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8 03:24:49

대통령실 브리핑룸 쌍방향 개편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nopad>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52484 10px, transparent 10px calc(100% - 10px), #152484 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3764> 별칭 국민주권정부
구성 인사 · 국정기획위원회 (활동 내역) · 대중문화교류위원회
여당 더불어민주당
정책 및 방향 공약 · 외교 · 감사원의 정책감사 폐지 · 검찰 수사권 분리 · 국가데이터처 · 국군방첩사령부 전면 개편 · 근로감독관 증원 · 금융감독원 소비자 보호 기능 분리(금융소비자보호원) · 금융위원회 개편(금융감독위원회) ·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 · 기획예산처 신설 및 재정경제부 개편 · 과학기술부총리 신설 및 사회부총리 폐지 · 대북전단 살포 예방 및 처벌 · 대통령실 브리핑룸 쌍방향 개편 · 대통령 집무실 청와대 복귀 · 민생회복 소비쿠폰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방송미디어통신심의위원회 신설 및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심의위원회 폐지 · 북극항로 개척 · 배당소득 분리과세 · 사법개혁(내란 특별법, 내란전담재판부) · 성평등가족부 · 지식재산처 · 청년담당관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 HMM 부산 이전 · 방송4법 개정안 · 노란봉투법 · 상법 개정 · 서울대 10개 만들기
평가 정치 (인사) · 경제 (부동산) · 사회·문화 · 외교 (미국 · 일본 · 중국 · 북한) · 안보·국방 · 지지율
기타 2025년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타임라인
2025년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재명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이재명 참고
}}}}}}}}}


1. 개요2. 전개3. 반응
3.1. 언론계3.2. 학계3.3. 정치권
3.3.1. 국민의힘3.3.2. 더불어민주당
3.4. 해외 사례
4. 관련 문서

1. 개요

이재명 정부대통령실 브리핑룸 중계를 연단만 비추던 기존 방식에서,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하여 질문하는 기자들도 비추도록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질의 과정을 보다 생생하게 중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반응과, 취재 기자에 대한 정부 지지자들의 공격이 늘어날 것이라는 부정적 반응이 나왔다.

2. 전개

2025년 6월 8일, 강유정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은 “대통령실 대변인과 관계자만 비추던 일방적인 소통 방식에서 벗어나 기자들이 질의하는 과정과 장면을 쌍방향으로 생생히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재명 대통령은 "댓글을 통해 접한 제안이 의미 있다 판단해 실행에 옮겼다", "참신하고 유익한 의견 주시면 앞으로도 적극 검토해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대통령실 브리핑룸 시스템은 기자들의 질문하는 모습도 전달하는 방향으로 개편된다. 이러한 모습을 다각도에서 생중계하기 위해 카메라 4대가 브리핑룸에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 대통령실 관계자는 "백악관과 유엔 회의 모두 공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시대적 흐름"이라고 했다.

공개 발언 뒤 비공식적으로 이뤄지는 이른바 '백브리핑' 관례가 줄어들 거란 전망과 함께 비판적 질문을 한 기자들에 대한 '좌표찍기'로 활용될 수 있단 우려가 동시에 나온다. #

2025년 6월 24일, 기자의 소속사와 얼굴이 모두 공개되는 브리핑을 볼 수 있었다.#

2025년 8월 24일,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이날 기자 브리핑을 열고 브리핑룸 쌍방향 개편 이후 그간의 성과와 일부 부작용을 전했다. 홍보소통수석은 "질의응답이 공개되면서 익명 취재원이 실명 취재원으로 전환돼 정책 홍보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하면서도 "발표자(주로 대변인)와 기자의 질의 내용을 과도하게 왜곡, 조롱하는 일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어 대통령실은 시행 한 달 즈음 자제를 촉구한 데 이어 오늘 후속 조치로 자제를 요청하는 자막을 KTV에 모두 넣기로 했다"고 밝혔다. 기자가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을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 고소하는 일이 벌어지자 브리핑 생중계 방송 화면에 '브리핑 영상을 자의적으로 편집, 왜곡해 유포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라는 자막을 넣겠다는 것이다.#

3. 반응

3.1. 언론계

3.2. 학계

학계에서는 대통령실의 결정이 국민의 알 권리를 강화하고, 언론의 권력 감시 기능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거라는 주장과 비판적 언론을 공격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지적으로 나뉘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언론과 권력의 투명성과 개방성이 확보될 수 있는 인프라가 마련됐다고 생각이 들지만 특정한 이슈에 대해서 얘기했을 때 발화자(기자)가 공격받을 수 있는 여지는 분명히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

3.3. 정치권

3.3.1. 국민의힘

3.3.2. 더불어민주당

3.4. 해외 사례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