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06:19:08

고속자동차국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속도로/일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fff> 일본의 도로 체계
<colbgcolor=#eee,#444> 도로법 국도 (고속자동차국도 · 일반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기타 법령 도시계획도로도시계획법 · 농도토지개량법 등 · 임도삼림법 등 · 임항도로항만법 · 사도(사유도로)법령 없음
관련 문서 | 일본의 고속도로 | 일본의 도시고속도로

1. 개요

고속자동차국도(高速自動車国道)는 일본의 고속도로 중 서류상 완전히 일반국도와 별도로 지정되는 체계다. 국토교통성 등 일본 도로계에서는 편의상 흔히 A노선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고속자동차국도는 정령, 즉 내각령으로 지정되는 노선들로, 한국으로 치면 고속국도에 준하는 노선들이다. 다만 고속국도의 개념과는 달리 일본의 경우 일반에서는 고속자동차국도 이외의 노선들도 필요에 따라 폭넓게 고속도로로 인식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안내에 사용되는 고속도로 노선명은, 반드시 고속자동차국도의 서류상 노선명을 따르지는 않는다. 오히려 안내에 사용되는 명칭과 다른 경우가 상당수이며, 따라서 고속자동차국도 노선명은 대부분 서류상 명칭으로 볼 수 있다.

2. 일반유료도로와의 차이

고속자동차국도로 지정된 고속도로와, 고속자동차국도는 아닌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지만 고속도로에 준하는 지정이 걸려있고,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로 인식될 수 있는 노선간의 주요 차이는 다음과 같다.

3. 병행자동차도 · 신직할방식

고속자동차국도 노선이 서류상 지정되어 있더라도, 반드시 전 구간이 고속자동차국도로 지어질 필요는 없다. 이는 고속자동차국도에 병행하는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라는 규정이 있어,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가 고속자동차국도 예정 노선에 먼저 지어진 경우, 고속자동차국도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들을 국토교통성 등에서는 편의상 A'노선으로 부른다.

이런 방식이 생겨나게 된 원인에는, 토지 매입 등의 절차를 회피하기 위해 시가지와 가까운 평야를 피해 굳이 산악으로 들어가거나, 시가지 근처를 지나면 고가화에 부체도로까지 짓는 등의 지나치게 비싼 고속도로 설계 기준으로 고속도로의 정비가 늦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지역에서 지역 교통을 위한 노선을 편의상 먼저 지었다가, 나머지 고속자동차국도가 연결되면 고속자동차국도는 아니지만 그에 준하여 활용하는(단, 일반유료도로 요금 지불) 형태를 규정한 것이다. 다만 다음 9개 구간은 규격상 문제가 없어 일반국도에서 고속자동차국도로 직접 승격한 사례다. 편의상 승격 이후의 노선명은 서류상 명칭이 아닌 안내명칭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이외에 신직할방식(新直轄方式)이 도입되기도 했다. 기존 고속자동차국도 정비는 일본도로공단 및 민영화 후신으로 탄생한 NEXCO 3개사(NEXCO 동일본, NEXCO 중일본, NEXCO 서일본)에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일본도로공단이 정비하기 어렵던 채산성 낮은 노선들에 대해서는 정비가 후일로 미루어지거나, 꼭 필요한 경우에는 고속자동차국도가 아닌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로 내리고 국토교통성 직할국도(예산비중 기준 중앙 2, 지방 1) 사업으로 진행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가 다소 불편한 과정(국도 추가 지정 및 자동차전용도로 지정 등의 절차)을 겪어야 했던지라, 2001년 국토교통성 출범 당시 고속도로 민영화 논의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 방식으로 신직할방식이 제안되었다. 이 방식은 직할국도 사업과 사업상 체계는 거의 동일하게 가져가지만, 지정을 고속자동차국도로 하여 기존의 불필요한 국도/자동차전용도로 지정 절차를 제거함과 동시에 중앙의 지원이 조금 더 필요한 노선(중앙 3, 지방 1[3])을 지원하기 위함이었다.

4. 지정 과정

고속자동차국도의 지정에 대해서는 고속자동차국도법에 의거하여 다음 근거가 필요하다.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는 한국으로 치자면 국가도로망 종합계획의 횡축 · 종축 노선들처럼, 국토의 기간간선도로를 구상하는 계획이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노선은 고속자동차국도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의 예정 노선이 아닌 이상 본선으로 지정할 수 없다. 나머지 고속자동차국도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의 예정 노선은 포화되던 2대 도시 공항을 이전하기 위한 신규 국제공항 접근용 2개 노선과,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초기 제정 당시 없었고 특수요금제 등의 절차가 필요했던 칸몬교 구간,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초기 제정 당시 일본정부가 직접 다룰 수 없었던 오키나와 1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5. 목록

||<-5><tablewidth=800px><tablealign=center><bgcolor=#fff,#222>
파일:투명.png
다음은 서류상 고속자동차국도 명칭과 그 목록이다.
각 노선의 하단에는 노선의 지정 변화 등을 추가로 기재하였다.
현재 기준으로 기재하는 개정 지정의 일자는 노선명 변경 또는 기종점 행정구역 반영 변경 등을 포함한 기준을 삼는다.
단, 경유지 행정구역 반영은 기준에서 제외한다.
