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09:47:46

화양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역과 이름이 같았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건대입구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건대입구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건대입구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이름이 비슷한 대구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하양역]]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하양역#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하양역#|]]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역과 이름이 같았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건대입구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건대입구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건대입구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이름이 비슷한 대구선의 철도역: }}}[[하양역]]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하양역#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하양역#|]]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화양역
역명 표기
장항선 화양
Hwayang
華陽 / 华阳 / [ruby(華陽, ruby=ファヤン)]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금북로165번길 9 (화양리)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홍성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운영 기관
장항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충남선 1922년 11월 1일~
1944년 6월 15일
1955년 4월 1일~
1955년 9월 1일
장항선 1955년 9월 1일[1]
역사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장항선
화 양
파일:external/www.hjn24.com/4861_4522_259.jpg
<colbgcolor=#ccc><colcolor=#000> 현 역사 (2008년 준공)
파일:attachment/화양역/hwayang.jpg
구 역사 (1971년 준공, 2008년 철거)
1. 개요2. 역 정보3. 둘러보기

1. 개요

장항선철도역.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금북로165번길 9 (화양리 176-23) 소재.

2. 역 정보

구 역사 시절 이 역에서 화물철도 화차를 제작하는 역할을 했기에 역이 꽤 큰 편이었다.

하지만 화차를 제작하는 공장은 문을 닫아버리면서 결국 2006년 11월 15일부로 화물업무를 중단하고 2007년 6월 1일에 여객영업도 중단했다.

2008년 11월 28일부로 장항선이 신선을 달리기 시작하면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이전과 함께 신역사를 지었는데, 보통 역사를 신축하면 규모가 커지기 마련이지만 이 역은 여객이고 화물이고 역할을 상실한 상태라서 역사가 오히려 작아졌다. 따지고보면 이설과 함께 폐지되지 않은 것이 다행일 정도.[2]

인근에 내포신도시가 들어서면서 다시 영업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내포신도시와는 새로 건설되는 서해선이 더 가깝고 관문 역할은 내포역이 할 예정이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가능성은 없다.

여담으로 과거 화물영업 시절에 화차 공장으로 향하는 철길이 있었는데, 현재도 여전히 남아있다. 단 현재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설 장항선 철로와 연결되진 않는다.[3]

승강장은 2면 4선 구조인데 들어가면 가로등과 엘리베이터, 계단 설치 공간만 있고 그외에 배치된건 없다. 계단은 빗물 침수를 막기 위하여 입구와 지붕을 벽으로 막아놨다.

역사는 2층 구조, 승강장으로 나가는 문도 없고[4] 이전 역사보다 오히려 작아졌다. 다만 현재 역사는 위장용으로 삼산역같은 실질적인 역사가 있다. [5]

3. 둘러보기

장항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안함
}}}}}}}}}



[1] 충남선에서 장항선으로 개칭된 날짜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32호 )[2] 여담으로 구 역사는 신 역사를 지어서 약 1년간 창고로 쓰이다가 2009년에 철거되었다.[3] 다만 일말의 부활 가능성을 생각하여 훗날에 연결할 수는 있게 해놓았다. 장항선 1단계 개량 당시에 화차 공장으로 가는 선로가 화양역 승강장에 놓여있어 연결될 수 있었지만 위치가 맞지 않아 결국 사라졌다.[4] 그래도 율촌역 같이 직원용 출입구는 있다.[5] 물론 화양역은 출입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측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