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이 기념하는 사건에 대한 내용은 3.1 운동 문서 참고하십시오.
삼일절 | 제헌절 | 광복절 | 개천절 | 한글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요일 | 새해 첫날 | 설날 연휴 | 삼일절 |
어린이날 | 현충일 | 광복절 | ||
추석 연휴 | 개천절 | 한글날 | ||
폐지된 공휴일 | ||||
식목일 | 제헌절 | 국군의 날 | 국제연합일 | |
<colbgcolor=#fff,#1c1d1f> ※ 공직선거법 제34조에 따라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를 진행하는 날 (대통령 선거일, 국회의원 선거일, 지방선거일) | ||||
※ 대한민국 정부에서 수시로 지정하는 날 (임시공휴일) | ||||
※ 공휴일인 국경일, 부처님오신날, 어린이날, 성탄절이 토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과 겹치거나 설/추석 연휴가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공휴일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대체공휴일) | }}}}}}}}} |
2025년 3·1절까지 |
D[dday(2025-03-01)] |
3·1절 三一節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1] | |
종로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의 사진 | |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이 만세 시위를 하는 모습 |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날짜 | <colcolor=#000,#ddd>3월 1일 ([dday(1919-03-01)]일, [age(1919-03-01)]주년) |
지위 | 국경일, 법정 공휴일 |
근거 법령 | 「국경일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항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제2조 제2항 |
[clearfix]
1. 개요
삼일절(三一節,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은 대한민국의 국경일로[2], 일제강점기였던 1919년 3월 1일(음력 1월 29일 토요일) 당시 한반도의 민중들이 일본 제국의 지배에 항거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3.1 운동을 기념하는 날이다.3.1 운동 이듬해인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매년 3월 1일을 '독립선언일'로 지정하여 국경일로 기념하기 시작했다.[3] 당시 임시정부는 내무부 포고 제1호를 통해 3월 1일을 '대한민국이 부활한 성스러운 날(성일, 聖日)'로 규정하고 축하할 것을 주창했다. # 해방 이후인 1946년에는 미군정 군정 법률 제2호를 통해 '국가경축일'로 지정되었으며[4], 이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인 1949년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통해 계승되었다.
2. 의의
이 사건 친일재산조항은 정의를 구현하고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우며 일제에 저항한 3·1 운동의 헌법이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친일반민족행위로 축재한 재산을 친일재산으로 규정하여 국가에 귀속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법목적의 정당성 및 수단의 적합성이 인정된다.
2017헌바88,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 등 위헌소원 中
2017헌바88,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 등 위헌소원 中
1948년 제헌 이래 대한민국 헌법은 그 전문에서 3.1 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였으며 그 정신을 승계하여 정부를 수립했음을 명시하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친일재산귀속법에 대한 합헌 판결을 내리면서 그 사유로 3.1 운동의 헌법 이념을 구현하기 위함이라고 판시한 데서 알 수 있듯, 3.1 운동의 정신은 대한민국 건국 정신으로서 중요한 위치에 자리매김하고 있다. #
특히 3.1 운동의 중요한 의의 중 하나는 민주공화국의 체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됐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이 임시정부의 헌장과 강령, 헌법 등이 대한민국 제헌 헌법을 통해 계승되어 오늘날 헌정의 뿌리가 되었기에 대한민국의 출발일로서 국가가 축하하는 것이다.[5]
광복절이 건국절이 아닌 이유가 삼일절과도 관련이 있다. 3.1 운동을 계기로 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해외 각지에서 존재하던 독립운동 구심체가 통일된 민주주의 제도의 임시정부 수립운동으로 이어져, 서울의 한성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아 연해주 대한국민의회가 상하이 상해정부가 합쳐지는 형태로 상하이시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던 것이다.
이와 관련된 과거 독립운동가들의 인식을 문헌을 통해 엿볼 수 있다.
기뻐하세 오늘 우리 민국기원절 / 이천만 동포들이여 경축하세
우리들의 새 생명을 되찾은 날 / 한 마음으로 힘을 모아 경축하세
경축하세 경축하세 / 우리 개국기원절 경축하세
경축하세 경축하세 / 우리 대한민국 기원절이라네[6]
1920년 삼일절 제1주년 기념 노래 〈기원절 경축가〉[7] #
우리들의 새 생명을 되찾은 날 / 한 마음으로 힘을 모아 경축하세
경축하세 경축하세 / 우리 개국기원절 경축하세
경축하세 경축하세 / 우리 대한민국 기원절이라네[6]
1920년 삼일절 제1주년 기념 노래 〈기원절 경축가〉[7] #
3월 1일! 배달족에게 새 생명, 새 활력을 부어준 이날은 우리의 피와 같이 영원히 살아 있으리로다. 2천만 민중이 개선의 노래를 부르기까지 피싸움이 끊일 줄이 있으랴!
대한의 남녀야! 이날을 기뻐하여 만세를 부르라. 날뛰며 노래하여 기리라![8]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관지 〈배달공론〉 1924년 3.1절 특집호 中 #
대한의 남녀야! 이날을 기뻐하여 만세를 부르라. 날뛰며 노래하여 기리라![8]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관지 〈배달공론〉 1924년 3.1절 특집호 中 #
오늘 3월 1일은 즉 우리 민족적 역사의 영광스러운 날이라. 우리 민족이 저 원수 일본에게 합병의 수치를 당한 이후 근 10년만에 그 기반을 벗어나려고 저 33현들이 우리 전체 민족을 대표하여 거금 5년 전, 즉 건국 4252년, 1919년 3월 1일에 독립 선언하였도다.
그러면 이날은 곧 우리 민족의 큰 명절이라. 미국의 7월 4일과 프랑스의 7월 14일과 같은 역사적 국경일이라. 우리가 비록 독립선언 이후 만 4주년에 아직 척촌의 강토를 회복하지 못하였지만은 이 독립선언으로 인하여 우리 독립의 기초를 세운 즉, 우리의 성공할 날은 오직 시기 문제였을 뿐이다.
7월 4일이 있은 뒤에 8년의 혈전이 있었고, 8년의 혈전이 있은 뒤에 미국의 독립이 있었음, 7월 14일이 있은 다음에 제1, 제2, 제3차의 혁명이 있은 다음에 프랑스의 민주국이 성립되었도다. 이러한 역사들이 자재한 즉, 우리의 3월 1일이 있는 이상에는 우리도 저들과 같이 혈전을 계속하며, 혁명을 주장하여 저 원수인 일본을 대항하면 우리의 독립 성공도 결코 멀지 않을 지로다.
1923년 3월 1일 미주 한인신문 신한민보 삼일절의 감상
그러면 이날은 곧 우리 민족의 큰 명절이라. 미국의 7월 4일과 프랑스의 7월 14일과 같은 역사적 국경일이라. 우리가 비록 독립선언 이후 만 4주년에 아직 척촌의 강토를 회복하지 못하였지만은 이 독립선언으로 인하여 우리 독립의 기초를 세운 즉, 우리의 성공할 날은 오직 시기 문제였을 뿐이다.
