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1대 정춘숙 | → | 제22대 부승찬 | → | 현직 |
<bgcolor=#152484,#15248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16.6%,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006464 66.4%, #006464 8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도당위원장 | |||
김승원 |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
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 | 김준혁 | |
수원 무 | 성남 수정 | 성남 중원 | 성남 분당 갑 | |
염태영 | 김태년 | 이수진 | 이광재 | |
성남 분당 을 | 의정부 갑 | 의정부 을 | 안양 만안 | |
왕홍곤 | 박지혜 | 이재강 | 강득구 | |
안양 동안 갑 | 안양 동안 을 | 부천 갑 | 부천 을 | |
민병덕 | 이재정 | 서영석 | 김기표 | |
부천 병 | 광명 갑 | 광명 을 | 평택 갑 | |
이건태 | 임오경 | 김남희 | 홍기원 | |
평택 을 | 평택 병 | 동두천·양주·연천 갑 | 동두천·양주·연천 을 | |
이병진 | 김현정 | 정성호 | 남병근 | |
안산 갑 | 안산 을 | 안산 병 | 고양 갑 | |
양문석 | 김현 | 박해철 | 김성회 | |
고양 을 | 고양 병 | 고양 정 | 의왕·과천 | |
한준호 | 이기헌 | 김영환 | 이소영 | |
구리 | 남양주 갑 | 남양주 을 | 남양주 병 | |
윤호중 | 최민희 | 김병주 | 김용민 | |
오산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차지호 | 문정복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갑 | 하남 을 | 용인 갑 | 용인 을 | |
추미애 | 김용만 | 이상식 | 손명수 | |
용인 병 | 용인 정 | 파주 갑 | 파주 을 | |
부승찬 | 이언주 | 윤후덕 | 박정 | |
이천 | 안성 | 김포 갑 | 김포 을 | |
성수석 | 윤종군 | 김주영 | 박상혁 | |
화성 갑 | 화성 을 | 화성 병 | 화성 정 | |
송옥주 | 김창겸 | 권칠승 | 전용기 | |
광주 갑 | 광주 을 | 포천·가평 | 여주·양평 | |
소병훈 | 안태준 | 박윤국 | 최재관 | |
}}}}}}}}}}}}}}} |
<colbgcolor=#152484,#15248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부승찬 夫勝粲 | Boo Seung-chan | |||
| |||
출생 | 1970년 10월 14일 ([age(1970-10-14)]세) | ||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하도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1] | |||
거주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삼성쉐르빌 | ||
본관 | 제주 부씨[2] | ||
현직 | 제22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수석대변인 더불어민주당 용인시 병 지역위원장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52484,#152484><colcolor=#fff> 배우자 | 정애란[3] | |
자녀 | 장녀 부성희(1998년생), 차녀 부성연(2004년생) | ||
학력 | 하도국민학교 (졸업) 세화중학교 (졸업) 제주세화고등학교 (34회 / 졸업) 공군사관학교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4]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5] | ||
신체 | 182cm | ||
소속 정당 | |||
지역구 | 경기도 용인시 병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22 | ||
소속 위원회 | 국방위원회 (간사) | ||
경력 | 최재천 국회의원 보좌관 김종대 국회의원 정책보좌관 정경두 국방부장관 정책보좌관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통일학협동과정 겸임교수 국방부 대변인 (문재인 정부)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제22대 국회의원 (경기 용인시 병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간사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수석대변인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 ||
군사 경력 | |||
임관 | 공군사관학교 (43기) | ||
복무 | 대한민국 공군 | ||
1995년 3월 1일 ~ 2010년 2월 28일[6] | |||
최종 계급 | 소령 (대한민국 공군) | ||
병과 | 정보 (8007) | }}}}}}}}} |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공무원[7] 출신 정치인.2. 생애
1970년 10월 14일,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서 아버지 부태송(夫泰松, 1931.11.28. ~ ?)과 어머니 청주 한씨 한상순(韓相順, 1938.7.24. ~ )[8] 사이에서 2남 5녀 중 차남(전체 여섯째)으로 태어났다. 하도초등학교, 세화중학교, 제주세화고등학교(34회)[9]를 졸업하였다.2.1. 공직 및 정치 경력
1991년 공군사관학교(43기)[10]에 입교하여 1995년 3월 1일 졸업과 동시에 대한민국 공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후 15년 동안 공군본부 및 한미연합군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11] 등에서 정보 장교로 복무[12]했다. 2007년 2월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0년 2월 28일 소령으로 전역했다.전역 후 정치권에 투신하여 제19대 국회 당시 민주통합당 최재천 의원 보좌관으로 근무하였고, 2015년 8월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3] 제20대 국회 때는 참여계 출신 정의당 김종대 의원 보좌관으로 일했다. 이후 2018년 1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정경두 국방부장관의 정책보좌관직을 역임했다.
