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674DBD><colcolor=#FFFFFF> 홍자 Hongja | |
| |
본명 | 박지민 |
출생 | 1985년 9월 29일 ([age(1985-09-29)]세) |
경상남도 울산시 (現 울산광역시)[1] | |
거주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63cm, 43kg, O형 |
가족 | 부모님, 오빠 박근화(1983년생)[2], 여동생 박지혜(1991년생)[3] |
반려견 풍심, 하프 | |
학력 | 경민대학교 (공연예술학 / 전문학사) |
소속사 | 토탈셋 |
데뷔 | 2012년 정규 1집〈왜 말을 못해 / 울보야〉 (데뷔일로부터 [dday(2012-01-12)]일, [age(2012-01-12)]주년) |
팬덤 | 홍자시대 |
공식색 | 보라색 |
링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2. 음반
2.1. 박지민 - 정규 1집 왜 말을 못해 / 울보야
왜 말을 못해 / 울보야 | ||||
| ||||
2012년 1월 12일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1 | 왜 말을 못해 타이틀곡 | 김영락 | 정경천 | |
2 | 울보야 타이틀곡 | 김영락 | 정경천 | |
3 | 꿈이야 | 김영락 | ||
4 | 울산항 이별 | 김영락 | 김호남 | |
5 | 운명적이야 | 김영락 | 정경천 | |
6 | 사랑초 | 김영락 | 김호남 | |
7 | 왜 말을 못해 (MR) | - | 김영락 | 정경천 |
8 | 울보야 (MR) | - | 김영락 | 정경천 |
9 | 꿈이야 (MR) | - | 김영락 |
본명 박지민으로 발매한 첫 정규앨범이다.
2.2. 홍자시대
홍자시대 | ||||
| ||||
2015년 5월 4일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1 | 그대여 타이틀곡 | 오동식 | 남기연 | |
2 | 한 평생 | 권현진 | 남기연 | |
3 | 그대여 (MR) | - | 오동식 | 남기연 |
4 | 한 평생 (MR) | - | 남기연 |
타이틀곡 '그대여'는 1980년 이정희가 불러 대히트한 포크 장르의 곡으로, 세련되고 발랄하게 편곡되었다.
안타깝게도 모종의 문제로 음원 및 뮤직비디오가 음원사이트에서 내려왔으며 언급조차 잘 되지 않는다.
심의용 앨범과 홍보용 앨범 2종으로 존재.
여담으로, 홍자의 소속사였던 파퓰러뮤직 스탭 일부는 현재 설하윤의 소속사에서 활동 중이다.
2.3. Come Back Hong Ja
Come Back Hong Ja | ||||
| ||||
2018년 6월 7일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1 | 깍쟁이 | 윤단장, 류조 | 윤단장 | 박용진 |
2 | 살아 생전에 타이틀곡 | 박화준 | 윤단장 | 박용진 |
3 | 깍쟁이 (MR) | - | 윤단장 | 박용진 |
4 | 살아 생전에 (MR) | - | 윤단장 | 박용진 |
절치부심하고 발매한 앨범. 소속사 없이 프로듀싱을 홍자 본인이 담당하였다.
2.4. 어떻게 살아
어떻게 살아 | ||||
| ||||
2019년 8월 24일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1 | 어떻게 살아 타이틀곡 | 신유진 | 임강현 | 임강현, 우희성 |
2 | 백야 타이틀곡 | 신유진 | 임강현 | 임강현, 우희성 |
3 | 여기요 | |||
4 | 비나리 | |||
5 | 열애 | |||
6 | 사랑 참 | |||
7 | 상사화 | |||
8 | 깍쟁이 | |||
9 | 살아 생전에 | |||
10 | 어떻게 살아 (Inst.) | - | 임강현 | 임강현, 우희성 |
11 | 백야 (Inst.) | - | 임강현 | 임강현, 우희성 |
타이틀곡 ‘어떻게 살아’는 장윤정의 초혼, 짠짜라, 꽃, 올래, 그리고 홍자의 미스트롯 방송 중 레전드 무대로 알려진 사랑 참을 작곡한 임강현 작곡가에게 받은 노래이다.뮤직비디오는 이미숙과 박지민(홍자)이 출연했고, 내 머리속의 지우개의 이재한 감독이 연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 미스 몬테크리스토 OST Part. 1
미스 몬테크리스토 OST Part.1 | ||||
| ||||
2021년 2월 18일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1 | 되돌려 줄 거야 타이틀곡 | 정봄, 설기태, 아나이스 | 설기태 | TOP SNOW |
2.6. 미스 몬테크리스토 OST Part. 7
미스 몬테크리스토 OST Part.7 | ||||
| ||||
2021년 4월 8일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1 | 되돌려 줄 거야 (Ballad Ver.) 타이틀곡 | 정봄, 설기태, 아나이스 | 설기태 | TOP SNOW |
3. 방송 활동
- 2015년 7월 11일 SBS 예능 놀라운 대회 스타킹 [4]
- 2019년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 2019년 MBC every1 대한외국인 [5]
- 2019년 5월 31일 ~ 11월 16일 TV조선 부라더 시스터 [6]
- 2019년 8월 11일 ~ 8월 18일, 2022년 7월 24일 ~ 2022년 7월 31일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7]
- 2019년 Mnet tvN 더 콜 2
- 2020년 JTBC 한끼줍쇼[8]
- 2020년 SBS Plus 외식하는 날 2[9]
- 2021년 TV조선 사랑의 콜센타 [10]
- 2021년 TV조선 어쩌다 가족 - 홍자 역 (특별출연)
- 2021년 KBS2 트롯 매직유랑단[11]
- 2021년 KBS2 개는 훌륭하다
- 2021년 KBS2 노래가 좋아
- 2022년 TV조선 화요일은 밤이 좋아
- 2022년 SBS 골 때리는 그녀들 3
4. 공연
<rowcolor=#FFFFFF> 날짜 | 공연 | 장소 |
2019년 | ||
5월 25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인천 | 인천남동체육관 |
6월 1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고양 | 일산킨텍스 제1전시장 5A홀 |
6월 8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광주 |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홀 |
6월 16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전주 |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 |
6월 22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천안 | 천안유관순체육관 |