7월 4일이 있은 뒤에 8년의 혈전이 있었고, 8년의 혈전이 있은 뒤에 미국의 독립이 있었음, 7월 14일이 있은 다음에 제1, 제2, 제3차의 혁명이 있은 다음에 프랑스의 민주국이 성립되었도다. 이러한 역사들이 자재한 즉, 우리의 3월 1일이 있는 이상에는 우리도 저들과 같이 혈전을 계속하며, 혁명을 주장하여 저 원수인 일본을 대항하면 우리의 독립 성공도 결코 멀지 않을 지로다.
1923년 3월 1일 미주 한인신문 신한민보 삼일절의 감상
자유와 독립을 사랑하는 정신은 어디서나 한정이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건설하는 민주국은 탄생한 지 아직 1년이 못되었으나 사실은 30세의 생일을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1949년 삼일절 제30주년 기념 이승만 대통령 연설
1949년 삼일절 제30주년 기념 이승만 대통령 연설
친애하는 의원님, 올해 3월 1일, 전 세계의 우리 한국인들은 한국 독립 선언과 대한민국 수립, 임시정부 창립 24주년 기념일을 축하했습니다.[9]
1943년 삼일절 24주년에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부에서 미국 상하원 의원들에게 보낸 편지 #
1943년 삼일절 24주년에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부에서 미국 상하원 의원들에게 보낸 편지 #
이처럼 삼일절은 독립운동가의 호국정신을 기리는 날이면서 대한민국의 탄생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날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 심지어는 공공기관에서마저 삼일절을 "순국선열을 추도, 애도하는 묵념을 올리는 날"이라며 잘못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 해당 문장은 두산백과의 구 삼일절 문서에 기술되어 있었으나, 2021년을 기점으로 정정됐다. 두산백과 삼일절 문서 다만 개정 이전의 잘못 소개된 문장이 여전히 널리 알려져 있다.
3. 요일
400년 동안 삼일절은 화요일, 목요일, 일요일에 각각 58번씩 오고 금요일이나 토요일에 57번, 월요일과 수요일에는 56번이 온다. 삼일절이 주말인 경우는 400년 동안 115번, 연휴가 되는 경우는 400년 동안 113번이다.4. 연휴
연도별 삼일절 연휴는 다음과 같다.- 2024년, 2030년, 2041년, 2047년, 2052년, 2058년: 3월 1일 (금) ~ 3월 3일 (일) - 이 경우 대선은 3월 6일에 치러진다.
- 2027년, 2038년, 2049년, 2055년: 2월 27일 (토) ~ 3월 1일 (월) - 이 경우 공휴일 중 최소 5일이 날아가며, 대선은 3월 3일에 치러진다.
- 2004년, 2032년, 2060년: 2월 28일 (토) ~ 3월 1일 (월) - 이 경우 공휴일 중 최소 5일이 날아가며, 대선은 3월 3일에 치러진다. 윤년이라 2월 28일, 29일, 3월 1일이 3일 연휴인 케이스이다.
5. 역사
5.1. 20세기
삼일절 며칠 전에 민족대표 33인이 '태화관'이라는 빈관에서 기미독립선언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서를 발표하고 잡혀갈 예정이었으므로, 백업 요원으로 실제 시위를 주도할 15인이 더 있었다고 한다. 다만 여기에는 14인설과 16인설도 있으며 정노식을 제외하느냐, 김세환을 추가하느냐에 따라서 나뉜다. 결과적으로 실제 시위를 이끈 15인을 합쳐서 민족대표 48인이라고 불린다.이 중 서너 명은 훗날 친일로 변절하게 되지만, 나머지 인원은 끝까지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구체적으로 33인 중 3인인 박희도, 정춘수, 최린이 변절한 사람들이고, 48인 중에서는 최남선이 포함되어 4인이 된다. 이들이 작성한 독립선언서가 바로 기미독립선언서다.
삼일절의 역사는 독립 선포 후 대한민국과 임시정부의 성립과 함께 시작된다.
1920년 2월 임시정부는 내무부 포고령 1호를 통해 3.1 독립 선언 1주년 기념식 준비회를 발족하고 성대한 식전을 준비하였다. 1920년 3월 1일 당일 상하이시에서는 오전부터 한인 가옥마다 태극기가 나부끼기 시작했으며, 정부 차원의 경축식은 오전 10시에 이동휘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임시의정원 대의원, 인성학교 학생이 모인 가운데 상해 올림픽 대극장에서 봉행되었다.
대한민국 2년(1920) 당시 발행된 임시정부의 관보인 독립신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삼월 일일 우리나라의 독립과 민족의 자유를 선언한 삼월 일일,
이천만 대한인은 간 곳마다 있는 곳마다,
천년 후 만년 후까지 자자손손히 열성과 환희로써 지켜 축하할 삼월 일일
대한의 자녀들은 어떻게 이날을 지켰는가.
이천만 대한인은 간 곳마다 있는 곳마다,
천년 후 만년 후까지 자자손손히 열성과 환희로써 지켜 축하할 삼월 일일
대한의 자녀들은 어떻게 이날을 지켰는가.
삼월일일 오전 육시경부터 상해시내의 한인의 주가에는 부활한 태극국기가 날기 시작하엿다. 바로 밤새기를 기다리기가 어려웠던 것 갓다 명덕리 보강리 급로비로 일대에는 여긔져긔 태극기가 날닌다. 혹 개인으로 한인의 이층을 빌어잇는 이들도 다 국기를 달아 이날을 경축하엿다. 아마 법계 일대만 하여도 사오십은 된 것이니 상해시내에 이러케 대한의 국기가 날닌 것은 금차가 처음이다.
이날에 비로소 세계 각국인이 모혀 사는 상해 한복판에서 우리는 대한인이다 하는 표를 보엿다. 매일요와 경절에 영법미의 국기가 호호에 날닐 때에 우리는 얼마나 그를 부러워하엿던고. 동포들은 아해들까지도 수일전부터 이 신성한 국경일의 준비를 하야 작일에 지하야 아조 명절기분이 되엿섯다. 날은 흐럿스나 중춘일기에 그러치 아나도 심신이 자못 상쾌하거늘 문전가두에 빗나는 태극기가 경풍에 편편함을 볼 때에 대한인의 감격이야 얼마나 하엿스랴.
아직 촌척도 회복치못한 고강, 차금 옥중에 게신 형제와 자매 모다 생각하면 가슴이 터질듯 하지마는 천만대에 기념할 우리 민족의 부활일인 오늘 하로를 무한히 깃부게 축하하자, 놀자.
이날에 비로소 세계 각국인이 모혀 사는 상해 한복판에서 우리는 대한인이다 하는 표를 보엿다. 매일요와 경절에 영법미의 국기가 호호에 날닐 때에 우리는 얼마나 그를 부러워하엿던고. 동포들은 아해들까지도 수일전부터 이 신성한 국경일의 준비를 하야 작일에 지하야 아조 명절기분이 되엿섯다. 날은 흐럿스나 중춘일기에 그러치 아나도 심신이 자못 상쾌하거늘 문전가두에 빗나는 태극기가 경풍에 편편함을 볼 때에 대한인의 감격이야 얼마나 하엿스랴.