그러다 2020년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해서 제주시 을 선거구 출마를 선언한 뒤 예비후보로 등록해서 같은 당 오영훈 후보와 경선을 펼쳤으나 패배하면서 출마하지 못했다.
총선이 끝난 후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으로 일하다가 2020년 12월에 국방부의 대변인직을 맡아 임기 만료 때까지 재직했다. 국방부 대변인으로 문재인 정부 시기 북한의 미사일 도발마다 '미상 발사체' 발표를 했다. # 2021년 3월 25일자 기사를 보면 당시 부승찬의 발언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런 행보 때문에 논란이 되었다.
후술할 논란의 저서였던 <권력과 안보>를 퇴임 후 출판하였다. 이로 인하여 자택과 차량 등을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압수 수색당했으며, 해당 저서의 출판사에 대하여 정부는 법원에 도서 출판 및 판매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그러나 국방부 측은 가처분 신청 때부터 군사 기밀 보호법 상 구체적인 조항을 특정해서 주장하지 못했고, '국가 기밀' 누설을 이유로 출판 금지 가처분 신청이 이뤄진 것은 무려 안기부 때로 올라가기 때문에, 저서의 일부 내용이었던 천공 도사의 행적과 관련된 의혹 제기가 이유가 아니었겠느냐는 논란이 커졌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용인시 병 출마를 준비, 3월 6일에 현역 정춘숙 의원을 꺾고 경선에서 승리하여 출마가 확정되었다.
본선에서는 국민의힘의 고석 후보와 접전을 벌였고 계속해서 뒤지다가 막판 관외 사전투표함 개표에 따른 역전으로 851표 차 신승을 이뤄내며 당선되었다.
상임위로는 국방위원회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2.1.1. 12.3 비상계엄
2024년 6월 9일에는 오물 풍선 사건 와중에 "윤석열 정부가 의도적으로 대북전단 단체를 안 막는 것은, 계엄령을 선포한 뒤 천공의 말대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시나리오로 가려는 의도"라는 주장을 본인의 페이스북에 게시하였다. # 실제로 위험 구역에서 대북전단 살포와 같은 금지 행위를 한 경우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 위반으로 1년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되어 있지만 경찰이 제대로 단속을 하지 않고 있다. # 그런데 몇 개월 되지 않아 12월 3일, 정말로 계엄 사태가 발생하고 말았다. 물론 2시간 30분 만에 실패로 돌아가기는 했지만.저는 총장님을 보고 있으면요, 너무 안타까워요. 그렇게 존경받고! 후배들한테 그렇게 사랑 받고! 그런 분이 여기 와서 왜, 화살을 혼자 다! 맞고 계시냐 이거에요. 질의하는 저조차도,[14] 가슴이 미어져요. 개인적으로, 박안수 장군님을! 얼마나 존경하는지 아십니까? 이 위법한 행위를 한 거에 대해서! 총장님이 하실 수 있는 거, 국민들한테 사죄할 수 있는 거는, 이 명령 체계를 이탈한 자들에 대해서... 군 검찰에 수사 지시를 하는 겁니다.