정비칸은 정비 방식을 나타낸다. 이 중 잠정활용 구간은 서류상으로는 병행노선이 아니나, 실질적으로는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A노선: 고속자동차국도
  • A'노선: 병행하는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
  • 잠정: 현행도로 잠정활용
||
<rowcolor=#fff,#000> 정식 노선명 정식 기종점 정비 안내 명칭 · 구간
홋카이도종관자동차도
北海道縦貫自動車道
하코다테-나요로선
函館名寄線
하코다테시 - 나요로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5)] 하코다테신도
하코다테IC - 나나에후지시로IC
A노선 도오자동차도
오누마코엔IC - 시베츠켄부치IC
[홋카이도종관자동차도 하코다테-나요로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홋카이도종관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67년 11월 22일 치토세-삿포로선(千歳札幌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8년 11월 6일 지정 (하코다테-아사히카와선을 하코다테-나요로선으로 연장)
  • 지정 역사
    • 1969년 1월 20일 토마코마이-이와미자와선(苫小牧岩見沢線) 연장
    • 1970년 6월 18일 무로란-이와미자와선(室蘭岩見沢線) 연장
    • 1971년 6월 8일 무로란-아사히카와선(室蘭旭川線) 연장
    • 1972년 6월 30일 하코다테-아사히카와선(函館旭川線) 연장
홋카이도횡단자동차도
北海道横断自動車道
쿠로마츠나이-쿠시로선
黒松内釧路線
-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5)] 쿠로마츠나이신도
쿠로마츠나이JCT - 쿠로마츠나이IC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5)] 시리베시자동차도
니키IC - 요이치IC
A노선 시리베시자동차도
요이치IC - 오타루JCT
삿손자동차도
오타루IC - 삿포로JCT
도토자동차도
치토세에니와JCT - 쿠시로니시IC
[홋카이도횡단자동차도 쿠로마츠나이-쿠시로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홋카이도횡단자동차도 네무로선
  • 분기 구간: 쿠로마츠나이-키타미선, 기점으로부터 아쇼로군 아쇼로초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72년 6월 30일 오타루-삿포로선(小樽札幌線) 및 치토세-유바리선(千歳夕張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wiki style="letter-spacing:-1px; display:inline;"
쿠로마츠나이 타이세이-시로이카와선, 굿찬-쿠시로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쿠로마츠나이-쿠시로선으로 통합 지정}}})
  • 지정 역사
    • 1978년 11월 6일 최초 지정 2개 노선에 더하여 시미즈-쿠시로선(清水釧路線) 추가 지정, 분기선 추가
    • 1979년 2월 27일 치토세-유바리선과 시미즈-쿠시로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치토세-쿠시로선(千歳釧路線) 통합 지정
    • 1982년 1월 29일 오타루-삿포로선과 치토세-쿠시로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쿠시로선(釧路線) 통합 지정
    • 1989년 2월 17일 근거 노선인 국간도 계획 연장에 따라 노선명 오타루-쿠시로선(小樽釧路線)으로 변경(오타루시 - 쿠시로시)
    • 1991년 12월 20일
      • 오타루-쿠시로선을 연장하여 굿찬-쿠시로선(倶知安釧路線)으로 변경 (종점 쿠시로초)
      • 쿠로마츠나이 타이세이-시로이카와선(黒松内大成白井川線) 추가 지정 (기종점 모두 쿠로마츠나이초)
홋카이도횡단자동차도
北海道横断自動車道
쿠로마츠나이-키타미선
黒松内北見線
- 키타미시 (쿠로마츠나이-쿠시로선 중복 구간)
쿠로마츠나이JCT - 혼베츠JCT
A노선 도토자동차도 지선
혼베츠JCT - 아쇼로IC
토카치-오호츠크 자동차도
리쿠베츠쇼토시베츠IC - 키타미니시IC
[홋카이도횡단자동차도 쿠로마츠나이-키타미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홋카이도횡단자동차도 아바시리선
  • 분기 구간: 쿠로마츠나이-쿠시로선, 기점으로부터 아쇼로군 아쇼로초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78년 11월 6일 시미즈-키타미선(清水北見線) 첫 지정(분리)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지정일 시점 탄노초 2006년 3월 5일 기소멸, 키타미시로의 변경까지 반영, 종점 및 노선명 변경)
  • 지정 역사 (중복 구간 제외)
    • 1979년 2월 27일 치토세-키타미선(千歳北見線) 연장 지정
    • 1982년 1월 29일 키타미선(北見線) 연장 지정 (기점 오타루시)
    • 1989년 2월 17일 근거 노선인 국간도 계획 연장에 따라 노선명 오타루-키타미선(小樽北見線)으로 변경
    • 1991년 12월 20일 오타루-키타미선을 연장하여 굿찬-쿠시로선(倶知安端野線)으로 변경 (종점 토코로군 탄노초)
    • 1997년 2월 5일 쿠로마츠나이-탄노선(黒松内端野線) 연장 지정
도호쿠종관자동차도
東北縦貫自動車道
히로사키선
弘前線
- 아오모리시 A노선 도쿄외환자동차도
오이즈미JCT - 카와구치JCT
도호쿠자동차도
카와구치JCT - 아오모리IC
[도호쿠종관자동차도 히로사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도호쿠종관자동차도 히로사키선
  • 분기 구간: 하치노헤선, 기점으로부터 하치만타이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65년 11월 1일 다음 2개 노선 첫 지정
    • 도호쿠자동차도 이와츠키-모리오카선(東北自動車道岩槻盛岡線)
    • 도호쿠자동차도 토와다-아오모리선(東北自動車道十和田青森線)
  • 현재 기준: 1989년 2월 17일 노선명 히로사키선으로 변경 (하치노헤선 방면과의 혼동 방지)
  • 지정 역사
    • 1966년 7월 30일 노선명 도호쿠자동차도에서 도호쿠종관자동차도로 변경
    • 1967년 11월 22일 이와츠키-모리오카선과 토와다-아오모리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이와츠키-아오모리선(岩槻青森線) 통합 지정
    • 1969년 1월 20일 카와구치-아오모리선(川口青森線) 연장 지정
    • 1970년 6월 18일 분기선 추가
    • 1982년 1월 29일 아오모리선(青森線) 연장 지정 (기점 네리마구)
도호쿠종관자동차도
東北縦貫自動車道
하치노헤선
八戸線
- 아오모리시 (아오모리선 중복 구간)
오이즈미JCT - 아시로JCT
A노선 하치노헤자동차도
아시로JCT - 하치노헤IC
하치노헤자동차도 지선
하치노헤JCT - 하치노헤키타IC
아오모리자동차도
아오모리히가시IC - 아오모리JCT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45)] 모모이시도로
하치노헤키타IC - 시모다모모이시IC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45)] 카미키타자동차도
로쿠노헤JCT - 시치노헤키타IC
잠정 [include(틀:일본 도도부현도 번호,n=8)] 제2미치노쿠유료도로
시모다모모이시IC - 로쿠노헤JCT
[도호쿠종관자동차도 하치노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도호쿠종관자동차도 하치노헤선
  • 분기 구간: 아오모리선, 기점으로부터 하치만타이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카와구치-하치노헤선(川口八戸線) 첫 지정(분리)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도쿄-텐마바야시선과 아오모리 스와노사와-이와타리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하치노헤선 통합 지정)