6월 29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대구 | 대구EXCO 5층 컨벤션홀 |
6월 30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안양 | 안양실내체육관 |
7월 6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창원 | 창원컨벤션센터(CECO) |
7월 7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의정부 | 실내체육관 |
7월 13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부산 | 부산 BEXCO 제1전시장 |
7월 14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대전 | 대전월드컵경기장보조경기장 |
7월 20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수원 | 수원종합운동장실내체육관 |
7월 27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청주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8월 3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강릉 | 강릉 아이스아레나 |
8월 10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원주 | 원주 따뚜공연장 |
8월 11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목포 | 목포유달경기장 |
8월 15일 | 미스트롯 출연진과 함께하는 100년의 꿈 콘서트 - 고양 |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8홀 |
8월 17일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 제주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야외특설무대 |
8월 18일 | K-WORLD FESTA [미스트롯 전국투어 콘서트 라스트 앵콜 콘서트] | 서울 올림픽공원 KSPO DOME |
8월 22일 ~ 8월 23일 | 2019 SORIBADA BEST K-MUSIC AWARDS | 서울KSPO DOME(체조경기장) |
9월 1일 | THE SHOW WITH 2019 POHANG K-POP CONCERT | 포항종합운동장 |
9월 8일 | 홍자 SHOW CONCERT 내:딛다 | 서울 세종대학교 대양홀 |
10월 27일 | 송가인과 미스트롯이 함께하는 초월페스티벌 |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 9홀 |
11월 29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청주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11월 30일 ~ 12월 1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서울 | 잠실실내체육관 |
12월 7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익산 | 익산 원광대 문화체육관 |
12월 8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울산 | 울산동천체육관 |
12월 14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인천 | 송도 컨벤시아 1,2홀 |
12월 15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안양 | 안양실내체육관 |
12월 22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대구 | 대구 EXCO 1층 |
12월 28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수원 | 수원컨션센터 전시홀 |
12월 25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부산 |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 3홀 |
12월 29일 | 미스트롯 진선미와 함께하는 디너쇼 임피리얼 팰리스 | 서울 호텔 7층 두베홀 |
2020년 | ||
1월 4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경주 | 경주화백컨벤션센터 |
1월 11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성남 | 성남실내체육관 |
1월 12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천안 | 천안 남서울대학교 성암문화체육관 |
1월 18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안동 | 안동체육관 |
1월 19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고양 | 고양실내체육관 |
2월 1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강릉 | 강릉 아이스아레나 |
6월 20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창원 | 창원컨벤션센터 |
7월 11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부천 | 부천실내체육관 |
7월 25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광주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8월 1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진주 | 진주실내체육관 |
8월 9일 | 내일은 미스트롯 전국투어 청춘콘서트 - 전주 |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 |
5. 내일은 미스트롯
TV CHOSUN 예능 내일은 미스트롯 (2019) | ||
|
5.1. 100인 예심
상사화 / 안예은 원곡 | |
[navertv(5863594)] |
5.2. 본선 1차전 (장르별 팀 미션)
황홀한 고백 / 윤수일 원곡 | |
[navertv(5940353)] |
5.3. 본선 2차전 (1:1 데스매치)
비나리 / 심수봉 원곡 | |
[navertv(5941043)] |
5.4. 본선 3차전 (군부대 팀 미션)
미스뽕뽕사단 / 위 아래+와+보여줄게 | |
[navertv(8006063)] |
그리고 이어진 각 팀 1인 솔로무대인 제 2라운드에서는 지원이가 대신 출전했지만 지원이가 예상외로 혹평을 받으며 미스뽕뽕사단은 2라운드 1293점을 얻는데 그쳤다. 1·2라운드 합산 2685점으로 총합 4위에 올라 전원 합격에 실패했다. 홍자는 마스터들에게 추가합격됐다.