2024년 12월 5일, 국방위원회에 출석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전 계엄사령관)에게 질의하던 중 부승찬 의원이 했던 발언
2024년 12월 5일, 국방위원회에 출석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전 계엄사령관)에게 질의하던 중 부승찬 의원이 했던 발언
계엄령이 해제된 이후 진행된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질의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국회에 육군특수전사령부 투입,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국군방첩사령부 요원 투입 등에 대해 모른다고 답하자 박 총장이 패싱당했다고 안타까워하고, 계엄 사령관이었던 박 총장이 모르는 사이에 출동을 지시한 하부 조직 책임자들을 군형법 상의 반란죄로 군 검찰에 수사를 지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당시 계엄 해제 표결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의사당으로 이동하며, 오마이뉴스 박정호와 실시간 인터뷰를 가졌다. # [15] 또 뒤늦게 도착했는지,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로부터 "부승찬! 빨리 들어와!"라는 재촉과 시민과 당직자, 기자들로부터 응원을 받으며 본회의장에 진입하는 모습도 JTBC 카메라에 찍히기도 했다. # # [16]
김병기 의원의 증언에 따르면, 본회의장에 집결해 불안감에 떨고 있던 인원들에게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김병기와 부승찬 두 의원이 다른 의원들에게 린치나 폭행 시 급소를 보호하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2.2. 천공 한남동 관저 방문 및 개입 의혹 폭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공 한남동 관저 방문 및 개입 의혹 논란#s-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공 한남동 관저 방문 및 개입 의혹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저서의 '천공' 언급 관련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피소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승찬 군사기밀보호법위반 혐의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승찬 군사기밀보호법위반 혐의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부 의원이 2023년 2월 <권력과 안보-문재인 정부 국방비사와 천공 의혹>을 출간하며 윤석열 정부의 천공 관련 의혹을 제기하자, 윤석열 정부 국방부에서 해당 서적에 군사기밀이 포함되어 있다며 부 의원을 군사기밀보호법 위반으로 고발하고 출판사에 도서출판 및 판매 금지 가처분 신청을 낸 사건이다.
2023년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뒤 같은 해 8월 항고심에서 국방부 검찰단의 항고가 기각되며 무죄가 확정되었다. 출판사에 대한 가처분 신청은 1심에서 기각되었으나 2심에서는 일부 인용되어 전체 400 페이지 중 6개 페이지를 삭제하도록 했다. 출판사는 소송 비용 문제로 상고를 포기하고 오히려 천공 관련 의혹을 보강한 증보판을 출간하여 판매 중이다.
3. 어록
○부승찬 위원: 다 알고 하는 거 아니에요?
○임종득 위원: 내가 무슨 이야기를 했어요?
○부승찬 위원: 회유를 했다고 하는데요, 사실관계……
○임종득 위원: 내 이야기가 아니잖아요.
○부승찬 위원: 사실관계 명확히 확인하고 가세요. 전문위원 있었고 국회의원을 있었다며? 저 있었어요. 양심 고백하겠다고 해서 갔어요. 얻다 대고 회유를 했다고 합니까? 그거 말을 좀 가려서 하세……
○임종득 위원: 그게 내 이야기에요?
○부승찬 위원: 하셨잖아요, 회유했다고.
○임종득 위원: 제보자 이야기라고 제가 얘기했잖아요.
○부승찬 위원: 아니, 제보자 얘기를…… 아니, 제 얘기를 들으세요. 제 얘기…
○임종득 위원: 지금 부 위원님 이름을 이야기한 적도 없는데……
○부승찬 위원: 아니, 제 얘기를 들으세요.
○임종득 위원: 정황을 한번 생각해보세요. 국민이 판단할 겁니다, 그것은.
○박준태 위원: 충분히 의심이 갈 만한 정황이라는 걸 지적도 못 합니까?
○부승찬 위원: 아니, 제 얘기를 하고 있잖아요. 자, 사실관계를 명확히 얘기를 할게요.
특전사령… 전 특전사령관이 양심 고백을 하겠다 그래서 국방위 간사니까 와 달라, 해서 갔어요. 가서 봤더니 707특임단장하고 특전사령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실대로 말하는 게 군인으로서 올바른 자세라고 얘기를 했어요. 저희가 "얘기하세요" 한 게 아니고. 제보자가 어떤 사람인진 모르겠지만, 예? 그래도 제보가 오면 팩트 체크는 해야죠. 저한테 전화했으면 자세하게 얘기해줬을 거 아니에요? 최소한적으로 제보가 오면 한 사람 정도는 더 팩트 체크를 하는게 청문회특위 위원의 자세 아니에요? 그냥 질러 대면 됩니까?
○임종득 위원: 제가 말한 거에 그렇게 물타기하실 거에요?