  • 지정 역사 (중복 구간 제외)
    • 1982년 1월 29일 하치노헤선(八戸線) 연장 지정 (기점 네리마구)
    • 1989년 2월 17일
      • 근거 노선인 국간도 계획 연장에 따라 노선명 도쿄-하치노헤선(東京八戸線)으로 변경
      • 아오모리 스와노사와-산나이선(青森諏訪沢三内線) 추가 지정 (기종점 모두 아오모리시)
    • 1991년 12월 20일 도쿄-텐마바야시선(東京天間林線) · 아오모리 스와노사와-이와타리선(青森諏訪沢岩渡線) 연장 지정
도호쿠횡단자동차도
東北横断自動車道
카마이시-아키타선
釜石秋田線
카마이시시 - 아키타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283)] 카마이시자동차도
카마이시JCT - 토노IC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7)] 아키타자동차도
아키타키타IC - 쇼와오가한토IC
A노선 카마이시자동차도
토노IC - 하나마키JCT
아키타자동차도
키타카미JCT - 아키타키타IC
(도호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하나마키JCT - 키타카미JCT
[도호쿠횡단자동차도 카마이시-아키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도호쿠횡단자동차도 카마이시-아키타선
  • 최초 지정: 1971년 6월 8일 요코테-아키타선(横手秋田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카마이시-아키타선 연장 지정)
  • 지정 역사
    • 1978년 11월 6일 아키타선(秋田線) 연장 지정 (기점 키타카미시)
    • 1989년 2월 17일 토와-아키타선(東和秋田線) 연장 지정
    • 1991년 12월 20일 토노-아키타선(遠野秋田線) 연장 지정
도호쿠횡단자동차도
東北横断自動車道
사카타선
酒田線
센다이시 - 사카타시 (도호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센다이미나미IC - 무라타JCT
A노선 야마가타자동차도
무라타JCT - 갓산IC
유도노산IC - 츠루오카JCT
니혼카이도호쿠자동차도
츠루오카JCT - 사카타미나토IC
잠정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12)] 갓산도로
갓산IC - 유도노산IC
[도호쿠횡단자동차도 사카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도호쿠횡단자동차도 사카타선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센다이-사가에선(仙台寒河江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86년 2월 4일 (센다이-사가에선과 아사히-사카타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사카타선 통합 지정)
  • 지정 역사
    • 1978년 11월 6일 아사히-사카타선(朝日酒田線) 추가 지정
도호쿠횡단자동차도
東北横断自動車道
이와키-니가타선
いわき新潟線
이와키시 - 니가타시 A노선 반에츠자동차도
이와키JCT - 니가타츄오JCT
[도호쿠횡단자동차도 이와키-니가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도호쿠횡단자동차도 이와키-니가타선
  • 최초 지정: 1978년 11월 6일 코리야마-아이즈반게선(郡山会津坂下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9년 2월 27일 (이와키-니가타선 연장 지정)
니혼카이연안도호쿠자동차도
日本海沿岸東北自動車道
니가타시 - 아오모리시 (호쿠리쿠자동차도 중복 구간)
니가타츄오JCT - 니가타공항IC
A노선 니혼카이도호쿠자동차도
니가타공항IC - 츠루오카JCT
사카타미나토IC - 유자초카이IC
혼조IC - 카와베JCT
아키타자동차도
쇼와오가한토IC - 코토오카모리타케IC
샤카나이PA - 코사카JCT
(도호쿠횡단자동차도 중복 구간)
츠루오카JCT - 사카타미나토IC
카와베JCT - 쇼와오가한토IC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7)] 니혼카이도호쿠자동차도
키사카타IC - 혼조IC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7)] 아키타자동차도
{{{#!wiki style="letter-spacing:-1px; display:inline;"
[니혼카이연안도호쿠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니혼카이연안도호쿠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니가타-무라카미선(新潟村上線), 혼조-아키타선(本荘秋田線), 아키타-코토오카선(秋田琴丘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4개 노선 및 그 사이를 연결 · 통합하고 종점을 아오모리시로 연장하며 하위 노선명 제거 지정)
  • 지정 역사
    • 1991년 12월 20일
      • 니가타-아사히선(新潟朝日線), 키사카타-아키타선(象潟秋田線) 연장 지정
      • 아츠미-츠루오카선(温海鶴岡線) 추가 지정
도호쿠중앙자동차도
東北中央自動車道
소마-오바나자와선
相馬尾花沢線
소마시 - 오바나자와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15)] 도호쿠중앙자동차도
소마IC - 코오리JCT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3)] 도호쿠중앙자동차도
요네자와키타IC - 난요타카하타IC
(도호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코오리JCT - 후쿠시마JCT
A노선 도호쿠중앙자동차도
후쿠시마JCT - 요네자와키타IC
난요타카하타IC - 오바나자와IC
[도호쿠중앙자동차도 소마-오바나자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도호쿠중앙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타카하타-무라야마선(高畠村山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후쿠시마-요네자와선과 타카하타-오바나자와선 및 그 사이를 연결 · 통합하고 소마-오바나자와선 연장 지정)
  • 지정 역사
    • 1991년 12월 20일 타카하타-오바나자와선(高畠尾花沢線) 연장 지정 및 후쿠시마-요네자와선(福島米沢線) 추가 지정
칸에츠자동차도
関越自動車道
니가타선
新潟線
미타카시 - 니가타시 A노선 도쿄외환자동차도
주오JCT - 오이즈미JCT
칸에츠자동차도
오이즈미JCT - 나가오카IC
(호쿠리쿠자동차도 중복 구간)
나가오카IC - 니가타츄오JCT
(지선) A노선 조신에츠자동차도
후지오카JCT - 후지오카IC
[칸에츠자동차도 니가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칸에츠자동차도 니가타선
  • 분기 구간: 조에츠선, 기점으로부터 후지오카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67년 11월 22일 카와고에-히가시마츠야마선(川越東松山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기점을 네리마구에서 미타카시로 연장 변경)
  • 지정 역사
    • 1969년 1월 20일 카와고에-시부카와선(川越渋川線) 연장 지정 및 무이카마치-니가타선(六日町新潟線) 추가 지정
    • 1970년 6월 18일 카와고에-시부카와선과 무이카마치-니가타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카와고에-니가타선(川越新潟線) 통합 지정
    • 1972년 6월 30일 기점 연장에 따라 니가타선(新潟線)으로 명칭 변경 (기점 네리마구), 분기선 신설
  • 지선 구간: 후지오카IC 선행 개설을 위한 지선 지정 (분기선 도쿄-나가노선 지정 이후 중첩 구간화)
칸에츠자동차도
