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2:14:53

윌리엄 헨리 해리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D164A 20%, #0D164A 80%, #0D163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조지 워싱턴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임스 먼로 존 퀸시 애덤스 앤드루 잭슨 마틴 밴 뷰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윌리엄 헨리 해리슨 존 타일러 제임스 K. 포크 재커리 테일러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밀러드 필모어 프랭클린 피어스 제임스 뷰캐넌 에이브러햄 링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앤드루 존슨 율리시스 S. 그랜트 러더퍼드 B. 헤이스 제임스 A. 가필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체스터 A. 아서 그로버 클리블랜드 벤저민 해리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윌리엄 매킨리 시어도어 루스벨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우드로 윌슨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워런 G. 하딩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제45대 제46대 제47대*
도널드 트럼프 조 바이든 도널드 트럼프
}}}}}}}}}}}}
윌리엄 헨리 해리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76년 1777년 1779년 1781년
조지 워싱턴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 앤서니 웨인 사령관 헨리 리 3세 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 1787년 1800년 1805년 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 존 폴 존스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콥 존스
1813년 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 1814년, 1848년 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소장 제이콥 브라운 소장 윈필드 스콧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 1815년 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소장 알렉산더 마콤 소장 앤드루 잭슨 대령 찰스 스튜어트 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 183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7년 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 소장 재커리 테일러 소머스 호
장교 및 승무원 구출
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 1863년 1864년 1866년 1867년
프레더릭 로즈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 1871년 1873년 1874년, 1904년 1883년
조지 피바디 조지 F. 로빈슨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존 혼 주니어 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 1890년 1900년 1902년 1909년
조셉 프랜시스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중위 프랭크 H. 뉴컴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 1914년 1915년 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 폴 H. 크라이봄 그 외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 1929년 1930년 1936년
토머스 에디슨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 소령 월터 리드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링컨 엘즈워스
1936년 1938년 1939년 1940년
조지 M. 코핸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 목사 프랜시스 퀸 윌리엄 시넛
1942년 1945년 1946년
롤런드 바우처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준장 빌리 미첼
1949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앨번 W. 바클리 어빙 벌린 조너스 소크 박사 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 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로버트 고다드 로버트 프로스트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밥 호프 샘 레이번
1962년 1968년 1969년 1973년 1977년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월트 디즈니 윈스턴 처칠 로베르토 클레멘테 매리언 앤더슨
1978년 1979년
중장 아이라 이커 로버트 F. 케네디 존 웨인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 1980년 1982년
미국 적십자 케네스 테일러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베아트릭스 여왕 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 1983년
프레드 워링 조 루이스 루이스 라머 레오 라이언 대니 토머스
1984년 1985년
해리 S. 트루먼 레이디 버드 존슨 엘리 비젤 로이 윌킨스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 1987년 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 에런 코플런드 메리 래스커 제시 오언스
1988년 1990년 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 로런스 록펠러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대장 콜린 파월
1994년 1996년 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 마더 테레사 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 리틀록 9인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 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 찰스 M. 슐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 2003년
대장 휴 셸턴 토니 블레어 재키 로빈슨 도러시 하이트 박사 조셉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 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 달라이 라마 14세 바이런 넬슨 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 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 아웅 산 수 치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 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 무함마드 유누스 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 2012년 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 9.11 테러 참사 사망자 라울 발렌베리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 미국의 공군 에이스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
시몬 페레스 모뉴먼츠 맨
2014년 2015년 2016년
제65 보병연대 잭 니클라우스 셀마 몽고메리 행진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 OSS
2017년 2018년
밥 돌 래리 도비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
USS 인디애나폴리스 승무원 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 캐서린 존슨 크리스틴 다든 도로시 본 메리 잭슨
2019년 2020년 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 그렉 르몬드 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
제369 보병연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 2023년
미 육군 제23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
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

미합중국 제9대 대통령
윌리엄 헨리 해리슨
William Henry Harris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illiam_Henry_Harrison_by_James_Reid_Lambdin,_1835.jpg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출생 1773년 2월 9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버지니아 식민지 찰스시티 군
(現 미국 버지니아 주 찰스시티 카운티 버클리)
사망 1841년 4월 4일[1] (향년 68세)
미국 워싱턴 D.C.
재임기간 제9대 대통령
1841년 3월 4일 ~ 1841년 4월 4일
서명 파일:윌리엄 해리슨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부모 아버지 벤저민 해리슨 5세
어머니 엘리자베스 바셋 해리슨
형제자매 3남 4녀 중 3남
배우자 안나 해리슨
자녀 6남 4녀
친인척 손자 벤저민 해리슨
학력 Hampden–Sydney College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종교 성공회
신장 173cm[2]
소속 정당 [[휘그당(미국)|
휘그당
]]
문장 파일:William_Henry_Harrison_Arms.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illiam_Henry_Harrison_by_James_Reid_Lambdin,_1835.jpg
백악관 공식 초상화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평가5. 기타

[clearfix]

1. 개요

그도 국민의 한 사람 아닌가. 카페트는 물론 이 집도 국민의 것이다.[3]
미국의 제9대 대통령.

