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0:30:5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보훈병원

보훈병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관내 종합병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5f5f5,#1f2023> 강남구 강남을지대학교병원, 강남베드로병원,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분원),, 우리들병원,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강동구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성심의료재단 강동성심병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
강북구 대한병원
강서구 미즈메디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인당의료재단 서울부민병원
관악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광진구 건국대학교병원, 혜민병원
구로구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구로성심병원
금천구 희명병원
노원구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도봉구 한일병원
동대문구 경희의료원, 삼육서울병원, 서울성심병원, 서울특별시 동부병원
동작구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서대문구 동신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기쁨병원
성동구 한양대학교병원, 베스티안 서울병원
성북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송파구 국립경찰병원, 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양천구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홍익병원
영등포구 씨엠병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대림성모병원, 명지성모병원, 성애의료재단 성애병원,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용산구 소화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아산사회복지재단 금강아산병원
은평구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청구성심병원
종로구 국군서울지구병원, 세란병원, 강북삼성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적십자병원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중랑구 녹색병원, 동부제일병원,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서울지역 상급종합병원
2023년 11월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기준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의 종합병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계양구 인천세종병원, 한림병원
남동구 가천대학교 길병원, 인천힘찬종합병원, 대찬병원
미추홀구 인천보훈병원, 인천사랑병원, 현대유비스병원
동구 인천광역시의료원, 인천백병원
부평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세림병원
서구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검단탑종합병원, 나은병원, 뉴 성민병원, 서울아산병원청라 (예정), 온누리병원
연수구 나사렛국제병원, 인천적십자병원, 연세대학교 송도세브란스병원 (예정)
중구 인하대학교병원, 가천대학교 부속동인천길병원, 인천기독병원
강화군 비에스종합병원
옹진군 백령병원
경인지역 상급종합병원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관내 종합병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기장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남구 부산가톨릭의료원 부산성모병원
동구 봉생병원, 일신기독병원, 좋은문화병원
동래구 대동병원, 동래봉생병원, 광혜병원
부산진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온종합병원, 동의병원, 춘해병원
북구 부산부민병원, 구포성심병원
사상구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부산보훈병원, 좋은삼선병원
서구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삼육부산병원
수영구 좋은강안병원, BHS한서병원, 센텀종합병원
연제구 부산광역시의료원
영도구 해동병원, 영도병원
중구 부산가톨릭의료원 메리놀병원
해운대구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부민병원
경남지역 상급종합병원
2023년 12월 자료 기준}}}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관내 종합병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중구 경북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곽병원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대구파티마병원, 강남종합병원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대구의료원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대구굿모닝병원, 드림종합병원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북구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 대구시티병원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더블유병원, 구병원, 삼일병원, 나사렛종합병원, 대구보훈병원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천주성삼병원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없음
경북지역 상급종합병원
}}}}}}}}} ||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관내 종합병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덕구 대전병원, 대전보훈병원
동구 대전한국병원
서구 건양대학교병원,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대청병원
유성구 유성선병원, 국군대전병원
중구 충남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대전선병원
충청지역 상급종합병원
}}}}}}}}}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관내 종합병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산구 KS병원, 광주보훈병원, 광주수완병원, 신가병원, 첨단종합병원, 하남성심병원, 광주센트럴병원
북구 광주병원, 광주일곡병원, 광주현대병원, 광주희망병원, 운암한국병원, 해피뷰병원
남구 광주기독병원, 광주씨티병원, 동아병원,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서구 광주한국병원, 미래로21병원, 상무병원, 서광병원, 선한병원
동구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전남지역 상급종합병원
2024년 4월 1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기준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보훈병원
韓國報勳福祉醫療公團 - 報勳病院
Veterans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
파일:보훈공단 로고.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종합병원
개원 2011년 9월 6일[1]
상급기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주소 중앙 서울특별시 강동구 진황도로61길 53 (둔촌동)
인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주대로 138 (용현동)
부산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420 (주례동)
대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곡로 60 (도원동)
대전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청로82번길 147 (신탄진동)
광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월봉로 99 (산월동)
홈페이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홈페이지
중앙보훈병원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중앙병원
부산병원
대구병원
대전병원
광주병원
인천병원
}}}}}} ||

1. 개요2. 상세3. 목록4. 교통
4.1. 중앙보훈병원
4.1.1. 버스4.1.2. 도시철도
4.2. 인천보훈병원
4.2.1. 버스4.2.2. 도시철도
4.3. 부산보훈병원
4.3.1. 버스4.3.2. 도시철도
4.4. 대구보훈병원
4.4.1. 버스
4.5. 대전보훈병원
4.5.1. 버스
4.6. 광주보훈병원
4.6.1. 버스
5. 여담6. 사건사고7.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경찰, 군인 출신의 국가유공자들과 그 가족의 진료와 재활을 위해 설립된 병원이다.