아직 촌척도 회복치못한 고강, 차금 옥중에 게신 형제와 자매 모다 생각하면 가슴이 터질듯 하지마는 천만대에 기념할 우리 민족의 부활일인 오늘 하로를 무한히 깃부게 축하하자, 놀자.
삼일절 경축 식전은 임시정부와 국내 주요 지역은 물론이고 미국, 러시아, 쿠바, 심지어는 일본 등 각국의 도시에서도 치러졌는데, 특히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 주 다뉴바 시에서 300인의 한인이 회집하여 태극기를 단 차량과 간호복을 입은 여성, 태극기와 성조기를 든 부대가 시가행진을 벌였다. 해외에서의 삼일절 행사는 강당이나 운동장, 교회 등을 빌려 여는 경축대회와 태극기와 깃발, 전단을 휘날리는 기습 시위로 나뉘었는데, 전자는 중국과 미주, 연해주에서, 후자는 주로 일본 유학생들이 자주 행하던 방식이었다.
상해에서 치러졌던 삼일절 경축식의 경우, 올림픽대극장이나 침례교당 등지를 빌려 만국기와 태극기로 장식을 하고 군악대를 초청하여 독립군가와 애국가가 연주되는 가운데서 치러졌다. 식전이 끝난 뒤에는 차량을 빌려 태극기와 독립기[10]를 달고 악대를 앞세워 일본 영사관까지 가두행진을 하거나 축하연회, 기념연극 등을 베풀기도 했다. 1920년대에는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필리핀, 인도, 베트남, 몽골 등 동아시아의 피압박민족 독립운동 대표단이 식전에 참석하여 축사를 하고 한국 독립운동가들과 반제국주의 연대를 확인하기도 했다.[11]
상해 이외의 지역의 경우, 쿠바에서는 대포를 빌려 삼일절 식전 전에 21발의 예포를 쏘기도 했고, 1942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한인들의 군사 조직인 한인경비대가 이 날을 경축하는 의미에서 열병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한인경비대의 삼일절 경축 열병식 |
삼일절이라는 명칭은 1920년부터 사용되었으나, 당시 임시의정원에서 법률로 정한 국경일의 명칭은 독립선언기념일이었으며, 때때로 독립기념일, 국경일로 불리었다. 삼일절이라는 명칭은 중화민국의 쌍십절이나 미국 독립기념일의 별칭인 Fourth of July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12]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1920년부터 공휴일로 삼았다. #
한편 임시정부 시기 독립운동가들과 해외 교포들은 삼일절을 대한민국 건국기념일로 인식하였는데, 1920년 포암 장병준 선생이 국내에 잠입해서 살포한 전단 〈대한독립1주년축하경고문〉에 3월 1일이 건국의 기념일로 언급되어 있었으며 이 날을 대한의 자유독립을 선언한 이래 1주년 되는 첫 생일로 민족이 영원히 기념할 축일로 명시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
이외에도 미주 지역 한인 신문인 〈신한민보(The New Korea)〉의 경우 삼일절을 Korean Independence Day로, 기념의 대상을 3.1 운동과 대한민국 수립으로 언급한 바 있으며[13], 1943년 주미외교위원부가 미국 상원 의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3월 1일에 세계의 한국인들이 한국 독립선언과 대한민국 수립, 임시정부 창립을 기념했다는 내용이 담겨 삼일절이 당대 한인들에게 대한민국의 건국일로 간주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
윤봉길 의사의 천장절 의거 이후 임시정부가 피난을 함에 따라 성대한 식전은 치르기 어려워졌으나 간소하게나마 경축식을 이어나갔고, 중국 측 언론에서도 삼일절을 한국 혁명기념일로 표현하는 등 명실상부한 한인의 국경일 자리를 유지하고 있었다.[14]
1946년 3·1절 경축식 |
다만 광복 직후 삼일절은 좌우익 대립의 장으로 대두되고는 했는데, 국가 건설의 정통성을 3.1 운동에 두려는 좌파와 우파가 서로 대결함에 따라 경축식이 개별적으로 열리는 것은 물론 상호 간의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15] 때문에 1940년대 당시 3월 1일이 다가오면 경찰들은 신경을 곤두섰다고. 다만 삼일절 경축 공연이 곳곳에서 열리는 등 축하 행사도 함께 이루어져 문화 생활에 갈증을 느끼던 당시 민초들의 욕구를 충족해 주기도 했다.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성립된 후 삼일절은 4대절에 포함되었으며, 대한민국 건립의 시원이 된 최대의 국경일로 간주되었다.
오늘은 3월 1일! 우리 겨레 삼천만의 최대 국경일인 삼일절이다. … 이날에는 명실상부하게 거족적인 국경일로 남북의 삼천만이 다같이 한마음 한뜻으로써 즐겁게 노래하고 힘껏 뛰놀며 이날을 경축하자. 이것이 최대 국경일인 오늘을 맞이하여 최대의 축원(祝願)이며 최고의 이상이다.
1949년 3월 1일 동아일보 사설 中 #
1949년 3월 1일 동아일보 사설 中 #
은빛 나래를 번뜩이며 저공비행을 하는 편대기와 부딪힐 것만 같은 기념탑, 빌딩 문 앞에는 화려한 기념장식 독립문을 본떠 만든 모형이며, 그 밖에 오색 조화로 장식된 꽃전차가 네거리를 휘돌아간 후 기념식전에 참석하였던 군중들의 장쾌한 시가행진이 시작되었다. 우렁찬 행진곡을 연주하는 브라스 밴드가 지나가면 가장 행렬과 어울린 농악대가 멋들어진 날라리 소리로 길 양 옆의 군중들의 어깨춤을 유발시킨다. 인파 인파 인파… 온 장안은 경축일색으로 물들고 시민들은 오는 해의 이 날에는 반드시 남북의 동포가 서로 손을 맞잡고 정말 즐거운 축제를 지내야 한다는 굳은 결의를 가슴마다 간직하는 것이었다.
1950년 3월 3일 동아일보, 〈휘날리는 감격의 태극기〉 #
1950년 3월 3일 동아일보, 〈휘날리는 감격의 태극기〉 #
오늘은 역사적 항쟁의 민족적 기념일이며 국가적으로 최대의 경절일(慶節日)입니다. 역사적 전통과 민족적 긍지와 강인한 독립운동 정신으로 독자 여러분과 같이 이날을 기념하고 또 경축하고자, 연중무휴인 본사에서도 하루를 쉬기로 하였읍니다.