5.5. 준결승 (레전드 미션)
사랑 참.. / 장윤정 원곡 | |
[navertv(8081681)] |
콩깍지 / 홍자VS김나희 | |
[navertv(8161780)] |
5.6. 결승전 (라스트 미션)
여기요 / 이단옆차기 작곡 | |
[navertv(8237353)] |
열애 / 윤시내 원곡 | |
[navertv(8238577)] |
결국 1·2라운드 합계 최종 점수에서 1970점으로 1960점을 받은 정다경을 누르고 3위. 미스트롯 미를 차지했다. 마지막 경연무대는 어머니와 오빠, 여동생이 직접 찾아와 응원했다.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전라도 비하 사건
"전라도 사람은 뿔 나있는 줄' 홍자 발언 논란 영상송가인이 2019년 5월 27일 경상도 사천 와룡축제 공연에서 "경상도 아랫쪽에 오기가 무서웠는데 이렇게 환대 해 주시는 너무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면서 울었다 (유튜브 참고) 그 후 홍자가 2019년 6월 7일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2019 영광 법성포 단오제' 특설무대에 올라 공연을 했는데 이 자리에서 가인이가 경상도 공연에 가서 무서웠다고 했는데 관객분들이 환대 해줘서 울었다고 하는데 저도 무대에 올라오기 전에 전라도 사람들은 뿔도 나있고 이빨도 있고 손톱 대신 발톱도 있고 그럴 줄 알았다 라고 웃으면서 말한 후 "저의 어머니 고향도 전라도인데 전라도 경상도는 다 하나입니다"
라고 발언했다 (유튜브 참고)
송가인이 무섭다고 한 표현을 길게 풀어 재미있게 말한다는 것이 의도치 않게 전라도와 전라도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비하하는 발언을 해 물의를 일으키게 되었다.
홍자 측 "전라도 지역비하 발언 논란? 분위기 띄우려 한 것뿐..죄송해"
홍자의 경솔 발언...비난 여론 가라앉지 않는 이유
2019년 6월 10일 한 매체를 통해 "지역 비하를 의도하고 생각한 멘트는 아니다. 분위기를 띄우려고 한 멘트였지, 어떤 의도가 있진 않았다. 발언을 듣고 불쾌하거나 기분 나쁘셨을 분들께 죄송하다. 앞으로는 신중하게 이야기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적절치 않은 언행으로 많은 분들께 불쾌감을 드려 죄송합니다. 변명의 여지 없이 저의 실수이며, 저의 경솔한 말과 행동으로 실망하셨을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깊이 반성하고 더 신중한 언행과 성숙한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홍자 인스타그램 사과문#
홍자 인스타그램 사과문#
1980년대 반공교육 당시, 북한 사람들은 뿔도 나있고 이빨도 있고 손톱 대신 발톱이 있다고 한 적이 있었다. '(전라도 분들의) 호응이 없을거라 걱정했는데 너무 큰 호응을 해줘서 감사하다'는 말을 꾸미기에 해당 발언은 상당히 잘못된 발언이었다. 구태여 할 필요도 없는 말을 해서 괜히 반발을 산 셈이다.
더 갈 것도 없이 이러한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적이 한 번도 한 적 없는 홍진영은 광주광역시 출신인데도 경상북도 홍보대사를 한 적이 있을 정도로 사실 영호남의 교류는 민주화 이래 꾸준히 있어왔고, 달빛동맹이라는 단어가 있을 정도로 옛날 유물이다.
오늘은 다소 무거운 날이었죠? 우리 홍일병님들께 염려를 끼쳐들여서 죄송해요.물론 의도는 그런게 아니었지만 그렇게 흘러가다 보니 우리 홍일병님들께 면목이 없네요.하지만 홍자는 오뚜기처럼 일어나서 살게요. 제겐 늘 내편 홍자시대가 있잖아요.지난 실수는 실수로써 남기고 앞으론 더 담대하게 더 더 잘 해낼것이니 전혀 걱정마세요. 늦은 새벽 단잠주무세요.