関越自動車道
조에츠선
上越線
미타카시 - 조에츠시 (니가타선 중복 구간)
주오JCT - 후지오카IC
A노선 조신에츠자동차도
후지오카IC - 조에츠JCT
[칸에츠자동차도 조에츠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칸에츠자동차도 조에츠선
  • 분기 구간: 니가타선, 기점으로부터 후지오카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72년 6월 30일 도쿄-나가노선(東京長野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기점을 네리마구에서 미타카시로 연장 변경)
  • 지정 역사
    • 1978년 11월 6일 조에츠선(上越線) 연장 지정 (기점 네리마구, 종점 조에츠시)
조반자동차도
常磐自動車道
- 센다이시[4] (도호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오이즈미JCT - 카와구치JCT
A노선 도쿄외환자동차도
카와구치JCT - 미사토JCT
조반자동차도
미사토JCT - 와타리IC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6)] 센다이동부도로
와타리IC - 센다이코키타IC
[조반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조반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69년 1월 20일 미사토-이시오카선(三郷石岡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종점을 센다이시로 연장하고 하위 노선명 제거 지정)
  • 지정 역사
    • 1971년 6월 8일 미사토-이와키선(三郷いわき線) 연장 지정
    • 1982년 1월 29일 기점을 네리마구로 연장하고 하위 노선명 제거 지정(조반자동차도, 종점 이와키시)
    • 1989년 2월 17일 종점 연장에 따른 도쿄-소마선(東京相馬線) 하위 노선명 재추가 지정
    • 1991년 12월 20일 도쿄-와타리선(東京亘理線) 연장 지정
히가시칸토자동차도
東関東自動車道
미토선
水戸線
- 미토시 (조반자동차도 중복 구간)
오이즈미JCT - 미사토JCT
A노선 도쿄외환자동차도
미사토JCT - 코야JCT
히가시칸토자동차도
코야JCT - 이바라키마치JCT
[히가시칸토자동차도 미토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히가시칸토자동차도 미토선
  • 최초 지정: 1967년 11월 22일 치바-나리타선(千葉成田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도쿄-이타코선과 호코타-미토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미토선 통합 지정)
  • 지정 역사
    • 1971년 6월 8일 이치카와-이타코선(市川潮来線) 연장 지정
    • 1991년 12월 20일 도쿄-이타코선(東京潮来線) 연장 지정 및 호코타-미토선(鉾田水戸線) 추가 지정
히가시칸토자동차도
東関東自動車道
치바-훗츠선
千葉富津線
치바시 - 훗츠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4)] 케이요도로
미야노기JCT - 아나가와IC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 케이요도로
아나가와IC - 치바미나미JCT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27)] 훗츠-타테야마 도로
훗츠타케오카IC - 토미우라IC
A노선 타테야마자동차도
치바미나미JCT - 키사라즈미나미IC
키사라즈JCT - 훗츠타케오카IC
(지선) A노선 도쿄만 아쿠아라인 연락도
키사라즈니시JCT - 키사라즈JCT
[히가시칸토자동차도 치바-훗츠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히가시칸토자동차도 타테야마선
  • 최초 지정: 1978년 11월 6일 치바-키사라즈선(千葉木更津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89년 2월 17일 (치바-훗츠선 연장 지정)
  • 지선 구간: 키사라즈니시JCT의 도쿄도 아쿠아라인 연락도 정비 과정에서 회계상 분계점 설정[5]
키타칸토자동차도
北関東自動車道
타카사키시 - 히타치나카시 A노선 키타칸토자동차도
타카사키JCT - 이와후네JCT
토치기츠가JCT - 미토미나미IC
(도호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이와후네JCT - 토치기츠가JCT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6)] 히가시미토도로
미토미나미IC - 히타치나카IC
[키타칸토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키타칸토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타카사키-이세사키선(高崎伊勢崎線), 츠가-카미노카와선(都賀上三川線), 토모베-미토선(友部水戸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종점을 히타치나카시로 연장하고 하위 노선명 제거 지정)
  • 지정 역사
    • 1991년 12월 20일 3개 노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타카사키-미토선(高崎水戸線) 통합 지정
주오자동차도
中央自動車道
니시노미야선
西宮線
- 니시노미야시 (후지요시다선 중복 구간)
타카이도IC - 오츠키JCT
A노선 주오자동차도
오츠키JCT - 코마키JCT
메이신고속도로
코마키IC - 니시노미야IC
(제1도카이자동차도 중복 구간)
코마키JCT - 코마키IC
(지선) A노선 케이지바이패스
오야마자키JCT - 쿠미야마요도IC
[주오자동차도 니시노미야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오자동차도 니시노미야선
  • 분기 구간
    • 후지요시다선, 기점으로부터 오츠키시 부근까지 중첩
    • 나가노선, 기점으로부터 오카야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57년 8월 30일
    • 고속자동차국도 주오자동차도(中央自動車道) 첫 지정 (1호, 기점 코마키시, 종점 스이타시)
    • 고속자동차국도 스이타-고베선(吹田神戸線)[6] 첫 지정 (1·1호, 기점 스이타시, 종점 고베시)
  • 현재 기준: 1967년 11월 22일 (기점을 스기나미구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니시노미야선으로 변경 지정)
  • 지정 역사
    • 1962년 3월 31일 분기선 추가에 따라 기존 1호를 주오자동차도 코마키-스이타선(小牧吹田線)으로 변경 지정
    • 1965년 11월 1일
      • 코후-코마키선(甲府小牧線) 추가 지정
      • 고속자동차국도 노선번호 제거(명칭 · 기종점 유지)
    • 1966년 7월 30일
      • 스이타-고베선을 니시노미야시로 단축, 코후-코마키선과 코마키-스이타선을 연결하여 코후-니시노미야선(甲府西宮線) 통합 지정
  • 지선 구간: 오야마자키JCT · 쿠미야마요도IC 접속 구간을 메이신고속도로 개축사업의 일부로 진행하여 지선 지정
주오자동차도
中央自動車道
후지요시다선
富士吉田線
- 후지요시다시 A노선 주오자동차도
타카이도IC - 후지요시다TB
[주오자동차도 후지요시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오자동차도 후지요시다선
  • 분기 구간: 니시노미야선 · 나가노선, 기점으로부터 오츠키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62년 3월 31일 주오자동차도 도쿄-후지요시다선(東京富士吉田線) 첫 지정 (2호, 기점 시부야구, 종점 카와구치코마치)
  • 현재 기준: 1967년 11월 22일 (노선명을 후지요시다선으로 변경 지정)
  • 지정 역사
    • 1965년 11월 1일 고속자동차국도 노선번호 제거(명칭 · 기종점 유지)
    • 1966년 7월 30일 기점을 스기나미구로, 종점을 후지요시다시로 조정
주오자동차도
