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1:21:07

문정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문정인(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BA4><tablebgcolor=#006BA4> 파일:한반도기 흰색.svg2018 남북정상회담
원로자문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이름 현직 (2018년 기준) 관련 이력
임동원(단장) 한반도평화포럼 명예 이사장 제24대 국가정보원장
제25·27대 통일부장관
김영희 중앙일보 대기자
김정수 한국여성평화연구원장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 2000, 2007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
박재규 경남대학교 총장 제26대 통일부장관
2000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회 위원장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 2000 남북정상회담 대북특사
백종천 세종연구소 이사장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심재권 제20대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제11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제33대 통일부장관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2000 남북정상회담 대통령 특별수행원
제32대 통일부장관
이현숙 여성평화외교포럼 명예대표 참여정부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장
이홍구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 제14대 국토통일원장관, 제20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
장달중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참여정부 통일부 정책평가위원장
장상 세계기독교교회협의회 공동의장 통일부 통일고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 제31대 통일부장관
정세현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제29·30대 통일부장관
제6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최완규 신한대학교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장 제4대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국민의 정부 통일부 통일정책평가회의 위원
한완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제18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
제3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홍석현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제20대 주미대사
대통령 미국 특사
황원탁 국민의 정부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
}}}}}}}}}}}} ||
<colbgcolor=#082e59><colcolor=#fff>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특임교수
문정인
文正仁 | Moon Jeong-in
파일:문정인 대통령외교안보특보.jpg
출생 1951년 3월 25일 ([age(1951-03-25)]세)
제주도 제주시[1]
본관 남평 문씨[2]
형제 남동생 문성종[3]
자녀 아들 문기현[4]
학력 제주북국민학교[5] (졸업)
오현중학교 (졸업)
오현고등학교 (17회 / 졸업)
한국외국어대학 외국어학부 (이탈리아어과 / 중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철학 / 학사)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6])
병역 육군 국군정보사령부 병장 만기전역
현직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특임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초빙석학교수
Global Asia 편집인
아시아-태평양 리더십 네트워크 부의장
재단법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김준형 국회의원 후원회장
약력 켄터키 대학교 정치학과 조교수
켄터키 대학교 정치학과 부교수
재미한국인정치학회 이사 겸 사무총장
한국정치학회 국제위원장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듀크 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겸임교수
미국국제정치학회 이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장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장
미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UCSD 국제정치대학원 석좌연구원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
한국평화학회 회장
동아시아재단 이사
대한민국 외교부 국제안보대사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장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
세종연구소 이사장
신체 180cm, 80kg
종교 무종교[7]

1. 개요2. 생애3. 정책관4. 논란5. 저서6. 이야깃거리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문재인 정부 시절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이었다.

2. 생애

1951년 3월 25일 제주도[8] 제주시에서 태어났다. 제주북국민학교, 오현중학교, 오현고등학교(17회)를 졸업했다. 고교 시절에는 유도, 씨름, 배구, 투포환 선수 등으로 활동했다.[9][10] 고교 졸업 후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에 입학했지만 언어 공부에 회의를 품고 평소 관심이 있던 철학 공부를 위해 반수를 통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육군에 입대하여 국군정보사령부에서 군 복무를 이행했는데, 이때 국제관계 문서를 접하며 국제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11] 이후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 켄터키 대학교 정치학과 조교수로 임용됐고, 1987년 재미한국인 정치학회 이사 및 사무총장을 지냈다. 1994년 한국정치학회 국제위원장을 거쳐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에 임용됐다. 1995년 듀크 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겸임교수를 지냈다. 1997년 미국국제정치학회 이사, 2002년 미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평화학회 회장, 2005년 동아시아재단 이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외교통상부 국제안보대사, 2006년 Global Asia 편집인 등을 지냈다.

본래 전공은 비교정치(구체적으로는 중동 정치)지만, 실제 연구 활동은 주로 국제정치, 외교, 안보, 정보, 남북관계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대북·대외 정책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햇볕정책,[12] 한국의 동북아균형론,[13] 국방개혁2020 등 안보 독트린 수립에 관여하였다. 1, 2차 남북정상회담에 특별수행원으로 모두 참여한 유일한 학자라고 전해진다.[14] 국정원장 같은 안보 관련 직책에 여러 차례 제안도 많이 받았다.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동북아시대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임명된 바 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정동영후보를 지지하며 대통합민주신당에 입당했고,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캠프를 지원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직접 지원 활동을 하진 않았지만 김기정 등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출신 참모들의 좌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외교부 국제안보대사를 역임한 이정민 교수와도 가까운 사이다.[15]

또한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이 설립한 싱크 탱크인 '동아시아 재단'의 학술저널 "Global Asia"의 편집인이기도 하다.

2016년 6월, 연세대학교 교수직에서 퇴임하고, 명예특임교수가 되었다.