홍자가 본인 팬카페에 올린 글
홍자가 본인 팬카페에 올린 글
이후 본인이 자신의 팬카페에 위와 같은 글을 남기는 바람에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과문에 진정성이 없다는 비판도 있었다. 다만 다음날 행사도 전라도에서 있었는데, 평소 행실을 봐서나 발언에도 악의가 없었다고 여겨졌는지 관객들의 호응과 함께 무대에서 노래를 불렀고 박수갈채로 무대가 마무리되었다.
그리고 홍자의 외가 역시 전라도이다.
7. 여담
- 홍자는 KBS 1TV "아침마당"에 출연했을 당시 " 노력해서 가수가 됐는데 음반이 나온 후 목소리가 나오지 않더라"라며 성대에 용종이 생겼다고 고백했다. 이후 홍자는 수술 후 10개월 동안 말을 하지 못했으며 겨우 목소리가 돌아왔지만 노래 하는 법을 잊어 4년의 시간을 허비했다. 그럼에도 홍자는 꿈에 대한 열망 하나로 노력해 다시 무대에 올랐다.
- 2019년 3월 29일에 네이버에서 홍자의 공식 팬카페가 결성되어 현재 10,307명의 회원들이 있다.
8. 둘러보기
TV CHOSUN 예능 트로트 오디션 시리즈 미(美) | |||||
| | | | | |
홍자 | 이찬원 | 김다현 | 진해성 | 오유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32448> 내일은 미스트롯 TOP 5 |
{{{#!wiki style="color:#000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32448; margin:-6px -1px -11px" | 진(眞) | 송가인 |
선(善) | 정미애 | |
미(美) | 홍자 | |
4위 | 정다경 | |
5위 | 김나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inger | |||
진성 | 한혜진 | 홍자 | 박군 | |
오유진 | 삼총사 | 이수연 | 라데 | |
정다경 | MIMIIROSE | 안성훈 | ||
Actor | ||||
정이랑 | 김소이 | 한성용 | 우강민 | |
김인우 | 정민성 | 신연우 | 김민송 | |
이관훈 | 조인우 | 이다혜 | 신유람 | |
유사무엘 | 윤재윤 | 조아영 | ||
Entertainer | ||||
추대엽 | 김동찬 | 박하윤 | 정해철 | |
박진이 |
- [ 선수 명단 ]
- ||<-6><tablewidth=100%><rowbgcolor=#0dac55><rowcolor=#fff> MC ||
배성재 이영표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 [[하석주/골 때리는 그녀들|{{{#fff 하석주}}}]] FC 월드 클라쓰 <rowcolor=#0000ff> <rowcolor=#0000ff> 감독: 김병지 / 코치: 김종원 FC 탑걸 <rowcolor=#000000> <rowcolor=#000000> 감독: 김태영 / 코치: 전재홍 FC 액셔니스타 <rowcolor=#adff2f> <rowcolor=#adff2f> 감독: 이근호 / 코치: 김태우 FC 스트리밍파이터 <rowcolor=#ffffff> NO.?
(공석)
- | 주장<rowcolor=#ffffff> 감독: 박주호 / 코치: 박인영 FC 발라드림 <rowcolor=#ec118f> NO.?
{{{#ec118f (공석)}}}
-<rowcolor=#ec118f> 감독: (공석) / 코치: (공석) FC 구척장신 <rowcolor=#000> <rowcolor=#000> 감독: (공석) / 코치: (공석) FC 원더우먼 <rowcolor=#ffc0cb> NO.?
