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7:52:18

쿠와하라 마사유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9dec><tablebgcolor=#009dec>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25 시즌 외야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 쿠와하라 마사유키 · 4 와타라이 류키 · 7 사노 케이타 · 8 카미자토 카즈키 · 25 츠츠고 요시토모
28 카츠마타 아츠시 · 33 타케다 리쿠 · 58 카지와라 코키 · 61 에비나 타츠오 · 63 세키네 타이키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쿠와하라 마사유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4DeNA우승.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24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24 프리미어 12
은메달
2024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7, 2023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 투수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투수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투수
1960 1961 1962 1963 1964
콘도 아키히토
타이요 / 내야수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외야수
도바시 마사유키
토에이 / 투수
타네모 마사유키
토에이 / 포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1965 1966 1967 1968 1969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내야수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포수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외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스에츠구 토시미츠
요미우리 / 외야수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히로타 스미오
롯데 / 외야수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오오스기 카츠오
야쿠르트 / 내야수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내야수
1980 1981 1982 1983 1984
짐 라이틀
히로시마 / 외야수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 투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오오타 타쿠지
세이부 / 외야수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 외야수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내야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코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 외야수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내야수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외야수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투수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투수
1995 1996 1997 1998 1999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내야수
트로이 닐
오릭스 / 내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 외야수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 외야수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니오카 토모히로
요미우리 / 내야수
스기우치 토시야
다이에 / 투수
이시이 타카시
세이부 / 투수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 내야수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외야수
나카무라 노리히로
주니치 / 내야수
키시 타카유키
세이부 / 투수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포수
2010 2011 2012 2013 2014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 내야수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 내야수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투수
미마 마나부
라쿠텐 / 투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2015 2016 2017 2018 2019
이대호
소프트뱅크 / 내야수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내야수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포수
유리스벨 그라시알
소프트뱅크 / 내야수
2020 2021 2022 2023 2024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외야수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포수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외야수
치카모토 코지
한신 / 외야수
쿠와하라 마사유키
DeNA / 외야수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37번
하야카와 다이스케
(2010~2011)
<colbgcolor=#009dec> 쿠와하라 마사유키
(2012~2017)
쿠스모토 타이시
(2018~2024)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1번
쿠마바라 켄토
(2016~2017)
쿠와하라 마사유키
(2018~)
현역

}}} ||
파일:桑原将志2023.png
<colcolor=#fff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No.1
<colbgcolor=#009dec> 쿠와하라 마사유키
桑原将志 / Masayuki Kuwahara
생년월일 1993년 7월 21일 ([age(1993-07-21)]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오사카부 이즈미시
신체 174cm, 78kg
출신학교 후쿠치야마 세이비 고교
포지션 중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1년 드래프트 4위
소속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12~)
등장곡 아무로 나미에 - TRY ME~私を信じて~[1]
Honey L Days - その先へ[2]
아무로 나미에 - Yeah-Oh[3]
Honey L Days - がんばれ[4]
응원가 링크[5]
연봉 2023 / ¥120,000,000

1. 개요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전2.2.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시절2.3. 2012~2013년2.4. 2014년2.5. 2015년2.6. 2016년2.7. 2017년2.8. 2018년2.9. 2019~2020년2.10. 2021년2.11. 2022년2.12. 2023년2.13. 2024년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연도별 성적6. 여담

[clearfix]

1. 개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소속의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전

고교 시절 야구 커리어가 상당히 불운했는데 1학년때부터 주전 3루수로 정착하긴 했으나 고시엔 지역예선을 앞두고 야구부 내에서 동급생 간 폭력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1학년 부원 전원이 대외 경기 출전 정지 처분을 받고 만다. 그해 가을 출전 정지가 해제되면서 가을 대회부터 3번타자 겸 유격수로 복귀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야구부원 중 한 명이 사고를 치는 바람에 여름 대회 지역예선을 포함한 대외 경기 출전 정지를 또다시 받고 만다.