1950년 3월 1일 동아일보 사고(社告) #
1950년 3월 1일 동아일보 사고(社告) #
1958년 3월 1일 열린 제39주년 삼일절 경축 가장행렬 |
1950년대까지 삼일절에는 명절처럼 상점들이 일제 철시하고 국기를 내걸었으며, 음악회, 학예회, 시열식, 시가행진, 봉화제 등이 대대적으로 치러졌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 및 1965년 한일협정 이후 삼일절의 위상이 크게 낮아지며 정부 차원의 형식적인 식전과 탑골공원 추념식만 사실상 남게 되었으며, 최대 국경일의 위치도 광복절에 내주게 되었다.[16] 1980년대 대한민국 제5공화국 동안에는 국무총리가 축하연설을 대독할 정도로 천시당했으며, 이 때부터 삼일절 경축사가 사실상 정부 정책 홍보의 장으로 추락하게 되었다.
1999년 삼일절 80주년 이후로는 전국 각지에서 학생과 시민들을 동원하여 만세행진 재현행사를 벌이고 있는데, 사학계에서 이를 두고 삼일절을 잘못 기리고 있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SBS 뉴스) 3.1 운동의 본질은 민족공동체의 본질적 주권(real sovereignty)를 바탕으로 자주독립을 선포한 것이고, 만세시위는 그러한 독립선언식을 축하하기 위한 요식 행위였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만세 운동을 한 것만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5.2. 21세기, 100주년 기념식
위원회 상징 이미지 | 브랜드 상징 이미지 |
<width=50%> | |
정오에는 전국에서 동시에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타종과 만세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서울 보신각에서 열린 타종 행사에는 강제징용 피해자인 이춘식 씨와 유관순 열사의 조카 유장부 씨 등 독립유공자 후손 12명이 참여하기도 했다. 서울광장 일대에서는 만세 행진과 공연이 이어졌고, 시민 3,000명이 참여한 대합창 행사도 열렸다.
6. 북한에서
북한에서는 남한의 경축일과 같은 의미인 명절이 아니며 공휴일도 아니다. 북한에서도 3.1 운동을 기념하지만, 다른 국경일에 밀려 공휴일은 아니다. 카를 마르크스의 역사발전단계론의 단순도식적 해석은 차치하더라도, 민족대표 33인이 중상계급 이상의 부르주아지이자 종교인이라는 점, 그리고 김일성이 지나치리 만큼 게릴라식 항일무장투쟁에 경도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평가절하하는 것으로 보인다.또한 자신들의 인공기가 아닌 절대적으로 금역으로 지정한 태극기를 들고 일어났다는 점도 있어서 남한과는 달리 특별히 기념하지 않는다.
7. 일본에서
도쿄에 있는 재일민단 등 단체에서는 매년 3월 1일이 되면 3.1절 기념식을 개최하며 도쿄에 있는 주일 대한민국 대사관에서도 3.1절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고 있다.의외로 매년 대한민국 대통령들이 3.1절 기념사 등을 통해서 일본 본국에 대해서 언급을 하기에 일본 언론들은 이날만큼은 한국 상황을 주시하면서 기사를 써낸다. 3.1 운동 때 일제가 독립운동 탄압을 목적으로 조선 양민과 만세 참가자들을 학살하였던 전적이 있고 한국 대통령들이 일본에 대한 진심어린 사과와 반성을 요구하는 등의 언급을 하기에 이 대목을 중심으로 기사화 한다.
하지만 2023년 3.1절은 윤석열 대통령이 기념사를 통해서 한일관계 정상화를 강조하는 대신 역대 대통령들이 해왔던 일본의 반성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지 않음으로서 일본내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었다.
8. 관련 어록
아! 경사로다! 건국의 기념일이여!
반도강산 이천만 민족의 생명은 이 날부터 부활하기 시작하였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이 날이 다시 돌아오니 덩실덩실 춤이라도 추지 않을 수 없다.
굽히지 않는 열성과 꺾이지 않는 충정으로 원수의 엄혹한 단속에도 굴하지 않고 찬란하고 위대한 활동을 위하여 축하해야 할 것이다.
아는가? 3월 1일이 무슨 날인지?[17]
1920년 2월 27일 혈성단(血誠團) 3.1절 축하 공고문 #
반도강산 이천만 민족의 생명은 이 날부터 부활하기 시작하였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이 날이 다시 돌아오니 덩실덩실 춤이라도 추지 않을 수 없다.
굽히지 않는 열성과 꺾이지 않는 충정으로 원수의 엄혹한 단속에도 굴하지 않고 찬란하고 위대한 활동을 위하여 축하해야 할 것이다.
아는가? 3월 1일이 무슨 날인지?[17]
1920년 2월 27일 혈성단(血誠團) 3.1절 축하 공고문 #
삼일절! 이 날은 가장 신성한 날이요, 대한민국 자유와 평등과 정의의 생일이니 진실로 상제가 허하신 날이오.
이 날은 한두 개인이 작정한 것이 아니오. 2천만이 하였고 다만 소리로만 한 것이 아니오. 순결한 남녀의 혈로 작정한 신성한 날이오.
안창호, 1920년 삼일절 제1주년 축사에서 #
이 날은 한두 개인이 작정한 것이 아니오. 2천만이 하였고 다만 소리로만 한 것이 아니오. 순결한 남녀의 혈로 작정한 신성한 날이오.
안창호, 1920년 삼일절 제1주년 축사에서 #
3.1 운동은 3천 년간 이어진 봉건통치를 종식시키고 민주국가 건립의 개시를 알리는 운동이었다. 3.1운동은 일본제국주의의 악랄한 식민통치를 뒤엎고 대한민국의 건립을 알리는 운동이었다.
독립운동가 조소앙, 1942년 3.1절 제23주년 기념식에서 #
독립운동가 조소앙, 1942년 3.1절 제23주년 기념식에서 #
9. 노래
기미년 삼월일일 정오
터지자 밀물 같은 대한 독립 만세
태극기 곳곳마다 삼천만[19]이 하나로
이날은 우리의 의요 생명이요 교훈이다
한강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 높았다
선열하[20] 이 나라를 보소서
동포야 이날을 길이 빛내자
정인보 작사, 박태현 작곡 '삼일절 노래'
터지자 밀물 같은 대한 독립 만세
태극기 곳곳마다 삼천만[19]이 하나로
이날은 우리의 의요 생명이요 교훈이다
한강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 높았다
선열하[20] 이 나라를 보소서
동포야 이날을 길이 빛내자
정인보 작사, 박태현 작곡 '삼일절 노래'
10. 역대 경축식장
- 세종문화회관 (1978~2004 / 2006~2008 / 2011~2017)
- 이화여자고등학교 내 유관순기념관 (2005 / 2023~)
- 독립기념관 (2009~2010)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2018)
- 광화문 광장 (2019)
- 배화여자고등학교 (2020)
- 탑골공원 (2021)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2022)[21]
11. 기타
11.1. 대통령 기념사
- 5대 국경일 중 광복절과 삼일절은 대통령이 반드시 기념사를 하고[22] 두 국경일 모두 역사적으로 일본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날이기 때문에 이 때 연설이 대일외교의 기조를 강하게 드러낸다. 연설에서 드러나는 대일외교 기조는 강경할 때도 있고 온건할 때도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정계/외교가/언론이 주목한다. 시기와 대통령의 성향, 외교 여건 등에 따라 연설의 구체적 내용이 달라지지만 대체로 옛 침략국인 일본을 향해 일본군 위안부, 강제징용 등 과거의 어두운 역사를 직시하고 깊이 반성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일본과의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이 언급되는 경향이 있다. 1988년 제6공화국 출범 이후 박근혜 대통령 때까지는 삼일절이 새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번째 국경일 기념식이기 때문에[23] 신임 대통령과 새 정부의 전반적인 정책 방향과 외교 기조를 발표하는 장이 됐다. 그러나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에는 대통령 선거가 3월로 옮겨지면서[24] 신임 대통령과 새 정부의 대일외교 기조는 삼일절이 아니라 광복절에[25] 드러나게 되었다. 또 해마다 순국 독립운동가에 대한 훈장 및 표창 수여식도 개최하는데 3.1운동 이후 100년이 넘어가면서 생존 독립운동가가 지극히 적어졌기 때문에[26] 대부분 순국선열의 유가족이 훈장을 받는다.
