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014 | 1017 | 1020 | 1111 | 1112 |
1113 | 1114[a] | 1115 | 1116 | 1119 | |
1120 | 1122 | 1124[a] | 1126 | 1127 | |
1128 | 1129[a] | 1130[a] | 1131 | 1132 | |
1133 | 1135 | 1136[a] | 1137 | 1138 | |
1139 | 1140 | 1141 | 1142 | 1143 | |
1144 | 1154 | 1155 | 1162[a] | 1164[a] | |
1165 | 1167 | 1213 | 1218 | 1221 | |
1222 | 1224 | 1226 | 1227 | 1711 | |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 |||||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한성여객 차량 | 서울교통네트웍 차량 |
1. 개요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서울교통네트웍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5.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3번 | |||||
| |||||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본동(중계본동종점) [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불암산스포츠타운)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수락리버시티3.4단지)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5:33(수락리버시티) / 06:18(신내우체국) |
막차 | 23:30 | 막차 | 00:03(수락리버시티) / 00:40(신내우체국) | ||
평일배차 | 8~18분 | 주말배차 | 15~25분 | ||
운수사명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서울교통네트웍[1] | 인가대수 | 10대(예비 4대)[2][3][4] | ||
노선 | 중계본동종점 - (← ( 중계본동종점까지 역순으로 운행) ← 화랑대역 ← 신내4단지 ← 신내우체국 ← 화랑대역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후문 ← 공릉터널 ← 불암산스포츠타운[단독] ← 중계본동종점 ←) - 노원문화예술회관.불암초등학교 - 은행사거리 - 중계구민체육센터 - 상명고등학교 - 상계119안전센터 - 상계역 - 상계5동주민센터 - 청원고등학교 - 상계주공9.12단지(마들역) - 수락산역 - 수락중고등학교 - 수락리버시티1단지후문 → 수락리버시티1단지정문 → 수락리버시티3.4단지 → 이후 역순 |
3. 역사
- 구 484번 지역순환버스(상계역 - 영신여고) 노선이 전신이다.
- 2000년 지역순환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484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원교입구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1143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5월 16일부로 노원교차고지 폐쇄에 따라 노원교입구로 가지 않고 홍파복지원사거리서 U턴하도록 변경되었고, '중계주공10단지.롯데우성아파트 → 영신여고입구 → 노원문화예술회관.불암초교 → 은행사거리 → 중계주공10단지.롯데우성아파트' 구간이 '중계주공10단지.롯데우성아파트 - 중계본동사무소(당시 명칭) - 중계본동종점'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1219번이 솔샘터널 경유로 변경되면서, 1219번의 KIST 구간을 이어받을 1226번 신설을 위해 2대가 감차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8년 12월에, 유상감차 말소로 1대가 감차되었다.
- 2009년에 수락리버시티로 연장되었고, 삼화상운에서 1129, 1133번에서 1대씩 차출함에 따라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1년 5월 2일에 불암산종합스타디움 연계에 따라 '중계본동 - 불암산종합스타디움 - 하계동'으로 연장되었고, 한성여객이 1154번에서 1대를 가져와 공동 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 2011년 8월 25일에 하계동 대신 공릉터널을 경유하여 화랑대역과 봉화산역으로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11월 8일을 기해 공휴일의 흥안운수 운행차량이 1대 감편되었다. 그리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본래 9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5분으로 늘어나고,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8회/7회/16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전일에 걸쳐 13~20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의 경우 13~25분으로 늘었으며,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17~29분으로 크게 늘어났다. 관련 공문
- 2023년 9월 25일을 기해 한성여객과 서울교통네트웍에서 각 1대를 차출하여[6] 평일 예비투입 차량으로 투입했다. 다만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다시 110분으로 증가하며, 전일에 걸쳐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어 평일은 13회 증가, 토요일/공휴일은 2회 감회되었다. 본래 평일 13~25분, 토요일/공휴일 17~29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의 경우 8~18분으로 줄었고, 토요일/공휴일은 15~25분으로 시격을 줄였다. 관련 공문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서울특별시 상시 노선 중 공동 배차하는 회사가 4개로 가장 많은 노선이다.[7]
- '마들역 - 상계역 - 은행사거리' 구간은 한글비석로로 연결되는 구간이다. 하지만, '마들역 - 상계역' 구간은 한글비석로를 경유하나, '상계역 - 은행사거리' 구간은 상명고등학교 인근으로 우회하고, 대신 1140번, 1142번, 1224번이 한글비석로를 경유한다.