○부승찬 위원: 물타기라뇨? 채 해병 죽인 사람이 당신 아뇨, 그럼! 저도 제보 받았어요.
○곽규택 위원: 그거하고 뭔 상관입니까? 채 해병 사건이 왜 나와요, 여기서?
○부승찬 위원: 제보 받았어요, 저도!
○임종득 위원: 참, 싸가지가……
○위원장 안규백: 자, 가만히, 가만히 들으시지요.
○부승찬 위원: 싸가지? 싸가지? 말 함부로… 사과하세요. 싸가지라뇨. 제가 사실대로 얘기를, 지금 드리고 있잖아요! 싸가지라뇨? 선을 넘네? 해보자는거요?
2025년 2월 4일 [제22대국회] 제422회 제6차 윤석열정부의비상계엄선포를통한내란혐의진상규명국정조사특별위원회 中
○임종득 위원: 내가 무슨 이야기를 했어요?
○부승찬 위원: 회유를 했다고 하는데요, 사실관계……
○임종득 위원: 내 이야기가 아니잖아요.
○부승찬 위원: 사실관계 명확히 확인하고 가세요. 전문위원 있었고 국회의원을 있었다며? 저 있었어요. 양심 고백하겠다고 해서 갔어요. 얻다 대고 회유를 했다고 합니까? 그거 말을 좀 가려서 하세……
○임종득 위원: 그게 내 이야기에요?
○부승찬 위원: 하셨잖아요, 회유했다고.
○임종득 위원: 제보자 이야기라고 제가 얘기했잖아요.
○부승찬 위원: 아니, 제보자 얘기를…… 아니, 제 얘기를 들으세요. 제 얘기…
○임종득 위원: 지금 부 위원님 이름을 이야기한 적도 없는데……
○부승찬 위원: 아니, 제 얘기를 들으세요.
○임종득 위원: 정황을 한번 생각해보세요. 국민이 판단할 겁니다, 그것은.
○박준태 위원: 충분히 의심이 갈 만한 정황이라는 걸 지적도 못 합니까?
○부승찬 위원: 아니, 제 얘기를 하고 있잖아요. 자, 사실관계를 명확히 얘기를 할게요.
특전사령… 전 특전사령관이 양심 고백을 하겠다 그래서 국방위 간사니까 와 달라, 해서 갔어요. 가서 봤더니 707특임단장하고 특전사령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실대로 말하는 게 군인으로서 올바른 자세라고 얘기를 했어요. 저희가 "얘기하세요" 한 게 아니고. 제보자가 어떤 사람인진 모르겠지만, 예? 그래도 제보가 오면 팩트 체크는 해야죠. 저한테 전화했으면 자세하게 얘기해줬을 거 아니에요? 최소한적으로 제보가 오면 한 사람 정도는 더 팩트 체크를 하는게 청문회특위 위원의 자세 아니에요? 그냥 질러 대면 됩니까?
○임종득 위원: 제가 말한 거에 그렇게 물타기하실 거에요?
○부승찬 위원: 물타기라뇨? 채 해병 죽인 사람이 당신 아뇨, 그럼! 저도 제보 받았어요.
○곽규택 위원: 그거하고 뭔 상관입니까? 채 해병 사건이 왜 나와요, 여기서?
○부승찬 위원: 제보 받았어요, 저도!
○임종득 위원: 참, 싸가지가……
○위원장 안규백: 자, 가만히, 가만히 들으시지요.
○부승찬 위원: 싸가지? 싸가지? 말 함부로… 사과하세요. 싸가지라뇨. 제가 사실대로 얘기를, 지금 드리고 있잖아요! 싸가지라뇨? 선을 넘네? 해보자는거요?
