란과는 드라마 〈무법 변호사〉, 〈국민 여러분!〉, 〈쌍갑포차〉를 그리고 최대훈과는 드라마 〈무법 변호사〉, 〈17세의 조건〉,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라켓소년단〉, 〈멜랑꼴리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같이 출연하였다.
- 백지원과 임상춘 작가는 KBS 드라마 〈쌈, 마이웨이〉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 이수미는 박해준과 TVING 드라마 〈아직 최선을 다하지 않았을 뿐〉, 영화 〈비상선언〉에, 이준영과 드라마 〈마스크걸〉에 같이 출연하였다.
- 특별출연한 김선호는 이수미와 〈그 남자의 기억법〉에 이어 두 번째로 협업한다.
- 아이유와 박보검은 2012년 CF를 함께 촬영한 적 있다.
- 아이유와 박보검 둘 다 JTBC 예능 〈효리네 민박〉에 알바생으로 출연한 적이 있는데, 이번 작품과 마찬가지로 배경이 제주도였다. 아이유는 시즌 1, 박보검은 시즌 2에 출연했다.
- 박보검은 아이유에 대해 "10대 때 광고 현장에서 처음 만나고, 20대 때 〈프로듀사〉에서 특별출연으로 잠깐 만났고, 30대에 만난 거다. 동갑내기인데 우리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함께 연기하는 게 신기했다" 라고 말했다. #
- 오애순-양관식의 청년 시절을 연기한 아이유, 박보검은 키가 162-182인데 반해 중년 이후를 연기한 문소리, 박해준은 키가 164-185로 중년 이후를 연기한 배우 커플의 키가 더 크다. 허나 두 커플 모두 서로간의 키 차이는 비슷하기 때문에 두 주인공이 같이 섰을 때는 청년 시절이든 중년 이후 시절이든 큰 변화를 느끼기 어렵다. 다만 오애순-양관식의 딸 양금명 또한 아이유가 연기하기 때문에 양금명과 오애순이 서로 같이 서 있는 장면이 나온다면 상황이 좀 어색해질 수도 있다. 4화까지는 양금명과 오애순이 같이 서 있는 장면은 나오지 않았기에 제작진도 이를 의식하는 것 같았지만 이후 2주차 방영 전 공개한 스틸컷 사진에서는 양금명과 오애순이 나란히 서 있는 장면이 등장하기에 제작진 입장에서는 두 배우 간의 키 차이에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 듯 보인다. 딸이 어머니의 젊은 시절을 빼다 박은 외모지만 키가 조금 더 작다는 설정이면 간단히 해결되는 문제이긴 하다.
- 아이유는 극 중 애순이의 성격과 자신의 성격 중에 "지는 것을 싫어하는 점"이 닮았다고 느꼈다고 한다. #
- 아이유가 이 드라마의 촬영기간-촬영 후 구상하고 발표했던 앨범인 The Winning에 담긴 많은 곡들이 이 드라마의 주제의식과 소재와의 연결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해당 앨범의 3번 트랙인 <Shh...>는 어머니에 대한 존경의 의미가 담겨있다는 점에서 이 드라마와 큰 연결점을 가진다는 해석이 여럿 있으며, 타이틀곡인 〈Shopper〉 역시 해당 드라마 속에서 애순이 금명에게, 그리고 애순의 어머니인 전광례가 애순에게 자주 '원하는 것을 다 이루고 가지며 사는 삶을 살라'는 마음을 담은 대사를 자주 하는 것과 관련이 있어 애순과 금명을 연기한 아이유가 작곡 작업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는 해석이 많다.
- 백지원과 차미경은 라켓소년단 이후 4년 만에 재회한다.