영어명은 VHS Medical Center. VHS는 Veterans Health Service의 약자이다.

2. 상세

국가보훈부 산하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에서 6개 보훈병원을 운영한다. 중앙보훈병원은 1953년 전쟁 시기 대구에서 처음 문을열었다. 1961년 국립원호병원이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에 들어선 뒤 1974년 종합병원이 되고 1981년 원호복지공단 설립, 1983년 둔촌동 이전, 1985년 한국 보훈 병원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몇 차례에 걸쳐 운영 공단의 이름과 병원명이 바뀌었다. 인천,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도 보훈병원이 있다.

보훈대상자나 그 가족을 위한 병원이기는 하지만 일반인도 받는다. 예약의 경우 방문 예약이나 전화 예약을 해야 되며 국가유공자와 보훈보상대상자 등은 상이처의 경우 무료로 진료받을 수 있다. 국가유공자 직계가족의 경우에는 무료는 아니지만 큰 폭의 할인 혜택(60%)이 주어진다. 심지어 여기서 약을 처방받을 경우 약값에도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이 혜택은 보험 비보험을 가리지 않으므로 일반 병원에서 비보험으로 분류되는 치료(대표적으로 치과 충치 치료[2])를 받을 경우 대단히 유리하다.

국가유공자 대상 병원이다 보니 아무래도 나이 지긋하신 분들이 많다. 애초에 병원 자체가 나이 많은 사람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젊은 사람들은 국가유공자의 직계 자녀들이나 아니면 보호자 정도.

중앙보훈병원은 개발제한구역에다 1983년에 지은 것을 별다른 개수 없이 20년 넘게 사용해오다 보니 노후화가 많이 되어 있었고, 건물도 협소했기 때문에 병상은 물론 진료/주차공간도 많이 부족했다. 그러나 2011년 병원 옆 운동장 부지에 높다란 새 건물을 올리고 그곳으로 본관을 옮기고, 기존 건물도 싹 리모델링을 했기 때문에 공간부족이 해소되고 시설도 현대적으로 되었다. 그래도 사람이 많다... 초진 예약이 두세달 이후로 잡히는 일이 부지기수다.

현역 군인도 진료가 가능하고, 병/간부를 가리지 않는다. 군의관 소견서를 받아서 내원할 경우 30% 할인혜택이 주어진다. 가끔 병원 내에 제복 입은 군인이 보이는 이유가 이것.

간호사들의 경우 아무래도 대형 대학병원에 비해 업무가 널널하면서도 고용이 안정적이라 많이들 지망한다. 그러나 전공의들의 평가는 최악으로, 전공의 200명 미만 100명 이상 병원 29곳 중 2017년 29위의 평가를 기록하였다. #

3. 목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교통

4.1. 중앙보훈병원

4.1.1. 버스

342번, 2312번, 3323번, 강동01번, 38번, 87번, 89번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4.1.2. 도시철도

2018년 12월 1일을 기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의 중앙보훈병원(1,400병상 규모)까지 서울 지하철 9호선연장되어 운영 중이다. 게다가 이역이 시종착역이자 급행 정차역이기 때문에 홍보 효과도 유도할 수 있는 상태.

4.2. 인천보훈병원

4.2.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용현3동행정복지센터.보훈병원/용현사거리/용현시장/독정이고개(37212·37213·37221·37224·37227·37230·37234·37238) ||
좌석
간선
지선

4.2.2. 도시철도

4.3. 부산보훈병원

4.3.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보훈병원(06143·06144) ||
일반
마을

4.3.2. 도시철도

4.4. 대구보훈병원

4.4.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보훈병원(00912·21007) ||
간선

4.5. 대전보훈병원

4.5.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보훈병원/석봉초등학교(52870·52900·53390) ||
간선
외곽

4.6. 광주보훈병원

4.6.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보훈병원/첨단생활체육공원(5435·5436·5437·5438·5455·5456) ||
간선
지선
마을

5. 여담

배창호 감독의 1987년작 영화 기쁜 우리 젊은 날에서 안성기가 보훈병원 1층부터 3층까지 구석구석 헤매며 사람을 찾아 다니는 장면이 롱테이크로 나온다. 그 당시의 병원풍경을 볼 수 있다.