2025년 2월 4일 [제22대국회] 제422회 제6차 윤석열정부의비상계엄선포를통한내란혐의진상규명국정조사특별위원회 中
4. 저서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52484,#152484><tablebgcolor=#fff,#1c1d1f><rowcolor=#fff><rowbgcolor=#152484,#152484>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용인 병 | | 81,538 (50.26%) | 당선 (1위) | 초선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2대 총선 (경기 용인시 병) | }}}}}}}}} |
7. 여담
- 2024년 8월 30일, '국집소'에 출연해 세븐틴 승관의 친척 + 동네주민이며 족보상으로는 조카 관계라고 한다. 단 승관이 어린 시절 제주를 떠난터에 승관의 아버지와 주로 친한데, 아버지외는 전화 연락도 자주 하며 고향에 갈 때마다 자주 보는 사이라고 한다. 부승관을 보면서 "부씨가 그런(노래) 쪽으로 약한데..."라는 농담을 자주 한다. Full 영상
- 김민석에 가려져서 잘 부각되지 않지만, 12.3 비상계엄을 예측했던 정치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정보장교 계통에 HID와 작전 협력 경험이 있어서 군내 정보, 특수전 쪽 휴민트를 지금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국회 선진화법으로 동물국회가 사라진 민주당에서 김용만 의원과 함께 민주당의 대표적 쌈닭 중 한 명으로 국민의힘 의원들과 언성이 높아지다 험악한 장면이 나올 때쯤 등장해 고성을 지르며 국힘 의원들을 압박하는 장면이 원내에서 자주 포착되어 부승질머리, 부승사자, 앵그리 부, 용인 쇠젓가락 등으로 불린다. 반말하는 사람과 자신감 없는 사람을 싫어하며 화가 나면 웃는다거나 자신감 강의를 시작하는 등의 기행으로 야당 지지자들 사이에선 미치광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한다. 이 때문에 국회 유일의 자신감 강사로도 불린다. # # # # #
- 이른바 ‘조희대·한덕수 회동설’을 주장했다가 경찰에 고발당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를 지우기 위해 정부와 여당이 사법부에 대한 총공세에 나선 가운데, 부승찬 의원은 친여 유튜브 '열린공감 TV'가 5월 제기했던 회동설을, 9월 15일 김어준 유튜브에서 다룬 이튿날 대정부 질문에서 공식 제기했다. 유튜브에서 떠돌던 '설'을 공론장으로 처음 올린 셈. 문제는 열림공감 TV의 주장이 근거 없는 제보에 의존하고 있었다는 것인데, 부 의원은 "믿을 만한 제보가 있었다"는 해명만 하고 있는 상황.# 부 의원과 같은당 서영교 의원의 근거 없는 주장으로 국회의원의 면책 특권 자체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독재 정권 시기 야당 의원들의 발언권을 보장하기 위한 특권이 현재는 가짜뉴스를 확산시키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는 지적.#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color: #ffffff; min-height: calc(1.5em + 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의기관 (전국당원대회·중앙위원회) |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52484> 전국당원대회 의장 | 조정식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52484> 중앙위원회 의장 | 민홍철 | |
전국당원대회 부의장 | 장종태 · 이지은 | 중앙위원회 부의장 | 유동수 · 송옥주 | |
집행기구 (당무위원회·최고위원회) | ||||
당대표 (당무위원회 의장) | 정청래 | |||
비상대책위원장 | 공석 | |||
원내대표 | 김병기 | 수석최고위원 | 전현희 | |
최고위원 | 한준호 · 김병주 · 이언주 · 황명선 · 서삼석 (지명) · 박지원 (지명) | |||
독립기구 | ||||