- 극중 아이유의 딸 양금명 역할의 아역으로 등장하는 아역배우 신채린 양은 아이유와의 인연을 이어 드라마 촬영 이후 아이유의 월드투어 콘서트 HEREH 서울 체조경기장 공연과 상암 앵콜콘서트 공연에 출연하여 비중있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1부가 끝난 뒤 진행되는 브릿지 파트에서 무대 위로 올라와 연기를 했다. 드라마 촬영 기간 중 아이유가 채린 양을 정말 잘 대해주고 놀아줘서 채린 양도 아이유의 팬이 되었다고. 이외에도 아이유는 이 드라마 촬영중 인연이 된 아역배우들을 자신의 콘서트 초대석에 불러 관람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한다.
- 부용 역의 강명주는 2025년 2월 27일, 생일 전날에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나면서 이 작품이 유작이 되었다.# 제작진은 작품 13화 크레딧 말미에 "세상의 “에메랄드”, 우리의 “프라이드”였던 강명주 배우님을 기억하며."[28] 라고 강명주 배우에 대한 추모사를 남겨 그녀를 애도했다.
- 박보검이 너무 잘생겨서 분장팀의 고민이 많았다고 한다. 햇빛에 많이 그을린 느낌을 연출해 주려고 어두운 파운데이션을 얼굴부터 발목까지 다 칠하고, 박보검은 4~5kg 정도 증량을 했다고 한다. #
10.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드라마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연도 | 방송사 | 제목 | 공동 제작사 |
2020년 | | 청춘기록 | - | |
2021년 | | 오케이 광자매 | 초록뱀미디어 | |
| 라켓소년단 | - | ||
2021년~2022년 | | 두 번째 남편 | MBC C&I | |
2022년 | | 가우스전자 | 링가링 | |
2023년 | | 꽃선비 열애사 | 아폴로픽쳐스, 스튜디오S | |
국민사형투표 | 스튜디오S | |||
| 반짝이는 워터멜론 | - | ||
2024년 | | 돌풍 | - | |
| DNA러버 | 하이그라운드, 아이피박스미디어 | ||
2025년 | | 폭싹 속았수다 | 바람픽쳐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영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연도 | 제목 | 공동 제작사 |
2025년 | 커미션 | DG엔터테인먼트 | |
겨울연가 | |||
미정 | 오디션 109 | 퍼펙트스톰필름 | }}}}}}}}} |
둘러보기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드라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연도 | 방송사 | 제목 | 공동 제작사 |
2021년 | | 킹덤: 아신전 | 스튜디오드래곤, BA엔터테인먼트 | |
| 지리산 | 에이스토리, 스튜디오드래곤 | ||
2022년 |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 스튜디오드래곤 | ||
2023년 | | 레이스 | 슬링샷스튜디오 | |
| 남남 | 아크미디어 | ||
| 도적: 칼의 소리 | 스튜디오드래곤, 얼반웍스이엔티 | ||
| 최악의 악 | 사나이픽처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 무인도의 디바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2024년~2025년 | | 지금 거신 전화는 | 본팩토리 | |
2025년 | | 폭싹 속았수다 | 팬엔터테인먼트 | |
악연 | 영화사월광,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 은수좋은날 | 슬링샷스튜디오 | ||
| 남남 시즌 2 | 아크미디어 | ||
2026년 | | 두 번째 시그널 | BA엔터테인먼트 | |
| 월간남친 | STUDIO X+U, 와이낫미디어 | ||
