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16:19:58

시흥대야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 }}}[[]]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시흥대야역
파일:SeohaeLine_icon.svg
역명 표기
서해선 시흥대야
Siheung Daeya
始興大也 / 始兴大也 / [ruby(始興大也, ruby=シフンデヤ)]
서해선
주소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지하1670 (대야동 289-2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서해철도㈜ 위탁 운영)
(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서해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서해선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서해선
시흥대야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연계 교통5. 일평균 이용객6. 승강장7. 둘러보기

1. 개요

2018년 6월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개시
군산 '대야역'과 구분 위해 '시흥대야역'으로
시흥대야역은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13년 처음 역사 설립 계획 당시에는 대야역으로 불리었으나 2018년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대야역과의 구별을 위해 최종 시흥대야역으로 결정되었다. 역사는 지하 3층 규모로 설립되었으며 2020년 1월 1일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 향상을 위해 3번 출입구가 개통되었다. 인근에 초, 중등 학교와 주거단지가 밀집하여 주민 접근성이 뛰어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서해선 S18번.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지하1670 (대야동 289-21) 소재.

2. 역 정보

파일:시흥대야대합실.png
대합실
파일:시흥대야역_조감도.jpg
조감도
3, 4번 출입구 미반영
파일:시흥대야역 출입구.jpg
파일:시흥대야역 출입구2.jpg
1, 2번 출입구 전경
이미지 출처: 두피디아
파일:03 시흥대야.jpg
역 안내도

지하 3층,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출입구 3개[1]와 엘리베이터 3개, 양방향 에스컬레이터 7개가 만들어졌다. 역사 시설(PC 확인 요망)

개통을 앞두고 시흥시청에서 진행한 역명 설문조사에 후보로 나온 역명은 정부 고시 역명인 대야역과 시민제안으로 나온 대야소래산역이 있었다. 이후 시민제안과 선호도 조사를 거쳐 나온 역명안대야소래산역. 역사가 위치한 행정동이 대야동이며, 소래산 접근로와 근접한 전철역이라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소래산이 시흥시와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걸쳐있기 때문에 시흥시 마음대로 역명으로 쓸 수 없다며 역명심의위원회가 퇴짜를 놓았고, '대야'라는 역명마저도 이미 장항선의 역에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혼선 방지를 위해 앞에 '시흥'을 붙인 시흥대야역이 역명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1, 2번 출입구가 이화여자대학교ECC를 연상케 하며[2], 외부를 목재로 마감 처리한 덕분에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마감재의 특성상 화재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안전 불감증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 물론 외부로 노출된 부분만 목재로 마감하였으며, 방염 처리된 목재를 사용했을 테지만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하여 운영주체 측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다.

이 역에서 출발하여 서울시 목동역을 잇는 총 연장 12.4km의 신구로선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중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사업'에 포함되면서 더블 역세권이 될 가능성이 생겼다. 자세한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대략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양천구청역온수역 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추진될 시, 시흥 북부에서 서울 출퇴근 및 목동 학원가 이용이 상당히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3. 역 주변 정보

파일:SeohaeLine_icon.svg 시흥대야역 출구 정보
1은계초등학교
2대야초등학교, 시흥시대야도서관, 시흥시청소년수련관, 시흥시평생학습센터
3시흥ABC행복학습타운,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 소전미술관, 시흥시체육관, 대흥중학교

시흥대야역 바로 북쪽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시흥IC시흥TG가 있고, 시흥대야역 서쪽의 서해안로호현로39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 서해안로는 시흥IC에 바로 이어져 있지만 시흥대야역에서 시흥IC까지 500m 구간은 39번 국도에서 지정 해제돼 일반 도로로 격하되었다.

시흥대야역 역세권시흥시 구도심 지역이다. 그러다가 시흥 은계지구 개발로 인해 시흥대야역 동북쪽은 나름 계획도시 느낌이 나게 바뀐 상태. 하지만 시흥대야역 서쪽과 시흥대야역 바로 주변은 여전히 구획이 불규칙하고, 아파트도 낡은 아파트들이며, 도로 폭도 왕복 2차로 ↔ 4차로 ↔ 6차로가 뒤섞여 있는 등 정리가 안 돼 있다.

시흥과 부천을 이어주는 양대 길목인 여우고개와 하우고개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 통행량에 비해 도로 폭이 너무 좁고 서해안로와 시흥IC 이용차량들까지 더해지면서 출·퇴근시간마다 일대 정체가 심해진다.

시흥대야역 인근 금융기관으로는 북시흥농협 대야지점, 북시흥농협 은계지점 ATM, NH농협은행 시흥시지부가 있다. 시흥대야역 남쪽에 CGV 시흥(위탁관, 4관 462석) 영화관이 있어서 시흥 은계지구의 영화 수요를 받아내고 있다. 은계지구 개발에 따라 시흥대야역 동북쪽으로 리더스스마트허브라는 지식산업센터도 들어와 있다. 서쪽으로는 르노코리아 정비센터 대야점이 있다.

시흥대야역 근처 교육기관으로는 시흥대야역 서쪽에 시흥ABC행복학습타운, 대흥중학교, 대야초등학교가 있다. 시흥대야역 동쪽(은계지구 포함)에는 은계초등학교, 은계중학교, 시흥시립 대야도서관이 시흥대야역에서 남동쪽으로 1.5km 떨어져 있다.

4. 연계 교통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시흥대야역.영남아파트(25418 / 70028) ||
일반시내
마을
직행좌석
간선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시흥대야역.영남아파트(25415 / 70027) ||
일반시내
마을
직행좌석
간선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시흥대야역(25676) ||
일반시내
마을
직행좌석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시흥대야역(25677) ||
일반시내
마을
직행좌석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영남아파트(25954) ||
마을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영남아파트(25953) ||
마을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화원(25432) ||
일반시내
직행좌석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화원(25431) ||
직행좌석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fc31f><bgcolor=#8fc31f> 연도 || 파일:SeohaeLine_icon.svg ||<bgcolor=#8fc31f> 비고 ||
2018년 4,117명 [3]
2019년 4,530명
2020년 4,431명
2021년 4,806명
2022년 4,934명
2023년 5,881명
2024년 7,256명
출처
서해철도㈜ 자료실

6. 승강장

파일:시흥대야승강장.png
서해선 승강장
소새울
신천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부천종합운동장·김포공항·일산 방면
신천·신현·초지·원시 방면

7. 둘러보기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fc31f> 경의선
서해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해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공사중) - - - - - - -
}}}}}}}}}

[1] 개통 당시에는 2개였으나 서해안로와 연계되는 3번 출입구가 2020년 1월 1일에 추가 개통되었으며, 은계지구 방향으로 4번 출입구가 신설될 예정이다.[2] 사진에도 나와있듯 계단 옆으로 완만하고 넓은 경사로가 함께 시공되었는데, 개통 초기에 어린이들이 야외 스케이트장인 것 마냥 사용하면서 경찰이 출동하는 일이 있었다.[3] 개통일인 6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