中央自動車道
나가노선
長野線
- 나가노시 (후지요시다선 중복 구간)
타카이도IC - 오츠키JCT
(니시노미야선 중복 구간)
오츠키JCT - 오카야JCT
A노선 나가노자동차도
오카야JCT - 코쇼쿠JCT
(칸에츠자동차도 중복 구간)
코쇼쿠JCT - 나가노IC
[주오자동차도 나가노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오자동차도 나가노선
  • 분기 구간
    • 후지요시다선, 기점으로부터 오츠키시 부근까지 중첩
    • 니시노미야선, 기점으로부터 오카야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도쿄-마츠모토선(東京松本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1년 6월 8일 (종점을 나가노시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나가노선으로 변경 지정)
제1도카이자동차도
第一東海自動車道
(본선) - 코마키시 A노선 도메이고속도로
도쿄IC - 코마키IC
(지선) A노선 수도권중앙연락자동차도
에비나미나미JCT - 에비나IC
[제1도카이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제1도카이자동차도
  • 1966년 7월 30일 이전은 도카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 시행령 기준
  • 최초 지정: 1962년 5월 30일
    • 도카이도간선자동차국도 도쿄-시즈오카선(東京静岡線) 첫 지정 (1·2호, 기점 시부야구)
    • 도카이도간선자동차국도 토요카와-코마키선(豊川小牧線) 첫 지정 (1·3호)
  • 현재 기준: 1989년 2월 17일 (노선명을 도카이자동차도에서 제1도카이자동차도로 변경 지정)
  • 지정 역사
    • 1963년 8월 19일 도쿄-시즈오카선과 토요카와-코마키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통합, 하위 노선명 제거 (1·2호)
    • 1965년 11월 1일 고속자동차국도 노선번호 제거(명칭 · 기종점 유지)
    • 1966년 7월 30일
      • 시행령 폐지 및 정령 통합에 따라 노선명을 도카이도간선자동차국도에서 도카이자동차도로 변경
      • 기점을 시부야구에서 세타가야구로 단축 지정
  • 지선 구간: 제2도카이자동차도 연락 구간을 도메이고속도로 연결 사업으로 진행하여 지선 지정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東海北陸自動車道
이치노미야시 - 토나미시 A노선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이치노미야JCT - 오야베토나미IC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이치노미야-시로토리선(一宮白鳥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8년 11월 6일 (이치노미야-시로토리선과 조하나-토나미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통합 지정 후 하위 노선명 제거)
  • 지정 역사
    • 1971년 6월 8일 조하나-토나미선(城端砺波線) 추가 지정
제2도카이자동차도
第二東海自動車道
요코하마-나고야선
横浜名古屋線
요코하마시 - 나고야시 A노선 신메이신고속도로
에비나미나미JCT - 토요타히가시JCT
(연락로 포함)
이세완간자동차도
토요타히가시JCT - 도카이IC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302)] 이세완간자동차도
도카이IC - 메이코츄오IC
[제2도카이자동차도 요코하마-나고야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제2도카이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요코하마-도카이선(横浜東海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요코하마-나고야선 연장 지정)
주부횡단자동차도
中部横断自動車道
시즈오카시 - 사쿠시 A노선 주부횡단자동차도
신시미즈JCT - 후타바JCT
야치호코겐IC - 사쿠코모로JCT
(주오자동차도 중복 구간)
후타바JCT - 나가사카JCT
[주부횡단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부횡단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마스호-후타바선(増穂双葉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시미즈-후타바선과 야치호-사쿠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통합 지정 후 하위 노선명 제거)
  • 지정 역사
    • 1991년 12월 20일 시미즈-후타바선(清水双葉線) 연장 지정 및 야치호-사쿠선(八千穂佐久線) 추가 지정
호쿠리쿠자동차도
北陸自動車道
(본선) 니가타시 - 마이바라시 A노선 호쿠리쿠자동차도
니가타츄오JCT - 마이바라JCT
(지선) A노선 칸에츠자동차도
나가오카JCT - 나가오카IC
[호쿠리쿠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호쿠리쿠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65년 11월 1일 도야마-마이하라선(富山米原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지정일 시점 마이하라초 2005년 2월 14일 기소멸, 마이바라시로의 변경 반영, 종점 변경)
  • 지정 역사
    • 1967년 11월 22일 쿠로베-마이하라선(黒部米原線) 연장 지정 및 니가타-나가오카선(新潟長岡線) 추가 지정
    • 1969년 1월 20일 니가타-나가오카선과 쿠로베-마이하라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통합 지정 후 하위 노선명 제거
  • 지선 구간: 나가오카JCT에서 1980년 호쿠리쿠자동차도 방면 선행 개통에 따른 지선 지정[7]
킨키자동차도
近畿自動車道
텐리-스이타선
天理吹田線
텐리시 - 스이타시 A노선 니시메이한자동차도
텐리IC - 마츠바라JCT
킨키자동차도
마츠바라JCT - 스이타JCT
(지선) A노선 한와자동차도
마츠바라JCT - 마츠바라IC
[킨키자동차도 텐리-스이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 나고야-오사카선
  • 최초 지정: 1967년 11월 22일 마츠바라-스이타선(松原吹田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2년 6월 30일 (텐리-스이타선(天理吹田線) 연장 지정에 따라 와카야마선을 분기선에서 해제)
  • 지정 역사
    • 1970년 6월 18일 분기선(와카야마선, 和歌山線) 설정
  • 지선 구간: 마츠바라-스이타선 당시 사업 구간(마츠바라IC까지) 구 본선이 1972년 노선 지정 변경에 따라 지선화
킨키자동차도
近畿自動車道
마츠바라-나치카츠우라선
松原那智勝浦線
마츠바라시 - (텐리-스이타선 중복 구간)
마츠바라JCT - 마츠바라IC
A노선 한와자동차도
마츠바라IC - 아리다IC
고보IC - 난키타나베IC
키세이자동차도
난키타나베IC - 스사미미나미IC
[킨키자동차도 마츠바라-나츠카치우라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 키세이선
  • 최초 지정: 1967년 11월 22일 센난-카이난선(泉南海南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마츠바라-나치카츠우라선 연장 지정)
  • 지정 역사
    • 1970년 6월 18일 센난-카이난선 기점을 마츠바라시 연장, 종점을 와카야마시로 단축해 와카야마선(和歌山線) 지정 (분기선화)
    • 1972년 6월 30일 마츠바라-스이타선의 텐리-스이타선 연장 및 변경에 따라 분기선에서 해제
    • 1978년 11월 6일 노선명은 유지한채 종점을 카이난시로 재연장
    • 1989년 2월 17일
      • 마츠바라-카이난선(松原海南線) 노선명 변경 지정 (구 와카야마선)