미정 | 들쥐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영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연도 | 제목 | 공동 제작사 | |
2017년 | 기억의 밤 | 비에이엔터테인먼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제목 | 주연 | 회차 |
<colbgcolor=#f5f5f5,#2d2f34> 좋아하면 울리는 | 김소현, 정가람, 송강 외 | 시즌2 6회 | |
무브 투 헤븐: 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 이제훈, 탕준상, 홍승희 외 | 시즌1 10회 | |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 | 박세완, 신현승, 최영재, 민니, 한현민 외 | 시즌1 12회 | |
킹덤 | 전지현 외 | 아신전 1회 | |
D.P. | 정해인, 구교환, 김성균, 손석구 외 | 시즌1 6회 | |
오징어 게임 | 이정재, 박해수, 오영수, 위하준, 정호연, 허성태, 아누팜 트리파티, 김주령 외 | 시즌1 9회 | |
마이 네임 | 한소희, 박희순, 안보현, 김상호, 이학주, 장률 외 | 시즌1 8회 | |
지옥 | 유아인, 박정민, 김현주, 원진아, 양익준 외 | 시즌1 6회 | |
고요의 바다 | 배두나, 공유, 이준, 김선영, 이무생 외 | 시즌1 8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제목 | 주연 | 회차 |
<colbgcolor=#f5f5f5,#2d2f34> 지금 우리 학교는 | 박지후, 윤찬영, 조이현, 로몬, 유인수, 이유미, 임재혁 외 | 시즌1 12회 | |
소년심판 | 김혜수, 김무열, 이성민, 이정은 외 | 시즌1 10회 | |
안나라수마나라 | 지창욱, 최성은, 황인엽 외 | 시즌1 6회 | |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 유지태, 김윤진, 박해수, 전종서 외 | 파트1 6회파트2 6회 | |
블랙의 신부 | 김희선, 이현욱, 정유진, 박훈, 차지연 외 | 시즌1 8회 | |
모범가족 | 정우, 박희순, 윤진서, 박지연 외 | 시즌1 10회 | |
수리남 | 하정우, 황정민, 박해수, 조우진, 유연석 외 | 시즌1 6회 | |
글리치 | 전여빈, 나나 외 | 시즌1 10회 | |
썸바디 | 김영광, 강해림, 김용지, 김수연 외 | 시즌1 8회 | |
더 패뷸러스 | 채수빈, 최민호, 이상운, 박희정 외 | 시즌1 8회 | |
더 글로리 | 송혜교, 이도현, 임지연, 염혜란, 박성훈, 정성일 외 | 파트1 8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제목 | 주연 | 회차 |
<colbgcolor=#f5f5f5,#2d2f34> 연애대전 | 김옥빈, 유태오, 김지훈, 고원희 외 | 시즌1 10회 | |
더 글로리 | 송혜교, 이도현, 임지연, 염혜란, 박성훈, 정성일 외 | 파트2 8회 | |
퀸메이커 | 김희애, 문소리 외 | 시즌1 11회 | |
택배기사 | 김우빈, 송승헌, 강유석, 이솜 외 | 시즌1 6회 | |
사냥개들 | 우도환, 이상이, 허준호, 박성웅 외 | 시즌1 8회 | |
셀러브리티 | 박규영, 강민혁, 이청아, 이동건, 전효성 외 | 시즌1 12회 | |
D.P. | 정해인, 구교환, 김성균, 손석구 외 | 시즌2 6회 | |
마스크걸 | 고현정, 안재홍, 염혜란, 나나, 이한별 외 | 시즌1 7회 | |
너의 시간 속으로 | 안효섭, 전여빈, 강훈 외 | 시즌1 12회 | |
도적: 칼의 소리 | 김남길, 서현, 유재명, 이현욱, 이호정 외 | 시즌1 9회 | |
이두나! | 수지, 양세종 외 | 시즌1 9회 | |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 박보영, 연우진, 장동윤, 이정은 외 | 시즌1 12회 | |
스위트홈 | 송강, 이진욱, 이시영, 고민시, 박규영, 진영, 유오성, 오정세, 김무열 외 | 시즌2 8회 | |