재커리 테일러와 마찬가지로 미영전쟁에 참가해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던 명장이었으며 이후 정치로 입문해 대통령이 되었다. 하지만 취임식으로 인해 폐렴에 걸려 대통령에 취임한 지 단 1달 만에 사망했다. 이는 역대 미국 대통령을 통틀어 가장 짧은 재임 기간[4]이며, 그가 사망한 1841년 이래 2024년까지 월리엄 헨리 해리슨보다 재임기간이 짧은 대통령은 나오지 않았다. 의학기술이 더 발전하기도 했거니와 대통령 당선자의 건강관리나 신변 보호가 매우 철저하게 이루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해리슨의 최단기간 임기 기간을 갱신하는 대통령은 앞으로도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후 손자인 벤저민 해리슨이 대통령이 되면서 유일한 조손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 생애

파일:Benjamin_Harrison_V.jpg
아버지인 벤저민 해리슨 5세.

1773년 2월 9일버지니아 주버클리에서 3남 4녀 중의 3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벤저민 해리슨은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여 이름을 남긴 미국 건국의 아버지이다. 유년기의 해리슨은 학교가 아닌 집에서 교육을 받았고 1787년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입학하여 의학을 공부하였다. 1791년에 벤저민이 병으로 사망하자 해리슨은 의학 공부를 포기하기로 결정하고 학교를 자퇴한 후 미합중국 육군에 입대한다. 육군 장교가 된 해리슨은 원주민 토벌전에 참전하여 공을 인정받고 중위로 진급한다. 1794년에 그레이트 마이애미 강에서 원주민들을 상대로 기습하는 계획을 성공한 해리슨은 대위로 진급하여 워싱턴 요새의 경비를 담당하게 되고 재판관이자 부유한 토지업자인 존 사이메스의 딸인 애나 사이메스와 결혼한다.

1798년에 육군에서 전역한 해리슨은 존 애덤스에 의해 노스웨스트의 장관으로 임명된다. 이듬해 해리슨은 노스웨스트에 신설된 의회의 의원으로 선출되고 서부의 토지들을 가난한 사람이 사들일 수 있도록 작은 부분으로 나누는 법안을 통과시켜서 토지 개발자들의 보폭을 확장시킨다. 1800년 애덤스에 의해 해리슨은 인디애나 주지사로 임명되어 12년을 활동하였다. 주지사로서 해리슨은 영토에서 원주민들의 생활의 복지를 보호하는 데 탐사하였다. 원주민들에게 주류 판매를 금지하고 천연두 예방을 명령한다. 1809년에 해리슨은 원주민 지도자들과 함께 화이트 강과 와바시 강에 일대의 토지를 정착인들에게 건네주는 조약을 요청하고 많은 원주민들이 조약을 비난하며 쇼니 족의 추장인 테쿰세와 연합하였다. 해리슨은 영토 시민군들을 모집하고 토지에서 원주민들을 몰아내기 시작한 해리슨은 1813년 10월 5일에 템스 강에서 테쿰세가 이끄는 원주민들을 모조리 격파한다.

1812년미영전쟁이 발발하자 제임스 매디슨은 해리슨을 노스웨스트군의 육군 준장으로 임명한다. 다시 육군에 복귀한 해리슨은 1813년에 소장으로 진급하고 온타리오 남부에서 일어난 전투에서 연합한 영국군과 원주민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하지만 전쟁장관(현 육군장관)과 불화를 겪으면서 다시 육군에서 전역하고 오하이오의 농장에 정착한다. 1816년에 하원의원에 선출되어 정계에 입문한 해리슨은 육군 복무 시절 공금을 오용한 이유로 사법부에게 기소당하지만 하원의 투자회가 잘못된 고발로 결정하면서 처벌을 피한다. 위기를 모면한 해리슨은 다시 오하이오로 돌아와 1819년에 주 의회 상원의원으로 선출되고 1825년에는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며 승승장구한다. 3년 뒤에 상원에서 물러난 후 존 퀸시 애덤스에 의해 콜롬비아 주재 미국 공사로 1년을 근무하였다.