2.1. 문재인 정부

2.1.1. 2017년

2.1.2. 2019년

2.1.3. 2020년

2.1.4. 2021년

2.1.5. 2022년 이후

3. 정책관

“미중 갈등 와중에 한국이 미국 편에 서면 한반도 평화를 담보하기 어렵게 된다”
- 2021년 4월 11자 일본 아사히 신문과의 인터뷰 중 #
피할 수 있었던, 피하지 못한 비극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를 비판하며 #

그는 학계에서 햇볕정책을 학문적으로 옹호해온 대표적 인물이다. 그가 국내외에서 일관되게 주장하고 다닌 대북 정책관은 아래의 3원칙이다.
그는 대북정책을 인위적으로 변화를 상정하고 기획하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국의 전략적 유연성을 해치고 여러 논란이 많은 THAAD[17]의 배치를 중지할 수 있는 window를 열어놔야 한다고 본다.

2018년 남북, 북미 정상회담 이후 문정인 교수는 미국이 상호 주관적 태도를 계속 견지할 경우 북한이 종국에는 비핵화를 할 것이라고 보았다. 물론 그러한 패러다임 시프트가 현실화될 경우 THAAD의 철수,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한미 동맹의 해소, 그러한 양자 동맹의 해소 이후에 새롭게 등장해야 할 동북아 안보 다자협력체제 구상 등 한미의 추가적 조치가 일어나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문정인 교수는 1) CVID에 대한 명분론적 집착 2) 미국이 현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주관적 태도를 폐기하고 과거의 태도로 되돌아갈 가능성을 우려 사항으로 꼽았다. 즉, 상호 동시단계적 조치가 있어야만 북한의 비핵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것.

이런 문정인 교수의 정책관은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 그가 특보로 내정되는 배경이 되었다.

또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막을 수 있던 전쟁이라고 규정하고, 푸틴의 잘못보다 젤렌스키의 오판을 핵심 원인으로 분석한다. 미국과 나토에 기웃거리다 침략전쟁을 맞이하는 것보다는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중립을 지켜 평화를 얻는 것이 더 낫다는 입장을 견지한 것. 즉, 푸틴을 보는 관점이 대북관과 크게 다르지 않다.(전체 영상)

4.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정인/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저서

6. 이야깃거리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2] 문재인 전 대통령과 같은 본관이다. 다만 파와 지파는 달라서 문정인 전 보좌관은 헌납공파 말물문중 청수파 30세 정(正) 항렬이며, 문재인 전 대통령은 의안공파 이곡-관북파다.[3] 제주한라대학교 호텔경영학과 교수[4] 1979년 생으로, 1998년에 미국 국적을 취득하고 이중국적으로 지내다가 2005년에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완전한 미국인이 되었다.[5] 現 제주북초등학교[6] 박사 학위 논문: Political economy of third world bilateralism : the Saudi Arabian-Korean connection 1973-1983 (1984)[7] 모태 종교는 불교다. 대학 시절 무슬림이었으나 미국 유학 중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현재는 무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8]제주특별자치도[9] 180cm, 80kg으로 지금 기준으로 봐도 건장한 체격이다.[10] 2017년의 한 강연에서 고교 시절 주한미군이 학교 부근에 있어, 그들과 대화를 하며 영어 실력을 키워갔던 것이 고교 시절에서 가장 뜻깊은 경험이었다고 한다.[11] 군 시절 문정인의 사수가 참여정부 시절 6자 회담 초대 수석대표, 주 독일 대사, 국가정보원 제1차장을 지내고 문재인의 외교 참모로 함께 활동한 이수혁이다.[12] 흡수통일, 체제 대결 등의 대북 적대정책 거부와 상호주관성에 입각한 유화적 정책으로 북한의 신뢰를 확보하여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한다는 구상.[13] 한마디로 미중 사이에 끼여서 동맹의 속성 중 하나인 연루의 위험에 압사당하는 신세가 되지 않겠다는 것. 이 기조 하에 이 시기의 한국은 미일이 한국에게 참여하라고 권고하던 지역 MD에도 참여하지 않았다.[14] 기업인으로는 구본무LG그룹 회장, 윤종용삼성전자 부회장이 1, 2차 남북 정상회담에 모두 동행했다.[15] 이정민 교수의 경우 한미동맹, 군사안보를 좀 더 강조하는 성향이다.[16] 현재 한미는 연합훈련은 주권적 방어 행동이며 협상 카드가 아니라고 강변하지만 아버지 부시 시절인 92년에 팀 스피릿 훈련을 중지하고 남북 기본 합의를 도출한 예가 있으며 지금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의 그의 논거.[17] 사드 체계 자체의 기술적 의문, 효용에 비해 경제적 손실이 너무 많다는 점, 배치 과정 자체의 결함 등 사드 반대 측 견해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미국 측 싱크탱크나 한국의 국책 연구기관 연구원들은 '(중국에 의해 뿌려지는) 음모론'이라고 반박하는 것들.[18] 지난 20년간 시도됐던 다른 모든 대북정책이 실패했고 유일하게 한국이 능동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햇볕정책만이 답이라고 문정인 교수는 이 책에서 역설한다. 햇볕정책도 실패했다는 일부 비판적 견해에 대해서는 부시 행정부의 미숙함으로 인해 햇볕정책의 궤도가 어긋나서 발생한 일이라고 본다.[19] 이름의 한자 표기도 문 전 대통령은 在寅, 문정인 교수는 正仁으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