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1:53:38

권업회

일제강점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 통치지 통치기관
<colbgcolor=#de8b94,#742129> 남사할린 파일:가라후토.svg파일:가라후토 화이트.svg 가라후토(樺太)* 가라후토청
한반도 파일:고시치노키리.svg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조선(朝鮮) 조선총독부
타이완 섬 파일:대만총독부휘장.svg 대만(臺灣) 대만총독부
태평양 제도 파일:남양군도 휘장.svg 남양 군도(南洋群島) 남양청
랴오둥 반도 파일:Emblem_of_Kantou_Prefecture_and_Dairen_City.png 관동주(關東州) 관동주청
일본령 칭다오 산동반도 이남 -
* 가라후토는 1943년 이후 내지로 편입
괴뢰국 · 군정청 }}}}}}}}}

경술국치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555; 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배경 대한제국의 국권피탈과정
전개 운요호 사건 · 강화도 조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영일동맹 · 러일전쟁 · 한일의정서 · 가쓰라-태프트 밀약 · 포츠머스 조약 · 을사조약 · 정미 7조약 · 대한제국군 해산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경술국치
관​련 인​물
<colbgcolor=#000><colcolor=#FFF>을사조약
관련자
이지용 · 박제순 · 이근택 · 이완용 · 권중현 · 민영기 · 이하영 · 이재극 · 이토 히로부미 · 하야시 곤스케
정미​7조약
관련자
이완용 · 임선준 · 고영희 · 이병무 · 조중응 · 이재곤 · 송병준 · 이토 히로부미
경술국치
관련자
이완용 · 박제순 · 고영희 · 조중응 · 민병석 · 이병무 · 윤덕영 · 조민희 · 데라우치 마사타케
기타 인물 조선 총독 · 왕공족 · 이왕 · 조선귀족
영​향
순국 지사 민영환 · 박승환 · 이범진 · 조병세 · 황현 · 홍범식
저항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최익현 · 신돌석 · 임병찬 · 이인영 · 허위 · 이강년 · 홍범도) · 13도 창의군 · 헤이그 특사 (이상설 · 이준· 이위종)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안중근) · 오적 암살단 (나철) · 황제 대리 의식 집행 거부 & 관료 암살 시도 (남정철 · 박영효 · 이도재)* · 시일야방성대곡 (장지연)
기타 한일병합 (일제강점기 · 한국통감부 · 조선총독부 · 무단 통치 · 친일반민족행위자 · 토지 조사 사업) · 일본어 잔재설 · 식민사관 · 식민지 근대화론 · 한일 무역 분쟁
관련 문서 식민지 · 강점기 · 병합
* 박영효 등이 고종의 퇴위에 협조한 대신들을 암살하려다 처벌된 사건은 이완용이 고종 퇴위를 반대하던 대신들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된 사건이라는 주장도 있음}}}}}}}}}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사고
미군정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6.3 항쟁
문민정부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한일관계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3월·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교통 한일 해저터널 ·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항공편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항공편 · 선박편
기타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일제강점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일제강점기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31c31> 상징 국기(일장기) · 국가(기미가요)
시대 1910년대(무단 통치)
1920년대~1930년대 초반(문화 통치)
1930년대 중반 ~1945년(민족 말살 통치)
통치기관 조선총독부(청사)
언어 일본어 · 조선어
정치 조선 주둔 일본군 · 일본 제국 경찰 · 토지 조사 사업 · 산미증식계획 · 민의창달 · 북선개척사업 · 농공병진 · 남면북양 · 농촌진흥운동 · 국가총동원법 · 전시증세령 · 내선일체 · 창씨개명 · 황국신민서사 암송 · 궁성요배 · 신사참배 · 정오묵도 · 가미다나
악법 조선 사상범 보호관찰령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 군기보호법 · 치안유지법 · 보안법(1907)
독립운동 유형 애국계몽운동 · 실력양성운동 · 항일무장투쟁 · 외교론
주요 독립운동 신민회 105인 사건 · 3.1 운동 · 6.10 만세 운동 · 물산장려운동 · 광주학생항일운동 · 신간회 · 조선어학회 사건 · 일장기 말소사건
주요 학살사건 제암리 학살사건 · 관동대학살 · 간도참변 · 화교배척사건
학설 식민지 수탈론 · 식민지 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성론 · 자본주의 맹아론 · 근대화 회의론 · 식민사관
단체 조선사편수회 · 식량영단
}}}}}}}}} ||