- 2023년 3월 1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삼일절 기념식에서 윤 대통령은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로 변했다”고 말하며, 삼일절임에도 강제징용이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같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미래 협력만을 강조하는 기념사를 발표해 논란이 됐다.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문서 참고.
11.2. 폭주족
- 광복절과 더불어 자신들의 애국심을 표출하겠다며 질주하는 폭주족들을 쉽게 볼 수 있는 날이다. 2009년 경부터는 이런 폭주족들을 보기 힘들어졌고, 2013년부터는 아예 자취를 감췄다. 경찰이 강력한 단속 의지를 표출한 이유도 있고, 세대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3.1 폭주를 선배로부터 대물림받아 전통처럼 뛰던 세대가 나이를 먹고 폭주를 관두면서 그 자리를 대신 채울 신세대 폭주족이 적어진 것도 있고 위험한 오토바이 폭주를 즐기기보다는 그냥 다른 걸 더 좋아하는 젊은이들이 많아진 것. 불경기의 영향이라는 분석도 있다. 허나, 2019년도 들어 대구광역시의 일부 지역에서 떼빙형식으로 폭주를 뛰는 신세대 10대 후반~20대 초중반 폭주족들이 폭주를 뛴다.
11.3. 신조어
- 취업, 실업 문제를 나타내는 신조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31살 되기 전까지 취업하지 못하면 끝장이다'를 줄여서 삼일절이라 청년층이 자조적으로 말하는 것. 2000년대 후반 때부터 대두된 고용, 취업난 문제가 고스란히 담긴 신조어다. 자세한 사항은 나이 제한 문서로.
11.4. 학교에서
- 이 날은 대한민국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학년말 방학 마지막 날이다. 원래 같으면 개학을 해야 되나, 삼일절 당일은 공휴일이므로 실질적으로는 바로 다음에 오는 평일(2~4일[27][28])이다.[29][30]
- 다만 고등교육법에서는 예외를 인정해서 학교에 따라서는 2월에 개강 및 입학식을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고등교육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학교의 경우, 카이스트는 2월 초 개강, 5월 말에 종강으로 석달이 넘는 기나긴 여름방학을 자랑한다.
- 새 학년이 시작되는 날이자 공휴일인 관계로 적지 않은 수의 학교들이 비정규직 교직원을 채용할 때 이 날을 근무일에서 빼는 일이 있었다. 즉 계약기간을 3월 2일부터 2월 28/29일까지로 하는 것. 이렇게 하면 계약일이 364/365일이므로 1년을 만근하면 줘야 되는 퇴직금을 안 줄 수 있고, 2년 이상 연속으로 계약하면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하는 조항도 피해갈 수 있는 것을 이용한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 식의 꼼수다.
11.5. 삼일절과 눈(雪)
- 대한민국의 스키장들은 삼일절에도 개장하기 때문에 삼일절에는 막바지 스키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스키장이 북적인다고 한다. 강원도는 3월 평균 기온이 낮아서 3월이 사실상 겨울이라 가능한 현상. 최전방에서는 군인들이 삼일절에 제설작전을 펼치기도 한다. 3.1절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봄의 시작일이나 많은 지역에서는 겨울이나 남해안과 대구, 울산, 광주의 남부 광역시들, 제주도는 아예 봄이고 그 밖의 지역도 이상 고온이 오면 봄 날씨를 보인다. 2010년대 중반부터는 3.1절이면 봄인 곳도 많아지고 있으며 2019년의 경우 2월 하순부터 봄으로 넘어가면서 3.1절은 완연한 봄이었다.
- 1981년 3.1절에는 한강이 해빙하였다.
- 2021년 3.1절에는 강원도에서 폭설이 내렸다.
11.6. 스포츠 관련
11.6.1. 축구 관련
}}} ||- 2014년 3월 1일, 친한 구단으로 유명한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구단 트위터에 95주년을 기념하는 트윗을 올렸다.[31]
- 2019시즌 K리그1은 삼일절 100주년에 개막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삼일절에 경기를 한 적이 있었다. 1982년 3월 1일 네루컵에서 중국에 1:1로 비긴 경기와 1998년 3월 1일 다이너스티컵에서 일본에 2:1로 진 경기, 2006년 3월 1일 친선경기에서 앙골라에 1:0으로 이긴 경기가 그것. 확실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있어서 삼일절은 치욕적인 날인 셈. 대한민국 대표팀의 삼일절 경기 전적은 1승 1무 1패 3득점 3실점.
- 올림픽이나 패럴림픽은 삼일절에 절대 겹치지 않고 게다가 A매치 데이에서도 벗어나 있어 이 날 열리는 축구 경기는 거의 국내 리그전이다.
- 2022년에는 삼일절 이전에 K리그가 개막했고, 삼일절 당일에도 경기를 한다.
- 2023년에는 K리그2가 삼일절에 개막한다.
- 2024년에는 K리그1이 삼일절에 개막한다.
11.6.2. 야구 관련
- 시기상 메이저리그, 일본프로야구, KBO 리그 모두 정규시즌 개막 이전이며 별도의 장소에서 스프링캠프를 진행한다. 삼일절 즈음에는 실전 감각을 키우기 위해 각 팀간의 연습경기를 주로 치른다.
- 2022년 3월 1일 NC 다이노스의 손아섭 선수가 자신의 인스타스토리에 우동, 일식 돈가스, 장국 사진을 올리고 "콘니찌와~~~~"라는 글을 올려 논란이 되었다. 누리꾼들의 비난이 커지자 몇시간 뒤 글을 삭제하였다.