경성크리처 | 박서준, 한소희, 수현, 김해숙, 조한철, 위하준 외 | 시즌1 10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제목 | 주연 | 회차 |
<colbgcolor=#f5f5f5,#2d2f34> 선산 | 김현주, 박희순, 박병은, 류경수 외 | 시즌1 6회 | |
살인자ㅇ난감 | 최우식, 손석구, 이희준 외 | 시즌1 8회 | |
닭강정 | 류승룡, 안재홍, 김유정 외 | 시즌1 10회 | |
기생수: 더 그레이 | 전소니, 구교환, 이정현 외 | 시즌1 6회 | |
종말의 바보 | 안은진, 유아인, 전성우, 김윤혜 외 | 시즌1 12회 | |
The 8 Show |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 이열음, 박해준, 이주영, 문정희, 배성우 외 | 시즌1 8회 | |
하이라키 | 노정의, 이채민, 김재원, 지혜원, 이원정 외 | 시즌1 7회 | |
돌풍 | 설경구, 김희애 외 | 시즌1 12회 | |
스위트홈 | 송강, 이진욱, 이시영, 고민시, 이도현, 진영, 유오성, 오정세, 김무열 외 | 시즌3 8회 | |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 | 김윤석, 윤계상, 고민시, 이정은 외 | 시즌1 8회 | |
경성크리처 | 박서준, 한소희, 이무생, 배현성 외 | 시즌2 7회 | |
지옥 | 김현주, 김성철, 김신록, 임성재, 문소리, 문근영 외 | 시즌2 6회 | |
Mr. 플랑크톤 | 우도환, 이유미, 오정세, 김해숙 외 | 시즌1 10회 | |
트렁크 | 서현진, 공유 외 | 시즌1 8회 | |
오징어 게임 | 이정재, 이병헌, 임시완, 강하늘, 위하준, 박규영, 박성훈, 이진욱, 양동근, 강애심, 이서환, 채국희, 이다윗, 노재원, 조유리, 최승현, 원지안, 전석호, 공유, 오달수, 송영창 | 시즌2 7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5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제목 | 주연 | 회차 |
<colbgcolor=#f5f5f5,#2d2f34> 중증외상센터 | 주지훈, 추영우, 하영, 윤경호, 정재광 | 시즌1 8회 | |
멜로무비 | 최우식, 박보영, 이준영, 전소니 | 시즌1 10회 | |
폭싹 속았수다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 시즌1 16회 | |
악연 | 박해수, 신민아, 이희준, 이광수, 김성균, 공승연 | 시즌1 6회 | |
광장 | 소지섭, 허준호, 안길강, 이범수, 공명, 추영우, 조한철, 차승원, 이준혁 | 시즌1 8회 | |
약한영웅 | 박지훈, 려운, 최민영, 이민재, 유수빈, 배나라, 이준영 | 시즌2 미정 | |
탄금 |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 김재욱 | 시즌1 12회 | |
오징어 게임 | 이정재, 이병헌, 임시완, 강하늘, 위하준, 박규영, 박성훈, 이진욱, 양동근, 강애심, 채국희, 이다윗, 노재원, 조유리, 전석호, 오달수, 송영창 | 시즌3 6회 | |
트리거 | 김남길, 김영광 | 시즌1 10회 | |
애마 | 이하늬, 방효린, 진선규, 조현철 | 시즌1 6회 | |
은중과 상연 | 김고은, 박지현, 김건우 | 시즌1 15회 | |
캐셔로 | 이준호, 김혜준, 김병철, 김향기 | 시즌1 미정 | |
다 이루어질지니 | 김우빈, 수지, 안은진, 노상현, 고규필, 이주영 | 시즌1 12회 | |
이 사랑 통역 되나요? | 김선호, 고윤정, 후쿠시 소타, 이이담, 최우성 | 시즌1 12회 | |
자백의 대가 | 전도연, 김고은, 박해수, 진선규 | 시즌1 12회 | |
당신이 죽였다 | 전소니, 이유미, 장승조, 이무생 | 시즌1 12회 |
<keepall> 한국인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역대 1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국인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2020년~2022년) | ||
