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d5ba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4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d5bab> 1권역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9 | 110 | ||
111 | 120 | 121 | 130 | 140 | ||
141 | 142 | 143 | 144 | 145 | ||
146 | 147 | 148 | 150 | 151 | ||
152 | 160 | 162 | 163 | 171 | ||
172 | 173 | |||||
2권역 | 201 | 202 | 240 | 241 | 242 | |
260 | 261 | 262 | 270 | 271 | ||
272 | 273 | |||||
3권역 | 301 | 302 | 303 | 320 | 333 | |
340 | 341 | 342 | 343 | 345 | ||
350 | 360 | 361 | 370 | |||
4권역 | 400 | 401 | 402 | 405 | 406 | |
420 | 421 | 440 | 441 | 452 | ||
461 | 463 | 470 | 47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d5bab> 5권역 | 500 | 501 | 502 | 503 | 504 |
505 | 506 | 507 | 540 | 541 | ||
542 | 571 | |||||
6권역 | 600 | 601 | 602 | 603 | 604 | |
605 | 606 | 640 | 641 | 643 | ||
650 | 651 | 652 | 653 | 654 | ||
660 | 661 | 662 | 672 | 673 | ||
674 | ||||||
7권역 | 700 | 701 | 702 | 704 | 705 | |
708 | 710 | 720 | 721 | 740 | ||
741 | 742 | 750 | 752 | 753 | ||
760 | 761 | 771 | 773 | 774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의왕시 월암동(월암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신사역1번출구) | ||
종점 행 | 첫차 | 04:20 | 기점 행 | 첫차 | 05:50 |
막차 | 22:2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8~11분 | 주말배차 | 토요일 9~14분 / 공휴일 11~14분 | ||
운수사명 | 우신버스 | 인가대수 | 29대(예비 4대)[1][2] | ||
노선 | 월암공영차고지 - 월암IC.월암동 - 의왕고등학교 - 컨테이너기지 - 의왕보건소 - 고천.의왕시청 - 호계사거리 - 샘마을.대안중학교 - 안양농수산물시장.포일단지입구 - 평촌동행정복지센터.인덕원대우아파트 - 인덕원역 - 과천푸르지오라비엔오 - 정부과천청사역 - 경기과천교육도서관.과천역 - 선바위역 - 서초힐스아파트 - 주암동 - 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신사역1번출구 |
2. 개요
우신버스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4.1km다.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사역까지 연장되었고, 번호도 4424번으로 바뀌었다.
- 2008년 9월 1일부터 강남대로 중앙차로를 이용하게 되었다.
- 2008년 11월 24일에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441번이 되었다.서울시버스조합 공지사항
- 2015년 5월부터 고천동영업소가 고천행복타운 사업구역에 포함되어 월암공영차고지 이전을 준비한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면서 운행거리는 기존보다 13km나 늘어나게 된다. 월암공영차고지에 CNG충전소가 구비되어 있어 가스 충전을 곧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나 운행 횟수는 기존처럼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3]
- 2015년 7월 1일에 월암공영차고지로 기종점을 이전했다.
- 그런데 첫차가 늦어지는 문제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여 7월 3일부터 기점 첫막차시각이 04:40/22:40에서 04:20/22:20으로 20분씩 앞당겨졌다.
- 2019년 3월 23일을 기해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실행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8회/7회/6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로 인해 평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모두 3분가량 늘었고, 토요일/공휴일의 최소 배차간격도 기존보다 1분 늘어난 9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월 18일에 회차지점 유턴 혼잡 민원으로 인해 가로수길 입구 건너편인 신사사거리 정류장이 회차지점으로 변경되어 신사동고개에서 유턴해서 돌아오는 경로로 변경되었다. 다만 542번, 3030번은 그대로 가로수길 입구에서 회차한다.
