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10:22:18

대야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장항선 대야 - [ruby(임피, ruby=1924~2022)] - [ruby(오산리, ruby=1931~2020)] - 익산
'''--[[군산화물선|{{{-1 군산]]--''' 대야 - [ruby(개정, ruby=1924~2022)] - [ruby(군산화물, ruby=1912~2022)]
대야역
역명 표기
장항선 대야
Daeya
大野 / [ruby(大野, ruby=テヤ)]
군산항선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대야면 산월리 248-27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528[1]
관리역 등급
보통역
(익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운영 기관
장항선 한국철도공사
군산항선
개업일
군산선 1912년 3월 12일~
2007년 12월 31일
군산화물선 2008년 1월 1일~
2022년 3월 6일
장항선 2008년 1월 1일
군산항선 2020년 12월 10일
무궁화호 2008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장항선
대 야
기점
군산항선
대 야
파일:신대야역_역사.jpg
3대 역사 (2020년 준공)
<nopad> 파일:daeya2.jpg
구 역사 (1991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2.1.1. 신 역사
3. 일평균 이용객4. 연계 교통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자연을 품은 호남들녘 풍요의 상징
대야역은 일제강점기 비옥한 호남평야의 쌀을 수탈할 목적으로 세워진 군산선의 역사로 1912년 3월 처음 문을 열었다. 당시 역이 위치한 대야면 지경리의 지명을 따라 지경역이라는 이름의 간이역으로 출발했다. 같은 해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1953년 지금의 대야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대야(大野)역은 기름진 땅이 넓게 펼쳐졌다는 이름 그대로 풍요로운 대자연을 품은 역이다. 1991년 신축되어 아름드리 두 그루의 은행나무와 어우러졌던 적벽돌의 대야역은 2008년 장항선 편입에 이어 2020년 현대식 역사로 신축이전 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시작하였다. 역사는 논밭을 상징하는 격자무늬와 비옥한 토양을 상징하는 붉은 빛을 통해 호남평야의 너른 들과 만경강의 풍요를 표현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장항선군산항선의 철도역.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대야면 산월리 248-27 소재.

2. 역 정보

파일:구_대야역.jpg
초대 역사 (1912년 준공, 1991년 철거)
1912년 3월 6일 군산선의 이리-군산 구간이 개통하면서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대야관통로 46-6에서 지정간이역으로 개업하였고 개업 당시 역명은 지경역(地境驛)이었다.

1912년 10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화물과 소화물취급이 개시되었으며 1953년 6월 1일에 대야역으로 역명이 개정되었다.

1976년 8월 26일부터 철도청고시 제28호에 따라서 무연탄을 취급하였고 1988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1991년 1월 30일에 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고 2007년 기준 약 4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였으나 2008년 3월 10일 건설교통부고시제2008-82호에 의거하여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20년 12월 10일 군산항선 개통에 맞춰 신 역사로 이전하하였도 2022년 7월 30일까지 무궁화호는 상행 4회, 하행 5회로 총 하루 9회 정차하였으나 2022년 7월 31일부터 열차시간 개정으로 상행 2회, 하행 1회가 추가로 정차하여 총 12회 정차한다.[2]

열차운전시행규칙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며 역장 혼자서 근무한다.

tvN 드라마 시그널 2화, 3화의 현풍역 기찻길이 이 역의 구 역사에서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

2021년, 군산시가 국토부익산역 시종착 KTX를 대야역까지 연장해달라고 건의하였다. 이에 군산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97%가 대야역에 KTX가 들어오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이번 설문조사에서 기차를 이용할때 익산역에서 환승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에 대해 조사 대상자 중 77.3%가 매우 불편하다고 답하였다. 2022년 9월에는 이 역에 60억원을 들여서 광장 조성을 군산시가 추진하는데 문제는 이 역의 궤멸적인 수요 때문에 시의회에서 거세게 반대하는 중이다. 그나마 KTX가 대야역이나 군산역까지 올라간다면 상황이 낫겠지만 현재로서는 무리라는 것이 중론.

2.1. 승강장

====# 구 역사 #====
파일:daeya1.jpg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익산
1 2
군산
1 장항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익산 방면
2 군산·장항·용산 방면

2.1.1. 신 역사

익산
1 2 3
군산·군산옥산
1 장항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익산 방면
2·3 대천·천안·용산 방면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8년 15명
2009년 19명
2010년 18명
2011년 20명
2012년 24명
2013년 23명
2014년 23명
2015년 23명
2016년 19명
2017년 18명
2018년 18명
2019년 20명
2020년 14명
2021년 11명
2022년 13명
2023년 18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4. 연계 교통

2024년 8월 1일자로 31번과 32번이 60분에 한 대꼴로 대야역으로 진입한다.

5. 둘러보기

장항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안함
}}}}}}}}}

군산화물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취소선:폐역
}}}}}}}}}

군산항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여객영업 안함
}}}}}}}}}

파일:군산시 CI.svg 군산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일반
철도
장항선 군산역, 대야역
도로 고속
도로
파일:Expressway_kor_15.svg서해안선(동군산IC, 군산IC)
국도 4번 국도, 21번 국도, 26번 국도, 27번 국도, 29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706번 지방도, 709번 지방도, 711번 지방도, 718번 지방도, 744번 지방도
버스
터미널
고속
버스
군산고속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군산시외버스터미널, 대야공용버스터미널
버스 시내
버스
군산시, 익산시, 서천군 농어촌버스
항만 군산항국제여객터미널, 군산항연안여객터미널
공항 군산공항, 새만금국제공항2030년 개항
}}}}}}}}} ||


[1] 지경리 시절 코드는 430.[2] 즉 첫,막차만 제외하고 전회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