1. 개요2. 조직
2.1. 1914년 1월 기준 권업회 조직도
3. 권업회의 활동
3.1. 언론활동, 《권업신문(勸業新聞)》3.2. 교육활동3.3. 한민회 주도 및 한인 실업권장
4. 최재형의 피살과 해체5. 의의6. 기타7. 둘러보기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 이동휘가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1][2]
* 원문
기원 4247년 1월 7일 余의 最新 最望 最愛하는 同志 親舊시여!空前絶後한 國恥民辱을 未雪한 지 벌셔까지 年이 지나가고 一收齡만 增添하엿고나 ...(중략)...此地方은 已往 急進 多數 매우 勇敢 有望이외며四.俄領 一帶는 花發逋 以南 各地를 一次 巡回하매 散心된 民心을 聯合하여 同志의 不平을 和平케 하며 腐敗한 習慣과 無精神者 引導하며 勸業會을 整理도 하며 汨汨無暇日夜에 休息할 날이 업사외다. 近日 此處 形便은 漸次 進步가 되여가며 前日 海港의 社會로는 不可同日이 語외다. 現狀대로 數個月 支過하면 可爲할 希望 富하외다...(하략)...紀元 四二四七年 一月 七日 誠齋(이동휘) 義弟 謹呈于 島山(안창호) 先生 閣下
* 번역
여의 최신, 최망, 최애하는 동지 친구시여! 공전절후의 국치민욕(나라의 치욕과 백성의 모욕)을 아직 씻지 못한 지 벌써 여러 해가 지나고, 나이만 한 살 더 먹었구나...(중략)...러시아 영토 일대는 하바롭스크에서 남쪽 각지를 한 번 순회하며, 분열된 민심을 결집하고 동지들의 불평을 평화롭게 해결하며, 부패한 습관과 무기력한 자들을 이끌었습니다. 권업회를 정리하며 공동체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최근 이곳 상황은 점차 진보하고 있으며, 과거 항구의 사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아졌습니다. 현재 상황이 지속된다면 몇 달 안에 희망찬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하략)...기원 4247년 1월 7일 성재 이동휘 의제 도산 안창호 선생 각하께 드림
권업회(勸業會)는 1911년 5월 19일 러시아 연해주에서 창립된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 단체로, 1914년 8월 7일 러시아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 당시 20만명에 가까운 대규모 한인사회를 바탕으로 한 권업회의 초대 회장에는 최재형, 부회장에는 홍범도가 선임되어 러시아 당국의 공인을 얻어 활동했다.[3] 창립 발기는 5월 19일 이종호, 김익용[4][5], 강택희, 엄인섭[6] 등에 의해 이루어졌고, 이튿날 57명의 찬동자가 총회를 개최한 것이 권업회의 시작이다.[7]

2. 조직

2.1. 1914년 1월 기준 권업회 조직도[8][9]

3. 권업회의 활동

3.1. 언론활동, 《권업신문(勸業新聞)》

* 「아령[13]동포에게 고하노라」, 『勸業新聞』(1913.7.21.), 이동녕
* 「조카와 친고 찾소」[14], 『勸業新聞』(1914.07.19.), 김춘여
파일:이동녕의 투고.jpg파일:조카와 친고 찾는 광고.jpg
권업회는 1911년 7월 3일[15] 청년근업회와 통합했다. 당시 청년근업회에서는 1911년 6월 18일부터 대양보를 발행하고 있었고, 사장에는 최재형, 주필에는 신채호[16]가 있었다. 그 후 1911년 12월 17일 러시아가 공식적으로 권업회를 인정하자, 권업회에서는 신문부를 따로 두고 신문부 총무에 한형권, 부장 겸 주필에 신채호 등을 임명하며 신문 간행을 준비하고 마침내 1912년 4월 22일 권업회의 기관지인 권업신문 제 1호를 석판 인쇄로 창간하게 된다. 권업신문은 순한글로, 매주 일요일에 간행되었다.[17] 이후 1914년 8월 30일까지 총 126호가 간행된다. 권업신문은 크게 논설과 잡보로 구성되었는데, 논설에서는 권업회의 입장을, 잡보에서는 재러한인의 동향을 게재했다. 권업신문에 참여한 주요 인물로는 신채호, 이상설, 윤해 , 김하구, 장도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국내외에서 언론에 종사했던 인물들이다.[18]

