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9A7E1><colcolor=#fff>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Korea Council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KCRC) | |
<nopad> | |
설립일 | 1998년 9월 3일 |
대표상임의장 | 손명원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9 |
형태 | 사회협의체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당, 종교 그리고 시민단체로 형성된 남북통일 협의체. 줄여서 민화협이라고 부른다.2. 역사
창립 당시부터 2018년까지 사용한 로고
국민의 정부 시절이였던 1998년에 설립되었으며 민족 화해 및 통일 준비를 위해 협의체로 창설되었다. 통일 문제에 대해 국민 합의를 이끌어 내고 북한과의 화해 협력과 평화를 실현해 민족 번영을 이루어 나감을 기치로 삼고 있다.
2021년 8월에는 북한에 평화의 쌀을 보내자며 53만 톤 조성에 필요한 성금 3000억 원 모으기[1] 운동에 돌입하였다. 이후 주권자전국회의와 함께 10여 개 단체가 연합하여 한반도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평화의 쌀 나누기 추진 위원회를 발족해 대북 쌀 나눔 운동을 시작할 것이라 밝혔다. 목표는 오는 11월까지 북한에 지원하되, 그중 10만 톤은 추석 전에 전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3. 역대 대표상임의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역대 대표상임의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한광옥 | 제2대 강만길 | 제3대 한완상 | 제4대 이돈명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5대 이수성 | 제6대 정세현 | 제7대 김덕룡 | 제8대 홍사덕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9대 김홍걸 | 제10대 이종걸 | 제11대 손명원 | }}}}}}}}} |
* 초대 한광옥 (1998.09.03 ~ 1999.11.24)
* 2대 강만길 (1999.11.24 ~ 2000.10.24)
* 3대 한완상 (2000.10.24 ~ 2001.03.31)
* 4대 이돈명 (2001.04.13 ~ 2003.03.26)
* 5대 이수성 (2003.03.26 ~ 2005.02.22)
* 6대 정세현 (2005.02.22 ~ 2009.03.01)
* 7대 김덕룡 (2009.03.19 ~ 2013.10.02)
* 8대 홍사덕 (2013.10.02 ~ 2017.06.30)
* 9대 김홍걸 (2017.11.28 ~ 2020.08.07)
* 10대 이종걸 (2020.08.06 ~ 2023.04.21)
* 11대 손명원 (2023.04.21 ~ )
4. 사건 사고
대외협력팀장으로 근무하던 엄 모 씨가 2019년 1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대북 소금지원 사업에 사용한다는 명목으로 받은 보조금 약 4억 7,000만 원을 횡령한 혐의와 약 20만 위안의 보조금을 주중북한대사관에 전달한 혐의로 구속기소되었다.#5. 여담
- 남한의 민화협과 북한의 민화협은 미묘하게 다르다. 우선 남측 민화협은 이름부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고 정당과 시민단체가 주측을 이룬다. 이에 반해 북측 민화협은 민족화해협의회이며 통일전선부나 아태위, 조선로동당 출신 단체나 인물이 기용된다.
- 관련 간부 중에서는 통일교육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민족통일협의회 위원을 겸직하기도 한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국민의힘, 신용협동조합,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교회총연합, 한국교회연합, 한국기독교총연합회, 기독여민회,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정의당, 진보당, 대한의사협회,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유권자연맹, 한국여성인권플러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전국여성연대, 민주평화당, 대한수의사회, 대한한약사회, 천부교, 새마을운동중앙회,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자주통일평화연대, 단군민족평화통일협의회, 자주연합, 진보대학생넷, 청년유니온, 알바노조, 노동자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사회진보연대, 우리공화당, 사회민주당, 기본소득당, 노동당, 녹색당, 자유통일당, 참여연대, 국민행동본부,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실천교육교사모임, 좋은교사운동이 회원이 아니지만 옵저버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1] 재계·노동계·시민사회계 성금 모금과 코리아 피스 펀드, 해외동포·해외인사의 참여로 충당한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민화협 단체 자체에서 자금을 지원한다는 것은 아니고 다른 사람들한테서 자금을 받아낸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