2020년 | 1월 | <colbgcolor=#fff,#1c1d1f> | |
2~4월 | | ||
5~12월 | | ||
2021년 | 1~3월 | | |
4월 | | ||
5~6월 | | ||
7월 | | ||
8월 | | ||
9~10월 | | ||
11~12월 | | ||
2022년 | 1~3월 | ||
4~5월 | | ||
6월 | | ||
7~8월 | | ||
9월 | | ||
10월 | | ||
11월 | | ||
12월 | | ||
한국인이 좋아하는 방송 영상 프로그램 (2023년~) | |||
2023년 | 1~2월 | | |
3월 | | ||
4월 | | ||
5월 | | ||
6월 | | ||
7~8월 | | ||
9월 | | ||
10~11월 | | ||
12월 | | ||
2024년 | 1~2월 | | |
3~5월 | | ||
6~7월 | | ||
8월 | | ||
9~10월 | | ||
11월 | | ||
12월 | | ||
2025년 | 1월 | | |
2월 | | ||
3월 | | ||
월별 1~5위까지의 순위에 대해서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둘러보기 2010년대 | 2020년대 |
[1] 195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까지, 그리고 극히 일부분은 2020년대를 다룬다.[2] 매주 금요일 4부씩 공개.[3] 김원석 감독은 제작비가 600억 원이라는 설과 관련해 "제작비는 제가 솔직히 모르겠는데 많이 들어간 건 사실이다"라며 시대극을 표현할 미술에 공을 들였다고 했다. #[S] [5] 〈더 글로리〉, 〈무빙〉, 〈오징어 게임 시즌 2〉, 〈중증외상센터〉, 〈폭싹 속았수다〉[6] 〈우리들의 블루스〉에서는 플래시백으로 짧게 짧게 회상신이 나오는 방면 〈폭싹 속았수다〉는 오애순과 양관식의 일대기를 다룬 작품이라 오히려 과거신이 주가 된 경우가 많다.[7] 〈폭싹 속았수다〉의 경우 감정 전달에 좀 더 집중하기 위해 몇 몇 단어를 제외하고는 표준어로 수정하여 제주도 방언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8] 〈우리들의 블루스〉는 해녀들의 삶이 중심이 되어 극이 진행되는 반면, 〈폭싹 속았수다〉는 전광례와 잠녀 이모들, 시댁과의 트러블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등장하며 해녀들의 삶이 중심이 되어 전개되지는 않는다.[9] #[10] #[11] 사실 제주어 표기법에 따르면 표기 시 쌍시옷 받침은 인정되지 않으므로 '폭삭 속앗수다' 또는 '폭삭 속았우다'가 맞는 표현이다.[12] 극 중에서 주인공 가족들이 잊을 만하면 사기를 당했기 때문에 착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13] 16화에 나오는 오애순의 시집에서는 맞는 표현인 '폭싹 속앗수다'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의도적으로 지은 제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14] 이 때문에 태풍으로 인해 셋째인 양동명이 숨진 1978년에는 배우들이 바뀌기 전이었고, 양금명 역인 아이유의 나레이션에도 부모가 처음인 어린 부부였다. 그러나 그로부터 10년 후에 양금명이 대학에 입학할 때에 오애순은 38세, 양관식은 39세로 비교적 젊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년 배우로의 교체와 분장으로 인해 오애순과 양관식의 나이가 꽤 들어 보인다.[15] 참고로 부상길 역을 맡은 최대훈 배우는 실제로는 박해준보다 어리다. 하지만 부상길의 극중 나이가 양관식보다 많고, 양관식 역을 박보검이 맡을 때부터 박해준이 맡을 때까지 계속 출연한다. 그래서 박해준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에서는 나이가 들어 보이게 박해준보다도 더 나이가 들어보이도록 분장한 모습으로 등장한다.[16] 본래 영어에서 'lemon'은 부정적인 은어로 자주 사용된다. 