(공석)
- | 주장<rowcolor=#ffc0cb> 감독: 조재진 / 코치: 정종봉 FC 불나비 <rowcolor=#ffffff> <rowcolor=#ffffff> 감독: 최진철 / 코치: 이원영 FC 국대 패밀리 <rowcolor=#fff> <rowcolor=#fff> 감독: 백지훈 / 코치: 안진범 FC 개벤져스 <rowcolor=#7f00ff> <rowcolor=#7f00ff> 감독: 최성용 / 코치: 최승호 ONE-SEASON SUSPENSION FC 아나콘다 <rowcolor=#2f38b2> <rowcolor=#2f38b2> 감독: (공석) / 코치: (공석) 이전 선수단 · 감독 · 코치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FC 불나방 → FC 불나비 <rowcolor=#ffa500> NO.18 강경헌 MF 파일럿 <rowcolor=#ffa500> NO.18 신효범 DF 파일럿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ffa500> NO.2 조하나 MF 파일럿 <rowcolor=#ffa500> FW 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ffa500> NO.37 서동주 FW 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ffa500> DF 시즌 2 (승강 PO) <rowcolor=#ffa500> NO.7 송은영 MF 파일럿 <rowcolor=#ffa500> FW 시즌 1 <rowcolor=#ffa500> NO.4 DF 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ffa500> NO.7 박선영 MF | 1대 주장 파일럿 ~ 시즌 2 (프리시즌) <rowcolor=#ffa500> NO.30 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ffa500> NO.77 홍수아 FW 시즌 2 (승강 PO)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ffa500> NO.88 강소연 MF 시즌 3 (챌린지리그) ~ 제1회 SBS컵 <rowcolor=#ffa500> NO.33 윤수현 FW 제1회 SBS컵 <rowcolor=#ffffff> NO.99 박가령 DF 시즌 2 승강 PO ~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ffa500> 감독 이천수 파일럿 ~ 시즌 1 <rowcolor=#ffa500> 하석주 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2 (승강 PO) <rowcolor=#ffa500> 현영민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ffa500> 조재진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ffffff> 백지훈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ffa500> 코치 문경민 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2 (승강 PO) <rowcolor=#ffa500> 정종봉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ffa500> 원용진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ffffff> 김기수 제1회 SBS컵 ~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ffffff> 김원민 제2회 SBS컵 FC 국대 패밀리 <rowcolor=#fff> NO.11 한채아 MF 파일럿 <rowcolor=#fff> FW | 2대 주장 시즌 1 <rowcolor=#fff> NO.14 [[FC 국대 패밀리#심하은|{{{#fff 심하은}}}]] DF 파일럿 ~ 시즌 2 (프리시즌) <rowcolor=#fff> NO.3 남현희 DF | 1대 주장 시즌 1 <rowcolor=#fff> NO.19 [[이정은/골 때리는 그녀들|{{{#fff 이정은}}}]] MF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fff> NO.21 [[FC 국대 패밀리#이희영|{{{#fff 이희영}}}]] MF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fff> NO.3 [[전미라/골 때리는 그녀들|{{{#fff 전미라}}}]] FW 파일럿 <rowcolor=#fff> FW | 임대선수 시즌 1 <rowcolor=#fff> FW | 3대 주장 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fff> NO.8 [[양은지/골 때리는 그녀들|{{{#fff 양은지}}}]] GK 시즌 1 ~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fff> NO.123 곽민정 FW 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4 (챌린지리그) <rowcolor=#fff> NO.9 명서현 GK 파일럿 ~ 시즌 1, 시즌 3 (슈퍼리그) ~ 제2회 SBS컵 <rowcolor=#fff> 감독 조재진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fff> 김병지 파일럿 ~ 시즌 1, 시즌 3 (슈퍼리그),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fff> 김태영 시즌 4 (챌린지리그) <rowcolor=#fff> 코치 원용진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fff> 이준원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fff> 김종원 시즌 3 (슈퍼리그),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fff> 전재홍 시즌 4 (챌린지리그) FC 개벤져스 <rowcolor=#7f00ff> NO.7 이성미 DF 파일럿 <rowcolor=#7f00ff> 매니저 시즌 1 <rowcolor=#7f00ff> NO.11 이경실 FW 파일럿 ~ 시즌 1 <rowcolor=#7f00ff> NO.02 안영미 DF 파일럿 ~ 시즌 1 <rowcolor=#7f00ff> NO.80 신봉선 MF 파일럿 <rowcolor=#7f00ff> FW | 1대 주장 시즌 1 <rowcolor=#7f00ff> NO.48 이은형 DF 시즌 2 (리그) ~ 시즌 5 (챌린지리그) <rowcolor=#7f00ff> NO.35 김혜선 MF 시즌 2 (리그) ~ 제2회 SBS컵 <rowcolor=#7f00ff> 감독 황선홍 파일럿 ~ 시즌 1 <rowcolor=#7f00ff> 김병지 시즌 2 (리그)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7f00ff> 이영표 