고교 3년동안 여름 지역예선에 쿠와하라가 참가한 것은 마지막 해인 3학년때가 유일한데 이 마지막 기회에서도 준결승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시며 고시엔 진출이 끝내 불발되었다.

2011년 말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코하마 베이스타즈[6]가 4순위로 지명하며 입단했다. 등번호는 37번.

2.2.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시절

2.3. 2012~2013년

데뷔 시즌인 2012년에는 거의 2군에서만 뛰었고 그해 89경기에 나와 타율 .255 2홈런 18타점을 올렸으며 팀 내 2군 선수들 중 가장 많은 13개의 도루를 기록하였다. 10월 1일에 처음으로 1군에 승격되었고 그날 경기에서 교체 출전해 데뷔 첫 안타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작년보다 조금 더 발전하며 2군 90경기 타율 .270 4홈런 27타점을 올렸다. 이 해에는 1군에서 5경기에 나와 안타를 기록하지 못했다.

2.4. 2014년

포지션을 외야수로 변경하고 1군 출전 기회를 대폭 늘렸다. 6월 막바지부터 1군에서 뛰었으며 최종적으로 53경기 타율 .257 1홈런 13타점을 기록했다. 특히 이 해에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전에서 유독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 해에 기록한 2차례의 끝내기 안타가 모두 요미우리전에서 나왔다.

2.5. 2015년

개막전부터 스타팅 라인업에 들어가는데 성공했다. 출전 경기 수는 지난해보다 7경기 많아진 60경기에 나섰으나 타격에서는 오히려 작년에 비해 나쁜 모습을 보이면서 타율 .184 1홈런 5타점으로 부진했다. 시즌 막바지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로 보내졌는데 여기서는 경기 도중 몸에 맞는 공을 맞고 골절상을 당하는 불운까지 겹쳤다.

2.6. 2016년

시즌 초반에는 오토사카 토모와 중견수 자리를 두고 플래툰으로 기용되었지만 교류전 막바지 무렵에 주전 중견수로 정착. 2차례의 선두타자 홈런을 기록하는가 하면 데뷔 이후 처음으로 규정타석을 채우는 의미있는 시즌을 보냈다.

시즌 최종 133경기 타율 .284 11홈런 49타점 19도루를 기록해 팀의 첫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일조했다.

2.7. 2017년

시즌 전 경기에 출전해 타율 .269 13홈런 52타점 10도루의 기록을 남겼다. 특히 시즌 초반 부진하다가 7월부터 맹타를 휘두르면서 팀의 상승세를 이끌었는데 7월 한 달간 타율 .389 6홈런 14타점을 올리면서 개인 첫 월간 MVP의 영예를 안았다. 7월 1일 요미우리 원정 경기 9회초 투아웃 만루 초구에 역전 홈런은 그야말로 백미.

팀도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넘어 19년만의 일본시리즈에 진출했으나 정작 일본시리즈에선 26타수 4안타로 부진하며 상대팀의 우승을 지켜 볼 수밖에 없었다.

시즌 종료 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초대 대회 우승 멤버가 되었고 대회 기간 중 등번호를 1번으로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 해에 프로 첫 골든글러브를 수상한다.

2.8. 2018년

개막전부터 주전 중견수 자리를 맡았지만 타격 침체가 계속되면서 이 해에 입단한 신인 카미자토 카즈키에게 중견수 자리를 내 주었다. 그렇게 카미자토, 카지타니와 중견수 자리를 두고 경쟁하다가 7월부터 타격감을 되찾고 다시 주전 자리를 되찾았다.

7월 20일 한신전에선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면서 이번년도에도 여름에 강한 이미지를 남겼다. 하지만 8월이 지나면서 다시 타격이 침체되었고 결국 시즌 최종 127경기 타율 .261 9홈런 26타점 17도루에 그쳤다. 도루는 늘어났으나 전반적인 타격 지표가 떨어졌다.