신문에서는 재러한인의 권익옹호와 민족문제에 대해 다뤘다. 재러한인의 권익옹호 측면에서는 농작지 개척, 입적청원 등의 활동을 전개했으며 민족문제에서는 재러한인의 계몽과 민족의식 고취에 대한 기사를 작성했다. 대표적으로 1912년 8월 29일 국치일을 맞아 기념호를 내고 발표한 신채호의 논설 '이날'을 들 수 있다. 이 글에서 그는 “동포들에게 일본에 치욕을 당한 이날을 기억할 것”을 강조했다. 1913년에도 국치일을 맞아 특별호를 간행했는데, 2면에는 이상설이 ‘창회자’라는 이름으로 ‘이날을’이라는 글을 싣었다. 또한 105인 사건을 비롯 항일운동 기사들을 싣기도 했다.[19]

3.2. 교육활동

3.3. 한민회 주도 및 한인 실업권장

4. 최재형의 피살과 해체

러일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에 대한 일본이 영향력이 커진 상황에서 1914년 7월 28일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며 연해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은 급격히 침체되고 말았다.[20] 러시아는 당해 7월 31일 총동원령을 선포했고, 블라디보스토크 요새 경내에는 전시 계엄령이 내려졌다. 결국 당해 8월 15일 일본과 러시아의 전시동맹 체결이 이루어졌고 8월 20일 연해주 당국은 권업회를 해산시켰다. 이는 일제가 권업회를 해체시켰다는 대중적 사실과는 달리 연해주 당국이 독자적으로 내린 결정이다.[21]

5. 의의

6. 기타

7. 둘러보기

8. 같이 보기


[1] 이동휘가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 1914년 1월 7일[2] 파일:이동휘가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1914.1.7.).jpg[3] 출처: 권업회 (勸業會)-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4] 김립으로 잘 알려져 있다. 훗날 고려공산당과 국제공산당 간 신경전에서 불거진 모스크바 자금 운용 문제로 인해 피살당한다.[5] 반병률. (2006). 잊혀진 비극적 민족 혁명가, 김립. 내일을 여는 역사, (26), 98-112.[6] 일제의 밀정으로 유명한 그분 맞다(...)[7] 윤병석. (2009).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Ⅰ-만주•러시아: Vol. 16권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8] 『권업신문』.1914.2.8.「포고」.[9] 파일:권업회 신년 총회.jpg[10] 청산리 전투 참전, 한국광복군 참모장 등으로 항일 무장투쟁에 활약 후 대한민국의 초대 국무총리 겸 국방부장관을 지냈다.[11] 신흥무관학교의 주역인 그 분 맞다.[12] 이름이 명확치 않다[13] 러시아령. 러시아의 한자식 표기 중 하나인 아라사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14] 회령군 고령사는 김은세(金銀世)는 본인의 조카 ●●(年 四十四) 정미년 오월분에 아령(러시아령)으로 왔는데 간곳을 몰라 이에 광고하오며 또 남순현(南順現)은 본인의 극진한 친고인데 계묘년 十월분에 서로 이별한 후 간 곳을 알지못하나 이에 같이 광고하오며 이 두 사람 잇는 곳을 아시는 이는 해삼(블라디보스토크) 권업신문사로 통기하여 특히 감사하겠삼.[15] 러시아력[16] 단재 신채호 선생은 대양보부터 초기 권업신문까지의 주필을 맡게 된다.[17] 박환. (1993).《勸業新聞》에 대한 일고찰. 사학연구, (46), 145-208.[18] 박환. (2000). 러시아 지역의 한인 언론사. 신문과방송, 145-151.[19] 한국언론진흥재단. (2007). 산업실태조사 재외동포 언론 실태와 현황. 한국언론진흥재단.[20] 이정은. (1997). 3.1운동을 전후한 연해주 한인사회의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1집.[21] 김슬기. (2022). 제1차 세계대전 시기 제정 러시아의 전시정책과 연해주 한인사회의 대응.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79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