배우 최다니엘이 이 곳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했다.

사회복무요원들에게는 역대급 헬무지 중 하나로 꼽히는 곳이다. 만성적인 인력 부족으로 인해 사회복무원이 짬을 맞게 되는 업무가 어마어마하게 많고, 상이군경이나 나이 지긋하신 환자가 많은 특성 상 폭언, 폭행에도 빈번하게 노출되기 때문. 2017년 본인선택에서는 무려 5석 미달이 났다고 한다. 그나마 지방 보훈병원은 업무량은 적어서 서울보다는 사정이 다소 낫지만 헬무지인 것은 마찬가지이다.

6.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보훈병원은 의약분업 전부터 관치행정과 뿌리깊은 부정사건으로 구설수에 오른 적이 많았다. 수련의 전공의들은 원하는 과에 떨어지다 떨어지다 갈 데가 없으면 이 병원을 지원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4년제 대학교 출신 간호사들은 3년제 전문대학교 출신 간호사들 및 간호보조원들의 비상식적인 언행을 견뎌내지 못하고 사표를 쓰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약사들은 보훈처소속 약사보조원들에게 폭언을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병원이었다. 즉, 전문직 의료종사자들이 그보다 떨어지는 비전문직 의료종사자들에게 갑질을 당하던 곳인데도 문제는 관리자들이 이런 실태를 알고도 방치하며 문제개선을 안하는 데 있었다.

1990년대 초 같은 날 출산한 신생아들이 바뀐 사실이 20년이 지나 밝혀져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1997년 7월 병원 내 발전시설이 고장나서 업무가 마비되었다. 환자들의 항의와 환자불편이 빗발쳤다.

1997년 3월 약제부에서 소아과 의사가 처방한 orfil 시럽이 다른 약으로 바뀌어서 영유아가 3일간 사경을 헤맸다.

1997년 4월 알부민 주사제 과량반출 부정사건으로 보훈처에서 경고받았다.

1998년 10월 약제부 김모 부장이 도매상에게서 뇌물을 받아 뇌물 수수사건으로 구속기소가 된 사건이 있다. 해당 사건으로 직위 해제되고 구속 수감되었다.

2013년 1월에는 기능직 직원이 자신의 친구와 결탁하여 진료받은 사실이 없는 사람의 명의로 진료를 하고, 허위로 서류를 꾸며 의료보험 수당 32억 3천만원을 빼돌린 사건이 발생했다. 기사참고

그리고 병원규모를 늘린 뒤에도 4년제 대학교 출신 의사, 약사, 간호사 등 전문직들이 3년제 전문대학교 출신 비전문직들의 갑질에 사표를 쓰는데도 전문직들의 채용에는 인색하고 사무직 직원만 충원한다는 비판 등이 국정감사에서 빠지지 않고 지적되고 있다.

2019년 5월경, 동아대학교병원 의료원장이 사임하고 중앙보훈병원에 지원한다는 이야기가 돌아 분위기가 상당히 뒤숭숭한 상태. 동아대학교 의과대학에서는 규탄까지 올려가며 규탄하는 중이다.

2021년 중앙보훈병원에서 의료인 자격이 없어 의료행위를 할 수 없는 간병인이 의료기기를 환자 기도에 넣어 가래와 가스 등을 빨아들이는 '석션'(구강흡인) 행위를 했다는 사실들이 알려져 논란이 되었다. 국가보훈처는 입장문을 내고 "앞으로 이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의료진, 보호자, 간병인 및 일반 직원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7. 관련 항목



[1] 현재, 서울 중앙보훈병원 개원 기준 or 1953년 한국전쟁 중 대구 소재 중앙보훈병원 기준.[2] 치아가 약한 노년층 환자들이 많아서인지 아예 치과병원을 별도의 건물에 따로 개원했는데, 2020년 5월에 건물을 재건축하기 위해 본관 5층으로 다시 옮겼다. 그런데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재건축은 연기되고 1층에 호흡기내과가 들어왔다가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갔고, 2023년 말에 재건축이 완료되고 2024년 1월 24일에 재개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