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 4 (승강 PO) <rowcolor=#7f00ff> 조재진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7f00ff> 코치 배정현 시즌 2 (리그) ~ 시즌 4 (승강 PO) <rowcolor=#7f00ff> 원용진 제1회 SBS컵 <rowcolor=#7f00ff> 정종봉 시즌 5 (슈퍼리그) ~ 제2회 SBS컵 FC 구척장신 <rowcolor=#000> NO.1 송경아 MF 파일럿 <rowcolor=#000> NO.12 진아름 FW 파일럿 <rowcolor=#000> NO.9 한혜진 MF 파일럿 <rowcolor=#000> NO.14 FW | 1대 주장 시즌 1 <rowcolor=#000> NO.11 [[차수민(모델)/골 때리는 그녀들|{{{#000 차수민}}}]] DF 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000> NO.3 아이린 GK 파일럿 ~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000> NO.7 (영구 결번) 송해나 DF 파일럿 ~ 제1회 SBS컵 <rowcolor=#000> NO.22 요요 GK 시즌 5 (슈퍼리그) ~ 제2회 SBS컵 <rowcolor=#000> 감독 최진철 파일럿 <rowcolor=#000> 최용수 시즌 1 <rowcolor=#000> 백지훈 시즌 2 (리그)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000> 오범석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000> 하석주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000> 이을용 시즌 6 (챌린지리그) <rowcolor=#000> 코치 김태현 시즌 2 (리그) <rowcolor=#000> 박태윤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000> 오창현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000> 안동혁 제1회 SBS컵 ~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000> 가솔현 제2회 SBS컵 <rowcolor=#000> 이범직 시즌 6 (챌린지리그) FC 월드 클라쓰 <rowcolor=#0000ff> NO.7 구잘 FW 시즌 1 <rowcolor=#0000ff> NO.77 아비가일 FW 시즌 1 <rowcolor=#0000ff> NO.00 마리아 DF 시즌 1 <rowcolor=#0000ff> NO.23 에바 DF | 1대 주장 시즌 1 ~ 제1회 SBS컵 <rowcolor=#0000ff> NO.27 라라 DF 시즌 2 (슈퍼리그) ~ 제1회 SBS컵 <rowcolor=#0000ff> NO.8 이야누 MF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0000ff> 감독 최진철 시즌 1,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0000ff> 이을용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0000ff> 오범석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0000ff> 코치 서영덕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0000ff> 김상균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0000ff> 이태호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FC 액셔니스타 <rowcolor=#adff2f> NO.9 이미도 DF | 1대 주장 시즌 1 <rowcolor=#adff2f> NO.7 지이수 FW 시즌 1 <rowcolor=#adff2f> NO.41 김재화 FW 시즌 1 <rowcolor=#adff2f> DF 시즌 2 (리그) <rowcolor=#adff2f> NO.14 장진희 GK | + 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adff2f> NO.10 최여진 FW | 2대 주장 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adff2f> NO.1 최윤영 DF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adff2f> FW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adff2f> MF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adff2f> NO.02 이영진 DF | 3대 주장 시즌 2 (리그) ~ 제1회 SBS컵 <rowcolor=#adff2f> NO.250 이채영 GK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adff2f> NO.14 김용지 MF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adff2f> NO.10 이혜정 FW | 4대 주장 시즌 2 (리그) ~ 시즌 6 (슈퍼리그) <rowcolor=#adff2f> NO.11 문지인 MF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6 (슈퍼리그) <rowcolor=#adff2f> 감독 이영표 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adff2f> 백지훈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adff2f> 김태영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adff2f> 코치 황인욱 시즌 2 (리그) <rowcolor=#adff2f> 김병채 시즌 2 (슈퍼리그) <rowcolor=#adff2f> 김기수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adff2f> 전재홍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FC 원더우먼 <rowcolor=#ffc0cb> NO.7 송소희 FW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NO.1 황소윤 FW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NO.110 치타 DF | +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NO.11 주명 DF | 임대선수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NO.819 박슬기 DF | 1대 주장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DF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NO.81 