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09:53:07

이재명 정부 공직자 핸드폰 조사 논란


<nopad>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3b96 10px, transparent 10px calc(100% - 10px), #003b96 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3764> 별칭 국민주권정부
구성 인사 · 국정기획위원회 (활동 내역)
여당 더불어민주당
정책 및 방향 공약 · 외교 · 감사원의 정책감사 폐지 · 검찰 수사권 분리 · 경찰개혁 (국가경찰위원회 실질화, 자치경찰제 확대) · 국가데이터처 · 군 정보·수사기관 전면 개편 (국군방첩사령부 축소 개편, 국방정보본부 개편, 정보사령부의 인간정보부대 이관) · 근로감독관 증원 · 금융감독원 개편 (금융소비자보호원)철회 · 금융위원회 개편 (금융감독위원회)철회 ·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 · 기획예산처 신설 및 재정경제부 개편 · 과학기술부총리 신설 및 사회부총리 폐지 · 대북전단 살포 예방 및 처벌 · 대통령실 브리핑룸 쌍방향 개편 · 대통령 집무실 청와대 복귀 · 민생회복 소비쿠폰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방송미디어통신심의위원회 신설 및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심의위원회 폐지 · 북극항로 개척 · 배당소득 분리과세 · 사법개혁 (내란 특별법, 내란전담재판부) · 대중문화교류위원회 · 성평등가족부 · 지식재산처 · 청년담당관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 HMM 부산 이전 · 방송4법 개정안 · 노란봉투법 · 상법 개정 · 서울대 10개 만들기 · 국가대표 AI · 원자력 추진 잠수함 건조 추진 · 헌법존중 정부혁신 TF
평가 정치 (인사) · 경제 (부동산) · 사회·문화 · 외교 (미국 · 일본 · 중국 · 북한) · 안보·국방 · 지지율
기타 2025년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타임라인
2025년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재명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이재명 참고
}}}}}}}}}

대한민국의 인터넷 검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3478><colcolor=#fff> 이전 간윤위(1970-) · 전기통신기본법 제47조 제1항(1984)폐기 · 정보통신망법(1986-)
1990년대 방통위&방심위(2008-2025)폐지 (구 정통윤)(1992-) · 정보통신심의규정(1992-) · 통신보안법(1997)폐기 · 영등위(1999-)
2000년대 게관위&게콘위 (구 게등위)(2006-) · 인터넷 실명제법(2007-2021)폐지 · 임시조치&유해 사이트(2007-) ·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2008-2010)
2011년 강제적 셧다운제(2011-2021)폐지 · 게임 실명제
2012년 아청법 표현물 처벌 개정
2013년 중독예방치유법폐기 · 중독법폐기
2014년 정보통신심의규정 개정 · 카카오톡 사찰 논란
2015년 전기통신사업법 개정 논란 · 레진코믹스 유해사이트 차단 사건취소
2018년 드루킹 방지법폐기 · 가짜정보유통방지법폐기 · 문체부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 역외적용법
2019년 문체부 영리 인디게임 규제 · 문체부 인터넷 검열 · 여가부 개인방송 검열 · 여가부 오픈채팅 검열 · 경찰청 대림동 여경 뉴스 검열 · 워마드 폐쇄법폐기
2020년 n번방 방지법 (시청-소지 처벌법, 인터넷 검열감시법) · 인터넷 준실명제법폐기 · 구글 URL 번역 차단 · 혐오표현 검열법폐기 · 아청법 인쇄매체 처벌 개정안 1차 발의폐기 · 5·18 왜곡 처벌법
2021년 인권위 온라인 수색 주장
2022년 법무부 성적 인격권 입법권고 (성적 언동 처벌법 · 가상공간 성행위 묘사 처벌법)폐기 · 경찰 실시간 해킹 도입 추진 · 커뮤니티 폐쇄법폐기 · 게임물관리위원회 외산 게임 검열 · 대한민국 게임계 검열 집단민원 사태
2023년 인터넷 국적표시법 1차 발의폐기 · 방통위 게시판 단위 차단 시도 · 온라인 병역 면탈 조장 글 처벌법 · 방심위 인터넷 언론 검열 · 불법정보 접근 차단 기술 의무화법
2024년 해외직구 개인적 사용 금지 (의약품 해외직구 사이트 검열) · 인터넷 국적표시법 2차 발의 · SNS 셧다운제 · 성폭법·아청법·명예훼손죄·모욕죄 감청 합법화 법률안 ·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나무위키 제재 · 나무위키 투명화법
2025년 아청법 인쇄매체 처벌 개정안 2차 발의철회 · 민주파출소 관련 논란 · 인터넷 국적표시법 3차 발의 · 게임물불법이용신고센터 설치 시도철회 · 가상인물 성적 언행 묘사 처벌법 · 방미통위&방미심위 · 집단명예훼손죄 및 집단모욕죄 처벌법 발의 · 이재명 정부 공직자 핸드폰 조사 논란
}}}}}}}}} ||

1. 개요2. 반응 및 비판3. 둘러보기

1. 개요


이재명 정부헌법존중 정부혁신 TF내란 수사를 위해 공직자들의 핸드폰을 포렌식 조사하겠다면서 발생한 논란. 수사기관이 아니므로 행정조사의 일환으로 들여다보겠다는 주장이다.

2. 반응 및 비판

사생활 침해라는 지적과 '내란 가담 또는 부역'이란 명목으로 각종 음해성 허위 제보가 제보센터로 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중앙부처 공무원들 사이에서 나왔다.