11.6.3. 배구·농구 관련
- 실내 스포츠인 V-리그, KBL, WKBL은 시즌 막바지 시점이다. 이른바 봄배구, 봄농구라고 일컬어지는 V-리그 플레이오프, KBL 플레이오프, 한국여자프로농구 플레이오프 진출팀의 윤곽이 이 시점에 어느 정도 결정된다. 빠른 경우 정규시즌 우승팀이 삼일절 즈음에 결정되기도 한다.
11.7. 그 외
- 당시의 만세구호는 대한독립만세와 조선독립만세 두 개가 혼용되었다. 그 시기의 시각으로 보면 대한제국은 아주 짧게 사용된 이름이었을 뿐, 수백 년간 사용했던 조선이 더 친숙한 호칭이었다.[32] 다만 현재 대한민국의 모든 역사교과서에서는 '대한 독립 만세'로 표기하고 있다. 3·1 운동을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세워지고, 그 법통을 대한민국이 계승한다는 흐름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추측된다. 조선이라는 명칭은 현재 윗동네 반국가단체가 사용하고 있기도 하고.
- 삼일절을 독립절로 바꾸자는 주장도 있다. 경향신문 논설을 스크랩한 블로그 그도 그럴 것이 미국만 봐도 최대의 명절 인디펜던스데이(독립기념일) 7월 4일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한 날이 아닌 영국에게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한 날이다. 미국에서는 영국으로부터 정식으로 독립한 9월 3일은 기념하지 않는다.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일부 국가들이 독립선언일 혹은 독립전쟁개시일을 독립기념일로 기념하고 있다. 위키백과 링크 근데 광복하고 독립하고의 의미는 살짝 다르다. 광복은 빛을 되찾는 것이고, 독립은 선언할 때 바로 이루어지는 것. 결론은 독립절이 되어도, 광복절에 쉴 수 있을 것 같다.
- 위의 주장과 관련하여, 정치권에서도 2019년 3월 1일, 대한민국 독립선언 100주년을 성대히 기념하기 위한 국민준비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1919년 3월 8일에는 대구에서 학생주도의 만세운동이 있었는데, 계성중학교 등의 만세운동을 주도했었던 학교에선 아직도 따로 3월 8일에 기념식을 연다.
- 미군정 시절인 1947년 3·1절에는 제주도에서 제주 4.3 사건의 발단이 되는 발포 사건이 일어났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1976년 3·1절에는 명동성당에서 3.1 민주구국선언을 발표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2006년 철도노조 파업사태로 인하여 열차운행중단으로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 2010년 경인년 3.1절에는 현재까지도 커뮤니티에서 회자되고 있는 사건인 한·일 사이버 대전쟁 또는 경인대첩이라고 불리는 사건이 일어났다.
- 2015년 3월 1일, 미 국무부 정무차관인 웬디 셔먼이 한·중·일 과거사 문제는 세 나라 모두 책임이 있다는 발언을 하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기사
- 2017년 4월 19일, 대한민국의 걸그룹 다이아가 걸그룹 최초로 삼일절을 기념하는 곡을 발매했는데 무려 정규 2집 《YOLO》 앨범에 수록되었다. 멤버들이 직접 만든 자작곡이였으며 유관순과 안중근의 이야기를 가사로 풀어 삼일절의 의미와 독립투사에 대한 마음을 되새기고자 만들었다고 한다. 수록곡의 제목은 <乾坤坎離>이며 독립의 아픔과 상처,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고마운 마음과 현재의 다짐 등을 경건하고 엄숙하게 담은 곡이다.
- 2018년 3.1절 기념식은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같은 날에 광화문광장에서는 일제 강제 징용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3·1절 추모제도 열렸는데, 하필이면 광화문광장의 태극기집회 측과 서로 충돌했다. 그리고 태극기 집회 참가자들은 손에 태극기를 들고 일제 강제 징용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삼일절 추모제 측을 향해 "친북세력, 빨갱이들은 물러가라" 라는 매국노 인증 정신 나간 소리를 지껄이며 추모제를 방해하는 몰상식한 짓거리를 저질렀다. 이들은 성조기나 이스라엘 국기 등 3.1절과 별 관계없는 깃발을 들고 온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거리 행진에서는 일장기가 그려진 현수막을 들기도 했다![33][34] 대한민국 극우 세력이라는 작자들이 왜 가짜 보수주의라고 욕을 처먹는지 자기들 스스로 그 이유를 확인해 준 어처구니 없는 만행. 이들은 100주년을 맞은 이듬해 3.1절에도 집회를 열어 모처럼 즐거운 100주년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또 다시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이들은 이 전해인 2017년에도 삼일절 당일은 물론이고 주말마다 태극기 집회를 열어서, 태극기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빠지게 만들었다. 이 때문에 다른 단체들도 삼일절을 기념하는 태극기 게양 행사를 축소, 변경하는 경우가 발생했고 광복회마저 나서서 '태극기의 의미가 너무 왜곡되고 있다'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 2019년 3.1절에는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을 주왕산면으로, 산하의 이전리를 주산지리로 명칭을 변경했다.
- 가끔씩 삼일절과 정월대보름이 겹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전년도에 윤달이 있어서 설날이 밀린 경우다. 실제로도 삼일절이 있는 3월 1일을 음력으로 환산하면 1~2월이고 윤달인 경우는 윤1월이다.[35]
- 3.1절의 요일을 기점으로 그 해의 달력이 본격적으로 결정된다.[36] 3.1절이 금요일일 경우 목요일이 공휴일이 많아서 평일 공휴일이 많다. 대표적으로 2019년, 2024년이다. 3.1절이 수요일이나 목요일, 토요일이어도 연휴가 다소 많은 편이다. 다만 2015년, 2020년처럼 3.1절이 일요일인 경우 공휴일이 토요일에 주로 겹쳐 주말 공휴일이 많으며 2010년, 2021년처럼 3.1절이 월요일일 경우, 일요일이 공휴일이 대부분이며 공휴일 중 최소 5일이 날아간다. 현충일, 광복절, 개천절은 일요일이고 한글날, 크리스마스는 토요일이기 때문이다. 3.1절이 화요일일 경우는 월요일이 공휴일이 많아 심하지는 않으나 일요일이 공휴일인 경우도 다소 있고 개천절 이후 공휴일이 날아간다. 그러나 2021년 8월부터 대체 휴일 제도가 국경일인 공휴일에 적용되는 것으로 추가 확대되면서 이 같은 현상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3.1절이 일요일인 해 10월은 대체휴일 제도 이후 10월 5일 월요일 대체휴일이라(2026년부터) 그 주는 화수목만 평일이고 월, 금은 공휴일이다. 이 때 수요일이 추석이라 화수목 연휴이거나 화요일이 추석이라 월화수 연휴에 목요일이 개천절 대체휴일, 일월화 연휴에 수요일이 개천절 대체휴일, 목요일이 추석연휴 일요일의 대체휴일이 되니 그렇게 된다면 그 주가 1주 내내 공휴일이 된다. 2082년, 2093년이 그 사례. 참고로 삼일절로 인한 대체 휴일이 최초로 적용되는 해는 2025년이다. 다만, 5인 미만 사업장과 교대근무자는 적용 대상이 아니다. 이렇게 되면 학교의 개학이 3월 3일이나 4일로 또 밀려나는데, 일단 삼일절이 개학에 영향을 주는 공휴일이기 때문. 이럴 경우 대통령 선거와 징검다리 연휴를 이룰 수도 있다. 2037년이 바로 그 예로 삼일절이 일요일, 대체휴일이 3월 2일, 대통령 선거는 3월 4일이 된다.