요니P GK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GK | 2대 주장 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NO.8 에이미 FW 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 4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NO.29 홍자 FW 시즌 2 (챌린지리그) ~ 제1회 SBS컵 <rowcolor=#ffc0cb> NO.23 김희정 DF 시즌 2 (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DF | 3대 주장 시즌 4 (챌린지리그) ~ 시즌 6 (슈퍼리그) <rowcolor=#ffc0cb> 감독 이천수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오범석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하석주 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 4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정대세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ffc0cb> 코치 심서연 시즌 2 (리그) <rowcolor=#ffc0cb> 오창현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문경민 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 4 (챌린지리그) <rowcolor=#ffc0cb> 정주일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FC 탑걸 <rowcolor=#000000> NO.9 바다 DF 시즌 2 (리그) <rowcolor=#000000> NO.22 문별 FW 시즌 2 (리그) ~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000000> NO.7 간미연 FW 시즌 2 (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000000> NO.99 아유미 GK 시즌 2 (리그) ~ 제1회 SBS컵 <rowcolor=#000000> NO.21 공민지 MF 시즌 4 (슈퍼리그) ~ 시즌 5 (챌린지리그) <rowcolor=#000000> NO.00 태미 GK 시즌 5 (챌린지리그) ~ 시즌 6 (슈퍼리그) <rowcolor=#000000> 감독 최진철 시즌 2 (리그), 시즌 3 (슈퍼리그),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000000> 최성용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000000> 김병지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000000> 코치 이범직 시즌 2 (리그) <rowcolor=#000000> 최승호 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000000> 김종원 시즌 4 (슈퍼리그) <rowcolor=#000000> 이원영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FC 아나콘다 <rowcolor=#2f38b2> NO.1 신아영 DF | 1대 주장 시즌 2 (리그) <rowcolor=#2f38b2> NO.82 최은경 DF 시즌 2 (리그) <rowcolor=#2f38b2> NO.23 박은영 FW 시즌 2 (리그) <rowcolor=#2f38b2> FW | 2대 주장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NO.77 차해리 MF 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NO.10 김다영 DF 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NO.12 이나연 FW 제1회 SBS컵 ~ 시즌 5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NO.5 오정연 GK 시즌 2 (리그), 시즌 3 (챌린지리그) ~ 제2회 SBS컵 <rowcolor=#2f38b2> NO.8 주시은 DF 시즌 2 (리그) ~ 제1회 SBS컵, 제2회 SBS컵 <rowcolor=#2f38b2> 감독 현영민 시즌 2 (리그) ~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조재진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이영표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2f38b2> 최성용 시즌 6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코치 정종봉 시즌 2 (리그) ~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원용진 시즌 3 (챌린지리그) <rowcolor=#2f38b2> 김현수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2f38b2> 최승호 시즌 6 (챌린지리그) FC 발라드림 <rowcolor=#ec118f> NO.4 박기영 GK | 1대 주장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ec118f> NO.36 알리 DF 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ec118f> NO.5 손승연 DF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ec118f> DF | 2대 주장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ec118f> NO.95 케이시 DF 시즌 4 (챌린지리그) ~ 제1회 챔피언 매치 <rowcolor=#ec118f> NO.3 서문탁 DF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6 (챌린지리그) <rowcolor=#ec118f> 감독 김태영 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ec118f> 정대세 시즌 4 (챌린지리그) <rowcolor=#ec118f> 최성용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ec118f> 오범석 시즌 6 (챌린지리그) <rowcolor=#ec118f> 코치 김종현 시즌 2 (챌린지리그) <rowcolor=#ec118f> 전재홍 시즌 3 (슈퍼리그) <rowcolor=#ec118f> 정주일 시즌 4 (챌린지리그) <rowcolor=#ec118f> 최승호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ec118f> 이태호 시즌 6 (챌린지리그) FC 스트리밍파이터 <rowcolor=#ffffff> NO.22 이수날 FW 시즌 4 (챌린지리그) ~ 제1회 SBS컵 <rowcolor=#ffffff> NO.01 진절미 DF 시즌 4 (챌린지리그) ~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ffffff> NO.67 일주어터 GK 시즌 4 (챌린지리그) ~ 제2회 챔피언 매치 <rowcolor=#ffffff> 감독 최진철 시즌 4 (챌린지리그) ~ 시즌 4 (승강 PO) <rowcolor=#ffffff> 이을용 제1회 SBS컵 ~ 제2회 SBS컵 <rowcolor=#ffffff> 코치 황인성 시즌 4 (챌린지리그) ~ 시즌 4 (승강 PO) <rowcolor=#ffffff> 김상균 제1회 SBS컵 ~ 시즌 5 (슈퍼리그) <rowcolor=#ffffff> 이범직 제2회 SBS컵
