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0:19:47

서울 버스 1155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1155_1733.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

1. 개요

태릉교통에서 운행했던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1.1km였다.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55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수락산입구.동부거성아파트) 종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석계역1번출구.A)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00
막차 22:50 막차 23:25
평일배차 6~15분 주말배차 9~13분
운수사명 태릉교통 인가대수 13대[1]
노선 수락산입구.동부거성아파트 - 청학리주공5단지.별내도서관 - 별내면사무소 - 아랫미아리 - 중문마을 - 별내하우스토리.중말사거리 - 우미린스타포레 - 현대아이파크1차후문 - 별내KCC스위첸후문 - 샛말.신안인스빌 - 202번종점 - 담터고개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삼육대학교 - 태릉 - 서울여자대학교.육군사관학교 - 경춘선숲길화랑대역공원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5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7,887명 -
2014년 8,653명 △ 766
2015년 8,993명 △ 340
2016년 9,180명 △ 187
2017년 8,704명 ▽ 476
2018년 8,437명 ▽ 267
2019년 8,474명 △ 37
2020년 6,606명 ▽ 1,868
2021년 6,824명 △ 218
2022년 7,587명 △ 763
2023년 7,914명 △ 327
2024년 7,613명 ▽ 301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5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석계역굴다리앞
08146
석계역1번출구.A
11283
석계역
08147
석계역2번출구
11284
-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11312
태릉입구역
11106
태릉입구역
11105
태릉입구역7번출구.서울생활사박물관
11117
서울생활사박물관.농협앞
11116
주유소앞다운복지관
11114
경춘선숲길.토끼굴앞
11113
화랑대역1번출구
11118
화랑대역2번출구
11139
화랑대사거리
11140
화랑대사거리
11141
경춘선숲길.화랑대역공원
11142
경춘선숲길.화랑대역공원
11143
서울여대.육군사관학교행정안내소
11144
서울여대.육군사관학교행정안내소
11145
태릉국제사격장
11146
태릉국제사격장
11147
태릉
11148
태릉
11149
태릉선수촌
11150
태릉선수촌
11151
태릉국제스케이트장
11152
태릉국제스케이트장
11153
삼육대앞
11154
삼육대앞
11155
담터고개
11156
담터고개
39006
삼육대후문.논골.한화아파트
42100
삼육대후문.논골.포레나별내
42101
202번종점
42067
202번종점
42068
불암동
42069
불암동
42066
샛말.신안인스빌
42076
샛말.신안인스빌
42077
별내KCC스위첸후문
42078
별내KCC스위첸후문
42080
현대아이파크1차후문
42701
현대아이파크1차후문
42700
대원칸타빌.모아미래도.유승한내들이든힐즈
49350
대원칸타빌.모아미래도.유승한내들이든힐즈
49342
우미린스타포레
49409
우미린스타포레
49408
- 우미린스타포레.유승한내들이노스타
49883
유승한내들이노스타.세종로묘원입구
49497
유승한내들이노스타.세종로묘원입구
49498
별내하우스토리.중말사거리
42095
별내하우스토리.중말사거리
42112
별내하우스토리후문
49045
별내하우스토리후문
49019
넉바위마을
42730
넉바위마을
42088
임촌마을
42109
임촌마을
42729
중문마을
42092
중문마을
42110
퇴메
49757
퇴메
42087
- (임시)태봉마을
49884
아랫미아리.퇴뫼
42094
아랫미아리.퇴뫼
42096
경은학교앞
42071
경은학교앞
42111
별내면사무소.에코랜드입구
42707
별내면사무소.에코랜드입구
42706
청학리주공5단지.별내도서관
42079
청학리주공5단지.별내도서관
42098
주공2.3단지.농협.새마을금고
42108
주공2.3단지.농협.새마을금고
42107
수락산입구.동부거성아파트
42072ㆍ42106
}}}}}} ||

6.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

[1] 토요일 / 공휴일 11대 운행[2] 본래 불암로는 지금과 같은 선형이 아니었고, 송산로 307번길과 선형이 동일했었다.[3] 現 '별내하우스토리정문.중말사거리' 정류장.[4] 現 '대원칸타빌.모아미래도.유승한내들이든힐즈' 정류장.[5] 現 '별내KCC스위첸후문' 정류장.[6] 복편은 별내IC 건설로 인해 구조가 꼬여서 별내IC 회차로를 찍고 민락동 방면으로 운행했다.[7] 2002~2008년까지는 202번 종점에서 민락동까지 30분 거리를 새벽에 빈차로 회송했다. 당연히 근로여건이 나빠지기 때문에 이를 개선한 것.[8] 별내면사무소 본청이 있긴 했는데, 애초에 청학리와 용암리는 청학출장소 관할인지라 실질적으로 수요는 거의 없다시피 했다. 그나마 화접리 일대는 77번이 있으니 1155,1225번 버스는 아예 빠지게 된 것.[9] 이 일대 도로가 별내IC 및 IC 진입을 위한 회차로 건설로 인해서 청학리 방면이 조금 도는 수준으로 꼬인 형상이었는데 이것도 직선화를 통해 해소되었다.[10] 석계역 막차도 23:30에서 5분 당겨진 23:25로 조정.[11] 완전히 비슷한 것은 아니나 705번의 삼송 진입, 과거 7013번 향동 진입과 비슷한 느낌으로 개편되는 것이다. 다만 705번과 7013번은 차고지가 서울 진관공영차고지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중간 구간이 경기도 구간으로 운행하여 서울 은평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다시 서울 은평구로 진입하였다. 2155번은 차고지가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동에 있어 기점이 경기도 구간이라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 서울특별시 노원구로 진입한다.[12] 같은 사례로 202번, 541번 등이 있다. 202번, 541번 등도 각각 개편때부터 노선번호 변경 전까지 108번, 4425번이었다. 202번은 2권역남양주시 불암동에서 출발해 1권역노원구를 통해 서울에 진입해 108번이었고, 541번 역시 5권역군포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 4권역서초구를 통해 서울에 진입해 4425번이었다.[13] 의정부시에서 버스를 타고 내려와서 환승하는 수요도 있었다. 청학리 기점 정류소에는 아예 전용 줄이 따로 있었다.[14] 별내신도시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이 노선이 가장 먼저 경유하는 아파트단지이다.[15] 의정부교도소 → 만가대사거리(휴식 및 앞차 환승) → 청구아파트 → 민락주공2단지 → 산들마을1단지남문 → 용현초교 → 송산1동주민센터.용현주공아파트 → 용현주공아파트.306보충대 → 만가대 → 의정부교도소 역순.[16] 청학리 동부아파트 상가에 태릉교통 사무실이 있었으며, 결정적으로 오전반 운행 시작과 오후반 운행 끝에 이뤄지던 태릉교통에서 만가대사거리까지 공차회송 거리가 무려 왕복 30km에 달했을 정도였다.[17] 이 때 기존 중형차는 10-1번, 10-3번 등에 재배치되었다.[18] 거리는 2배 수준으로 긴 노선인데도 차량은 더 적었으니 당연한 일.[19] 하지만 774번도 이후 폐선되면 서울 면허 최후의 읍/면 경유 버스는 더 이상 없게 된다.[20] 정면은 석계역 - 화랑대역 - 민락동/측면은 석계역, 화랑대역, 삼육대, 민락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