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10:36:20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국토교통부_국문_흰색글자.svg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1차
(2006~2015)
2차
(2011~2020)
3차
(2016~2025)
4차
(2021~2030)
5차
(2026~2035)


1. 개요2. 역사(진행상황)3. 추진 방향4. 내용 요약
4.1. 운영효율성 제고사업4.2. 주요 거점 간 고속연결 사업4.3.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사업4.4.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사업4.5. 산업발전 기반조성 사업4.6. 추가 검토 사업4.7.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환경 조성4.8. 남북 간 및 대륙 철도 연계 준비
5. 관련 자료

1. 개요

파일:4차_국가철도망도_전국망.png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1]
대한민국 국토교통부가 수립한 2021~2030년까지의 철도 건설 추진 계획을 담은 네 번째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다.

2. 역사(진행상황)

기존의 1~3차 계획과는 다르게 큰 폭의 변화가 있다. 변화의 시작은 국토교통부(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2019년 10월 31일 보도자료로 배포한 "대도시권 광역교통망 철도 중심으로 재편" 문건에 자세히 나와있으며, 주요 내용은 1) 도로→철도로 교통정책의 중심을 이동, 2) 2030년까지 철도망 2배로 확충, 3) 향후 10년간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 방향을 담은 「광역교통 2030」 선포이다(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연구용역은 국토교통부에서 발주하여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수행 중으로, 2019년 7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진행된다.

3. 추진 방향

  1. 철도 운영 효율성 제고: 용량부족 해소 및 기존노선 급행화, 단절구간 연결 및 전철화
  2. 주요 거점 간 고속 연결: 일반철도 고속화, 고속철도 운행지역 확대, 400km/h급 초고속열차 운행기반 마련
  3.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기존노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 구축, 지방 대도시권 등 활성화를 위한 신규 광역철도 건설, 지방 광역철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
  4. 수도권 교통 혼잡 해소: 광역급행철도망 구축, 신규 광역철도망 확대
  5. 산업 발전 기반 조성: 철도를 통한 산업활동 지원, 철도산업 도약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
  6.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 환경 조성: 성능중심 철도시설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철도안전 강화, 이용자가 편리한 철도환경 조성, 환경친화적인 철도건설 추진
  7. 남북 및 대륙철도 연계 대비: 통일시대에 대비한 남북철도 연결, 남북/대륙철도 연결 및 국제철도 운행 준비

4. 내용 요약

파일:4차철도망_전국.png 파일:4차철도망_수도권.png
▲ 제안사업 노선도 (전국) ▲ 제안사업 노선도 (수도권)
파일:4차철도망_오송.jpg
▲ 제안사업 노선도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
2021년 6월 29일 확정안이 고시되었다. 2021년 4월 22일 개최된 공청회에서 발표된 초안에서 광주대구선이 추가되었고, 수도권 전철 5호선 연장도 추가 검토 사업에 추가되었다. 공청회 발표 자료 최종 확정 고시안

4.1. 운영효율성 제고사업

총연장 283.7km, 총사업비 9조 9,105억원.

4.2. 주요 거점 간 고속연결 사업

총연장 424.7km, 총사업비 12조 9,919억원.

4.3.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사업

총연장 444.3km, 총사업비 12조 1,074억원.

4.4.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사업

총연장 229.4km, 총사업비 21조 6,405억원.

4.5. 산업발전 기반조성 사업

총연장 66.3km, 총사업비 2조 1,094억원.

4.6. 추가 검토 사업

장래 여견변화 등에 따라 추진검토가 필요한 사업
유형 노선명 사업 구간 연장 (km)
추가 검토 사업
고속철도 전주김천선 전주~김천 101.1
중부권 동서횡단선 서산~울진 322.4
태백영동선 제천~삼척 125.4
군산목포선 군산~목포 121.0
광역철도 인천 2호선 안양 연장 인천대공원~안양 21.8
서울 6호선 구리남양주 연장 신내~남양주 -
대장홍대선/서울 2호선 청라 연장 홍대입구(까치산)~청라 -
조리금촌선 (통일로선)[3][4] 삼송~금촌 16.0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방화역~검단~김포 28.0
별내선 남양주 연장 별가람~탑석 8.7
경원선 연천~월정리 29.3
보령선 보령~조치원 82.1
내포태안선 내포~태안 57.6
일반철도 전주김천선 전주~김천 101.1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선 동익산~완주신단 11.4
창원산업선 창녕 대합산단~창원 46.3
경강선 연장 삼동~안성 59.4
의성영덕선 의성~영덕 71.9
원주춘천선 원주~춘천 50.7
점촌안동선 점촌~신도청~안동 47.9
1,262.4

4.7.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환경 조성

4.8. 남북 간 및 대륙 철도 연계 준비

5. 관련 자료


[1] 여기서 신규사업이란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추가된 것을 말한다.[2] 당초, 의정부역 연장안, 녹양역 연장안 모두 B/C 0.5이하로 사업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그래서 노선을 단축하여 청학리, 고산, 탑석 연장안을 건의한 것이다.[3]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이 완공된다면 착공될 가능성이 높다.[4] 수도권 전철 3호선 지선 혹은 신분당선 연장선이 될수도 있다.[5] 동해선의 지선인 동해북부선과 직결 후 함께 동해선 본선 편입 예정.[6] 대한민국, 북한, 일본, 몽골, 중국, 대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만의 경우 하나의 중국 원칙 때문에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