- 기종점이 노선 중간에 위치해 있어서, 중간에 중계본동을 거쳐가야 할 경우 여기서 환승해야 한다. 물론, 동일 노선 환승처리로 처리되므로 추가 요금 부과는 없다.[8]
- 신내우체국.5단지두산대림아파트' 정류장에서 봉화산역 과 연계된다.
- 전기충전소가 미설치 및 노상배차 관계로 서울교통네트웍 차량을 제외하고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 노선에서 예외로 인정받았고, 실제로 2024년 10월 28일부로 서울교통네트웍에서 저상버스를 투입하게 되었다.관련 공문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3번 | ||
<rowcolor=#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3,461명 | - |
2014년 | 3,643명 | △ 182 |
2015년 | 3,865명 | △ 222 |
2016년 | 3,864명 | ▽ 1 |
2017년 | 3,896명 | △ 32 |
2018년 | 3,929명 | △ 33 |
2019년 | 3,922명 | ▽ 7 |
2020년 | 2,647명 | ▽ 1,275 |
2021년 | 2,831명 | △ 184 |
2022년 | 3,129명 | △ 298 |
2023년 | 3,464명 | △ 335 |
2024년 | 4,250명 | △ 786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노선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3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수락리버시티3.4단지 11503 | |||||
- | ← | 수락리버시티1단지정문 61504 | ||||
- | ↓ | ↑ | 수락리버시티1단지후문 61502 | |||
이상 회차 구간 | ||||||
수락중고등학교 11204 | 수락중고등학교 11205 | |||||
은빛아파트2단지 11206 | ↓ | ↑ | 홍파복지원.수락산벨리체아파트 11207 | |||
수락산역 11197 | 수락산역3번출구 11196 | |||||
노일초등학교 11198 | ↓ | ↑ | 노원초등학교 11199 | |||
상계주공15단지 11267 | 상계주공14단지 11272 | |||||
- | ↓ | ↑ | 마들역 11273 | |||
상계주공9단지 11191 | 상계주공12단지1202동 11277 | |||||
청원고등학교 11190 | ↓ | ↑ | 청원고등학교 11276 | |||
보람아파트1단지 11274 | 보람아파트2단지 11275 | |||||
상계한신2차아파트 11238 | ↓ | ↑ | 상계한신2차아파트 11239 | |||
계상초등학교 11236 | 상계5동주민센터 11237 | |||||
상신교회 11234 | ↓ | ↑ | 상신교회 11235 | |||
상계역 11233 | 벽산아파트103동 11243 | |||||
상계동주유소 11220 | ↓ | ↑ | 상계동주유소 11221 | |||
상계119안전센터 11218 | 상계119안전센터 11219 | |||||
상계중학교 11216 | ↓ | ↑ | 코오롱아파트.양지대림아파트 11217 | |||
상명고등학교 11379 | 상명고등학교.성원아파트 11347 | |||||
중계구민체육센터 11356 | ↓ | ↑ | 중계구민체육센터 11357 | |||
롯데우성아파트 11355 | 중계주공10단지.중계건영3차아파트 11354 | |||||
은행사거리 11414 | ↓ | ↑ | 은행사거리 11349 | |||
신한은행중계동지점 11399 | 기업은행중계동WM센터 11400 | |||||
- | ↓ | ↑ | 노원문화예술회관.불암초등학교 11402 | |||
노원문화예술회관.불암초등학교 11403 | 영신여자고등학교입구 11404 | |||||
불암고등학교 11405 | ↓ | ↑ | 중계본동주민센터 11406 | |||
노원우체국 11407 | 노원우체국 11408 | |||||
중계본동종점 11487 | ↓ | 중계본동종점 11409 | ||||
불암산스포츠타운 11509 | 불암산스포츠타운 11507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후문 11172 | ↓ |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후문 11174 | |||
원자력병원.공릉해링턴플레이스 11134 | 공릉해링턴플레이스 11133 | |||||
태릉해링턴플레이스아파트 11136 | ↓ | ↑ | 공릉우방아파트 11135 | |||
청솔아파트 11138 | 화랑타운아파트 11137 | |||||
- | ↓ | ↑ | 예수사랑교회 11158 | |||
화랑대역6번출구 07294 | 화랑대역5번출구 07295 | |||||
신내우체국.5단지두산대림아파트 07289 | ↓ | ↑ | 태릉고등학교.원묵초등학교 07431 | |||