<rowcolor=#fff> 윤리심판원장 | 한동수 | 당무감사원장 | 소병훈 | |
교육연수원장 | 김영진 | 민주연구원장 | 이한주 | |
당대표·최고위원회 소속기구 | ||||
<rowcolor=#fff> 중앙당후원회장 | 변재일 |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 | 송기도 | |
<rowcolor=#fff> 윤리감찰단장 | 박균택 | 당대표 특보단장 | 김정호 | |
수석대변인 | 박수현 | |||
대변인 | 권향엽 · 김미경 · 김지호 · 문대림 · 박경미 · 박규환 · 박지혜 · 박해철 · 부승찬 · 장윤미 | |||
부대변인 | 강성필 · 김윤재 · 박지우 · 박창진 · 이나영 · 이원혁 · 이지혜 · 이현택 · 차승세 | |||
당대표비서실 (당대표 소속) | ||||
당대표 비서실장 | 한민수 | |||
당대표 정무조정실장 | 김영환 | 당대표 수행실장 | ||
전국위원회 | ||||
전국여성위원장 | 이수진 | 전국노인위원장 | 최락도 | |
전국청년위원장 | 모경종 | 전국대학생위원장 | 봉건우 | |
전국장애인위원장 | 서미화 | 전국노동위원장 | 최철호 | |
전국농어민위원장 | 임미애 |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장 | 민병덕 | |
사회적경제위원장 | 복기왕 | 전국소상공인위원장 | 오세희 | |
상설위원회 | ||||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 | 홍성국 |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 | 조정식 | |
자치분권정책협의회 의장 | 정청래 | 세계한인민주회의 의장 | 정청래 | |
국제위원장 | 강선우 | 전국직능대표자회의 의장 | 윤후덕 · 황희 | |
민생연석회의 의장 | 정청래 | 참좋은지방정부위원장 | 박승원 | |
당헌당규위원장 | 유동수 | 인권위원장 | 고민정 | |
다문화위원장 | 박해철 | 재정위원장 | 임호선 | |
예산결산위원장 | 문정복 | 청년미래연석회의 의장 | 김동아 | |
인재위원장 | 정청래 | 탄소중립위원장 | 위성곤 | |
특별위원회 (상설) | ||||
중소기업특별위원장 | 권칠승 | 사회복지특별위원장 | 서영석 | |
보육특별위원장 | 전진숙 | 교육특별위원장 | 백승아 | |
보건의료특별위원장 | 강청희 | 주거복지특별위원장 | 홍기원 | |
한반도평화경제특별위원장 | 국방안보특별위원장 | 김도균 · 백군기 | ||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장 | 문화예술특별위원장 | 손명수 · 이원종 | ||
기후위기대응환경특별위원장 | 한정애 | 체육특별위원장 | 강신성 · 조계원 | |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장 | 황정아 | 정보통신특별위원장 | 이정헌 | |
해양수산특별위원장 | 문대림 | 북한이탈주민특별위원장 | 송재봉 | |
국민통합위원장 | 재난재해대책특별위원장 | 윤건영 | ||
4050특별위원장 | 김준혁 | 전국정당추진특별위원장 | ||
국가보훈정책특별위원장 | 호남발전특별위원장 | 서삼석 | ||
종교특별위원장 | 이용선(총괄) · 김병기 · 김병주 · 송기헌 | |||
특별위원회 (비상설) | ||||
검찰개혁특별위원장 | 민형배 | 언론개혁특별위원장 | 최민희 | |
사법개혁특별위원장 | 백혜련 | 당원주권정당특별위원장 | 장경태 | |
3대특검종합대응특별위원장 | 전현희 | 민주정부정치탄압대책위원장 | 김영진 | |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장 | 이언주 | 이태원참사특별위원장 | 남인순 | |
기본사회위원장 | 정청래 | 세월호특별위원장 | 김현 | |
정치테러대책위원장 | 전현희 | AI강국위원장 | 정청래 | |
게임특별위원장 | 김성회 | 회복과성장을위한정년연장특별위원장 | 소병훈 | |
연금개혁특별위원장 | 남인순 | 코스피5000특별위원장 | 오기형 | |
조세정상화특별위원장 | 김영진 | 정치검찰조작기소대응특별위원장 | 한준호 | |
대선불복불법현수막대응특별위원장 | 김현 |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장 | 김태년 | |
사무처 | ||||