- [ 관련 문서 ]
- ||<|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colbgcolor=#3a5a4a> 방영 목록 ||<width=1000><colcolor=#373a3c,#ddd>파일럿 | 시즌 1 ||
시즌 2 | 리그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3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4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1회 SBS컵 시즌 5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2회 SBS컵 시즌 6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7 | 제1회 G리그 세부 대회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 승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매치 | SBS컵 | G리그 | 올스타전 기타 상대 전적 및 순위표 | 감독진 | 감독진 이동 셔플 | 공인구 | 별별 기록 | 시청률 | 평가 | 논란 | 여담 스핀오프 골 때리는 외박 | 연애는 직진 OST Dreaming
- [ 그룹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100000><rowbgcolor=#000><rowcolor=#fff> 데뷔년도 ||<width=35%> 아티스트 ||<width=35%> 비고 ||
<rowcolor=#fff> GM기획 시기 1995년 터보 - 2000년 문차일드 - 티니 두손기획 합작 2002년 악동클럽 - 2004년 SG워너비 - 엠투엠 - 2006년 씨야 - 2007년 블랙펄 - 초신성 - <rowcolor=#fff> 코어콘텐츠미디어 시기 2008년 다비치 - 2009년 티아라 - 2010년 남녀공학 - 2011년 파이브돌스 남녀공학
파생 그룹2012년 갱키즈 - 더 씨야 - 2013년 SPEED 남녀공학
파생 그룹티아라 N4 티아라
유닛 그룹QBS <rowcolor=#fff> MBK엔터테인먼트 시기 2015년 DIA - 2016년 빈챈현스 DIA
유닛 그룹L.U.B <rowcolor=#fff> 포켓돌스튜디오 시기 2018년 UNB KBS 더유닛
데뷔 그룹UNI.T KBS 더유닛
데뷔 그룹2019년 원더나인 MBC 언더나인틴
데뷔 그룹비너스 내일은 미스트롯
프로젝트 그룹2020년 H&D - BAE173 - 2022년 CLASS:y MBC 방과후 설렘
데뷔 그룹에스페로 - 2023년 FANTASY BOYS MBC 소년판타지
데뷔 그룹2024년 A SIX 프로젝트 그룹
- [ 솔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100000><rowbgcolor=#000><rowcolor=#fff> 데뷔년도 ||<width=35%> 아티스트 ||<width=35%> 비고 ||
<rowcolor=#fff> GM기획 시기 1990년 김민우 - 윤상 - 1998년 조성모 - <rowcolor=#fff> 코어콘텐츠미디어 시기 2008년 남규리 씨야 멤버
솔로 가수 데뷔2009년 홍진영 - <rowcolor=#fff> MBK엔터테인먼트 시기 2014년 지연 티아라 멤버
솔로 가수 데뷔효민 샤넌 - 2015년 함은정 티아라 멤버
솔로 가수 데뷔조승희 파이브돌스, DIA 前 멤버
배우 데뷔2016년 정채연 DIA 멤버
배우 데뷔2017년 권채원 <rowcolor=#fff> 포켓돌스튜디오 시기 2019년 송가인 TV조선 미스트롯
선발홍자 2021년 백예빈 DIA 멤버
솔로 가수 데뷔오유진 KBS2 트롯전국체전
선발2024년 채원 CLASS:y 멤버
솔로 가수 데뷔복지은 TV조선 미스트롯3
선발
[1] 외갓집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다.[2] 추가열의 매니저로 일한 경력이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일을 하던 중 동생인 홍자가 자신의 매니저를 해줄 것을 부탁하자 바로 상경했다고 한다.[3] 무명 시절의 홍자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다고 한다.[4] 폴댄스를 선보였으며 이틀간 연습했다고 한다.[5] 미스트롯 결승 진출자와 출연, 팀의 승리에 큰 공헌을 했다.[6] 홍자 오빠 동생 출연[7] 여름엔~ 내가 제일 잘 나가! 워터파크, 머리만큼 올라간 노래 자신감! 쑥대머리라는 가명으로 출연했다.[8] 송가인과 출연[9] 송가인 정다경 숙행과 출연[10] 내일은 미스트롯 TOP5 출신 중 최초로 출연했다.[11] 정미애, 정다경, 김나희, 숙행, 강예슬, 김소유와 출연.[12] 정미애와 함께 송가인을 잡을수있는 유이(有二)한 대항마였지만 결승전 당시에 생기고 만 성대결절로 인한 음이탈이 마지막까지 발목을 잡아서 끝내 3위에 머물게 되었다. 정미애는 방송을 거듭하며 점점 주목받은 다크호스 였기 때문에 딱히 송가인의 대항마 느낌은 없었고, 홍자가 예선에서 송가인을 잡으면서 방송내내 송가인과 라이벌 구도를 형성 했었기에 본 프로그램의 2인자[19] 격인 참가자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는 결승전때의 실수로 3위에 랭크되었지만...[13] 사실 어느 정도 대본일 가능성도 무시할 수는 없는게, 송가인과 홍자는 둘 다 이미 예선과 본선 1차전에서 우승후보감인 게 입증된 사람들이라 어차피 부활할 게 확실했다. 그림 만들기에는 강자들이 한번씩 붙어주는 게 좋은 건 사실이다.[14] 육군 백마부대에서 행사.[15] 실질적으로 홍자를 사람들에게 각인시킨 신의 한수가 되었다.[16] 이와중에 데뷔 40년이 넘은 '심수봉'을 '심수봉이'라고 부르는 남진의 무시무시한 짬...[17] 정미애도 듀엣대결에서 두리를 만나 식겁했다. 133표로 홍자보다 6표 더 많았다[18] 가수로 활동해야하는 홍자의 목 상태를 걱정해야할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