- 2022년 10월 17일을 기해 2대가 감차되면서[5]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운행 댓수가 2대/2대/1대씩 감축되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됨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 역시 평일 125회/토요일 99회/공휴일 96회에서 평일 115회/토요일 90회/공휴일 88회로 기존 대비 10회/9회/8회씩 감회되었으며, 상세 배차 조정이 병행됨에 따라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평일 8~15분/토요일 및 공휴일 9~15분에서 평일 8~11분/토요일 9~14분/공휴일 11~14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주말에는 남태령이 몹시 막히기 때문에[7] 과천시 등지에서 서울 강남권을 버스로 가려면 이 버스를 타는 것이 더 빠르다. 다만 강남순환도시고속화도로 개통 후 양재대로 정체가 심해져서, 요즘은 태봉로를 타는 541번[8], 542번을 타는 것이 더 낫다. 그러나 우면지구 입주로 542번도 생각보다 태봉로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결정적으로 배차가 길다. 정말로 빨리 가야 한다면, 목적지가 양재역이나 양재시민의숲역 등 환승 저항 문제가 큰 곳이 아닌 이상 그냥 전철을 선택하는 게 제일 낫다.
- 종점이 신사역사거리였는데, 중앙차로 정류장이 아니라 가로수길 근처의 가변 정류장이다. 신사역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가로수길까지 거리가 길다.(그런데 똑같이 우회전하는 145번은 중앙차로에 정차한다.) 강남 근처에서 가로수길에 가야 할 때 타면 유용한 노선 중 하나이다. 가끔씩 신사역 앞 도산대로가 차량 정체 현상으로 회차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 542번과 50% 정도나 겹친다. 인덕원역 ~ 신사역 구간에서 이 노선은 LH서초아파트~교육개발원입구 경유, 542번은 네이처힐아파트~일동제약 경유로 차이가 난다.[9] 이 노선은 양재IC 부근에 상습 정체 구역으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린다. 빨리 가려면 541번이나 542번을 타자. 단 이 두 노선은 배차간격이 10분 이상이므로 BIS나 버스 어플을 확인하고 이용해야 한다.
- 참고로 기점에서 1km 정도만 걸어도 25-2번, 11-1번과 환승이 가능하다. 수도권 통합 요금의 30분 환승 규정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거리이지만 배차간격은 상당히 긴 노선이다. 다만, 도보로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까지 10분 정도 걸어가면 그나마 자주오는 112번과 연계가 가능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41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7,247명 | - |
2014년 | 17,203명 | ▽ 44 |
2015년 | 16,631명 | ▽ 572 |
2016년 | 15,245명 | ▽ 1,386 |
2017년 | 14,767명 | ▽ 478 |
2018년 | 14,381명 | ▽ 386 |
2019년 | 14,354명 | ▽ 27 |
2020년 | 11,856명 | ▽ 2,498 |
2021년 | 12,045명 | △ 189 |
2022년 | 13,411명 | △ 1,261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신사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선바위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신사역
6. 둘러보기
| |||
직행좌석 | 3030 | ||
일반시내 | 11-3 | 917 | |
간선 | 441 | 541 | 542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의정부시 | |
수락리버 | ||
구리/남양주 |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 |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3, 4권역 | 하남, 성남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남시 | 4432청계산 |
하남시 |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 |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안양시 |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
군포시 | 441한솔 502한솔 | |
의왕시 | ||
과천시 |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 |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광명시 | |
철산리버 | ||
부천시 | ||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양시 | |
동산동 | ||
덕은동 | ||
대덕동 | ||
파주/양주 | 704송추 773운정 774파주읍 9714교하 | |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1] 예비차 4대 중 2대는 평일에 한해 상용차처럼 투입된다.[2] 토요일 21대 / 공휴일 20대 운행[3] 당초 기점 막차 시간은 20분 앞당겨진 22:40으로 조정될 계획이었다.[4] 증차분은 541번 예비차 감차분이다.[5] 감차분은 2대 모두 541번 증차분으로 투입될 예정이다.[6] 가장 북쪽까지 올라가는 노선은 774번이다.[7] 5분이면 갈 거리를 30~40분씩 지체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어떤 버스 기사는 '미리 내려서 지하철로 갈아타세요'라고 안내까지 할 정도.[8] 강남->안양 방면 한정. 안양→강남 방면은 우면지구를 거친 뒤 우면산터널과 서초역, 교대역을 찍고 가는데 굴곡도 있고 우면산터널 정체도 심각하다.[9] 이것도 9503번 광역버스가 542번 간선버스로 형간전환하고 양재IC 대신 우면지구를 경유하면서 겹치는 구간이 그나마 줄어든 것이다. 542번이 옛날 9503번 광역버스였던 시절에는 441번과 인덕원역부터 신사역까지 완전히 겹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