사무총장 | 조승래 | 수석사무부총장 | 임호선 | |
조직사무부총장 | 문정복 | 디지털미래사무부총장 | 차지호 | |
전략기획위원장 | 이해식 | 홍보소통위원장 | 한웅현 | |
국민소통위원장 | 김현 · 전용기 | 대외협력위원장 | 김현정 · 박홍배 | |
젠더폭력신고상담센터장 | 장은경 | 민원정책실장 | 임오경 | |
법률위원장 | 이성윤 | |||
<rowcolor=#fff> 정책위원회 | ||||
의장 | 한정애 | 수석부의장 | 유동수(경제) · 최기상(사회) | |
상임부의장 | 김윤 · 안도걸 · 황정아 | |||
정책조정위원장 | 박범계(법제사법) · 강준현(정무) · 정태호(기획재정) · 문정복(교육) · 김현(과기정통) · 김영배(외교통일) · 부승찬(국방) · 윤건영(행정안전) · 임오경(문화체육관광) · 이원택(농해수) · 김원이(산자중기) · 김주영(환경노동) · 문진석(국토교통) · 박선원(정보) | |||
| ||||
원내대표 | 김병기 | |||
원내수석부대표 | 문진석(운영) · 허영(정책) · 박상혁(소통) | |||
원내대표 비서실장 | 이기헌 | 원내대표 지원실장 | 윤종군 | |
원내부대표 | 김기표 · 김남근 · 김문수 · 김영환 · 김준혁 · 문대림 · 박용갑 · 박홍배 · 오세희 · 이건태 · 이상식 · 이성윤 · 이주희 · 이훈기 · 전진숙 · 조인철 · 채현일 | |||
원내대변인 | 김현정 · 문금주 · 백승아 | |||
역대 당대표 · 역대 사무총장 · 시도당위원장 · 상임고문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 | 김준혁 | |
수원 무 | 성남 수정 | 성남 중원 | 성남 분당 갑 | |
염태영 | 김태년 | 이수진 | 안철수 | |
성남 분당 을 | 의정부 갑 | 의정부 을 | 안양 만안 | |
김은혜 | 박지혜 | 이재강 | 강득구 | |
안양 동안 갑 | 안양 동안 을 | 부천 갑 | 부천 을 | |
민병덕 | 이재정 | 서영석 | 김기표 | |
부천 병 | 광명 갑 | 광명 을 | 평택 갑 | |
이건태 | 임오경 | 김남희 | 홍기원 | |
평택 을 | 평택 병 | 동두천·양주·연천 갑 | 동두천·양주·연천 을 | |
이병진 | 김현정 | 정성호 | 김성원 | |
안산 갑 | 안산 을 | 안산 병 | 고양 갑 | |
양문석 | 김현 | 박해철 | 김성회 | |
고양 을 | 고양 병 | 고양 정 | 의왕·과천 | |
한준호 | 이기헌 | 김영환 | 이소영 | |
구리 | 남양주 갑 | 남양주 을 | 남양주 병 | |
윤호중 | 최민희 | 김병주 | 김용민 | |
오산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차지호 | 문정복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갑 | 하남 을 | 용인 갑 | 용인 을 | |
추미애 | 김용만 | 이상식 | 손명수 | |
용인 병 | 용인 정 | 파주 갑 | 파주 을 | |
부승찬 | 이언주 | 윤후덕 | 박정 | |
이천 | 안성 | 김포 갑 | 김포 을 | |
송석준 | 윤종군 | 김주영 | 박상혁 | |
화성 갑 | 화성 을 | 화성 병 | 화성 정 | |
송옥주 | 이준석 | 권칠승 | 전용기 | |
광주 갑 | 광주 을 | 포천·가평 | 여주·양평 | |
소병훈 | 안태준 | 김용태 | 김선교 | |
선거 결과 | ||||
◀ 제21대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52484,#152484><tablebgcolor=#152484,#152484>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52484,#152484><tablebgcolor=#152484,#152484>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강득구 | 강선우 | 강준현 | 고민정 | 곽상언 |
권칠승 | 권향엽 | 김교흥 | 김기표 | 김남근 | |
김남희 | 김동아 | 김문수 | 김민석 | 김병기 | |
김병주 | 김상욱 | 김성환 | 김성회 | 김승원 | |
김영배 | 김영진 | 김영호 | 김영환 | 김용만 | |
김용민 | 김우영 | 김원이 | 김윤 | 김윤덕 | |
김정호 | 김주영 | 김준혁 | 김태년 | 김태선 | |
김한규 | 김현 | 김현정 | 남인순 | 노종면 | |