- 2022년에는 3.1절로 인해 대통령 선거가 1주일 뒤로 밀려나 대통령 선거가 3월 9일로 밀렸다. 또한 대통령 선거가 3월 7일이나 8일인 경우에도 3.1절로 인해 밀린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는 공직선거법상 공휴일과 그 인접일에는 선거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2057년에 3.1절로 인해 대통령 선거가 3월 7일로 밀리고 2062년에는 3월 8일로 밀린다.
- 삼일절에는 분위기상 일본 여행 수요가 적어 비수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기념일에 의미를 두지 않고 오히려 개학전 막판 일본 여행 수요로 인해 관광객 수요가 높다.
- 2022년 우크라이나가 삼일절 관련 트윗을 올리자 일본의 극우 정치인 마츠마루 마코토 의원이 삼일절은 일본에서 일어난 한인 폭동 사건이다.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일본인에 대한 모독이니, 즉각적인 시정과 사죄를 요구했다. # 마코토 의원은 이후 2023년 삼일절 대통령 기념사에서도 망언을 했다. #
- 2023년 3.1절에는 세종특별자치시의 한 아파트에서 이정우 목사 부부가 "나는 일본인[37]인데, 한국이 너무 싫다"는 이유로 일장기를 내걸어 주민들의 항의를 받는 사건이 벌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삼일절 일장기 게양 사건 문서 참고.
- 현충일과 함께 선거에 영향을 주는 둘뿐인 공휴일이다.
- 축구 감독 김학범과 야구선수 양현종의 생일이 바로 이 삼일절이다.
- 서울 기준으로 삼일절에는 아침 7시 4분에 해가 떠서 저녁 6시 25분에 해가 진다.
- 해풍 김씨는 삼일절에 종친회를 한다.
- 과거 서울에 있었던 삼일고가도로와 현재 서울의 삼일대로, 삼일빌딩의 삼일이 삼일절에서 따 온 것이다.
- 현재 105세 이상의 노인들은 ‘3.1운동 때 몇 살’ 하는 식으로 자신의 나이를 센다고 한다.
- 역법이 국제고정력으로 바뀔 경우 3.1절은 3월 4일이 된다.
- 삼일절에 태어난 사람의 별자리는 물고기자리이다.
- 2024년 삼일절에 온라인에서 3.1절의 의미를 되새기며 태극기 게양 인증글이 쏟아졌다. 또한 삼일절을 앞두고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서 스티커, 스카프·손수건, 모자 등 태극기 관련 제품 판매가 크게 늘었다. 한 온라인쇼핑몰에서는 2월 1~27일 기준 태극기가 2023년 같은 기간보다 14% 더 많이 팔렸는데 올해 1월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31% 늘은 수치이다. 2024년 1월 기준 역사서 수요도 늘어 한국사 책 판매량이 1월보다 37% 증가했다. #
제105주년 3·1절을 맞아 곳곳에서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호국 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개최됐다. 보신각에서 7명의 독립운동가 후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순국선열을 기리는 타종식이 진행됐다. 서울 종로의 탑골공원에서 진행된 행사에 "조선 사람은 자주적인 민족"이라 외친 정재용 선생의 목소리가 인공지능으로 재현돼 행사에 참석한 증손자와 함께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했다. #1 #2 #3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요일 | 새해 첫날 | 설날 연휴 | 삼일절 |
어린이날 | 현충일 | 광복절 | ||
추석 연휴 | 개천절 | 한글날 | ||
폐지된 공휴일 | ||||
식목일 | 제헌절 | 국군의 날 | 국제연합일 | |
<colbgcolor=#fff,#1c1d1f> ※ 공직선거법 제34조에 따라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를 진행하는 날 (대통령 선거일, 국회의원 선거일, 지방선거일) | ||||
※ 대한민국 정부에서 수시로 지정하는 날 (임시공휴일) | ||||
※ 공휴일인 국경일, 부처님오신날, 어린이날, 성탄절이 토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과 겹치거나 설/추석 연휴가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공휴일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대체공휴일) | }}}}}}}}} |
삼일절 | 제헌절 | 광복절 | 개천절 | 한글날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배경 | 파리 강화 회의 · 민족자결주의 · 러시아 혁명 · 고종 |
사건 | 2.8 독립 선언 · 파리 장서 사건 · 제암리 학살사건 | |
인물 / 단체 | 우드로 윌슨 · 블라디미르 레닌 · 신한청년당 · 여운형 · 민족대표 33인(손병희) · 유관순 ·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
기타 | 삼일절 | |
틀 | 독립선언서 | }}}}}}}}} |
[1] 현행 대한민국의 삼일절 공식 영문 표기는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이다. 단, 임시정부 시기 3·1절은 영어로 Korean Independence Day로 표기되었다. 삼일절 경축 전시공채 해외에서도 독립 선언일을 독립 기념일(Independence Day)이라고 칭하는 사례가 많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미국 독립기념일. 멕시코와 브라질, 필리핀, 베트남 등도 우리와 비슷하다. 주한미국대사관에서는 Independence Movement Day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1945년 8월 15일은 "독립"보다는 "해방"에 가깝고, 독립선언문을 발표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성립에 큰 영향을 끼친 삼일절을 보다 진정한 의미의 독립기념일로 볼 수 있다.[2] 따라서 태극기를 게양할 때, 광복절과 마찬가지로 깃봉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야 한다.[3] 3.1절이라는 명칭도 독립선언일과 함께 혼용됐다.[4] 경축일 공포의 관한 건[5] 정부 수립 이후 삼일절의 국경일 제정 의도는 대한민국의 기원(紀元)을 기념하기 위해서였다. (출처: 광복 이후 통일국가수립운동과 국가상징의 제정과정 — 김혜수)[6] 한국어 원문은 전해지지 않으나 일본 외무성의 〈불령단관계잡건〉에서 일역문으로 기록되었으며, 본 문서에서는 정숭교 교수가 현대 한국어로 다시 번역한 버전을 인용하였다. 일역문: 喜フヘシ今日我民國紀元節 / 二千萬ノ同胞等ヨ慶祝スヘシ / 我等ノ新生命ヲ回得セシ日 / 一心合力シ慶祝スヘシ / 慶祝スヘシ慶祝スヘシ / 我開國紀元節慶祝スヘシ / 慶祝スヘシ慶祝スヘシ / 我大韓民國紀元節ナリ[7] 개국기원절은 대한제국 시기 조선왕조의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이었다. 삼일절을 기원절로 명칭한 것은 삼일절을 건국기념일로 바라본 당대 독립운동가들의 시선을 반영한 것이다.[8] 원문: '3월(三月) 1일(一日)'! 