1836년 해리슨은 대통령 선거를 위해 휘그당 후보로 지명된다. 휘그당원들은 해리슨의 리더십이 당을 통합하며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대선 후보로 지명하여 선거에 출마하지만 민주당 소속의 마틴 밴 뷰런에게 패배한다. 4년 뒤인 1840년에 휘그당원들은 다시 해리슨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고 존 타일러미국 부통령 후보로 지명하여 선거에 돌입한다. 해리슨은 경제공황으로 인해 지지율이 추락한 밴 뷰런을 상대로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런데 하필이면 당선된 해리슨이 취임식에 참석하여 연설을 하려는 날 강한 가 쏟아졌다. 노령의 해리슨의 건강을 걱정했던 참모들이 해리슨에게 취임식 연기를 요청하였으나 해리슨은 "난 총탄이 빗발치는 전장에서 살아 돌아온 사람이오. 비 따위에 내가 무릎 꿇으면 안 되오."라는 말을 남기고는 모자와 코트도 벗고 취임식을 강행했다.

사실 취임식을 강행했더라도 짧게만 진행했다면 큰 문제는 아니었을수도 있었겠지만, 문제는 그가 사전에 준비한 연설문이 8,500단어에 달했다는 것이다. 이는 역대 美 대통령 취임 연설문 중 압도적인 1위로, 2위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의 것은 5,500단어 정도였으며, 대부분의 경우 취임 연설문은 1,000 ~ 2,000단어 내외의 길이였다. 68세라는 늙은 나이[5]에 엄청나게 긴 취임 연설을 3월 초순의 추운 날씨에 1시간 넘게 비를 맞으며 강행한 것이다. 결국 해리슨은 백악관으로 돌아온지 얼마 지나지 않아 폐렴에 걸렸으며 1개월을 투병하다가[6] 사망했다.

젊은 사람도 한시간 동안 추위 속에서 비를 맞으면 심한 감기에 걸려 앓아눕기 쉬운데, 하물며 70살이 다 되어가는 노인이 견디기엔 상당히 무리였다. 심지어 이 당시는 과학이나 의학도 현대에 비해서는 크게 발달하지 않은 19세기였다. 최초의 항생제페니실린이 20세기 초인 1928년에 발견되었음을 감안할 때, 당시에는 감염성 질병에 걸리면 신체의 자연치유력에 기대는 대증요법을 제외하면 딱히 치료수단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었다. 당대의 의학 수준을 생각하면 정말로 만용을 부린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다.

사망하기 전 해리슨은 자신의 후임자가 될 부통령이자 고향 후배[7]인 타일러에게, 다음과 같은 국정에 대한 조언을 남겼다.
나는 타일러 씨가 정부의 깊은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그 원리가 순탄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오. 내가 바라는 것은 그것 뿐이오.

해리슨의 죽음은 미국 휘그당에게는 큰 타격이 되었다. 휘그당은 이후로도 재커리 테일러를 대통령에 당선시키지만, 그 역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병사했으며, 그나마 휘그당이 상하원 모두에서 다수당을 차지한 것은 해리슨이 승리한 1840년이 마지막이었다. 시작부터 잭슨 민주당에 대한 반발로 결성된 연합세력이었던 휘그당은 여당으로서 새롭게 재조직될 기회를 놓쳐버렸고, 차츰 남부와 북부로 분열되어 갔다. 중도 타협 노선을 앞세우던 헨리 클레이는 184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지만 미국 멕시코 전쟁을 지지하지 않아 패배했다. 결국 북부의 휘그당은 공화당으로, 남부의 휘그당은 헌법연합당이나 민주당으로, 이외의 반유대주의, 반이민주의 세력들은 무지당 세력으로 각자의 길을 갔다.