2.9. 2019~2020년

2019년에는 카미자토 카즈키에게 완전히 주전 중견수 자리를 내 주며 벤치 신세를 면치 못했고 대타, 대주자, 대수비 혹은 주전 외야수들의 컨디션 조절차 대체 출전 등 한정된 기회만 부여받았다. 결국 이 시즌에는 타율 .186 2홈런 7타점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2020년에는 더욱 암울했는데 아예 스프링캠프를 2군에서 시작했고 개막때는 1군에 합류하지만 제한된 기회속에도 실망스러운 모습만 보이며 출전 기회를 거의 받지 못했다. 2020년 최종 성적은 타율 .139 1홈런 2타점.

2.10. 2021년

절치부심하고 타격폼을 변경한 채 시즌을 맞이한 2021년에는 시즌 초반 타격에서 고전하던 카미자토를 밀어내고 중견수로 정착했다. 시즌 초에는 타격감이 올라오지 않았으나 시즌을 치르면서 타격감이 올라왔고 기어코 3할을 돌파한다. 시즌 끝까지 타격감을 크게 잃지 않으며 데뷔 첫 규정타석 3할을 달성했고 2년간 밀려났었던 주전 중견수 자리도 되찾는데 성공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35경기 타율 .310 14홈런 43타점 12도루로 데뷔 후 처음으로 3할 타율과 8할대 OPS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구단과의 다년 계약에 합의했으며 계약기간은 4년, 연봉변동제가 적용되는 조건이다. 일단 21시즌의 활약 덕분에 2022년 연봉은 1억 500만엔(추정)으로 2배 이상 인상되었다.

2.11. 2022년

하지만 2022년에는 상당히 부진했다. 타율도 2할 5푼대로 추락한데다 장타력마저도 잃어버리며 전년도에 기록한 14홈런에서 무려 10개가 날아가 버렸다. 그럼에도 경쟁자인 카미자토 카즈키가 더욱 심한 부진에 빠진데다 타일러 오스틴이 개점 휴업 상태에 돌입한 탓에 우익수 자리를 여러 선수들이 그 공백을 메우는데 급급했던지라 쿠와하라의 침체와는 별개로 중견수 자리는 철밥통이나 다름없었다. 그 덕에 무난히 규정타석에 진입하며 시즌을 마쳤다.

시즌 종료 후 부진했던 성적과 별개로 연봉이 오히려 올랐다...

2.12. 2023년

올해도 변함없이 주전 중견수를 맡게 되었다. 시즌 초반에는 부진하던 지난 몇 년과는 달리 올해는 10경기가 지난 시점이지만 3할 타율을 기록할 정도로 페이스가 좋은 편이다.

하지만 .252 .301 .373 7홈런으로 부진한 시즌을 또 보내게 되었다.

2.13. 2024년

정규시즌은 예년과 비슷한 데다 출장 경기수도 106경기로 줄어들면서 4년 만에 규정타석에 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클라이맥스 시리즈부터 타격감이 살아나면서 1번 타자로서 팀 타선의 선봉장 역할을 잘 해내더니 일본시리즈에서 타격이 폭발해 5경기 연속 타점 및 9타점으로 6경기 시리즈 신기록까지 쓰는 등 팀의 기적 같은 하극상 우승의 1등공신이 되었고 일본시리즈 MVP까지 수상했다.

또한 포스트시즌의 반등 덕분에 부상자로 결원이 생긴 프리미어 12 대표팀에도 승선하게 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

3.1. 2024 WBSC 프리미어 12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워드마크.svg
<rowcolor=#d9bb46>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8 35 6 0 0 0 8 1 3 5 0 .207 .303 .207 .510
조별리그 도미니카 공화국전을 제외한 전 경기에서 1번 타자로 출전했지만 포스트시즌에서 힘을 다 써버렸는지 부진한 모습만 보이면서 대표팀 타선의 흐름을 끊어버리는 장본인이 되고 말았다. 팀도 결승에서 대만에 완패를 거두고 준우승에 머물렀다.