      • 고보-타나베선(御坊田辺線) 추가 지정
    • 1991년 12월 20일 마츠바라-카이난선과 고보-타나베선 및 그 사이를 연결 · 통합하고 마츠바라-스사미선(松原すさみ線) 연장 지정
킨키자동차도
近畿自動車道
이세선
伊勢線
나고야시 - 이세시 (나고야-카메야마선 중복 구간)
나고야미나미JCT - 나고야니시JCT
욧카이치JCT - 이세세키IC
(나고야-고베선 중복 구간)
토비시마JCT - 욧카이치JCT
A노선 나고야제2환상자동차도
나고야니시JCT - 토비시마JCT
이세자동차도
이세세키IC - 이세IC
[킨키자동차도 이세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 이세선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세키-히사이선(関久居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0년 1월 19일 (이세선의 경로를 변경[8]하여 나고야-세키선 분기선에서 해제)
  • 지정 역사
    • 1972년 6월 30일 세키-이세선(関伊勢線) 연장 지정
    • 1997년 2월 5일 기점을 나고야시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이세선(伊勢線)으로 변경 지정 (분기선화)
킨키자동차도
近畿自動車道
츠루가선
敦賀線
스이타시 - 츠루가시 (주고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스이타JCT - 요카와JCT
A노선 마이즈루-와카사 자동차도
요카와JCT - 츠루가JCT
[킨키자동차도 츠루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 츠루가선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스이타-후쿠치야마선(吹田福知山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89년 2월 17일 (종점을 츠루가시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변경 지정)
  • 지정 역사
    • 1972년 6월 30일 종점을 마이즈루시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마이즈루선(舞鶴線)으로 변경 지정
킨키자동차도
近畿自動車道
나고야-카메야마선
名古屋亀山線
나고야시 - 카메야마시 A노선 나고야제2환상자동차도
나고야미나미JCT - 나고야니시JCT
(지선 포함)
히가시메이한자동차도
나고야니시JCT - 이세세키IC
[킨키자동차도 나고야-카메야마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 나고야-오사카선
  • 최초 지정: 1972년 6월 30일 스이타-후쿠치야마선(名古屋亀山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0년 1월 19일 (이세선의 경로를 변경하며 이세선을 분기선에서 해제)
  • 지정 역사
    • 1997년 2월 5일 분기선(이세선, 伊勢線) 설정
킨키자동차도
近畿自動車道
나고야-고베선
名古屋神戸線
나고야시 - 고베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302)] 이세완간자동차도
메이코츄오IC - 토비시마IC
A노선 이세완간자동차도
토비시마IC - 욧카이치JCT
신메이신고속도로
욧카이치JCT - 고베JCT
(연락로 포함)
[킨키자동차도 나고야-고베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 나고야-고베선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토비시마-고베선(飛島神戸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나고야-고베선 연장 지정)
킨키자동차도
近畿自動車道
오와세-타키선
尾鷲多気線
오와세시 - A노선 키세이자동차도
오와세키타IC - 세이와타키JCT
[킨키자동차도 오와세-타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 키세이선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키이나가시마-세이와선(紀伊長島勢和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지정일 시점 세이와무라 2006년 1월 1일 기소멸, 타키초로의 변경까지 반영, 종점 및 노선명 변경)
  • 지정 역사
    • 1991년 12월 20일 오와세-세이와선(尾鷲勢和線) 연장 지정
주고쿠종관자동차도
中国縦貫自動車道
(본선) 스이타시 - 시모노세키시 A노선 주고쿠자동차도
스이타JCT - 시모노세키IC
(지선) A노선 히로시마자동차도
히로시마키타JCT - 히로시마키타IC
[주고쿠종관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고쿠종관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65년 11월 1일 스이타-치요다선(吹田千代田線) 및 카노-시모노세키선(鹿野下関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67년 11월 22일 (스이타-치요다선과 카노-시모노세키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통합 지정 후 하위 노선명 제거)
  • 지선 구간: 히로시마키타IC 구간 1983년 3월 24일 지선으로 선행 개통
산요자동차도
山陽自動車道
스이타-야마구치선
吹田山口線
스이타시 - 야마구치시 (주고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스이타JCT - 고베JCT
A노선 산요자동차도
고베JCT - 하츠카이치JCT
오타케JCT - 야마구치JCT
(지선 포함)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2)] 산요자동차도
하츠카이치JCT - 오타케JCT
(지선) A노선 오카야마자동차도
오카야마JCT - 오카야마소자IC
[산요자동차도 스이타-야마구치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산요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71년 6월 8일 히메지-하츠카이치선(姫路廿日市線) 및 이와쿠니-야마구치선(岩国山口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89년 2월 17일 (우베-시모노세키선 추가 지정에 따라 하위 노선명 스이타-야마구치선 재추가 지정)
  • 지정 역사
    • 1972년 6월 30일 스이타-하츠카이치선(吹田廿日市線) 연장 지정
    • 1979년 2월 27일 스이타-하츠카이치선과 이와쿠니-야마구치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통합 지정 후 하위 노선명 제거
  • 지선 구간: 오카야마소자IC 구간 1991년 3월 16일 지선으로 선행 개통
산요자동차도
山陽自動車道
우베-시모노세키선
宇部下関線
우베시 - 시모노세키시 A노선 산요자동차도
우베JCT - 시모노세키JCT
[산요자동차도 우베-시모노세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산요자동차도
  • 최초 지정 · 현재 기준: 1989년 2월 17일 우베-시모노세키선 첫 지정
주고쿠횡단자동차도
中国横断自動車道
히메지-돗토리선
姫路鳥取線
히메지시 - 돗토리시 A노선 하리마자동차도
하리마JCT - 시소JCT
돗토리자동차도
사요JCT - 니시아와쿠라CB
치즈IC - 돗토리IC
(주고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시소JCT - 사요JCT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373)] 돗토리자동차도
니시아와쿠라CB - 사카네
코마가에리 - 치즈IC
잠정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373)] 시토사카고개도로
사카네 - 코마가에리