구립도서관체육관 07291 | 신내5단지아파트 07293 | |||||
→ |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의정부시 | 1143수 8112수 노원02수 도봉09수 |
구리시 | 202담 1155담 2212담 | |
남양주시 | ||
수: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 담: 담터고개만 정차.(남양주 방면 한정, 서울 방향은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3, 4권역 | 성남, 하남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성남시 | 333위 343위 345위 440위 3420위 4432청 |
하남시 | 341초 370초 3217도 3316효 | |
초: 초이동 / 위:위례신도시 / 도:하남시위례도서관만 정차 / 청: 청계산옛골 / 효: 효죽동입구(천호역 방면 한정, 마천 방향은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안양시 | 152교 500석 5618석 6515교 |
군포시 | 441한 502한 | |
의왕시 | ||
과천시 | 서초08잔 서초20잔 | |
교: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 잔디마을만 정차 / 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석: 석수역만 정차 / 밑줄 : 해당 시 경유 후 타 시 진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광명시 | 643철 651철 652철 653철 N61철 5012철 |
부천시 | ||
철: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7권역 | 고양, 파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양시 | 171대 271대 571동 701동 706동 708동 720동 740덕 741동 750A덕 761동 N37동 7211동 7711덕 7722동 7723동 8772동 |
파주시 | ||
동: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덕: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서울동행버스에 대한 내용은 틀:서울동행버스 참조. |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103 | 104 | 172 | 774 | ||||
0017 | 1014 | 1017 | 1114 | |||||
1119 | 1122 | 1126 | 1129 | |||||
1130 | 1131 | 1133 | 1136 | |||||
1137 | 1141 | 1142 | 1143 | |||||
1162 | 1164 | 1221 | 1226 | |||||
2113 | 2114 | 2115 | 4433 | |||||
5519 | 5621 | 6624 | 7024 | |||||
7726 | 8003 | 8101 | 8777 | |||||
* 2025년도 기준 36개 노선 (마을버스 제외) |
[1] 한성여객에서 위탁 관리한다.[2] 흥안운수 5대 / 삼화상운 2대 / 한성여객 2대 / 서울교통네트웍 1대. 삼화상운과 서울교통네트웍 차량, 한성여객 차량 중 1대는 예비차로 인가되어 있다.[3] 삼화상운 차량은 전요일, 한성여객과 서울교통네트웍 예비차는 평일 한정 정상차량으로 운행된다.[4] 토요일 / 공휴일 7대 (흥안운수 4대, 삼화상운 2대, 한성여객 1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6] 서울교통네트웍은 150번, 한성여객은 172번에서 예비 1대씩 감차하여 투입했다.[7] 똑같이 4개사가 운행하는 8221번은 맞춤버스이기 때문. 서울시 전체 노선 중에서는 8101번(6개사)이 가장 많다.[8] 비슷한 예시로 1124번이 있다. 이 노선은 번동→미아사거리→번동→수유역→번동 순으로 운행한다.[9]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 주민들에게는 유일하게 신내동으로 빠르게 꽂아주는 출퇴근 노선인 만큼, 수락리버시티 방향뿐 아니라 신내동 방향으로도 출퇴근시간대에 중계본동에서 사람들을 채워간다.[10] 기존에는 2115번을 이용해 신내역이나 중랑공영차고지로 바로 연계가 가능했으나 2023년 6월 30일을 기해 2115번 노선이 화랑대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고, 그 대신 서울 버스 2212가 같은 방향으로 운행 중이다.[11] 중계본동 방향만 경유[12] 중계본동 방향만 경유, 신내우체국.5단지두산대림아파트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