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3 18:20:40

조선전시증세령


[[일제강점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일제강점기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31c31> 상징 국기(일장기) · 국가(기미가요)
통치기관 조선총독부(청사)
언어 일본어 · 조선어
무단 통치(1910년대) 조선 주둔 일본군 · 헌병경찰제도 · 토지 조사 사업 · 회사령 · 광업령 · 어업령 · 조선물산공진회
문화 통치(1920년대 ~ 1930년대 초반) 보통경찰제도 · 비밀경찰제도 강화 · 밀정망 강화 · 치안유지법 · 산미증식계획 · 민의창달 · 조선사 왜곡
민족 말살 통치(1930년대 중반 ~ 1945년) 2 경찰서 2 주재소 · 북선개척사업 · 농공병진 · 남면북양 · 자작농창정계획 · 농촌진흥운동 · 국가총동원법 · 교련 · 국민징용령 · 육군특별지원병제 ·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 · 조선인 징병제 · 조선전시증세령 · 조선임시보안령 · 내선일체 · 일선동조론 · 창씨개명 · 황국신민서사 암송 · 궁성요배 · 신사참배 · 정오묵도 · 가미다나
기타 악법 조선 사상범 보호관찰령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 개정치안유지법 · 군기보호법 · 보안법
독립운동 유형 외교 독립 운동 ·  무장 투쟁 운동 · 실력 양성 운동 ·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사회 운동 · 종교 운동
주요 독립운동 신민회 105인 사건 · 3.1 운동 · 6.10 만세 운동 · 물산장려운동 · 광주학생항일운동 · 신간회 · 조선어학회 사건 · 일장기 말소사건
주요 사건 제암리 학살사건 · 관동대학살 · 간도참변 · 연해주 4월 참변 · 일본군 위안부
학설 식민지 수탈론 · 식민지 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성론 · 자본주의 맹아론 · 근대화 회의론 · 식민사관
단체 조선사편수회 · 조선식량영단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조선임전보국단
}}}}}}}}} ||
일제강점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 통치지 통치기관
<colbgcolor=#de8b94,#742129> 남사할린 파일:가라후토.svg파일:가라후토 화이트.svg 가라후토(樺太)* 가라후토청
한반도 파일:고시치노키리.svg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조선(朝鮮) 조선총독부
타이완 섬 파일:대만총독부휘장.svg 대만(臺灣) 대만총독부
태평양 제도 파일:남양군도 휘장.svg 남양 군도(南洋群島) 남양청
요동 반도 파일:관동주청 휘장.svg파일:관동주청 화이트.svg 관동주(關東州) 관동주청
* 가라후토는 1943년 이후 내지로 편입
괴뢰국 · 군정청 }}}}}}}}}

경술국치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555; 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배경 대한제국의 국권피탈과정
전개 운요호 사건 · 강화도 조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영일동맹 · 러일전쟁 · 한일의정서 · 가쓰라-태프트 밀약 · 포츠머스 조약 · 을사조약 · 정미 7조약 · 대한제국군 해산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경술국치
관​련 인​물
<colbgcolor=#000><colcolor=#FFF>을사조약
관련자
이지용 · 박제순 · 이근택 · 이완용 · 권중현 · 민영기 · 이하영 · 이재극 · 이토 히로부미 · 하야시 곤스케
정미​7조약
관련자
이완용 · 임선준 · 고영희 · 이병무 · 조중응 · 이재곤 · 송병준 · 이토 히로부미
경술국치
관련자
이완용 · 박제순 · 고영희 · 조중응 · 민병석 · 이병무 · 윤덕영 · 조민희 · 데라우치 마사타케
기타 인물 조선 총독 · 왕공족 · 이왕 · 조선귀족
영​향
순국 지사 민영환 · 박승환 · 이범진 · 조병세 · 황현 · 홍범식
저항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최익현 · 신돌석 · 임병찬 · 이인영 · 허위 · 이강년 · 홍범도) · 13도 창의군 · 헤이그 특사 (이상설 · 이준· 이위종)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안중근) · 오적 암살단 (나철) · 황제 대리 의식 집행 거부 & 관료 암살 시도 (남정철 · 박영효 · 이도재)* · 시일야방성대곡 (장지연)
기타 한일병합 (일제강점기 · 한국통감부 · 조선총독부 · 무단 통치 · 친일반민족행위자 · 토지 조사 사업) · 일본어 잔재설 · 식민사관 · 식민지 근대화론 · 한일 무역 분쟁
관련 문서 식민지 · 강점기 · 병합
* 박영효 등이 고종의 퇴위에 협조한 대신들을 암살하려다 처벌된 사건은 이완용이 고종 퇴위를 반대하던 대신들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된 사건이라는 주장도 있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 농민 혁명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
사고
미군정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 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6.3 항쟁 · 김대중 납치 사건
문민정부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한일관계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3월·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교통 한일 해저터널 ·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항공편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항공편 · 선박편
기타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논란)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1. 개요2. 상세3. 여담

