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6:06:58

일본도로공단



일본의 고속도로 관할 부처·회사
파일:국토교통성 마크.svg 국토교통성 · 파일:JH_Logo.png 일본도로공단 · 파일:Nexco_higashinihon_logo.svg NEXCO 동일본 · 파일:Nexco_nakanihon_logo.svg NEXCO 중일본 · 파일:NEXCO-West_logo.svg NEXCO 서일본 · 파일:external/www.jb-honshi.co.jp/header_logo.jpg JB 혼시고속
도시고속도로 관할·체계
파일:Shutoko_logo.svg 수도고속도로 파일:한신고속도로 심볼.svg 한신고속도로 나고야고속도로 파일:FukuKita.jpg 키타큐슈고속도로 · 후쿠오카고속도로 히로시마고속도로

日本道路公団
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 / 일본도로공단
파일:JH_Logo.png
정식 명칭일본도로공단
종류특수법인 (공공기관)
운행 지역일본 전역
본사 소재지
도쿄도 치요다구 카스미가세키3초메 3-2
(東京都千代田区霞が関三丁目3番2号)
약칭JH, 도로공단
업종육운업
전신철도총국 (鉄道総局)[1]
후신NEXCO 동일본, NEXCO 중일본, NEXCO 서일본, JB 혼시고속
창립년일1956년 4월 16일
해산년일2005년 10월 1일

1. 개요2. 역사3. 역대 CI

1. 개요

일본고속도로를 운영하던 국토교통성(당시 운수성) 산하 공기업으로, 현재 NEXCO 3사의 전신이다. 한국으로 치면 현재의 한국도로공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지금의 NEXCO는 한국도로공사가 민영화 된 형태라고 비유할 수 있다.

본사는 도쿄도 치요다구 카스미가세키에 위치했으며, 민영화 이후 NEXCO 동일본이 이곳에 본사를 두고 있다.

2. 역사

1956년 4월 16일 일본도로공단법에 의해 출범되었으며, 고속자동차국도의 건설은 물론 그와 연계되는 유료도로, 주차장, 휴게소, 트럭 터미널 등의 영업 또한 수행하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본국유철도와 마찬가지로, 일본도로공단도 부실한 경영과 잇다르는 무리한 토건사업으로 인한 부채과다, 정해진 요금징수연한내에 모든 건설부채와 관리료를 전부 다 받기 위한 무리한 요금인상 등이 이어지면서 일본국유철도와 마찬가지로 민영화 여론이 불게되었다. 결국 2001년 수도고속도로공단, 한신고속도로공단, 혼슈시코쿠연락교공단과 함께 도로 4공단의 민영화가 최종 결정되면서, 2005년 10월 1일 조직은 해산을 맞이하게 되었다.

철도보다도 부채 잔금이 많은 것으로 악명 높았던 도로공단으로 민영화 시점에서 38조엔이었다. 너무 막대한 부채액이다보니, 지금도 시설과 잔여 부채는 일본고속도로보유 · 채무변제기구(日本高速道路保有・債務返済機構)가 가지고 있고, 이 기구에서 각 NEXCO 사업자에게 영업권을 부여하면서 의무적인 요금 부과 징수 조치를 협정을 통해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3. 역대 CI

파일:일본도로공단 구 CI.png 파일:JH_Logo.png
1956년 1986년


[1] 과거 일본 제국 운수성(현 국토교통성) 산하기관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