맹성규 | 모경종 | 문금주 | 문대림 | 문정복 | |
문진석 | 민병덕 | 민형배 | 민홍철 | 박균택 | |
박민규 | 박범계 | 박상혁 | 박선원 | 박성준 | |
박수현 | 박용갑 | 박정 | 박정현 | 박주민 | |
박지원 | 박지혜 | 박찬대 | 박해철 | 박홍근 | |
박홍배 | 박희승 | 백승아 | 백혜련 | 복기왕 | |
부승찬 | 서미화 | 서삼석 | 서영교 | 서영석 | |
소병훈 | 손명수 | 송기헌 | 송옥주 | 송재봉 | |
신영대 | 신정훈 | 안규백 | 안도걸 | 안태준 | |
안호영 | 양문석 | 양부남 | 어기구 | 염태영 | |
오기형 | 오세희 | 위성곤 | 유동수 | 윤건영 | |
윤종군 | 윤준병 | 윤호중 | 윤후덕 | 이강일 | |
이개호 | 이건태 | 이광희 | 이기헌 | 이병진 | |
이상식 | 이성윤 | 이소영 | 이수진 | 이언주 | |
이연희 | 이용선 | 이용우 | 이원택 | 이인영 | |
이재강 | 이재관 | 이재정 | 이정문 | 이정헌 | |
이주희 | 이학영 | 이해식 | 이훈기 | 임미애 | |
임오경 | 임호선 | 장경태 | 장종태 | 장철민 | |
전용기 | 전재수 | 전진숙 | 전현희 | 정동영 | |
정성호 | 정을호 | 정일영 | 정준호 | 정진욱 | |
정청래 | 정태호 | 조계원 | 조승래 | 조인철 | |
조정식 | 주철현 | 진선미 | 진성준 | 차지호 | |
채현일 | 천준호 | 최기상 | 최민희 | 추미애 | |
한민수 | 한병도 | 한정애 | 한준호 | 허성무 | |
허영 | 허종식 | 홍기원 | 황명선 | 황정아 | |
황희 | }}}}}}}}} |
[1] #[2] 열공계(悅公系) 21세.[3] 건축직 공무원이며, 국토교통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세화중학교 동창. 석사 학위 논문 - 아내를 향한 감사의 글에 따르면 이름이 '애란'이다.[4] 석사 학위 논문: 러시아의 민주주의 공고화에 관한 연구 : 제도, 정치행위자, 정치문화의 관점에서(2007.2.)[5] 박사 학위 논문: 북한과 이스라엘의 생존전략 : 포위심성(siege mentality)의 적용(2015.8.)[6] 병무청 공직자 등의 병역사항 열람 참조.[7] 마지막으로 맡았던 국방부 대변인 직은 중앙부처 국장급 공무원으로 별정직 고위공무원 나 등급이다. 2010년 이전까지 국방부 대변인은 현역 준장이 많았지만, 2010년 이후로는 민간 출신들이 맡고 있다.#[8] 한유한(韓柳漢)의 딸이다.[9] 김우남 전 국회의원(18회), 오홍식 제민일보 대표이사(18회), 강대성 (사)서울제주균형발전시민연합회 이사장(19회), 오창수 전 제주도 감사위원장(20회), ‘모래시계’의 드라마 작가 송지나(20회), 고태언 제주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상임의장(22회), 부석종 전 해군참모총장(27회), 김경학 제주도의회 의장(29회), 오인구 전 제주동부경찰서장(29회), 1990년도 북경아시안게임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김원탁(29회), 한라산작가 채기선 화백(30회), 고상환 제주도농업기술원장(30회), 고계성 한국 관광학회 회장(30회),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 센타장(30회), 서상열 서울시의원(41회) 등을 배출한 공립고교다.[10] 공사 43기 동기 중 선두주자는 현재 소장이며, 모두 공군본부 참모로 근무 중이다. 주성규 공본 인사참모부장, 구상모 정책실장, 박흥재 감찰실장 등이다. 또 유튜버 멋진창창과도 동기다.[11] #[12] 다만 2024년 12월 11일 국회 국방위에서 공작대장을 했으며 HID도 다녀왔다고 언급(해당 영상의 4:15경)했는데, 12월 13일 매불쇼에서 1:16:00경 밝힌 바에 따르면 위관급 장교 시절 실미도 부대의 후신인 부대에서 공작대장으로 근무하였으나 HID 소속은 아니라고 명시했다. 그러니까 HID와는 파견이나 협력 관계였었는데 어째 그 출신으로 와전된 듯 하다.[13] 당시 지도교수는 문정인이었다.[14] 이 때 정말로 울컥했었는지 살짝 떨리는 듯한 목소리로 말을 했다.[15] 영상 2시간 48분 30[16] 영상 9분 59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