[주고쿠횡단자동차도 히메지-돗토리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고쿠횡단자동차도 히메지-돗토리선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사요-돗토리선(佐用鳥取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1년 12월 20일 (히메지-돗토리선 연장 지정)
주고쿠횡단자동차도
中国横断自動車道
오카야마-요나고선
岡山米子線
오카야마시 - 요나고시 (산요자동차도 중복 구간)
오카야마JCT - 오카야마소자IC
A노선 오카야마자동차도
오카야마소자IC - 호쿠보JCT
요나고자동차도
오치아이JCT - 요나고IC
(주고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호쿠보JCT - 오치아이JCT
[주고쿠횡단자동차도 오카야마-요나고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고쿠횡단자동차도 오카야마-요나고선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오치아이-요나고선(落合米子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2년 6월 30일 (오카야마-요나고선 연장 지정)
주고쿠횡단자동차도
中国横断自動車道
오노미치-마츠에선
尾道松江線
오노미치시 - 마츠에시 A노선 오노미치자동차도
오노미치JCT - 미요시히가시JCT
마츠에자동차도
미요시히가시JCT - 신지JCT
산인자동차도
신지JCT - 마츠에타마츠쿠리IC
[주고쿠횡단자동차도 오노미치-마츠에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고쿠횡단자동차도 오노미치-마츠에선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미요시-마츠에선(三次松江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1년 12월 20일 (오노미치-마츠에선 연장 지정)
주고쿠횡단자동차도
中国横断自動車道
히로시마-하마다선
広島浜田線
히로시마시 - 하마다시 A노선 히로시마자동차도
히로시마JCT - 히로시마키타IC
하마다자동차도
치요다JCT - 하마다IC
(주고쿠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히로시마키타IC - 치요다JCT
[주고쿠횡단자동차도 히로시마-하마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주고쿠횡단자동차도 히로시마-하마다선
  • 최초 지정: 1970년 6월 18일 치요다-요나고선(千代田浜田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2년 6월 30일 (히로시마-하마다선 연장 지정)
산인자동차도
山陰自動車道
돗토리-마스다선
鳥取益田線
돗토리시 - 마스다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9)] 산인자동차도
돗토리IC - 마츠에타마츠쿠리IC
이즈모IC - 하마다JCT
하마다IC - 스코IC
(주고쿠횡단자동차도 중복 구간)
마츠에타마츠쿠리IC - 신지JCT
A노선 산인자동차도
신지JCT - 이즈모IC
(주고쿠횡단자동차도 중복 구간)
하마다JCT - 하마다IC
[산인자동차도 돗토리-마스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산인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91년 12월 20일 치요다-요나고선(鳥取青谷線), 신지-이즈모선(宍道出雲線), 하마다-마스다선(浜田益田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치요다-요나고선, 신지-이즈모선, 하마다-마스다선 및 그 사이를 연결하여 돗토리-마스다선으로 통합 지정)
산인자동차도
山陰自動車道
나가토-미네선
長門美祢線
나가토시 - 미네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491)] 산인자동차도
나가토유모토온센IC - 타와라야마키타IC
[산인자동차도 나가토-미네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산인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97년 2월 5일 미스미-미네선(三隅美祢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지정일 시점 미스미초 2005년 3월 22일 기소멸, 나가토시로의 변경까지 반영, 기점 및 노선명 변경)
시코쿠종관자동차도
四国縦貫自動車道
도쿠시마시 - 오즈시 A노선 도쿠시마자동차도
도쿠시마IC - 카와노에히가시JCT
마츠야마자동차도
카와노에JCT - 오즈IC
(시코쿠횡단자동차도 중복 구간)
카와노에히가시JCT - 카와노에JCT
[시코쿠종관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시코쿠종관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69년 1월 20일 도쿠시마-와키선(徳島脇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78년 11월 6일 (도쿠시마-이케다선, 카와노에-마츠야마선 및 그 사이를 연결 · 통합하고 하위 노선명 제거 지정)
  • 지정 역사
    • 1970년 6월 18일 카와노에-코마츠선(川之江小松線) 추가 지정
    • 1971년 6월 8일 도쿠시마-이케다선(徳島池田線) 및 카와노에-마츠야마선(川之江松山線) 연장 지정
시코쿠횡단자동차도
四国横断自動車道
아난-시만토선
阿南四万十線
아난시 - 시만토시 A노선 도쿠시마남부자동차도
도쿠시마츠다IC - 도쿠시마JCT
도쿠시마자동차도
도쿠시마JCT - 나루토JCT
타카마츠자동차도
나루토JCT - 카와노에JCT
고치자동차도
카와노에JCT - 스사키히가시IC
스사키니시IC - 시만토초츄오IC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56)] 고치자동차도
스사키히가시IC - 스사키니시IC
시만토초추오IC - 시만토IC
(지선) A노선 도쿠시마자동차도
도쿠시마IC - 도쿠시마JCT
타카마츠자동차도
나루토IC - 나루토JCT
[시코쿠횡단자동차도 아난-시만토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시코쿠횡단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69년 1월 20일 타카마츠-토요하마선(高松豊浜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지정일 시점 나카무라시 2005년 4월 10일 기소멸, 시만토시로의 변경까지 반영, 종점 및 노선명 변경)
  • 지정 역사
    • 1970년 6월 18일 타카마츠-카와노에선(高松川之江線) 연장 지정 및 난코쿠-스사키선(南国須崎線) 추가 지정
    • 1971년 6월 8일 오토요-스사키선(大豊須崎線) 연장 지정
    • 1972년 6월 30일 타카마츠-카와노에선, 난코쿠-스사키선 및 그 사이를 연결 · 통합하고 하위 노선명 제거 지정
    • 1989년 2월 17일 도쿠시마-츠다선(徳島津田線) 추가 지정 및 타카마츠-스사키선(高松須崎線) 하위 노선명 재추가 지정
    • 1991년 12월 20일 아난-츠다선(阿南津田線) 및 타카마츠-쿠보카와선(高松窪川線) 연장 지정
    • 1997년 2월 5일 아난-츠다선과 타카마츠-쿠보카와선 및 그 사이를 연결 · 통합하고 아난-나카무라선(阿南中村線) 연장 지정
  • 지선 구간: 토쿠시마-츠다선 지정 구간 개통 이전 분기점 부재로 각각의 IC까지 경계선 설정
시코쿠횡단자동차도
四国横断自動車道
아이난-오즈선
愛南大洲線
- 오즈시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56)] 마츠야마자동차도
츠시마이와마츠IC - 우와지마키타IC
오즈키타타다IC - 오즈IC
A노선 마츠야마자동차도
우와지마키타IC - 오즈키타타다IC
[시코쿠횡단자동차도 아이난-오즈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시코쿠횡단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우와지마-오즈선(宇和島大洲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2008년 1월 18일 (지정일 시점 우치우미무라 2004년 10월 1일 기소멸, 아이난초로의 변경까지 반영, 기점 및 노선명 변경)