3. 선거 이력

<rowcolor=#ffc224>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선거인단 수) 당선 여부 비고
1816 미국 연방 하원의원 특별선거 오하이오 1구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3,370 (58.64%) 당선(1위) 초선
미국 연방 하원의원 선거 3,253 (57.19%)
1821 미국 연방 상원의원 선거 오하이오 43 (42.16%) 낙선(2위) -
1822 4 (3.81%) 낙선(4위)
미국 연방 하원의원 선거 오하이오 1구 2,834 (47.15%) 낙선(2위)
1825 미국 연방 상원의원 선거 오하이오 58 (54.21%) 당선(1위) 초선
1836 미국 대통령 선거 미국 [[휘그당(미국)|
휘그당
]]
550,816 (36.63%, 73인) 낙선(2위) -
1840 1,275,390 (52.90%, 234인) 당선(1위) 초선

4. 평가

겨우 재임 기간 1달 만에 죽은 최단기 집권, 비운의 대통령으로 인식이 되는 편이다. 그래서 역대 대통령들의 인기와 업적을 평가하는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짧은 임기 기간으로 인해 제임스 A. 가필드와 같이 제외되는 경우도 있으며, 나올 경우 해리슨보다 순위가 낮은 이들은 웃음거리가 된다.[8] 심지어 사망의 원인이 된 우천 중 연설 강행으로 인한 폐렴 투병도 누군가 강요해서 발생한 일이 아니라 보좌진들이 전부 말렸음에도 해리슨 본인이 강행했다가 생긴 일이라 현대에서는 쓸데없이 가오를 잡다가 죽은 대통령이라는 식으로 유머 소재로 쓰이기까지 한다.

만일 그가 죽지 않고 계속 대통령으로서 임기를 채웠다면 어땠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율리시스 S. 그랜트재커리 테일러와 같이 전형적인 무골로 정치를 잘하진 못했을거라는 의견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같이 정치를 잘하였을 거라는 의견도 있는데, 이는 휘그당원들이 해리슨의 리더십을 높게 평가한 부분과 그의 인성이 선했다는 일화들이 있기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5. 기타

그도 국민의 한 사람 아닌가. 카페트는 물론 이 집도 국민의 것이다.


[1] 급성폐렴으로 별세.[2] 함께 싸웠던 동료인 재커리 테일러와 같다.[3] 그의 가치관과 성격을 잘 알 수 있는 말이다. 자세한 건 밑 하단 참조.[4] 참고로 해리슨과 같이 임기 중 서거한 케이스를 제외하고 순수한 재임 기간이 가장 짧은 대통령은 제럴드 포드이다. 이 경우는 어느 정도 길게 재임한 대통령이 사임해서 승계받았기 때문에 남은 재임 기간이 짧았던 경우.[5] 이 나이는 미국 역대 대통령중 바이든, 트럼프, 레이건 다음으로 고령의 나이로, 심지어 레이건이 깨기 전까지 약 140년에 달하는 기간동안 해리슨이 유일한 고령자 대통령이었다. 이 외에 퇴임 당시의 최고령 기록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가 나오기 전까지는 전전임자인 앤드루 잭슨(퇴임 당시 69세 534일)이 가지고 있었다.[6] 당시의 의학 기술로는 폐렴을 치료할수가 없었다.[7] 카운티(찰스시티)까지 고향이 동일하다.[8] 2021년 C-SPAN 조사에서는 뒤에서 5등을 차지했는데, 윌리엄 해리슨 뒤에 있는 대통령들은 순위가 높은 순으로 도널드 트럼프프랭클린 피어스, 앤드루 존슨, 제임스 뷰캐넌 4명뿐이다. 참고로 이들은 트럼프를 제외하면 다 남북 갈등기의 대통령들이다. 2021년 말고도 대체적으로는 거의 항상 뒤에서 10위권에 들어가는 편이다. 비슷한 처지인 가필드는 적어도 중하위권은 가는 것과는 대비되는 편.[9] 초선 당시에는 득표에선 그로버 클리블랜드에게 졌고, 선거인단에서 이겼다.[10] 전임자인 마틴 밴 뷰런은 독립전쟁 이후에 태어났다. 그래서 그는 "최초로 미국인으로 태어난 대통령" 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후임자인 존 타일러조지 워싱턴이 미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1년이 지나서 태어났다.[11] Albert Gallatin Hoit, 1809~1856, 미국의 화가[12] 물론 그가 대통령이었던 시기는 사진의 태동기였기 때문에 애덤스가 찍은 사진들은 전부 애덤스가 퇴임한 후에 찍은 사진이다.[13] 초대 조지 워싱턴 188cm, 3대 토머스 제퍼슨 190cm, 5대 제임스 먼로 183cm, 7대 앤드루 잭슨 185cm[14] 2대 존 애덤스 170cm, 4대 제임스 매디슨 163cm(최단신), 6대 존 퀸시 애덤스 171cm, 8대 마틴 밴 뷰런 168cm[15] 참고로 해리슨은 173cm이다. 후자인 존 타일러도 183cm이기 때문에 타일러도 짝수번호 대통령들 중에서 180cm 이상을 찍은 첫 대통령이라고 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