배달족(倍達族)의게 신생명(新生命) 신활력(新活力)을 부워준 이날은 우리의 '피'와 갓히 영원(永遠)히 사라이스리로다. 2천만(二千萬) 대중(大衆)이여 개가(凱歌)를 부르기ᄭᅡ지 '피' 싸홈이 ᄭᅳᆺ닐 줄이 잇스랴! 대한(大韓)의 남녀(男女)야! 이날을 깁버하야 만세(萬歲)를 부르라. 날ᄯᅱ며 노래하야 기르라.[9] 원문: My dear Hon. or Senator, On March 1st this year we, the Koreans every where are commemorating the 24th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form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has been functioning in exile and now in Chungking, China.[10] 대한 독립 만세 따위의 글귀를 새긴 흰 깃발을 말한다.[11] 출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3·1절 기념과 3·1운동 인식 — 윤대원[12] 근데 아이러니한 것은 정부 수립 이후 별칭으로 사용됐던 삼일절이란 명칭이 공식 명칭이 되었다는 것이다. 다만 광복 직후 1947년 기사에 삼일절을 독립기념일로 부른 적이 있으며, 삼일절 40주년인 1959년에도 이 날을 독립기념일이라 부른 기록이 남아 있다.[13] 한국사데이터베이스[14]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모르지만 194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3.1 운동은 3.1 혁명이란 이름으로 불렸다. 3.1 운동이 독립운동의 성격을 띈 것은 사실이나, 단순 독립운동을 넘어 민주자유를 선언한 민주공화제의 기원절이라는 인식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이 명칭은 제헌 헌법 전문에도 반영될 예정이었으나 한국민주당에서 딴지를 거는 바람에 3.1 운동으로 명칭이 바뀌어 헌법에 실리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3.1 운동 문서 참조.[15] 특히 1947년 제주도에 있었던 삼일절 기념행사 때 있었던 발포사건은 제주 4.3 사건이라는 비극의 단초가 되었다.[16] 다만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경축 예술제나 불꽃놀이 등 일부 경축행사는 간간히 이어졌다. 삼일절이 사실상 천시된 것은 10월 유신 이후의 일이다.[17] 한국어 원문은 전해지지 않으나 일본 외무성의 〈불령단관계잡건〉에서 일역문으로 기록되었으며, 본 문서에서는 정숭교 교수가 현대 한국어로 다시 번역한 버전을 인용하였다. 일역문: 嗚呼御目出度フ…建國ノ記念日ヨ…半島江山二千萬民族ノ生命ハ此ノ日ヨリ復活シタリ。待チニ待チタル此ノ日復タ廻リ來レルヲ以テ舞踏ニテモ爲ササルヘカラス。强努不屈ノ熱誠ト百折不撓ノ衷情ヲ以テ仇讐ノ嚴酷ナル取締ニモ屈セス大光明大活動ヲ爲シ祝賀セラルヘシ。知ルヤ三月一日ハ何日カ。[18] 원문: 오등(吾等)은 자(玆)에 아(我) 조선(朝鮮)의 독립국(獨立國)임과 조선인(朝鮮人)의 자주민(自主民)임을 선언(宣言)하노라.[19] 사실 이 구절은 재현 오류에 해당한다.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 당시의 한반도 인구는 2천만 명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20] '선열아'의 오타가 아니다. '하'는 '~이시여'라는 뜻의 옛말이다. 용비어천가의 '님금하 아ᄅᆞ쇼셔(임금이시여 알아주소서)'나 정읍사의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달님이시여, 높이 돋으시어)'를 생각해보면 될 듯하다. 다만 현대에는 안 쓰는 표현이라 '선열아'라고 가사를 표기한 경우도 많이 보이는데, 이렇게 부르면 안 된다.[21]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근처로, 본디 서대문구의회 건물이 있었던 자리이다. 도로명주소상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279-24(현저동). 임정 기념관 홈페이지 서대문구의회는 2017년 임정기념관 건축이 결정됨에 따라, 서대문구청 근처의 서대문구 평생학습관 건물로 이전했다. 새 서대문구의회 건물은 도로명주소상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36길 49(연희동).[22] 제헌절은 국회의장이 기념사를 하고 다른 국경일보다 상대적으로 격이 낮은 개천절과 한글날은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한다. 국경일은 아니지만 국가추도일인 현충일은 대통령이 추념사를 한다.[23] 2월 25일 취임 후 4일 뒤가 삼일절이었다.[24]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궐위에 의한 선거라서 당선 직후 취임하였기 때문에 5월 9일에 치러졌고 이후 선거는 취임 2개월 전인 3월 초에 치러서 5월 초에 취임식을 하게 된다. 정확히는 선거일이 공휴일을 피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3월 3~9일이 선거일이 된다. 첫 번째 사례인 제20대 대통령 선거는 2022년 3월 9일에 치러졌다.[25] 새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연단에 등장하는 정부 주관 국가기념일 행사는 5.18 민주화운동기념일 또는 현충일이 됐다.[26] 대부분은 일제의 고문과 수사에 의해 목숨을 잃은 경우가 많고 3.1운동 당시 왕성하게 활동했던 애국지사들도 대부분 1990년대에 세상을 떠났다.[27] 4일일 경우는 삼일절이 금요일일 경우이다. 주5일제 이전에는 3월 2일이 개교기념일인 경우에만 3월 4일까지 밀렸다.[28] 대체 휴일 제도가 확대되어, 2025년을 시작으로 삼일절이 토요일이어도 3월 4일로 첫 등교일이 밀릴 예정이다.[29] 이 때문에 이 날은 3.1절도 3.1절이지만 학생들에게 방학이 거의 끝나가는 날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30] 단, 2020학년도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인해 4월 9일 중3과 고3을 시작으로 온라인 개학을 했으며 5월 20일부터 고3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등교하기 시작했다.[31] 이 글은 사용자 지정으로 대한민국 지역에 사는 사람만 볼 수 있는 글. 즉, 외국에서는 못 보는 글이다.[32] 독립선언문에서는 '조선의 독립'으로 표기하고 있다.[33] 3·1절 광화문에 성조기 물결, "文대통령 퇴진" 요구[34] [발칙한 뉴스] '태극기 집회' 참가자들, 삼일절에 일장기까지 들었다?[35] 가장 최근에 삼일절과 정월대보름이 겹친 해는 1991년이었고 앞으로는 2037년에 찾아온다. 이런 경우는 평년인 경우 설날이 2월 15일, 윤년인 경우 설날이 2월 16일인 해이다.[36] 2020년의 경우 시작 요일은 2014년과 같았으나 3.1절 이후 달력이 2015년과 일치한다. 따라서 2020년 달력을 보면 2015년이랑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37] 본인들을 "한국 태생의 일본 국적인"이라고 주장했으나, 입주민 카드에는 한국인으로 적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