  • 지정 역사
    • 1997년 2월 5일 우치우미-오즈선(内海大洲線) 연장 지정
규슈종관자동차도
九州縦貫自動車道
가고시마선
鹿児島線
키타큐슈시 - 가고시마시 A노선 규슈자동차도
모지IC - 가고시마IC
(지선) A노선 나가사키자동차도
토스JCT - 토스IC
[규슈종관자동차도 가고시마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규슈종관자동차도 가고시마선
  • 분기 구간: 미야자키선, 기점으로부터 에비노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1965년 11월 1일 후쿠오카-구마모토선(福岡熊本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67년 11월 12일 (기점을 키타큐슈시, 종점을 가고시마시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가고시마선으로 변경 지정)
  • 지선 구간: 토스IC 구간 1973년 11월 16일 IC로 선행 개통 이후 나가사키도 개통에 따라 지선화
규슈종관자동차도
九州縦貫自動車道
미야자키선
宮崎線
키타큐슈시 - 미야자키시 (가고시마선 중복 구간)
모지IC - 에비노JCT
A노선 미야자키자동차도
에비노JCT - 미야자키IC
[규슈종관자동차도 가고시마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규슈종관자동차도 가고시마선
  • 분기 구간: 가고시마선, 기점으로부터 에비노시 부근까지 중첩
  • 최초 지정 · 현재 기준: 1967년 11월 12일 (분기선 형태로 미야자키선 추가 지정)
규슈횡단자동차도
九州横断自動車道
나가사키-오이타선
長崎大分線
나가사키시 - 오이타시 A노선 나가사키자동차도
나가사키IC - 토스JCT
오이타자동차도
토스JCT - 히지JCT
히가시큐슈자동차도
히지JCT - 오이타메라IC
(규슈종관자동차도 중복 구간)
토스IC - 토스JCT
(지선) A노선 니시큐슈자동차도
타케오JCT - 타케오미나미IC
히가시큐슈자동차도
히지JCT - 하야미IC
[규슈횡단자동차도 나가사키-오이타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규슈횡단자동차도 나가사키-오이타선
  • 최초 지정: 1969년 1월 20일 오무라-히타선(大村日田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89년 2월 17일 (국간도 추가 노선 지정에 따라 나가사키-오이타선 하위 노선명 재추가)
  • 지정 역사
    • 1970년 6월 18일 나가사키-히타선(長崎日田線) 연장 지정
    • 1972년 6월 30일 종점을 오이타시로 연장하고 하위 노선명 제거 지정
  • 지선 구간
    • 하야미IC는 오이타도 지선으로의 선행 개통 구간임에 따라 지선으로 지정
    • 타케오미나미IC의 경우 요금처리 접속부 등을 고려하여 고속도로 · 유료도로 운영사에서 고속자동차국도 지선으로 지정 운영
규슈횡단자동차도
九州横断自動車道
노베오카선
延岡線
[9] - 노베오카시 A노선 규슈중앙자동차도
카시마JCT - 야마토츠준쿄IC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218)] 규슈중앙자동차도
운카이바시 - 히라소코
쿠라타 - 노베오카IC
[규슈횡단자동차도 노베오카선]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규슈횡단자동차도 노베오카선
  • 최초 지정: 1991년 12월 20일 미후네-야베선(御船矢部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종점을 노베오카시로 연장하고 노베오카선으로 노선명 변경 지정)
히가시큐슈자동차도
東九州自動車道
키타큐슈시 - 가고시마시 A노선 히가시큐슈자동차도
키타큐슈JCT - 미야코토요츠IC
시다미나미IC - 우사IC
오이타메라IC - 키타가와IC
카도가와IC - 니치난토고IC
시부시IC - 하야토히가시IC
A'노선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0)] 히가시큐슈자동차도
미야코토요츠IC - 시다미나미IC
우사IC - 하야미IC
키타가와IC - 카도가와IC
하야토히가시IC - 카지키JCT
(나가사키-오이타선 중복 구간)
하야미IC - 오이타메라IC
[히가시큐슈자동차도]
* 지정 근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히가시큐슈자동차도
  • 최초 지정: 1989년 2월 17일 오이타-사이키선(大分佐伯線), 노베오카-키요타케선(延岡清武線), 시부시-하야토선(志布志隼人線) 첫 지정
  • 현재 기준: 1997년 2월 5일 (4개 노선 및 그 사이 구간을 연결하여 통합 지정 후 하위 노선명 제거)
  • 지정 역사
    • 1991년 12월 20일
      • 키타큐슈-토요츠선(北九州豊津線) 추가 지정 및 노베오카-니치난선(延岡日南線) 연장 지정
      • 시다-카마에선(椎田蒲江線) 연장 지정 (오이타-사이키선의 양방향 연장)
      • 쿠시마-가고시마선(串間鹿児島線) 연장 지정 (시부시-하야토선의 양방향 연장)
칸몬자동차도
関門自動車道
시모노세키시 - 키타큐슈시 A노선 칸몬자동차도
시모노세키IC - 모지IC
[칸몬자동차도]
* 지정 근거: 고속자동차국도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의 예정 노선
  • 최초 지정 · 현재 기준: 1968년 3월 19일 칸몬자동차도 첫 지정
나리타국제공항선
成田国際空港線
나리타시 오야마 -
나리타국제공항
A노선 신공항자동차도
나리타JCT - 신공항IC
[나리타국제공항선]
* 지정 근거: 고속자동차국도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의 예정 노선
  • 최초 지정: 1969년 1월 20일 신도쿄국제공항선(新東京国際空港線) 첫 지정 (종점 신도쿄국제공항)
  • 현재 기준: 2004년 3월 10일 (종점명을 나리타국제공항으로, 노선명을 나리타국제공항선으로 변경 지정)
오키나와자동차도
沖縄自動車道
나고시 - 나하시 A노선 오키나와자동차도
쿄다IC - 나하IC
[오키나와자동차도]
* 지정 근거: 고속자동차국도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의 예정 노선
  • 최초 지정: 1979년 2월 27일 오키나와자동차도 첫 지정 (기점 이시카와시)
  • 현재 기준: 1986년 2월 4일 (기점을 나고시로 연장 지정)
간사이국제공항선
関西国際空港線
이즈미사노시 카미노고 -
간사이국제공항
A노선 간사이공항자동차도
이즈미사노JCT - 린쿠JCT
[간사이국제공항선]
* 지정 근거: 고속자동차국도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의 예정 노선
  • 최초 지정 · 현재 기준: 1986년 2월 4일 간사이국제공항선 첫 지정

[1] 보통차 기준. 경자동차 기준은 0.8배, 중형차는 1.2배, 대형차는 1.65배, 특대차는 2.75배로 규정되어 있다.[2] 한산한 구간들에 지정되는데, 도토자동차도, 야마가타자동차도 등에 지정되어 있다.[3] 단, 오키나와의 경우 중앙이 95%를, 홋카이도의 경우 중앙이 85%를 분담한다.[4] 실제로 건설된 노선의 종점은 토미야시[5] 요금 처리 분계점이며 각 구간 요금은 각각 일본고속도로보유·채무변제기구와 도쿄만횡단도로주식회사의 도로정비비용(부채) 상환액으로 산입되어 계산된다. 이 과정에서 도쿄만횡단도로주식회사가 짓지 않은 구간이 일반유료도로 지정이 아닌 고속자동차국도 지선 지정으로 간주하여 처리되었다.[6] 스이타-고베선만 앞에 붙는 도로명이 없이 노선명이 곧 도로명이었다.[7] 1978년 칸에츠자동차도 니가타선으로의 개통이 있었으나, 1980년에 호쿠리쿠도 방면이 먼저 개설되고, 1982년 칸에츠도 방면이 늦게 개설되어 지선이 선행하는 것으로 처리됨[8] 메이니칸을 위한 지정 변경[9] 실제로 건설된 노선의 기점은 카시마마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