감정적으로 lemon이 들어가면 우울과 관련이 생기며, 물건과 관련이 생기면 질 낮은 제품이 되는 등 활용법이 다양하다. 전자의 예시로는 Fool's Garden의 노래 <Lemon Tree>가 있고, 후자의 경우 정보경제학에서 중고차 시장이 판매자 및 구매자 사이의 정보 격차로 인해 시장 실패로 이어지게 되는 상황을 'lemon market'이라고 명명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17] 실제로 제주도에서 나는 귤의 품종은 탄제린이 아닌 만다린이지만, 만다린은 귤 품종 이상으로 중국의 방언인 관화의 영어 표기로 유명하기 때문에 다른 품종인 탄제린으로 정한 것으로 보인다.[18] 해당 지역에 들른 관광객이 사진 촬영을 위해 어느 유채꽃밭에 들어가려 하던 것을 제작진 측에서 가로막았다고 주장했다.[19] 좀 더 정확히 보자면 후술하듯이 이에 관해서 사전 고지 및 통제를 하지 않은 고창군청의 책임이 더 크긴 했다.[20] 부지 소유자 본인이 계약을 맺고 촬영 허가를 내주었음을 밝혔다.[21] 축제 지역에 해당 부지가 걸쳐 있었기에 몰랐다면 사유지를 신경도 쓰지 않고 축제 지역에 포괄시켜버린 것이며, 알았다면 알고도 책임회피를 위해 '알지 못했다'고 발뺌한 것이 된다.[22] 애순의 어머니가 애순을 홀로 키운 이유가 제주도의 여러 남성들이 살해 당했던 해당 사건과 엮인 탓에 애순의 친부인 오한규가 죽었다는 추측도 있었으나, '서방 병수발'이라는 언급이나 '지 서방 잡아먹은 년이 왜 여기를 와?'라는 대사가 나온 것과 광례가 숨병에 걸려 죽기 전에 바당(바다)이 서방을 잡아먹었다는 대사가 나오고, 애순의 대사 중에도 '바다가 우리 부모를 둘 다 잡아먹었다'는 대사가 나온 것 등으로 보았을 때 오한규의 사인은 정황상 항해중 병이 생겼고, 이후 병이 악화되어 병사했을 가능성이 높다.[23] 배경이 제주도이고 1940년대 말부터 1950년대, 1960년대를 아우르는 드라마, 영화의 경우 어떤 식으로든지 4.3사태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훨씬 후임 1980년에 발발한 광주민주화운동이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널리 알려진 것과 달리 근래에 들어서야 규제가 풀리면서 4.3사태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된 육지 사람들과 달리 제주도 사람들에게는 광주민주화운동과는 기간 및 사상자 수가 비교할 수 없이 길고 많았던 4.3사태는 영원히 지울 수 없는 큰 비극이었기 때문이다.[24] 실존 인물 중에선 방송인 정준하가 1971년생으로, 4대 독자의 면제 관련 조항 폐지 약 3년 전에 군 면제 대상에 들어간 사례이다.[25] 감전동은 1975년 부산진구 산하 사상출장소와 구포출장소가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로 통합 승격되면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감전동'으로 바뀌어 부산진구에서 분리되고, 1978년 북부출장소의 북구 승격에 따라 '부산직할시 북구 감전동'이 되었으며 사상구 분구는 1995년에 이루어졌다. 그나마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개편된 건 비교적 최근인 1995년이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분구 전 북구, 사상구부터 현 대연동 일대까지 죄다 부산진구 관할이었다는 건 수십년이 지난 옛날 이야기인지라 60대 중반 이상 노인들이 아닌 한 지금은 이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26] 원더랜드는 개봉일이 박보검 군 복무 이후였을 뿐 촬영 자체는 군 복무 이전에 완료되었다.[27] 김원석 감독이 연출을 맡은 작품이다.[28] 드라마 속에서 강명주 배우가 분한 부용은 극중 자신의 아들을 두고 "자신의 에메랄드이자 프라이드"라는 대사를 한다. 이 대사를 바탕으로 한 추모사를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