이에 정부 관계자는 "수사기관이 하는 장비를 동원한 포렌식이 아니라, 공직자가 제출한 휴대전화의 통화 내역과 메시지 등을 '들여다보는 정도'"라며 "신고한다고 다 조사하는 게 아니라 내란 가담과 관련해 신빙성 있는 제보만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법원영장 없이 휴대전화를 제출받아 포렌식하는 행위가 헌법상의 통신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하고 영장주의를 위반해 위헌적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과거 영장 없는 휴대전화 제출에 대해 위헌적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김민석 투명.svg김민석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52484,#008ccd> 일생 생애 및 정치경력
비판과 논란 비판과 논란(국무총리 후보자)
사건사고 새천년 NHK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 후보 단일화 협의회
기타 여담 · 김민석계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헌법존중 정부혁신 TF (이재명 정부 공직자 핸드폰 조사 논란)
}}}}}}}}} ||

대한민국의 국가폭력 사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구한말~해방기
(1941~1982)선감학원A C / (1946)대구 10.1 사건R M / (1947~1954)제주 4.3 사건R M
1공화국기
(1948)여수·순천 10.19 사건R M / (1949)문경 양민 학살사건M / (1950)국군의 형무소 재소자 학살M / (1950)대전형무소 학살 사건M / (1950)보도연맹 학살 사건M / (1950)경산 코발트광산 학살 사건M / (1950)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M / (1950)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M / (1950~1951)국민방위군 사건D / (1951)거창 양민 학살사건M / (1950~1953)한국군 위안부 / (1951~1996)한국정부의 위안부(양공주) / (1952~2000)덕성원A C / (1958)진보당 사건F P / (1958~1975)서울시립아동보호소 사건A C /(1958~2016)대구 희망원A C / (1958~1998)양지원A C
3공화국기
(1960~)신안 염전 노예 문제 A C / (1960~)영호남 섬노예 문제 A C / (1961)대한청소년개척단(일명 서산개척단) A C / (1961)서울시립갱생원 사건 / (1962)국토건설단 사건 / (1964)인민혁명당 사건F / (1964~1972)홀치기 특허 포기 강요 사건A F / (1968)국민교육헌장E / (1969)교련E / (1969)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P / (1971)실미도 사건D / (1971)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F T
4공화국기
(1972)긴급조치 / (1973)동림호 사건F T / (1973)김대중 납치 사건A P / (1973) 장애인 강제 불임 수술(모자보건법 의거) / (1974)민청학련 사건F 인혁당 재건위 사건F / (1974~1997)장항 수심원 사건A C / (1975)금지곡대마초 파동 H / (1975~1987)부산 형제복지원 사건A C / (1979)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P / (1979)YH 사건L R / (1979)YWCA 위장결혼식 사건P T / (1980)사북사건L R / (1980)5.18 민주화운동/학살R M S / (1980)언론통폐합S / (1980)삼청교육대A C / (1980)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F P / (1980)10.27 법난P
5공화국기
보도지침S / 폭력성 만화영화 금지 정책H S / (1981~1983)녹화사업A D E F / (1981)학림 사건F / (1981)부림사건F / (1981)아람회 사건F / (1981)무림파천황 사건S H / (1982)오송회 사건F T /(1985)국제그룹 해체 사건P / (1985)서울대학교 민주화추진위원회 사건F / (1986)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T / (1986)유성환 국시론 파동P / (1987)박종철 고문치사 사건T / (1987)수지 김 간첩 조작 사건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6공화국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노태우 정부 (1988)윤성여 살인 누명 사건F / (1989)화성 초등학생 실종사건 / (1991)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F / (1992)즐거운 사라 사건S H
국민의 정부 (2002)서울지검 고문치사 사건T
참여정부 (2006)대추리 사태R
이명박 정부 (2008)정연주 KBS 사장 불법 해임 논란P / (2009)용산 참사R / 이명박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H S /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블랙리스트S / (2010)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P / 양천경찰서 고문 사건T / (2011)윤종오의 코스트코 불법 입점반려 사건 / (2012)박정근 사건S / (2013)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F
박근혜 정부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H S / (2015)백남기 사망 사건R / (2017)계엄 시행 계획 문건 작성 논란A R P
문재인 정부 (2018)문재인 정부의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S / (2019)탈북 어민 강제 북송 논란A / (2020)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F / (2021)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통신조회 논란P S
윤석열 정부 (2022)윤석열 욕설 파동 이후 언론탄압 논란S 문체부의 '윤석열차' 엄중경고 논란H S 문화방송 취재기자단 대통령전용기 탑승 불허 사건S / (2024)강성희 진보당 의원 강제 퇴장 사건P 김선재 진보당 예비후보 강제 퇴거 사건P 한국과학기술원 학위수여식 졸업생 강제 퇴장 사건P 화성동탄경찰서 성범죄 누명 사건F 검찰의 정치인 및 언론 사찰 논란P S 12.3 비상계엄A D P S
이재명 정부 (2025)이진숙 체포 사건P 양평군 공무원 사망 사건P 이재명 정부 공직자 핸드폰 조사 논란P S
}}}}}}}}} ||
<colbgcolor=#7C0000,#7C0000><colcolor=#fff> A: 납치, C: 강제수용, D: 군대 관련, E: 교육 관련, F: 누명, L: 노동 관련, M: 민간인 학살, R: 폭동적 시위진압, P: 정치탄압, S: 검열, T: 고문, H: 대중문화 관련
※ 여러 시대에 걸친 경우 시작 시점이 기준.
※ 3공화국기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시기를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