4. 플레이 스타일


기본적으로 공수주 3박자를 갖춘 5툴 플레이어라고 볼 수 있지만 가진 툴들 중 수비를 제외하면 어딘가가 아쉬운 스타일.

타격에선 한 방이 있지만 20홈런 이상을 기록할만한 정도는 아니고 컨택도 21시즌에 좋아지긴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2할 중후반 정도를 기대해 볼 수준. 발은 빠르지만 도루 성공률이 70%가 채 되지 않아 도루 센스도 그렇게 뛰어난 주자는 아니다. 어깨도 갈수록 송구 능력이 떨어져 가는 상태다.

다만 수비 능력은 동 시기 중견수들과 견주어 봐도 톱클래스에 위치하는데 14~19년간 쌓은 중견수 누적 UZR이 양대리그 포함 1위이다. 기본적으로 발이 빨라 수비 범위가 넓고 운동능력이 좋아 못 잡을것 같은 타구도 건져내는 슈퍼 플레이가 종종 나온다. 그러나 2021년부터는 송구와 관련된 세부스탯이 눈에 띄게 나빠져 이전과 같은 수비수치를 보여주지 못하는 중.

특이사항으로는 치카모토 코지와 비슷한 슬로우 스타터 유형이다. 시즌 초반에는 타격에서 침체된 모습을 보이지만 서서히 페이스를 끌어올린 뒤 여름에 본격적으로 버닝하는 것이 주 패턴. 약간의 차이점이라면 치카모토는 한번 끌어올린 페이스가 웬만해선 시즌 끝까지 이어지지만 쿠와하라는 가을 무렵에 다시 페이스가 쳐지는 경우가 있다.

5.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쿠와하라 마사유키의 역대 NPB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12 DeNA 3 3 1 0 0 0 0 0 0 0 1 .333 .333 .333 .667
2013 5 6 0 0 0 0 0 0 0 0 3 .000 .000 .000 .000
2014 53 169 37 7 2 1 13 15 4 15 32 .257 .335 .354 .689
2015 60 116 19 4 1 1 5 14 1 5 26 .184 .222 .272 .494
2016 133 522 131 23 2 11 49 80 19 38 93 .284 .356 .413 .769
2017 143 664 161 38 5 13 52 87 10 45 116 .269 .332 .415 .747
2018 127 421 99 24 5 9 26 57 17 32 71 .261 .324 .422 .746
2019 72 115 19 3 1 2 7 14 2 9 26 .186 .259 .294 .553
2020 34 42 5 0 0 1 2 8 0 3 11 .139 .220 .222 .442
2021 135 571 161 39 2 14 43 84 12 44 75 .310 .369 .474 .843
2022 130 529 122 32 1 4 39 61 13 42 89 .257 .322 .354 .676
2023 132 479 108 23 4 7 35 48 3 23 54 .252 .301 .373 .674
2024 106 321 77 12 0 5 24 35 8 19 42 .270 .321 .365 .686
<rowcolor=#373a3c> NPB 통산
(13시즌)
1133 3958 940 205 23 68 295 503 89 275 639 .265 .327 .394 .721

6. 여담



[1] 1번째 타석.[2] 2번째 타석.[3] 3, 5번째 타석.[4] 4번째 타석.[5] 今だクワ喰らいつけ 燃えろガッツマン
이마다쿠와 쿠라이츠케 모에로 가츠만
지금이다 쿠와하라 달려들어라 타올라라 근성남
突っ走れどこまでも 勝利を呼ぶ男
츳파시레 도코마데모 쇼오리오 요부오토코
돌주하라 어디까지나승리를 부르는 남자
[6] DeNA 인수 전 참가한 드래프트로 TBS체제 최후의 드래프트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