1. 개요

조선전시증세령은 1938년 4월 1일 일제가 제정한 악법이다.

지금이 전쟁상태이고, 전쟁수행비용이 부족하니 조선인의 세금을 올려 충당하자는 취지에서 제정되었다.

국가총동원법이 인적수탈을 상징하는 법안이라면, 조선전시증세령은 물적수탈을 상징하는 법안이다.

2. 상세

明日 (명일)부터實施(실시)되는 朝鮮戰時增稅(조선전시증세)

明日(명일)부터實施(실시)되는 朝鮮戰時增稅(조선전시증세) 增稅總額千百萬圓(증세총액천백만원) 이번의회(議會(의회))에서 성립된전시 증세안에의하야 조선의증세도 사월일 일부터 실시를 보게 되엿다 조선의 증세액은 일천일백오십만원정도로 예측되고잇다증세관게를보면 어미소 개된바와가치 -(일),增稅(증세)되는 것 가 所得(소득) 나法人資本稅(법인자본세) 다 砂舘消費稅(사관 소비세) 라 取引所稅(취인소세) 二(이),課稅(과세)의範圍擴張(범위확장)한 것 가 臨時利得稅(임시이득세) 나 物品稅(물품 세) 三(삼),創設(창설)되는 것 가 通行稅(동행세) 나入場稅及特別(입장세급득별) 入場稅(입 장세)
▲負擔輕减(부담경감)에關(관)한臨時措置關係(임시조치관계) -(일),營業稅(영업세)의 輕减(경감) 二(이),地稅(지세)의 輕减(경감) 三(삼), 鑛產稅(광산세)의免除(면제) 四(사) ,綿(면) 絲(사)를 混用(혼용)하는 織物(직물)에對(대)한移(이) 入稅(입세)의輕减(경감) 등으로 그중 대중적인것에 제삼소득세에 물품득별세등이 가장주목되며 물품둑별세중에는제 삼종에 석냥세의신설 주세(酒稅(주세))의 증징등이 주목된다 어가티하야 증세가되면 증세 되는만큼 물까는따라서울른것인데 그전에오른것도만커니와 증세의실시로 물품세에는 제일 종 제이종은 사월일 일부터 정가표를고치게 되며아프로 물까는더오를것으로 관측되고잇다.
- 조선일보 1938년 4월 1일 기사
조선인들은 평소 소득세, 법인자본세, 사관소비세, 거래소세 라는 이름으로 일본제국에 세금을 내고 있었다. 하지만, 전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돈이 부족해지자 위의 세금을 을 올려버린다. 그리고, 새로운 세금을 도입하였는데 통행세, 입장세, 특별입장세 등이 그것이다. 이 두 제도를 적용해 조선인들에게 기존보다 1,100만원을 더 세금으로 거두어갔다.[1][2]

3. 여담


[1] "평소에 거두던 세금 + 1,100만원"[2] 다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몇 가지 세금은 감면되거나 면제시켜줬는데, 영업세, 토지세, 광산세가 그것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